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나는 로마 신화에서 달을 의인화한 여신이다. 농업의 신으로 숭배되었으며, 솔(태양)과 함께 세상의 빛을 밝히는 존재로 여겨졌다. 아벤티노 언덕에 루나 신전이 세워졌으나, 여러 차례 파괴되었다. 루나는 종종 두 마리의 말이 끄는 전차(비가)를 운전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유노, 디아나와 연관되어 출산과 관련된 여신으로도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의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달의 여신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로마 여신 - 유스티티아
유스티티아는 로마 신화의 정의의 여신으로, 권위(칼), 공정성(저울), 객관성(눈가리개)을 상징하며 법과 정의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로마 여신 - 팍스 (신화)
팍스는 로마 신화에서 평화의 여신으로,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로마 제국의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며, 농업의 풍요, 가정의 화합, 제국의 안정과 번영 등을 구현했지만 기독교 확산과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쇠퇴하며 로마 제국의 권력과 유지를 상징하는 존재로 이해된다.
루나 (신화) | |
---|---|
개요 | |
![]() | |
종류 | 로마 신화 |
숭배 대상 | 달 |
행성 | 달 |
상징 | 전차, 초승달 |
부모 | |
형제자매 | 솔, 오로라 |
그리스 신화 | |
그리스어 | 셀레네 |
인도-유럽 신화 | 메흐₁노트 |
장소 | |
신전 | 아벤티노 언덕, 팔라티노 언덕 |
요일 | 월요일 (dies Lunae) |
2. 로마 신화에서의 루나
(내용 없음)
2. 1. 루나 숭배와 신전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루나를 농업에 필수적인 열두 신 중 하나로 언급했으며,[8] 베르길리우스 또한 다른 열두 신 목록에서 루나와 솔(Sol)을 세상에서 가장 밝은 빛의 근원인 clarissima mundi lumina|클라리시마 문디 루미나la로 언급했다.[9] 바로는 또한 루나를 로마의 주요 신 20인(''di selecti'') 중 하나로 꼽았다.[10] 이 목록에서 루나는 디아나와 유노와 구별되는데, 이들 역시 목록에 등장한다.
로마인들은 루나 여신에 대한 숭배를 반(半)전설적인 왕정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보았다. 티투스 타티우스는 루나 숭배를 사비니족으로부터 로마로 들여온 것으로 여겨졌지만,[11]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아벤티노 언덕에 디아나 신전 바로 아래에 루나 신전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12] 신전 건립 기념일(dies natalis|디에스 나탈리스la)은 매년 3월 31일에 기념되었다.[13] 이 신전은 기원전 182년에 강력한 폭풍이 불어 문이 날아가 아래 경사면에 있는 케레스 신전에 부딪혔다는 이야기에서 처음 언급되었다.[14] 기원전 84년, 이 신전은 번개에 맞아 파괴되었는데, 이 날 포풀라레스 지도자 친나가 그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15] 아벤티노 신전은 네로 황제 통치 시기에 발생한 로마 대화재로 파괴되었을 수 있다.[16]
Noctiluca|녹틸루카la("밤의 빛나는 자")로서 루나는 팔라티노 언덕에 신전을 가지고 있었는데, 바로는 이 신전이 밤에 빛나거나 빛났다고 묘사했다. 이 신전에 대해서는 다른 정보가 없으며, 바로가 무엇을 의미했는지 불분명하다.[17]
2. 2. 유노와의 관계
매달 초하루인 칼렌데는 음력에 따라 초승달이 뜨는 날이었으므로 유노에게 신성하게 바쳐졌다.[18] 노네스에는 초승달의 유노인 유노 코벨라로 숭배받았다.[19] 유노와 디아나는 모두 루키나라는 별칭으로 출산 여신으로 불렸다.[20]2. 3. 루나의 전차
루나는 종종 말이나 황소가 끄는, '비가'라고 불리는 두 마리 멍에가 있는 전차를 운전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로마 미술에서 전차를 모는 루나는 네 마리 말을 끄는 전차('콰드리가')를 운전하는 태양과 함께 자주 짝을 이룬다.세비야의 이시도르는 '콰드리가'가 네 계절을 통한 태양의 운행을 나타내고, '비가'는 달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그는 "달은 태양과 함께 쌍둥이 코스를 따라 이동하거나, 낮과 밤 모두에 보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검은 말 한 마리와 흰 말 한 마리를 함께 묶는다."라고 덧붙였다.[21]
루나가 '비가'를 타고 있는 모습은 일반적으로 타우로크토니의 맥락에서 미트라교 도상학의 한 요소였다. 산타 마리아 카푸아 베테레의 미트라교 사원에 있는 루나 벽화는 팀의 말 중 하나를 밝은 색으로, 다른 하나를 어두운 갈색으로 묘사한다.[22]
황소가 끄는 '비가'는 때때로 헤카테가 몰기도 했다. 헤카테는 '뿔 달린' 또는 초승달 관을 쓴 디아나와 루나를 보완하는 삼중 여신의 지하 세계적 측면으로 여겨졌다.[23] 세르비우스는 세 가지 모습의 헤카테('트리모르포스')를 루나, 디아나, 프로세르피나와 동일시했다.[24] 고대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헤카테는 원래 후대의 전통(하늘, 땅, 지하 세계)과는 달리 하늘, 땅, 바다를 지배하는 힘을 가졌다고 한다.[25]
3. 루나의 묘사
참조
[1]
서적
The History and Practice of Ancient Astronom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
서적
Roman Religion and the Cult of Diana at Aric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
문서
Carmen Saeculare
[4]
문서
Ad nationes
[5]
서적
Religion of the Romans
[6]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Blackwell
2007
[7]
서적
A Companion to Roman Religion
[8]
문서
De re rustica
[9]
문서
Georgics
[10]
문서
De Civitate Dei
[11]
문서
De lingua latina
[12]
서적
A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13]
문서
Fasti
[14]
문서
Livy
[15]
문서
Bellum Civile
[16]
문서
Annales
[17]
문서
De lingua latina
[18]
서적
Roman Religion and the Cult of Diana
[19]
문서
De lingua latina
[20]
서적
Roman Religion and the Cult of Diana
[21]
서적
The Etymologies of Isidore of Seville
https://books.google[...]
2006
[22]
서적
Mithraica I: The Mithraeum at S. Maria Capua Vetere
Brill
1971
[23]
문서
Contra Symmachum
[24]
문서
Aeneid
[25]
문서
Theogony
[26]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1960
[27]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事典
大修館書店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