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앤젤레스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앤젤레스 전투는 1942년 2월 24일부터 25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의 공격에 대한 공포 속에서 대공포 사격이 벌어졌다. 레이더에 미확인 비행 물체가 포착되고 공습 경보가 발령되었으며, 1,400발 이상의 대공 포탄이 발사되었다. 이 사건으로 5명의 민간인이 사망하고 건물과 차량이 손상되었으며, 정부는 사건 발생에 대해 엇갈린 발표를 내놓아 혼란을 야기했다. 전후, 일본군의 관여가 부인되면서 기상 관측 기구 오인설, UFO 관련 음모론 등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었으며, 전쟁 초기 미국의 불안과 전시 히스테리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확인비행체 목격사건 - 1561년 뉘른베르크 상공 천문소동
1561년 뉘른베르크 상공 천문소동은 뉘른베르크 상공에서 둥근 공, 십자가, 관 등 다양한 물체가 나타나 전투를 벌이는 듯한 기이한 현상으로, 당시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하늘의 징조로 해석되었으며, UFO 연구 자료나 집단 무의식 발현의 예시로도 활용된다. - 미확인비행체 목격사건 - 플랫우즈의 괴물
1952년 플랫우즈에서 발생한 미확인 생명체 목격 사건인 플랫우즈의 괴물은 붉은 눈과 끔찍한 냄새를 가진 3미터 높이의 괴생명체에 대한 보고와 함께 UFO 목격 및 목격자들의 건강 이상 증세를 야기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 1942년 군사사 - 제2차 세계 대전 연표 (1942년)
1942년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 선언 채택, 태평양 전선에서의 일본군 공세와 미드웨이 해전을 기점으로 한 전세 역전, 동부 전선에서의 스탈린그라드 전투 격화, 북아프리카 전선에서의 엘 알라메인 전투와 횃불 작전 등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중요한 사건들이 잇따라 발생한 해이다. - 1942년 군사사 - 필리핀 전역 (1941년~1942년)
필리핀 전역 (1941년~1942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필리핀을 침공하여 점령한 일련의 전투로, 미국 극동 육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일본군이 승리하여 필리핀을 점령하고 만행을 저지른 사건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군사사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의 군사사 -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
블랙리스트 포티 작전은 1945년 미국이 소련의 대일전 참전 이후 한반도 점령 지역 분할을 제안하면서 시작되었으며, 38선 이남을 점령하고 친미 정부 수립을 시도했지만, 친일파 등용과 같은 실정으로 비판받다가 통일 정부 수립에 실패하고 한국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로스앤젤레스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교전 명칭 | 로스앤젤레스 전투 |
위치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
시기 | 1942년 2월 24일 – 25일 |
원인 | 미국 육군의 일본 제국 해군 항공기 오인 |
결과 | 오인 사격 |
관련 정보 | |
![]() | |
교전 세력 | |
공격 추정 세력 | 일본 제국 |
방어 세력 | 미국 육군 제37 연안 포병 여단 등 |
피해 규모 | |
미국 측 사상자 | 민간인 사망 5명 |
사망 원인 | 자동차 사고 3명 심장마비 2명 |
재산 피해 | 가옥 및 자동차 파손 |
관련 정보 | |
전투 관련 링크 | Military Museum의 로스앤젤레스 전투 설명 |
관련 문서 | 로스앤젤레스 공방전 The Battle of Los Angeles 앨범 |
2. 배경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이 하와이 진주만 공격을 감행하고 다음 날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미국 본토, 특히 서부 해안을 중심으로 일본의 공격이나 침략에 대한 공포와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실제로 일본 해군의 잠수함들이 미국 서부 해안을 공격하여 여러 척의 상선을 격침시킨 사건들이 있었다. 또한, 1942년 2월 23일에는 이17잠수함이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군의 엘우드 유전을 포격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이러한 공포는 더욱 커졌다. 이 포격은 1812년 전쟁 이후 130년 만의 미국 본토 공격이었다.[31]
2. 1. 일본군의 미국 본토 공격 위협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이 하와이 진주만 공격을 감행하고 다음 날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미국 본토, 특히 서부 해안을 중심으로 일본의 공격이나 침략에 대한 공포가 커졌다.[5]일본 해군은 잠수함을 이용해 미국 서부 해안을 공격, 여러 척의 상선을 격침시켰다. 1941년 12월 후반부터 1942년 2월까지 서부 해안 인근 해역에서 일본 잠수함의 공격을 받은 미국 상선은 다음과 같다.[9][10]
선박명 | 결과 |
---|---|
탈출 | |
피해 | |
탈출 | |
침몰 | |
피해 | |
SS H.M. Storey | 탈출, 나중에 침몰 |
침몰 | |
SS Camden | 침몰 |
피해 | |
침몰 | |
침몰 | |
탈출 | |
SS Connecticut | 피해 |
SS Idaho | 경미한 피해 |
1942년 2월 23일 오후 7시 15분,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노변 담화 중, 일본 잠수함 이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근처에서 수면으로 부상하여 엘우드 유전을 포격했다.[6] 피해는 500USD (1942년 기준) 정도로 미미했지만, 이 공격으로 서부 해안 주민들은 일본군이 언제든 해변을 공격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6]
2. 2. 미국 내 전시 분위기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의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미국 본토, 특히 서부 해안을 중심으로 일본의 공격이나 침략에 대한 공포가 현실적인 가능성으로 인식되며 대중의 분노와 편집증이 심화되었다.[5]알래스카 주노에서는 일본 잠수함이 해안에 잠복해 있다는 소문이 퍼져 주민들에게 야간 블랙아웃을 위해 창문을 가리라는 지시가 내려졌다.[5]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는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 해안에 일본 항공모함이 순항하고 있다는 소문으로 학교가 폐쇄되고 블랙아웃이 시행되었다. 오클랜드 경찰국의 순찰차에 장착된 시민 방위 사이렌이 도시 전체에 울려 퍼졌고, 무선 침묵이 명령되었다.[6] 시애틀 역시 모든 건물과 차량에 대한 블랙아웃을 실시했으며, 건물에 불을 켜둔 소유주는 2,000명의 주민들로 구성된 폭도에 의해 사업장이 파괴되었다.[7]
이러한 소문은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져 500명의 미국 육군 병력이 캘리포니아 버뱅크에 있는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부지로 이동하여 할리우드 시설과 인근 공장을 적의 사보타주나 전략 폭격으로부터 방어했다.[8]
미국이 전쟁을 위해 동원되면서, 대공포가 설치되고, 벙커가 건설되었으며, 공습 경계 훈련이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다. 1941년 12월 후반부터 1942년 2월까지 서부 해안 인근 해역에서 많은 미국 상선이 실제로 일본 잠수함의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은 이러한 편집증을 더욱 심화시켰다.[9][10]
선박명 | 공격 결과 |
---|---|
SS 아그위월드 (Agwiworld) | 탈출 |
SS 에미디오 (Emidio) | 피해 |
SS 사모아 (Samoa) | 탈출 |
SS 래리 도헤니 (Larry Doheny) | 침몰 |
SS 도로시 필립스 (Dorothy Phillips) | 피해 |
SS H.M. 스토레이 (H.M. Storey) | 탈출, 나중에 침몰 |
SS 신시아 올슨 (Cynthia Olson) | 침몰 |
SS 캠던 (Camden) | 침몰 |
SS 압사로카 (Absaroka) | 피해 |
SS 코스트 트레이더 (Coast Trader) | 침몰 |
SS 몬테벨로 (Montebello) | 침몰 |
SS 바바라 올슨 (Barbara Olson) | 탈출 |
SS 코네티컷 (Connecticut) | 피해 |
SS 아이다호 (Idaho) | 경미한 피해 |
1942년 2월 24일, 해군 정보국은 캘리포니아 본토에 대한 공격 가능성을 경고했다. 일본 해군 함정의 엘우드 포격 사건으로 캘리포니아 해안에 경계 태세가 갖춰졌고, 로스앤젤레스군에서는 이날 오후 7시 18분에 공습 경보가 발령되었지만, 10시 23분에 해제되었다.[32][33]
1942년 2월 23일 오후 7시 15분, 프랭클린 D. 루스벨트대통령의 노변 담화 중, 이17잠수함이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근처에서 수면으로 부상하여 캘리포니아 골레타의 엘우드 유전을 포격했다. 피해는 500USD (달러로 환산) 및 부상자 없음으로 미미했지만, 이 공격은 대중의 상상력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서부 해안 주민들은 일본군이 언제든 해변을 공격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6] (4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일본군은 알래스카 우날라스카의 더치 하버를 폭격하고, 알류샨 열도의 키스카와 애투에 상륙했다).[6]
일본 해군은 1941년 12월부터 태평양의 미국 연안 지역에 전개된 잠수함에 의한 통상 파괴전을 실시하여 미국 서부 해안 연안을 항행 중이던 미국의 유조선과 화물선을 10척 이상 격침시켰고[29], 1942년 2월 23일에는 이17잠수함에 의해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군의 엘우드 유전에 대한 미국 본토 포격 작전이 실행되었다.[30] 이는 1812년 전쟁 이후 130년 만의 미국 본토 공격이었고, 미국은 경계를 강화하게 되었다.[31]
3. 사건 발생
2월 25일 새벽,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전역에 공습 경보 사이렌이 울리고 전면적인 소등 조치가 내려졌으며, 수천 명의 공습 감시원들이 각자의 위치로 소집되었다.[18][11]
]]
3. 1. 레이더 포착 및 경보 발령
1942년 2월 24일, 해군 정보국은 앞으로 10시간 안에 캘리포니아 본토에 대한 공격이 예상된다는 경고를 발령했다.[19] 그날 저녁, 방위 산업 시설 부근에서 많은 조명탄과 깜빡이는 불빛이 보고되었다. 경계령은 오후 7시 18분에 발령되었고, 오후 10시 23분에 해제되었다.[19]
그러나 25일 오전 2시경[26], 레이더가 로스앤젤레스 서쪽 약 193.12km 지점에서 비행 물체를 포착했고, 2시 15분에 경보가 발령되었다. 육군 항공대 전투기들이 요격 준비에 들어갔다.[33] 목표가 해안 가까이 접근하자 2시 21분에는 등화 관제가 실시되었고, 그 후 목표는 레이더에서 사라졌지만, 정보국에는 "적기 습래" 보고가 쏟아졌다.[33]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전역에 공습 경보 사이렌이 오전 2시 25분에 울렸다.[18]
3. 2. 대공 사격
1942년 2월 25일 오전 3시 6분, 샌타모니카 상공에서 붉은 빛을 내는 기구가 목격되면서 대공 사격이 시작되었다.[33] 제37 해안 포병 여단은 보고된 항공기에 대해 50구경 기관총과 약 5.81kg 대공 포탄을 발사하기 시작했고, 결국 1,400발 이상의 포탄이 발사되었다.[11] 제4 요격 사령부의 조종사들은 경고를 받았지만 그들의 항공기는 지상에 대기했다. 포격은 오전 4시 14분까지 산발적으로 계속되었다.[11] "경계 해제"가 울리고 오전 7시 21분에 소등 명령이 해제되었다.[11]
3. 3. 피해 상황
지상에 대한 직접적인 공격은 없었지만, 대공 포격으로 인한 파편으로 여러 건물과 차량이 손상되었다. 민간인 5명이 사망했는데, 3명은 교통사고로, 2명은 심장마비로 사망했다.[12] 또한, 20명 정도의 일본계 미국인이 적에게 신호를 보냈다는 혐의로 보안관에게 구속되었다.[34][26]
4. 혼란과 반응
사건 다음 날 프랭클린 녹스 해군 장관은 적기 습격을 부인하며 "불안에서 발생한 오보일 것이다"라고 말했다.[34][33] 헨리 스팀슨 육군 장관은 "적기 습격은 없었다"면서도 "적의 손에 의해 민간기 15기가 날아와 방공 체제의 확인이나 시민에 대한 위협을 가했을 것이다"라고 말했지만[34][33], 이는 나중에 철회되었다.[26]
4. 1. 정부의 엇갈린 발표
해군 장관 프랭크 녹스는 기자 회견을 통해 이 모든 사건이 불안감과 "전쟁 신경" 때문에 발생한 오경보라고 말했다.[15] 다음 날 육군에서 조지 C. 마셜 장군의 추측을 반영하는 성명이 발표되었는데, 이 사건은 적군이 대량의 공포를 조성하기 위한 심리전 캠페인에서 상업용 비행기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었다.[15]프랭클린 녹스 해군 장관은 적기 습격을 부인하며 "불안에서 발생한 오보일 것이다"라고 말했다.[34][33] 헨리 스팀슨 육군 장관은 "적기 습격은 없었다"면서도 "적의 손에 의해 민간기 15기가 날아와 방공 체제의 확인이나 시민에 대한 위협을 가했을 것이다"라고 말했지만[34][33], 이는 나중에 철회되었다.[26]
1942년 2월 26일 조지 C. 마셜 육군 참모총장이 대통령에게 제출한 보고서[36]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
---|
미확인 항공기는 미 육군 또는 해군의 것이 아니었으며, 로스앤젤레스 상공을 비행한 것으로 보인다. 제37해안 포병 여단(대공포병 중대)의 여러 소대가 오전 3시 12분부터 4시 15분까지 포격을 가했으며, 1,430발의 탄약을 사용했다. |
관련 미확인 항공기는 15대에서 20대 정도로 보이며,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매우 느린 속도에서 약 321.87km에 이르는 다양한 속도로, 약 2743.20m~약 5486.40m에 이르는 고도에서 비행했다." |
폭탄은 전혀 투하되지 않았다. |
아군의 전투 사상자는 없었다. |
이 미확인 항공기는 한 대도 격추되지 않았다. |
당시 활동 중이던 미국의 육·해군 항공기는 없었다. |
4. 2. 언론과 대중의 의혹
프랭크 녹스 해군 장관이 이 사건을 오경보라고 말하자, 일부 언론은 진실을 은폐하고 있다고 의심했다.[16] ''롱비치 인디펜던트''는 사설에서 "이 사건 전체에 대한 신비한 침묵이 있으며, 어떤 형태의 검열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막으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썼다.[16]여러 추측이 난무했는데, 멕시코 북부 비밀 기지나 일본 잠수함이 해안에 정박해 비행기를 운반할 수 있다는 이론도 있었다. 또 다른 사람들은 해안 방어 산업을 내륙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건이 조작되거나 과장되었다고 추측했다.[16]
미국 하원 캘리포니아 산타 모니카 출신 하원 의원 릴랜드 M. 포드는 의회 조사를 요구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금까지 제시된 설명 중 어느 것도 이 사건을 '완전한 미스터리'에서 벗어나게 하지 못했다... 이는 훈련 공습이거나, 200만 명을 겁주기 위한 공습이거나, 신원 오인 공습이거나, 남부 캘리포니아의 전쟁 산업을 빼앗기 위한 정치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공습이었다."[17]
5. 진상 규명 노력과 다양한 해석
이 사건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제시되었다. 미국 공군 역사국은 1983년 증거 분석 결과 최초의 경보는 기상 관측용 풍선이 원인이었다고 결론 내렸다.[19] 그러나 일부 UFO 연구가들은 1942년 2월 26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게재된 사진을 근거로 이 사건이 외계 생명체 방문과 관련된 것이라고 주장한다.[21]
5. 1. 기상 관측용 풍선 오인설
1983년, 미국 공군 역사국은 증거 분석 결과 최초의 경보는 기상 관측용 풍선이 원인이었다고 결론 내렸다.[19]1983년 미국 공군 역사국(Office of Air Force History)의 소동 정리 내용에 따르면, "경보의 원인은 기상 관측기구였으며, 처음 오사(誤射)가 발생한 후, 서치라이트에 비친 연기와 포탄 파편이 적기로 오인되어 공격이 계속되었다"고 한다.[26]
5. 2. UFO설
일부 UFO 연구가들은 1942년 2월 26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게재된 사진을 근거로 이 사건이 외계 생명체 방문과 관련된 것이라고 주장한다.[21] 이들은 사진에 외계 우주선으로 추정되는 물체에 집중된 탐조등이 명확하게 나타난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 사진은 출판 전에 사진 보정을 통해 크게 수정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당시 흑백 사진의 명암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던 일반적인 그래픽 처리 방식이었다.[22][23] ''타임스''의 작가 래리 하니쉬는 보정된 사진이 2011년 영화 ''배틀: 로스앤젤레스''의 예고편에서 가짜 신문 헤드라인과 함께 마치 역사적 자료인 것처럼 제시되었다고 지적하며, "만약 홍보 캠페인이 UFO 연구를 거짓과 조작으로밖에 보이지 않게 만들고 싶었다면, 이보다 더 잘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라고 평했다.[24]전후, 일본군이 이 소동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재확인되자, UFO 비행설이 제기되었다.[26]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게재된 사진이 UFO를 찍은 것이라는 주장이 주요 근거로 제시되었지만,[37] 이는 레터칭된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4]
6. 사건의 의의 및 영향
로스앤젤레스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사회의 불안과 공포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의 진주만 공격 이후, 미국 전역, 특히 서부 해안에서는 일본의 공격에 대한 공포와 편집증이 만연했다.[5]
1942년 2월 23일에는 일본 해군 잠수함이 캘리포니아 골레타의 엘우드 유전을 포격하면서 이러한 공포는 더욱 심화되었다.[6] 비록 피해는 500USD 정도로 미미했지만, 이 사건은 서부 해안 주민들에게 일본군이 언제든 해변을 공격할 수 있다는 공포를 심어주었다.
1941년 12월부터 1942년 2월까지 일본 잠수함의 공격을 받은 미국 상선은 다음과 같다.
선박명 | 피해 상황 |
---|---|
탈출 | |
피해 | |
탈출 | |
침몰 | |
피해 | |
SS H.M. Storey | 탈출, 나중에 침몰 |
침몰 | |
SS Camden | 침몰 |
피해 | |
침몰 | |
침몰 | |
탈출 | |
SS Connecticut | 피해 |
SS Idaho | 경미한 피해 |
이 사건은 UFO 음모론에도 영향을 미쳤다. 1942년 2월 26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게재된 사진은 외계 생명체 방문의 증거로 제시되기도 했으나,[21] 이는 출판 전에 리터칭을 통해 크게 수정된 것으로 밝혀졌다.[22][23]
이 사건은 또한 여러 영화와 소설 등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1979년 코미디 영화 1941과 2011년 SF 액션 영화 월드 인베이젼이 있다.
6. 1. 전시 히스테리와 공포
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 해군이 하와이의 진주만 공격을 감행하고, 다음 날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면서, 미국 전역, 특히 서부 해안을 중심으로 대중의 분노와 편집증이 심화되었다.[5] 일본의 미국 본토 공격이나 침략에 대한 공포는 현실적인 가능성으로 인식되었다. 알래스카주 주노에서는 일본 잠수함이 알래스카 남동부 해안에 잠복해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주민들에게 야간 블랙아웃을 위해 창문을 가리라는 지시가 내려졌다.[5]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 해안에서 일본 항공모함이 순항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시는 학교를 폐쇄하고 블랙아웃을 시행했다. 오클랜드 경찰국의 순찰차에 장착된 시민 방위 사이렌이 도시 전체에 울려 퍼졌고, 무선 침묵이 명령되었다.[6] 시애틀시 역시 모든 건물과 차량에 대한 블랙아웃을 실시했으며, 건물에 불을 켜둔 소유주는 2,000명의 주민들로 구성된 폭도에 의해 사업장이 파괴되었다.[7] 이러한 소문은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져 500명의 미국 육군 병력이 캘리포니아 버뱅크에 있는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부지로 이동하여 악명 높은 할리우드 시설과 인근 공장을 적의 사보타주나 전략 폭격으로부터 방어했다.[8]미국이 전쟁을 위해 동원되기 시작하면서, 대공포가 설치되고, 벙커가 건설되었으며, 공습 경계 훈련이 전국적으로 실시되었다. 편집증을 더욱 심화시킨 것은 1941년 12월 후반부터 1942년 2월까지 서부 해안 인근 해역에서 많은 미국 상선이 실제로 일본 잠수함의 공격을 받았다는 사실이었다.[9][10]
선박명 | 피해 상황 |
---|---|
탈출 | |
피해 | |
탈출 | |
침몰 | |
피해 | |
SS H.M. Storey | 탈출, 나중에 침몰 |
침몰 | |
SS Camden | 침몰 |
피해 | |
침몰 | |
침몰 | |
탈출 | |
SS Connecticut | 피해 |
SS Idaho | 경미한 피해 |
1942년 2월 23일 오후 7시 15분, 대통령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노변 담화 중, 일본 해군 잠수함 이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 근처에서 수면으로 부상하여 캘리포니아 골레타의 엘우드 유전을 포격했다. 피해는 미미했지만(재산 피해 500USD 및 부상자 없음), 이 공격은 대중의 상상력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서부 해안 주민들은 일본군이 언제든 해변을 공격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4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일본군은 알래스카 우날라스카의 더치 하버를 폭격하고, 알류샨 열도의 키스카와 애투에 상륙했다).[6]
6. 2.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이 사건은 여러 영화와 소설 등 대중문화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1942년 2월 26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게재된 사진은 UFO 음모론에서 외계 생명체 방문의 증거로 제시되었다.[21] 그러나 이 사진은 출판 전에 사진 리터칭을 통해 크게 수정되었으며, 이는 당시 흑백 사진의 명암을 개선하기 위한 일반적인 관행이었다.[22][23] ''타임스''의 작가 래리 하니쉬는 리터칭된 사진이 2011년 영화 ''배틀: 로스앤젤레스''의 예고편에서 가짜 신문 헤드라인과 함께 진짜 역사적 자료로 제시되었다고 언급했다. 하니쉬는 "만약 홍보 캠페인이 UFO 연구를 거짓과 조작으로밖에 보이지 않게 만들고 싶었다면, 이보다 더 잘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라고 평했다.[24]
전후, 일본군이 이 소동에 관여하지 않았음이 재확인되자, UFO 비행설이 제기되었다.[26] 주요 근거로 "로스앤젤레스 타임스에 게재된 사진에 UFO가 찍혀 있다"는 것이 제시되었지만,[37] 이는 리터칭된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34]
7. 기념
매년 2월, 로스앤젤레스 항구 입구에 있는 포트 맥아더 박물관에서는 "1942년의 위대한 LA 공습"이라는 기념 행사를 개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attle of Los Angeles
http://www.militarym[...]
2015-11-06
[2]
서적
Los Angeles: biography of a ci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서적
Earthquake fears, predictions, and preparations in mid-America
https://books.goog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10-05-17
[4]
간행물
Activities of The Ninth Army AAA – L.A. 'Attacked'
http://sill-www.army[...]
1949-05-01
[5]
웹사이트
Juneau During WWII Panel The Empty Chair: The Forced Removal and Relocation of Juneau's Japanese, 1941–1951
http://www.juneau.or[...]
2019-05-08
[6]
웹사이트
Battle of Los Angeles
http://www.weirdca.c[...]
2021-05-20
[7]
뉴스
What happened in Seattle after the Pearl Harbor attack in 1941
https://www.seattlet[...]
2016-12-07
[8]
웹사이트
Pearl Harbor Changed Everything, Even the Disney Studio
https://www.laughing[...]
Laughing Place
2015-12-07
[9]
웹사이트
California in World War II: The Attack on the SS ''Agwiworld''
http://www.militarym[...]
2021-05-20
[10]
웹사이트
California in World War II: The Attacks on the SS ''Barbara Olson'' and SS ''Absoroka''
http://www.militarym[...]
2021-05-20
[11]
웹사이트
The Great Los Angeles Air Raid Terrified Citizens – Even Though No Bombs Were Dropped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Institution
2018-05-05
[12]
백과사전
Battle of Los Angeles
https://books.google[...]
1993
[13]
웹사이트
The Battle of Los Angeles – 1942
http://www.sfmuseum.[...]
Sfmuseum.net
1942-02-25
[14]
뉴스
Los Angeles Times
1942-02-27
[15]
웹사이트
California in World War II: The Battle of Los Angeles
http://www.militarym[...]
Militarymuseum.org
1942-02-25
[16]
뉴스
Information, Please
Los Angeles Times
1942-02-26
[17]
뉴스
Knox Assailed on 'False Alarm': West Coast legislators Stirred by Conflicting Air-Raid Statements
Los Angeles Times
1942-02-27
[18]
뉴스
The Battle of L.A. turns 75: When a panicked city fought a Japanese invasion that never happened
http://www.latimes.c[...]
2017-02-25
[19]
서적
The Army Air Forces in World War II: Defense of the Western Hemisphere
Office of Air Force History
2010-05-18
[20]
서적
The Bad City in the Good War: San Francisco, Los Angeles, Oakland, and San Diego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3-11-04
[21]
서적
UFOs, Conspiracy Theories and the New Age: Millennial Conspiracism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6-02-25
[22]
뉴스
Another Good Story Ruined: Saucers Over L.A.! – Part 7
http://latimesblogs.[...]
2014-04-03
[23]
뉴스
TV Skeptic: 'Fact or Faked: Paranormal Files' looks at the real 'Battle of L.A.'
http://latimesblogs.[...]
[24]
뉴스
Another Good Story Ruined – The Battle of Los Angeles
http://latimesblogs.[...]
2011-02-21
[25]
웹사이트
Fort MacArthur Museum: The Great Los Angeles Air Raid of 1942
http://www.ftmac.org[...]
The Fort MacArthur Museum Association.
1994–2010
[26]
웹사이트
World War II's Bizarre 'Battle of Los Angeles'
https://www.history.[...]
2023-10-14
[27]
서적
ルーズベルト秘録(下)
扶桑社
[28]
서적
ルーズベルト秘録(下)
扶桑社
[29]
서적
米国民を震撼させた特命の奇襲作戦 伊号潜水艦、米本土を攻撃せよ
学研
[30]
서적
米国民を震撼させた特命の奇襲作戦 伊号潜水艦、米本土を攻撃せよ
学研
[31]
웹사이트
Attack on Ellwood
https://goletahistor[...]
2023-10-14
[32]
웹사이트
Japanese Attack of Santa Barbara Beach Marker and Photos
https://web.archive.[...]
2014-01-07
[33]
웹사이트
The Battle of Los Angeles
https://cal170.libra[...]
2023-10-14
[34]
웹사이트
From the Archives: The 1942 Battle of L.A.
https://www.latimes.[...]
2023-10-14
[35]
웹사이트
Battle of Los Angeles
http://www.weirdca.c[...]
2023-10-14
[36]
웹사이트
California in World War II: The Battle of Los Angeles
https://www.military[...]
2023-10-14
[37]
웹사이트
Battle of Los Angeles: The day we went to war with a weather balloon!?
https://www.fox6now.[...]
2021-02-25
[38]
서적
UFO事件簿: ロサンゼルス空襲事件
http://ufojikenbo.bl[...]
2015-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