로마 공화국 (1798년~179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 공화국 (1798년~1799년)은 프랑스 혁명 전쟁 중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탈리아 원정의 결과로 1798년 로마에 수립된 공화국이다. 프랑스군의 로마 점령과 교황 비오 6세의 축출 이후, 로마 시민들은 공화국 수립을 선언했다. 헌법은 프랑스 헌법을 참고하여 제정되었으며, 5명의 집정관이 행정권을, 트리부나토와 원로원이 입법권을 행사했다. 명목상 독립국이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의 군사적 지배를 받았으며, 나폴리 왕국의 침공과 프랑스군의 재점령을 거쳐 1800년 교황령이 부활하면서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로마 공화국 (1798년~1799년)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통용 명칭 | 로마 공화국 |
표어 (한국어) | 국민만이 주권자이다 |
수도 | 로마 |
공용어 | 이탈리아어 |
통화 | 로마 스쿠도 로마 바이오코 |
역사 | |
존속 기간 | 1798년 – 1799년 |
선행 국가 | 교황령 안코나 공화국 티베리나 공화국 (프랑스 자매 공화국) |
사건 | 프랑스 침공으로 공화국 선포 (1798년 2월 15일) |
멸망 | 나폴리 왕국 점령 (1799년 9월 30일) |
후행 국가 | 교황령 (재건) |
정치 | |
정치 체제 | 단일 국가, 감독 정부, 공화국 |
정부 형태 | 자매 공화국 (프랑스 제1공화국의 괴뢰 국가) |
지도자 | 집정관 |
주요 지도자 | Carlo Luigi Costantini 프란체스코 리간티 피오 보넬리 안토니오 바시 조아키노 페수티 안젤로 스탐파 도메니코 마지 엔니오 퀴리노 비스콘티 |
입법부 | 입법 평의회 (호민원 및 원로원) |
지도 | |
![]() |
2. 역사적 배경
프랑스 혁명 전쟁 동안, 로마 교황령은 교황의 세속 권력 아래에 있었으며, 제1차 대프랑스 동맹의 일부였다. 1796년-1797년 이탈리아 전역 초기에 사르데냐 왕국을 격파한 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장군은 피에몬테 남쪽으로 눈을 돌려 로마 교황령을 처리하려 했다.
1797년 2월 3일, 프랑스군은 파엔차 전투에서 교황군을 격파했다. 2월 19일에 서명된 톨렌티노 조약에 따라, 교황 비오 7세는 프랑스 제1공화국 대사를 받아들여야 했다.[1]
레오나르 뒤포 장군 피살 사건 이후, 프랑스 국가원수 정부는 복수를 결정했다.[2] 1798년,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장군 휘하의 프랑스군은 교황령을 침공하여 2월 11일 로마를 점령했다. 베르티에는 2월 15일 로마 공화국을 선포했고, 교황 비오 6세는 포로로 잡혀 프랑스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사망했다.[3]
1798년 2월 24일, 판테온 앞에서 열린 뒤포 장군 추도식에서 수백 명의 프랑스 군인들이 앙드레 마세나 장군에게 급여 지급과 약탈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불만을 제기했다.[4]
1798년 11월 나폴리 왕국이 로마 공화국을 침공했지만, 프랑스군은 페렌티노, 치비타 카스텔라나, 오트리콜리에서 나폴리 군을 격파하고 12월 14일 로마로 재입성했다.[5]
당시 로마 교황 비오 6세는 나폴레옹에게 강력히 저항했으나, 나폴레옹은 1798년 2월, 로마 시의 소란을 구실로 로마에 군대를 진격시켜 교황령 전체를 점령했다.[10][11] 2월 15일, 포로 로마노에 모인 로마 시민은 교황령의 권력 붕괴와 '''로마 공화국'''의 성립을 선언했다.[11] 나폴레옹 군은 이를 승인하고, 바티칸을 점령하여 교황청을 제압했다.[11] 비오 6세는 토스카나로 망명했고, 이로써 로마에서 교황의 세속 지배는 붕괴되었다.[11][12]
2. 1. 프랑스 혁명 전쟁과 이탈리아
프랑스 혁명 전쟁 당시 나폴레옹은 1796년 3월, 프랑스 총재정부로부터 이탈리아 방면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이탈리아 원정을 시작했다.[9] 나폴레옹의 군대는 이탈리아 북부를 석권하며 1796년 5월 10일 로디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군을 격파하고, 15일에는 밀라노에 입성하여 구 밀라노 공국 영역을 제압했다.[9] 밀라노에는 롬바르디아 행정부가 설치되어 북 이탈리아에서의 파트리오트(애국파)와 자코비노(이탈리아 자코뱅파) 활동의 중심이 되었다.[9]1796년 6월, 나폴레옹은 교황령 북부의 레가치오네|Legazione영어에 침입하여 볼로냐와 페라라를 점령하고, 모데나 공국에서 분리된 레조와 모데나도 지배하여 그곳에 '치스파다나 연합'을 결성시키고, 후에 치스파다나 공화국을 건국했다.[9] 계속된 승리로 나폴레옹은 총재정부로부터 자립을 강화하고, 스스로 이탈리아 정책을 추진하여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다.[9] 1797년 6월에는 롬바르디아에 치살피나 공화국을 수립하여 치스파다나 공화국을 이에 병합시켰다.[10]
2. 2. 뒤포 장군 피살 사건
1797년 12월 27일, 로마 주재 프랑스 대사관의 무관인 레오나르 뒤포 장군이 대사관 앞에서 일어난 폭동을 진압하려다 살해되었다.[2] 뒤포는 폭도들과 교황군 사이로 뛰어들었다가 군인들에게 총을 맞았고, 이후 포르타 세티미아나 앞에서 폭도들에게 린치를 당했다.[2] 이 사건으로 인해 프랑스 대사 조제프 보나파르트와 그의 수행원들은 로마를 떠났다.[2]3. 로마 공화국의 성립과 통치
1798년 2월, 프랑스군은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장군의 지휘 아래 교황령을 침공하여 로마를 점령했다.[2] 2월 15일, 포로 로마노에 모인 로마 시민들은 로마 공화국의 성립을 선언했고, 교황 비오 6세는 국외로 추방되어 프랑스에서 사망했다.[3] 이로써 교황의 세속 권력은 붕괴되었다.[11][12]
새로운 자매 공화국의 제도는 가스파르 몽주와 피에르 도누가 프랑스의 모델을 바탕으로 조직했으며, 지역 혁명가인 조각가 프란체스코 피라네시와 Joseph-Antoine Florens|조제프-앙투안 플로렌스프랑스어와 같은 로마 거주 프랑스인들이 도움을 주었다.
로마 공화국은 프랑스의 1795년 헌법을 본따 헌법을 제정하고 입법부를 설치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군의 군사적 지배를 받았다.[11]
3. 1. 정부 구성
로마 공화국의 헌법적 조직은 1795년 프랑스 헌법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이는 고대 로마 공화국의 헌법을 바탕으로 느슨하게 만들어졌다. 행정 권한은 5명의 집정관에게 있었다. 입법부는 트리부나토(60명)와 원로원(3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원로원은 집정관을 선출했다.[8]3. 2. 프랑스군의 군사 지배
로마 공화국은 명목상 독립된 공화국이었지만, 실제로는 프랑스군의 군사적 지배하에 있었다.[11] 프랑스군 장군들은 로마 공화국의 내정에 깊숙이 관여했다.1798년 2월 24일, 뒤포 장군 추도식에서 프랑스 군인들은 급여 지급과 약탈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며 불만을 제기했다.[4] 앙드레 마세나 장군은 initially 군인들의 요구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군인들이 루스폴리 궁전을 습격하자 일부 급여 지급을 약속했다.[4]
다음 날, 마세나는 군사 반란 진압을 위해 군대를 테베레 강 건너편으로 철수시켰으나, 트라스테베레에서 시민 봉기가 일어났고 곧 진압되었다.[4] 장교들은 마세나를 해임하려 했고, 며칠간의 소란 끝에 마세나는 도시 밖으로 이동했다.[4] 클로드 달라맹이 임시 사령관을 맡았으나, 장교들은 군대 이동 명령을 거부했다.[4] 3월 14일, 마세나가 로마로 돌아와 반란을 일으킨 장교들의 해임과 퇴출을 요구하며 새로운 봉기가 일어났다.[4]
1798년 3월 18일, 로마에 새로운 명령이 도착하여 민간 위원의 권한이 강화되고, 로랑 드 구비옹 생시르 장군에게 도시 권한이 부여되었다.[4]
4. 로마 공화국의 종말
1798년 11월, 나폴리 왕국이 로마 공화국을 침공하면서 제2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이 시작되었다. 프랑스군은 일시적으로 로마에서 철수했지만, 자크 맥도날드와 장 에티엔 샹피오네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나폴리군을 격파하고 1798년 12월 14일 로마를 재점령했다.[5] 샹피오네는 1799년 1월 나폴리를 점령하고 파르테노페 공화국을 선포했다.[6]
1799년 9월 30일, 나폴리의 2차 침공 이후, 1800년 6월 교황 비오 7세 치하에서 교황령이 회복되면서 로마 공화국은 종말을 맞이했다.[7]
4. 1. 나폴레옹과 교황 비오 7세의 관계 변화
1801년 정교 협약(콩코르다)을 통해 교황 비오 7세와 나폴레옹 사이에 타협이 성립되면서 1800년 6월 교황령이 부활했다.[7] 그러나, 나폴레옹과 비오 7세는 곧 대립하게 되었고, 1805년 2월 2일 프랑스 군은 다시 로마에 입성했다.[13] 1809년 5월 17일, 프랑스 제1 제정은 로마를 병합하여 교황령은 프랑스 제국에 병합되었다.[13]5. 오페라 "토스카"와의 연관성
자코모 푸치니의 오페라 《토스카》는 나폴레옹 군대가 유럽을 휩쓸던 1800년 6월, 로마 공화국이 멸망하던 시기의 로마를 배경으로 한다.[7]
참조
[1]
서적
Imperial City: Rome under Napoleon
[2]
서적
Le général Duphot 1769-1797
Plon
[3]
웹사이트
Napoleon's Campaign in Italy, 1796–97
http://www.historyof[...]
[4]
간행물
L’honneur et la solde. L’insurrection des « capitaines » à Rome (février-mars 1798)
[5]
백과사전
MACDONALD, duc de TARANTE (Etienne-Jacques-Joseph-Alexandre)
https://gallica.bnf.[...]
Librairie Historique et Nobilaire
1934
[6]
백과사전
CHAMPIONNET (Jean-Étienne Vachier, dit)
https://gallica.bnf.[...]
Librairie Historique et Nobilaire
1934
[7]
서적
Imperial City: Rome under Napoleon
[8]
서적
The Governments of Europe
https://books.google[...]
Macmillan Company
2018-02-03
[9]
문서
北原(2008)pp.335-340
[10]
문서
高柳(2001)pp.87-94
[11]
문서
北原(2008)pp.340-344
[12]
문서
その後、フランス軍はピウス6世に教皇の退位を迫ったが、ピウス6世はこれを拒否している。フランス軍にとらえられたピウス6世は各地を転々としたのち、1799年8月29日にフランスのヴァランス (ドローム県)|ヴァランス(現、ドローム県)で没している。
[13]
문서
北原(2008)pp.344-347
[14]
논문
1801년 교황 비오 7세와 프랑스 정부간의 협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