롬블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롬블론은 필리핀 롬블론 주의 주도로, 롬블론 섬에 위치해 있다. 1569년 스페인 식민지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미국 통치를 거쳐 1946년 필리핀 공화국이 독립하면서 롬블론 주의 주도로 자리 잡았다. 주요 산업은 대리석 채석 및 가공이며, 롬블로마논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롬블론은 롬블론 대성당, 푸엔테 데 벨렌 분수, 구 시청 건물, 산 안드레스 요새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롬블론 항구를 통해 교통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롬블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 | |
공식 명칭 | Municipality of Romblon |
위치 | 필리핀 |
소속 지역 | 미마로파 |
주 | 롬블론 주 |
구 | 롬블론 주의 유일한 구 |
설립 | 1571년 (엔코미엔다), 1631년 (푸에블로) |
바랑가이 수 | 31개 |
시장 | 제라드 S. 몬토호 |
부시장 | 마리아노 "아노이" M. 마테오 |
하원 의원 | 엘레안드로 헤수스 F. 마드로나 |
유권자 수 | 28,384 명 (2022년) |
정부 형태 | 지방 정부 |
해발 고도 (최대) | 464 m |
해발 고도 (최대 지점) | 라팅 산 |
면적 | 73.57 km2 |
인구 (2020년) | 40,554 명 |
인구 밀도 | 551 명/km2 |
가구 수 | 9,845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 (PS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5500 |
PSGC | 175912000 |
지역 번호 | 42 |
웹사이트 | 롬블론 공식 웹사이트 |
경제 | |
소득 등급 | 3등급 |
빈곤율 | 16.4% (2018년) |
수입 | ₱ 167,683,666.71 (2020년) |
자산 | ₱ 378,644,082.54 (2020년) |
지출 | ₱ 157,159,131.19 (2020년) |
부채 | ₱ 14,710,957.63 (2020년) |
서비스 제공자 | |
전기 | 롬블론 전기 협동조합 (ROMELCO) |
기후 | |
기후 | 열대 몬순 기후 |
언어 | |
토착어 | 롬블로마논 어 |
2. 역사
롬블론의 역사는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어 스페인 식민지 시대, 미국 식민지 시대, 일본 점령기를 거쳐 필리핀 독립 이후 현재에 이른다.
롬블론의 초기 거주민은 파나이의 네그리토 부족과 민도로-망얀 부족이었다.[1] 반톤 섬의 동굴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고대 문명과 원주민 문화의 존재를 보여준다.[1]
1569년 스페인 정복자 마르틴 데 고이티가 롬블론 섬들을 처음 방문했고, 이후 스페인은 롬블론을 엔코미엔다로 조직했다.[3] 1582년 스페인 항해사 미겔 데 로아르카는 섬의 이름을 "롬론" 또는 "도블론"이라고 기록했는데, 이는 지역 방언으로 둥지에서 알을 따뜻하게 하는 새를 의미한다.[4] 1631년 롬블론은 푸에블로로 설립되었고,[3] 1635년 스페인 레콜렉토 수도사들에 의해 복음화되었다.[5]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모로족의 침략으로 황폐화되기도 했지만,[5] 스페인인들은 산 안드레스와 산티아고 두 개의 요새를 세워 방어했다.[6] 1853년에는 ''코만단시아''(군사 통제 하의 지방)로 조직되었다.
미국-스페인 전쟁 이후 1898년 스페인은 필리핀을 미국에 양도했다.[7][8] 1901년 미국은 롬블론 주에 민간 정부를 수립하고 행정 구역을 개편했다.[7][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이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롬블론 섬을 점령했다.[9] 1945년 3월 미군이 섬에 상륙하여 일본군을 몰아내고 롬블론 주를 해방시켰다.
마닐라 조약을 통해 필리핀 공화국은 1946년 7월 4일 독립 주권 국가가 되었다.[10]
2. 1. 초기 역사
롬블론의 최초 거주민은 파나이의 네그리토 부족과 민도로-망얀 부족이었다.[1] 반톤 섬의 동굴에서 발견된 매달린 관과 예술적 재료는 풍요롭고 고대 문명과 원주민 문화의 존재를 증명한다.[1]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69년 말, 스페인 정복자 마르틴 데 고이티가 롬블론 섬들을 처음 방문했고, 이후 스페인은 롬블론을 엔코미엔다로 조직했다.[3] 1571년 4월 24일 설립된 돈블론(롬블론)의 엔코미엔다는 돈 곤잘로 리켈에게 주어졌다. 1582년 스페인 항해사 미겔 데 로아르카가 실시한 첫 번째 인구 조사에서 롬블론 섬에는 240명의 왁스 수집업자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 이때 미겔 데 로아르카는 섬의 이름을 "롬론" 또는 "도블론"이라고 기록했다.[4] 지역 비사야 방언에서 이 단어는 둥지에서 알을 따뜻하게 하는 새를 의미한다. 현재 이름이 채택되기 전에는 돔블론으로도 알려졌다.[2]1631년 스페인 총독 후안 니뇨 데 타보라의 재임 기간 동안 롬블론은 푸에블로로 설립되어, 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두 정착지 중 하나가 되었으며, 다른 하나는 지방 북쪽에 위치한 반톤이었다.[3] 1635년 롬블론 섬은 스페인 레콜렉토 수도사들에 의해 복음화되었고, 필리핀의 총사령부의 종속 영토가 되었다. 그들의 요새화된 교회는 현재의 롬블론 대성당이다. 17세기에 첫 스페인 선교사들을 맞이했다.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모로족에 의해 자주 황폐화되었다.[5] 스페인인들은 산 안드레스와 산티아고 두 개의 요새를 세웠다.[6]
1853년 스페인에 의해 ''코만단시아''(군사 통제 하의 지방 또는 구역)로 조직되었다.
2. 3. 미국 식민지 시대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이 끝나면서 스페인은 필리핀을 미국에 양도했다. 1901년, 미국은 롬블론 주에 민간 정부를 수립했다.[7][8] 이후 롬블론에는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이 있었다. 10개의 새로운 바리오(barangay, 필리핀의 최소 행정 구역 단위)가 만들어졌고, 3개의 기존 바리오는 폐지되었다. 폐지된 바리오는 다음과 같다.- 인구가 적어 사블라얀에 병합된 아글로미옴
- 엘 푸에블로 또는 포블라시온에 부속된 엠바르카시온
- 내륙 바리오인 코곤 (탐박, 일라우란, 마칼라스, 라마오, 아그발루토의 5개 바리오(약칭 TIMLA)로 재조직됨)
바리오 알폰소 13세는 리-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추가로 10개의 바리오(바가카이, 아그부디아, 아그통고, 엠바르카시온, 마리아 크리스티나(사왕으로 개명), 5개의 TIMLA 바리오)가 신설되었다.
아그통고는 1916년 카히모스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바리오가 되었다. 1918년에는 해운업 종사자들이 엠바르카시온이라는 별도의 바리오로 지정되었으나, 1939년 다시 바리오 포블라시온 또는 엘 푸에블로에 병합되었다. 아그부디아는 1939년 기임피간에서 분리된 후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바리오였다. 한편, 타블라스 섬에 위치한 두 개의 바리오인 마자방바이는 1901년 바다호스(현재의 산 아구스틴)로 반환되었으며, 독립 바리오로서 폐지되어 바리오 기인푸칸(카르멘)의 시티오(sitio, 바리오보다 작은 행정 구역 단위)로 부속되었다.
2. 4. 일본 점령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군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롬블론 섬을 점령했다.[9] 1945년 3월 11일, 미군이 섬에 상륙하여 점령 중이던 일본군으로부터 롬블론 섬을 해방시켰다. 3월 18일까지, 롬블론주는 일본군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사왕 해변 근처에
2. 5. 필리핀 독립 이후
마닐라 조약을 통해 필리핀 공화국은 1946년 7월 4일에 독립 주권 국가가 되었다.[10] 1960년 나가소 섬의 바리오는 코브라더로 개명되었고, 1975년 포블라시온의 도시 바랑가이는 바랑가이 1, 2, 3, 4로 단순하게 명명되어 네 개의 별도 바랑가이로 분할되었다.[10]3. 지리
롬블론 섬은 알라드 섬, 코브라도르 섬, 로그본 섬 등 주변의 작은 섬들과 함께 롬블론 지방 자치체를 구성하며, 각 섬은 자체 바랑가이를 가지고 있다. 롬블론 만은 악천후 시 선박의 안전한 피난처 역할을 하는 자연 항구이다. 롬블론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사블라얀 바랑가이에 있는 라그팅 산으로 높이는 444m이다.
3. 1. 행정 구역
롬블론은 31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바랑가이는 푸록으로, 일부 바랑가이는 시티오로 구성되어 있다.바랑가이 |
---|
아그발루토 |
아그파나바트 |
아그부디아 |
아그나가 |
아그나이 |
아그니파 |
아그통고 |
알라드 (섬 바랑가이) |
바가케이 |
카지모스 |
칼라보고 |
카팔란 |
기나블란 |
김피간 |
일라우란 |
라마오 |
리-오 |
로그본 (섬 바랑가이) |
루나스 |
로노스 |
마칼라스 |
마풀라 |
코브라 (나구소; 섬 바랑가이) |
팔제 |
바랑가이 I (포블라시온) |
바랑가이 II (포블라시온) |
바랑가이 III (포블라시온) |
바랑가이 IV (포블라시온) |
사블라얀 |
사왕 |
땀박 |
3. 2. 기후
롬블론은 1920년에 고안된 코로나 기후 분류 시스템의 III형에 속하며, 뚜렷한 건기와 우기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31][32][12][13] 일반적으로 우기는 6월부터 11월까지이며, 때로는 남서 몬순(하바갓)의 영향으로 12월까지 연장되기도 한다. 건기는 1월부터 5월까지이지만, 때로는 불규칙한 강우로 인해 중단되기도 한다.PAGASA에 따르면 롬블론의 연평균 기온은 27.8°C (1981~2010년 평균) 또는 27.4°C(1991–2020년 평균)이다.[31][32][12][13] 2월은 최저 기온이 20°C까지 떨어지는 가장 추운 달이고, 5월은 최고 기온이 35°C까지 올라가는 가장 따뜻한 달이다. 하바갓(Habagat)은 6월부터 10월까지 롬블론 주를 통과하고, 아미한(Amihan)은 12월부터 2월까지 섬 전체에 분다.[31][32][12][13]
다음은 1981~2010년 및 1991~2020년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한 롬블론의 기후 데이터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8.4 | 29.1 | 30.4 | 32.0 | 32.6 | 31.7 | 30.8 | 30.5 | 30.6 | 30.3 | 29.7 | 28.5 | 30.4 |
평균 최저 기온 (°C) | 24.0 | 24.2 | 24.9 | 26.0 | 26.3 | 25.8 | 25.4 | 25.5 | 25.3 | 25.2 | 25.2 | 24.4 | 25.2 |
평균 강수량 (mm) | 99.2 | 63.4 | 59.7 | 68.2 | 147.3 | 233.1 | 260.5 | 210.3 | 259.9 | 320.3 | 270.1 | 211.8 | 2203.9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3 | 8 | 8 | 7 | 10 | 16 | 18 | 16 | 17 | 19 | 18 | 17 | 167 |
평균 최고 기온 (°C) (1991–2020) | 27.6 | 28.4 | 29.5 | 31.3 | 31.9 | 31.1 | 30.1 | 30.0 | 30.1 | 29.7 | 29.2 | 28.0 | 29.7 |
평균 최저 기온 (°C) (1991–2020) | 23.8 | 23.9 | 24.6 | 25.7 | 26.3 | 25.8 | 25.3 | 25.4 | 25.3 | 25.1 | 25.1 | 24.5 | 25.1 |
평균 강수량 (mm) (1991–2020) | 120.9 | 89.9 | 85.3 | 69.7 | 157.5 | 242.9 | 307.3 | 221.4 | 244.6 | 304.9 | 258.5 | 275.6 | 2378.5 |
평균 강수일수 (≥ 1 mm) (1991–2020) | 12 | 9 | 8 | 6 | 9 | 14 | 17 | 15 | 14 | 17 | 17 | 17 | 155 |
4. 인구
롬블론 주민의 대부분은 롬블로마논족이며, 이들은 비사야족에 속한다. 롬블로마논어(이니)를 사용하며, 아시 어와 온한 어도 사용된다.[1] 2015년 기준 롬블론의 인구는 38,758명이었다.[1]
롬블론의 인구 조사는 필리핀 통계청에서 실시하며, 다음은 롬블론의 인구 조사 결과이다.
연도 | 인구 |
---|---|
1903 | |
1918 | |
1939 | |
1948 | |
1960 | |
1970 | |
1975 | |
1980 | |
1990 | |
1995 | |
2000 | |
2007 | |
2010 | |
2015 | |
2020 |
5. 경제
롬블론의 경제는 대리석 산업, 관광 산업, 어업, 코코넛 농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다.[14] 특히 롬블론 대리석은 고품질로 유명하며, 필리핀에서 불라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대리석 생산지이다.[14] 광업 및 지구과학국은 롬블론에 약 1억 5천만 톤의 대리석이 매장되어 있다고 추정했으며, 현재 채굴 속도로는 3세기 더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14]
대리석 채석 및 가공은 롬블론의 주요 산업 활동이다. 롬블론 대리석은 흰색, 녹색, 분홍색, 빨간색, 검은색 등 다양한 색상을 띠며, 기념품(선물, 재떨이, 테이블 바), 가구(식탁, 세례대), 건축 자재(타일, 난간, 대리석 조각) 등으로 가공된다.[14]
롬블론의 빈곤율은 필리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33]
연도 | 2006 | 2009 | 2012 | 2015 | 2018 | 2021 |
---|---|---|---|---|---|---|
빈곤율 (%) | 66.9 | 53.4 | 44.7 | 34.5 | 22.0 | 15.1 |
2006년부터 2021년까지 롬블론의 빈곤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롬블론 지방 정부의 경제 개발 정책과 사회 복지 정책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6. 정치
롬블론은 롬블론주의 주도로, 주 정부 청사가 위치해 있다. 롬블론 시 정부는 시장, 부시장, 시의회 의원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두 3년 임기로 선출되고 3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현 시장은 제라드 몬토조이며 부시장은 마리아노 "아노이" 마테오이다.[25]
2018년 3월 25일, 샌디간바얀은 롬블론 시장 마리아노 마테오, 전 시장 레오 메리다 및 기타 전직 지방 공무원 8명에게 중장비 비정상 조달 혐의로 10년 징역형을 선고한 판결을 확정했다. 이 사건은 2005년 11월 시 정부가 공개 입찰 없이 13950000KRW 상당의 백호를 구매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당시 메리다는 시장, 마테오는 시의원이었다.
바랑가이는 선출된 공무원이 이끌며, 바랑가이 캡틴과 바랑가이 의원으로 구성된 바랑가이 평의회가 있다. 또한 바랑가이에는 SK 의장이 이끄는 SK 연맹이 있고, 그 구성원을 SK 의원이라고 한다. 이들 모두 3년마다 선출된다.
6. 1. 역대 시장 및 부시장
7. 관광
롬블론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역사 유적, 독특한 문화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롬블론의 수도에는 성 요셉 대성당과 종탑, 푸엔테 데 벨렌, 구 시청 건물, 주교 궁전(빌라 델 마르), 탈리파삭 비치 리조트, 티암반 비치, 산 안드레스 요새와 산티아고 요새, 마블 비치 리조트, 본본 비치, 심바한 동굴, 코브라도르 비치, 롬블론 항구, 부에나 수에르테 리조트, 대리석 채석장 및 공장 등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7. 1. 주요 관광 명소
성 요셉 대성당은 1640년에서 1726년 사이에 지역 장인들이 산호 블록과 벽돌을 사용하여 재수도회 신부들을 위해 건설한, 롬블론에서 가장 오래된 로마 가톨릭 교회 중 하나이다.[17] 에두아르도 아수에로가 1864년에 건설한 푸엔테 데 벨렌은 시청 건너편에 위치한 분수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롬블론의 담수원이었다. 분수 꼭대기에는 성모 마리아상이 있다. 구 시청 건물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산호 석회암으로 지어졌으며, 지역 시민 경비대의 본부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건물의 오래된 건축 양식을 유지하면서 정부 사무실과 시립 감옥으로 사용되고 있다.[23]바라게이 로노스에 있는 주교 궁전(빌라 델 마르)은 롬블론 주교의 공식 거주지이다. 롬블론의 초대 주교인 몬시뇰 니콜라스 몬데자르가 점토 벽돌로 건설했다. 바라게이 기나블란에 있는 탈리파삭 비치 리조트(마을에서 13km)에서는 수영, 스노클링, 해변 탐험, 섬 투어 등의 활동을 즐길 수 있다. 티암반 비치는 시가지에서 약 5km 떨어진 바라게이 로노스에 있는 약 250m 길이의 고운 백사장 해변이다.
1644년에서 1573년 사이에 산호 블록과 벽돌로 지어진 쌍둥이 스페인 요새인 산 안드레스 요새와 산티아고 요새는 해발 156피트 높이에서 마을 전체와 항구를 조망할 수 있으며, 무슬림 약탈자와 네덜란드 해적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는 요새 역할을 했다. 이 외에도 마블 비치 리조트, 본본 비치, 심바한 동굴, 코브라도르 비치, 롬블론 항구, 부에나 수에르테 리조트, 대리석 채석장 및 공장 등이 롬블론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
8. 교통
롬블론 항구는 롬블론섬과 주변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 허브이며, 롬블론섬의 교통을 담당한다.
참조
[1]
문서
DILG detail
[2]
웹사이트
Romblon
http://pia.gov.ph/pr[...]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7-06-23
[3]
문서
"History of Carmen including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North-eastern Barangays of the Municipality of San Agustin, Romblon."
Romblon Municipal Library
[4]
웹사이트
Romblon: Population Expected to Double in 41 Years
https://psa.gov.ph/c[...]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7-06-23
[5]
서적
Census of the Philippine Islands Taken Under the Direction of the Philippine Legislature in the Year 1918
https://books.google[...]
Bureau of printing
[6]
웹사이트
Fort San Andres
https://www.tripadvi[...]
2020-05-14
[6]
웹사이트
The Ruins of Fort Santiago, Romblon Island
http://www.theloneri[...]
2020-05-14
[7]
웹사이트
History of Romblon
https://romblomanon.[...]
2024-03-03
[8]
서적
Merriam-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9]
웹사이트
Japanese occupation era in Romblon
https://romblonparad[...]
[10]
웹사이트
LOUIE T. CUETO: History of MIMAROPA Provinces
http://piamimaropa.b[...]
2009-02-12
[11]
뉴스
Sandiganbayan affirms Romblon mayor's conviction
https://www.philstar[...]
[12]
웹사이트
Romblon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13]
웹사이트
Romblon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pubfiles.pag[...]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14]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뉴스
Romblon inaugurates new FIFA-standard football field
https://romblonnews.[...]
2024-08-02
[23]
웹사이트
National Museum News
http://www.nationalm[...]
National Museum
2014-05-31
[24]
웹사이트
An act providing for a local government code of 1991
http://www.lawphil.n[...]
8th Congress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2014-04-21
[25]
웹사이트
2022 ELECTION RESULTS: Romblon, Romblon
https://ph.rappler.c[...]
[26]
웹사이트
2013 Election Results: Romblon, Romblon - Comelec Live Data - Philippine National and Local Elections - Updated Real Time
http://election-resu[...]
[27]
웹사이트
Open Data Philippines
https://data.gov.ph/[...]
Data.gov.ph
2022-08-21
[28]
웹사이트
Open Data Philippines
https://data.gov.ph/[...]
Data.gov.ph
2022-08-21
[29]
웹사이트
romblon - romblon - City/Municipality Results - Eleksyon2016 - Results -
https://www.gmanetwo[...]
[30]
웹사이트
Halalan 2019 Philippine Election Results
https://halalanresul[...]
[31]
웹인용
Romblon Climatological Normal Valu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32]
웹인용
Romblon Climatological Extremes
https://data.gov.ph/[...]
Philippine Atmospheric, Geophysical and Astronomical Services Administration
2018-10-18
[33]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34]
문서
[35]
문서
[36]
간행물
2006
[37]
간행물
2012
[38]
간행물
2015
[39]
간행물
2018
[40]
간행물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