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아나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달, 출산의 여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아르테미스와 동일시된다. 어원은 '신성한'을 의미하는 라틴어 'dīus'에서 유래되었으며, 숲과 사냥의 여신, 삼중 여신, 교차로와 지하 세계의 여신, 출산의 여신 등 다양한 특징을 지닌다. 디아나는 초기에는 라틴 부족에게 공통적인 여신이었으며, 네미 호수 근처의 성소가 주요 숭배지였다. 로마로 숭배가 확산되면서 아르테미스와 결합되었고, 아벤티노 언덕에 신전이 세워졌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예술 작품의 주요 소재가 되었으며, 현대에도 위카, 스트레게리아 등 다양한 종교 및 문화적 형태로 숭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의 여신 - 아르테미스
아르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사냥, 야생, 순결, 달, 출산의 여신이며, 아폴론의 쌍둥이 자매로 님프들과 함께 사냥을 즐겼고, 고대 그리스 전역에서 숭배되었으며, 예술 작품에서는 사냥개, 사슴, 활과 화살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개의 여신 - 헤카테
헤카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땅, 바다, 하늘에서 권능을 부여받았으며, 경계, 교차로, 마법 등과 관련되어 횃불, 열쇠 등을 상징하고 문학 작품과 현대 신이교주의에서도 나타난다. - 아르테미스 - 포트니아 테론
포트니아 테론은 고대 그리스에서 숭배받던 "동물들의 여주인"이라는 의미의 여신으로, 자연과 동물을 보호하고 다스리며 풍요와 권위를 상징한다. - 아르테미스 - 타르젤리아
타르젤리아는 위키백과에 등재되지 않은 항목으로, 현재 도입부가 작성되지 않았다. - 디아나 - 미녀와 야수 (1946년 영화)
장 콕토가 감독하고 조세트 데이와 장 마레가 출연한 1946년 프랑스 영화 《미녀와 야수》는 잔 마리 르 프랭스 드 보몽의 동화를 각색하여 아버지의 빚을 갚기 위해 야수의 성에 들어간 벨의 이야기를 몽환적인 분위기와 독창적인 영상미로 그려낸 작품이다. - 디아나 - 황금가지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의 《황금가지》는 전 세계 신화, 마술, 종교 의례를 비교 분석하여 인류 사고방식의 진화를 주장하고 신성왕, 희생양, 금기, 주술 등의 주제를 탐구한 저서로, 종교 비교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나 비판 또한 존재한다.
디아나 | |
---|---|
기본 정보 | |
![]() | |
역할 | 사냥, 야생 동물, 다산, 달의 여신 |
소속 | 디이 콘센테스 |
상징 | 활과 화살통, 사슴, 사냥개, 초승달 |
배우자 | 루치페르 (스트레게리아) |
가계 | |
부모 | 유피테르, 라토나 |
형제자매 | 아폴로 |
숭배 | |
신전 | 네미 호수의 신전, 디아나 신전 (로마) |
축제 | 네모랄리아 |
그리스 신화 대응 | |
해당 신 | 아르테미스, 헤카테 |
2. 어원
이름 ''디아나''는 라틴어 디우스/dīusla('신성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궁극적으로는 원시 이탈리아어 ''*dīwī''에서 유래하여 '신성한, 천상의'를 의미한다.[5] 이는 원시 인도유럽어 ''*diwyós''('신성한, 천상의')에서 유래되었으며, 어간 디에우-/*dyew-el('햇빛 하늘')에 테마 접미사 -''yós''가 붙어서 형성되었다. 동족어는 미케네 그리스어 ''di-wi-ja'', 고대 그리스어 ''디오스/δῖοςgrc'' ('하늘에 속한, 신과 같은'), 산스크리트어 디브야/divyása('천상의' 또는 '하늘의')에 나타난다.
고대 라틴 작가 바로는과 키케로는 디아나의 어원을 ''dies''의 어원과 연관시키고 달의 빛과 연결하여, 그녀의 칭호 중 하나가 디아나 루시페라("빛을 가져오는 자")임을 언급했다.[6]
3. 특징
3. 1. 숲과 사냥의 여신
디아나의 페르소나는 복잡하며, 여러 고대적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디아나는 원래 로마와 그리스 문화 모두에서 중심적인 스포츠였던 사냥의 여신이자, 황야의 여신으로 여겨졌다.[63] 초기 로마 비문은 디아나를 주로 사냥꾼과 사냥꾼의 수호신으로 찬양했다. 이후 헬레니즘 시대에 디아나는 야생 삼림이 아닌 "길들여진" 시골, 즉, ''빌라 루스티카''의 여신으로 동등하거나 더 존경받게 되었는데, 이것의 이상화는 그리스 사상과 시에서 흔했다. 문명과 야생, 그리고 따라서 문명화된 시골의 여신으로서의 이러한 이중적 역할은 처음에는 그리스 여신 아르테미스에게 적용되었다.[65]
3세기경, 그리스의 영향이 로마 종교에 심오한 영향을 미친 후, 디아나는 아르테미스와 거의 완전히 결합되어 그녀의 영적인 영역과 외모 묘사 모두에서 많은 속성을 갖게 되었다. 로마 시인 네메시안누스는 디아나에 대한 전형적인 묘사를 썼다. 그녀는 활과 금빛 화살이 가득한 화살통을 들고, 금색 망토, 보라색 반 부츠를 입고, 보석 버클이 달린 허리띠로 튜닉을 고정하고, 머리카락을 리본으로 묶었다.[63] 5세기경, 그녀의 숭배가 로마에 들어온 지 거의 천 년이 지난 후, 철학자 프로클루스는 여전히 디아나를 "모든 시골의 감시자[이며] 모든 시골적이고 미개한 것을 억제하는" 인물로 묘사할 수 있었다.[74]
3. 2. 삼중 여신
디아나는 종종 삼위일체 여신의 한 측면으로 여겨졌으며, '디아나 트리포르미스(Diana triformis)'로 알려졌다. 디아나, 루나, 헤카테가 그 예시이다. 역사가 C.M. 그린에 따르면, "이들은 서로 다른 여신도 아니고 서로 다른 여신의 조합도 아니었다. 그들은 디아나였다... 사냥꾼으로서의 디아나, 달로서의 디아나, 지하 세계의 디아나"였다.[4] 네미 호숫가에 있는 그녀의 성스러운 숲에서 디아나는 기원전 6세기 후반부터 삼위일체 여신으로 숭배받았다.
기원전 1세기 ''데나리우스''(RRC 486/1)의 두 가지 예시이다.
안드레아스 알폴디는 후기 공화정 시대의 동전에 있는 이미지를 라틴 디아나로 해석했는데, "신성한 사냥꾼, 달의 여신, 그리고 지하 세계의 여신, 헤카테의 삼중적 통일체로 인식했다"는 것이다.[8] 기원전 43년에 P. 아콜레이우스 라리스콜루스가 주조한 이 동전은 디아나 네모렌시스의 고대 조각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정받았다.[9] 이 동전은 한쪽 끝에 활을 든 아르테미스, 다른 쪽에 꽃을 든 루나-셀레네, 그리고 즉시 식별할 수 없는 중앙 신이 수평 막대로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상학적 분석에 따르면 이 이미지는 에트루리아 모델이 있던 기원전 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동전은 삼위일체 여신 숭배상이 기원전 43년에 네미의 ''루쿠스''(성스러운 숲)에 여전히 서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네미 호수는 베르길리우스(''아이네이스'' 7.516)에 의해 '트리비아에 라쿠스'라고 불렸고, 호라티우스는 디아나를 'montium custos nemoremque virgo'(산의 수호자이자 네미의 처녀)와 'diva triformis'(삼중 형상의 여신)라고 불렀다.[10]
성소에서 발견된 두 개의 머리 조각[11]과 네미의 로마 극장에서는 뒷면에 구멍이 있어 고대 삼중 디아나에 대한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한다.[12]
3. 3. 교차로와 지하 세계의 여신
디아나의 초기 별칭은 ''트리비아''(Trivia)였으며, 베르길리우스[13], 카툴루스[14] 등 많은 이들이 이 칭호로 불렀다. "트리비아"는 라틴어 ''trivium''에서 유래되었으며, "세 갈래 길"을 의미하며, 디아나가 특히 Y자형 교차로 또는 삼거리와 같은 길을 관장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 역할은 다소 어둡고 위험한 함의를 지니고 있었는데, 이는 비유적으로 저승으로 가는 길을 가리켰기 때문이다.[4] 서기 1세기 연극인 메데이아에서 세네카의 주인공인 마법사 메데이아는 마법을 걸기 위해 트리비아에게 호소한다. 그녀는 디아나, 셀레네, 헤카테의 삼중 여신을 불러내며, 특히 헤카테의 힘이 필요하다고 명시한다.[4] 1세기 시인 호라티우스 역시 디아나와 프로세르피나의 힘을 부르는 마법의 주문에 대해 썼다.[15] 교차로는 디아나 영역의 여러 측면과 관련이 있다. 이는 보름달 빛 아래서만 비춰지는 숲 속에서 사냥꾼들이 마주칠 수 있는 길을 상징할 수 있다. 이것은 지침의 빛 없이 "어둠 속에서" 선택을 하는 것을 상징한다.[4]
저승의 여신, 또는 적어도 삶과 죽음 사이의 사람들을 인도하는 디아나의 역할은 그녀가 초기에 헤카테(그리고 때때로 프로세르피나)와 동일시되게 했다. 그러나 그녀의 저승 여신으로서의 역할은 강력한 그리스의 영향 이전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보인다(비록 초기 그리스 식민지인 쿠마에는 헤카테를 숭배했고, 라틴인들과 접촉이 있었지만[16]). 네미 호수에 있는 그녀의 성소에 있는 극장은 무대 한쪽에서 배우들이 쉽게 내려가 다른 쪽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구덩이와 터널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는 달의 위상과 달의 여신이 저승으로 내려가는 것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4] 그녀의 원래 라틴 숭배에서 저승적 측면은 달의 측면인 루나와 같은 뚜렷한 이름을 가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초기 라틴인들이 저승 신들의 이름을 짓는 것을 꺼리거나 금기시한 것과, 그들이 저승이 침묵한다고 믿어 이름을 붙일 수 없었던 사실 때문이다. 그리스의 영향을 받아 지구와 저승의 경계와 관련된 그리스 여신인 헤카테는 그녀의 저승적 측면의 이름으로 디아나에 결합되었다.[4]
3. 4. 출산의 여신
디아나는 종종 다산과 출산, 그리고 출산 중인 여성 보호와 관련된 여신으로 여겨졌다. 이는 아마도 월경 주기에 비유되는 달의 주기와 연관된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임신 기간 동안 달의 주기는 월경 주기를 추적하는 데 사용되었다.[4] 아리키아에 있는 그녀의 신전에서 숭배자들은 아기나 자궁 모양의 테라코타 제물을 여신에게 바쳤으며, 그곳 사원에서는 강아지와 임신한 개들을 돌보기도 했다. 이러한 유아 보호는 사냥을 위해 젊은이와 개를 훈련시키는 것으로 확장되기도 했다.[4] 출산 보호자로서의 역할에서 디아나는 '디아나 루키나', '디아나 루치페라' 또는 심지어 '유노 루키나'라고 불렸는데, 이는 그녀의 영역이 여신 유노의 영역과 중복되었기 때문이다. 유노의 칭호는 디아나에게 적용될 때 "조력자"라는 문자적 의미를 지니며 독립적인 기원을 가졌을 수도 있는데, 디아나를 '유노 루키나'라고 부르는 것은 "출산의 조력자"라는 뜻이 된다.[4]
3. 5. 틀의 신 (Frame God)
조르주 뒤메질이 제안한 이론에 따르면, 디아나는 종교사에서 "프레임 신"이라고 불리는 특정 종류의 천상의 신에 속한다.[17] 이러한 신들은 천상의 신의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dei otiosi''가 되는 운명을 공유하지 않았다.[18] 디아나의 천상의 성격은 접근 불가능성, 처녀성, 빛과의 관련성, 그리고 높은 산과 신성한 숲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에서 나타난다. 디아나는 주권, 최고 권위, 불가침성, 그리고 필멸자나 국가의 운명과 같은 세속적인 문제에 대한 무관심 면에서 천상의 세계를 반영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녀는 왕의 계승을 보장하고 출산을 보호함으로써 인류를 보존하는 데 적극적인 것으로 여겨진다.[19]
디아나가 통치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은 리비우스가 전하는 이야기에 의해 증명되는데, 사비니 출신의 한 남자가 디아나에게 암소를 제물로 바쳐 로마 제국의 자리를 그의 조국에 얻어주었다고 한다.[21] 디아나는 임신을 원하는 여성이나, 임신 후 순산을 기원하는 여성에게도 숭배받았다.[20]
뒤메질에 따르면, 모든 ''프레임 신''의 선구자는 인도 서사시의 영웅이다. 그는 아버지와 왕의 역할에서 세상을 버리고 불멸의 존재가 되었으며, 그의 왕조가 보존되고 각 세대마다 새로운 왕이 있도록 보장하는 의무를 유지했다. 디아나는 여성 신이지만, 출산과 왕위 계승을 통해 인류를 보존하는 정확히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F. H. 페이로트는 디아나에 관한 에세이에서 뒤메질의 이론을 "''검증 불가능''"하다고 평가했다.
4. 신화
그리스 신화와 달리 로마 신들은 원래 누멘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반드시 물리적 형태를 갖지 않는 신성한 힘과 의지를 의미했다. 로마가 건국될 당시, 디아나와 다른 주요 로마 신들은 그 자체로 신화가 많지 않았거나,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지 않았을 것이다. 신들이 의인화된 특성과 인간과 같은 성격과 행동을 가졌다는 생각은 그리스와 에트루리아 종교의 영향을 받아 나중에 발전했다.[22]
기원전 3세기에 시인 엔니우스는 디아나를 로마 판테온의 12명의 주요 신들 중 하나로 언급했다. 비록 카피톨리누스 삼주신이 로마의 주요 국가 신이었지만, 초기 로마 신화는 그리스 신화처럼 신들에게 엄격한 위계를 부여하지 않았는데, 그리스의 위계는 결국 로마 종교에도 채택되었다.[22]
그리스의 영향으로 디아나가 그리스 여신 아르테미스와 동일하게 여겨지면서, 디아나는 아르테미스의 외모, 속성, 그리고 신화의 변형을 얻게 되었다. 아르테미스와 마찬가지로 디아나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키톤을 입고, 사냥 시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콜포스 스타일로 짧게 줄였으며, 사냥용 활과 화살통을 갖추고, 사냥개와 함께 묘사된다. 기원전 1세기의 로마 주화(위 참조)는 그녀를 독특하고 짧은 헤어스타일, 그리고 세 개의 형태로 묘사했는데, 한 형태는 활을 들고 있고 다른 형태는 양귀비를 들고 있었다.[4]
고대부터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디아나 숭배 전통, 속성, 신화, 그리고 다른 신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디아나의 본질을 탐구해왔다.
==== 가족 ====
로마에 아폴로 숭배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디아나는 초기 그리스 신화에서처럼 아폴로의 여동생 아르테미스와 동일시되었고, 따라서 아폴로의 부모 라토나와 유피테르의 딸로 여겨졌다.[23] 디아나는 아르테미스처럼 처녀 여신으로 여겨졌지만, 후대의 작가들은 때때로 그녀에게 배우자와 자녀를 부여했다. 키케로와 엔니우스에 따르면, 트리비아(디아나의 별칭)와 카엘루스는 야누스 그리고 사투르누스와 옵스의 부모였다.[23]
마크로비우스는 (니기디우스 피굴루스와 키케로를 인용하며) 야누스와 야나(디아나)가 태양과 달로 숭배받는 한 쌍의 신이라고 말했다. 야누스는 모든 다른 신들보다 먼저 제물을 받았는데, 그를 통해 원하는 신에게 접근하는 길이 분명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24]
==== 악타이온 신화 ====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가르가피에의 숲이 우거진 계곡에 있는 웅덩이(혹은 동굴)에서 숲의 여신 디아나는 사냥 후 목욕하고 휴식을 취하곤 했다.[4] 젊은 사냥꾼 악타이온은 우연히 그 동굴을 발견하고, 초대받지 않은 상태에서 목욕하는 디아나를 보게 되었다.[4] 디아나는 웅덩이 물을 악타이온에게 뿌리며 저주를 내렸고, 그는 사슴으로 변했다. 결국 악타이온은 자신의 사냥개들에게 냄새를 맡고 물어뜯겨 죽임을 당했다.[4]
오비디우스의 악타이온 신화 버전은 대부분의 이전 자료와 다르다. 아르테미스에 관한 이전 신화와 달리, 악타이온은 디아나가 목욕하는 것을 엿본 무고한 실수로 인해 죽임을 당한다. 이 신화의 이전 변형인 팔라스의 목욕은 사냥꾼이 고의적으로 목욕하는 여신 팔라스(아테나)를 훔쳐보는 내용을 담고 있었고, 아르테미스와 관련된 신화의 이전 버전은 목욕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었다.[25]
4. 1. 가족
로마에 아폴로 숭배가 처음 도입되었을 때, 디아나는 초기 그리스 신화에서처럼 아폴로의 여동생 아르테미스와 동일시되었고, 따라서 아폴로의 부모 라토나와 유피테르의 딸로 여겨졌다.[23] 디아나는 아르테미스처럼 처녀 여신으로 여겨졌지만, 후대의 작가들은 때때로 그녀에게 배우자와 자녀를 부여했다. 키케로와 엔니우스에 따르면, 트리비아(디아나의 별칭)와 카엘루스는 야누스 그리고 사투르누스와 옵스의 부모였다.[23]마크로비우스는 (니기디우스 피굴루스와 키케로를 인용하며) 야누스와 야나(디아나)가 태양과 달로 숭배받는 한 쌍의 신이라고 말했다. 야누스는 모든 다른 신들보다 먼저 제물을 받았는데, 그를 통해 원하는 신에게 접근하는 길이 분명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24]
4. 2. 악타이온 신화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따르면, 가르가피에의 숲이 우거진 계곡에 있는 웅덩이(혹은 동굴)에서 숲의 여신 디아나는 사냥 후 목욕하고 휴식을 취하곤 했다.[4] 젊은 사냥꾼 악타이온은 우연히 그 동굴을 발견하고, 초대받지 않은 상태에서 목욕하는 디아나를 보게 되었다.[4] 디아나는 웅덩이 물을 악타이온에게 뿌리며 저주를 내렸고, 그는 사슴으로 변했다. 결국 악타이온은 자신의 사냥개들에게 냄새를 맡고 물어뜯겨 죽임을 당했다.[4]오비디우스의 악타이온 신화 버전은 대부분의 이전 자료와 다르다. 아르테미스에 관한 이전 신화와 달리, 악타이온은 디아나가 목욕하는 것을 엿본 무고한 실수로 인해 죽임을 당한다. 이 신화의 이전 변형인 팔라스의 목욕은 사냥꾼이 고의적으로 목욕하는 여신 팔라스(아테나)를 훔쳐보는 내용을 담고 있었고, 아르테미스와 관련된 신화의 이전 버전은 목욕에 대한 내용이 전혀 없었다.[25]
5. 숭배
고대부터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디아나 숭배 전통, 속성, 신화, 그리고 다른 신들과의 동일시를 통해 디아나의 본질을 탐구해왔다.
==== 고대 로마 시대의 숭배 ====
디아나는 모든 라틴 부족에게 공통적인 고대 여신이었다. 따라서 라틴족이 거주하는 땅에는 그녀를 위한 많은 성소가 헌정되었다. 그녀의 주요 성소는 "디아나의 거울"이라고도 알려진 네미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숲속 숲이었으며,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네모렌시스 또는 "숲의 디아나"로 숭배받았다. 로마에서 디아나 숭배는 도시 자체만큼이나 오래되었을 수 있다. 바로는 티투스 타티우스 왕이 신전을 짓겠다고 약속한 신들의 목록에서 그녀를 언급했다. 그의 목록에는 루나와 디아나 루키나가 별개의 존재로 포함되었다. 그녀의 숭배의 고대성에 대한 또 다른 증언은 근친상간 죄인을 디아나에게 '사크라티오'(sacratio)하는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왕의 ''렉스 레지아''(lex regi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왕이 헌정했다고 전해지는 아벤티노 언덕에 로마에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아벤티노 언덕의 위치는 디아나가 로마인만의 여신이 아니라 모든 라틴인에게 공통적인 여신이라는 전통을 준수하기 위해 도시의 원래 영토인 포메리움 밖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아벤티노 언덕에 위치하고, 따라서 ''포메리움'' 밖에 위치한다는 것은 디아나의 숭배가 본질적으로 디오니소스의 숭배와 마찬가지로 '외래' 숭배로 남아 있었음을 의미하며, 그녀는 베이의 약탈 이후 유노가 그랬던 것처럼 공식적으로 로마로 '옮겨지지' 않았다.
디아나를 위한 다른 알려진 성소와 신전으로는 투스쿨룸 근처의 콜레 디 코르네가 있으며,[26] 그곳에서 그녀는 고대 라틴 이름인 ''데바 코르니스카''(deva Cornisca)로 불리고, 숭배자들의 콜레기움이 존재했다.[27] 포르투갈의 에보라;[28] 투스쿨룸 근처의 알기두스 산;[29] 라비니움;[30] 그리고 티부르 (티볼리)가 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오피페라 네모렌시스''(Diana Opifera Nemorensis)로 불린다.[31] 디아나는 또한 리비우스가 언급한 신성한 숲에서 숭배받았는데,[32] – ''아드 콤피툼 아나그니눔''(Anagni 근처), 캄파니아의 티파타 산에서도 숭배받았다.[33]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남녀 모두 디아나의 숭배자였으며 그녀의 모든 신전에 환영받았다. 유일한 예외는 비쿠스 파트리시우스에 있는 신전이었는데, 남자는 전통 때문에 들어가지 않거나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플루타르코스는 이 신전에서 숭배하는 여성을 공격하려던 남자가 개 떼에게 살해된 전설을 언급했는데(디아나와 악타이온의 신화와 일치), 이로 인해 남자가 그 신전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미신이 생겨났다.[34]
서기 2세기까지 디아나의 거의 모든 신전과 성소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사슴 뿔을 걸어 놓는 것이었다. 플루타르코스는 예외가 하나 있는데,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신전으로, 그곳에는 황소 뿔이 걸려 있었다고 언급했다. 플루타르코스는 아벤티노 신전의 창건 당시 세르비우스 왕이 인상적인 사비니 황소를 희생한 것에 대한 전설을 언급하면서 이를 설명한다.[34]
==== 네미 호수의 성소 ====
디아나에 대한 숭배는 아리차 근처 알반 언덕에 있는 네미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야외 성소에서 시작되었을 수 있으며,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네모렌시스 (숲의 요정 디아나)로 숭배받았다.[35] 전설에 따르면, 성소는 오레스테스와 이피게네이아가 타우리에서 도망친 후 세워졌다. 이 전통에 따르면, 네미 성소는 초기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 신전의 양식으로 지어졌으며,[36] 네미의 첫 번째 숭배상은 타우리에서 훔쳐 오레스테스가 네미로 가져왔다고 한다.[63][58]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네미에서 디아나 숭배는 기원전 6세기부터[58] 서기 2세기까지 번성했다. 그녀의 컬트는 대 카토에 의해 라틴 문학에서 처음 증명되었으며, 이는 후기 문법학자 프리스키아누스가 인용한 것이다.[37] 기원전 4세기까지 네미의 단순한 신사에는 신전 단지가 추가되었다.[58] 이 성소는 라틴 동맹에 의해 공동으로 소유되었으므로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했다.[38][39]
네모랄리아라는 디아나 축제가 매년 8월 아이데스(8월 13-15일[40])에 네미에서 열렸다. 숭배자들은 횃불과 화환을 들고 네미로 여행했으며, 호수에 도착한 후에는 울타리에 묶인 실 조각과 기도문이 새겨진 태블릿을 남겼다.[41][42] 디아나 축제는 결국 이례적으로 디아나 컬트의 지방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이탈리아 전역에서 널리 기념되었다. 시인 스타티우스는 이 축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4]
:"하늘의 가장 뜨거운 지역이 땅을 차지하고, 하이페리온의 태양에 의해 자주 타격을 받은 날카로운 개별 시리우스가 숨을 헐떡이는 들판을 태우는 계절이다. 도망친 왕들에게 편리한 트리비아의 아리키아 숲이 연기가 자욱해지고, 히폴리토스의 죄를 알고 있는 호수가 많은 횃불의 반사로 빛나는 날이다. 디아나 자신은 가치 있는 사냥개에게 화환을 씌우고 화살촉을 광내고 야생 동물이 안전하게 다니도록 허락하며, 모든 이탈리아는 정숙한 난로에서 헤카테의 아이데스를 기념한다." (스타티우스 ''실비.'' 3.I.52–60)
스타티우스는 하늘(별), 땅(숲 자체) 및 저승(헤카테) 이미지를 불러일으켜 여신의 삼중적 성격을 묘사한다. 그는 또한 개에게 화환을 씌우고 창을 광내는 것으로 보아 축제 기간 동안 사냥이 허용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4]
전설에 따르면 네미의 디아나의 대사제는 렉스 네모렌시스로 알려졌으며, 항상 전임자를 결투에서 이겨야만 그 지위를 얻을 수 있는 도망친 노예였다.[35]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경은 스트라보 (5.3.12), 파우사니아스 (2,27.24) 및 세르비우스의 ''아이네이스''(6.136) 주석의 간략한 언급을 바탕으로 자신의 해석을 담아 이 신성한 숲에 대해 ''황금 가지''에 썼다. 전설은 숲의 중앙에 서서 심하게 경계되는 나무에 대해 이야기한다. 도망친 노예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 가지를 꺾을 수 없었고, 그 노예는 할 수 있다면 가지 하나를 꺾을 수 있었다. 그런 다음 그는 디아나의 현재 왕이자 사제인 렉스 네모렌시스와 죽도록 싸울 특권을 부여받았다. 노예가 승리하면 그는 도전을 이길 수 있는 한 다음 왕이 되었다. 그러나 조셉 폰텐로즈는 이러한 종류의 의식이 실제로 성소에서 발생했다는 프레이저의 추정을 비판했으며,[43] 역사적으로 ''렉스 네모렌시스''가 존재했음을 뒷받침하는 동시대 기록은 없다.[44]
==== 로마로의 확산과 아르테미스와의 융합 ====
로마는 네미 주변의 라틴 부족들을 통합하고 통제하려 했고,[38] 디아나 숭배는 정치적 연대의 표시로 로마로 수입되었다. 디아나는 곧 헬레니즘화되어 그리스 신화의 아르테미스와 결합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399년 로마의 첫 번째 ''렉티스테르니움''에서 아르테미스의 오빠인 아폴로 옆에 디아나가 나타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다."[45] 두 여신의 동일시 과정은 아마도 네미 외곽의 디아나 신전을 위해 새로운 종교 조각상을 제작하도록 의뢰받은 예술가들이 디아나와 더 친숙한 아르테미스의 유사한 속성에 감명을 받아 이전의 아르테미스 묘사에 영감을 받아 디아나를 조각하면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마실리아와의 시빌린의 영향력과 교역은 아르테미스의 유사한 숭배 조각상이 존재했고, 이 과정을 완료했을 것이다.[58]
프랑수아즈 헬렌 페롤트의 연구에 따르면,[46] 역사적 및 고고학적 증거는 아벤티노 언덕의 디아나와 네모렌시스의 디아나에게 주어진 특성이 기원전 6세기와 5세기경에 포케아인들이 쿠마에와 카푸아의 그리스 마을에 퍼뜨리고, 그들이 다시 에트루리아인과 라틴인에게 전달한 아르테미스 숭배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영향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증거는 타르퀴니아, 불치 및 카에레 (카푸아의 그리스와 동맹)와 클루시움의 두 에트루리아 집단 간의 패권 다툼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오레스테스가 네미에 도착하여 그의 뼈가 토성의 신전 근처 로마 포럼에 매장된 전설에 반영되어 있다.[47] 오레스테스가 네미에 도입한 숭배는 분명히 타우로폴로스의 아르테미스의 숭배이다. 문학적 증폭은[48] 혼란스러운 종교적 배경을 드러낸다. 다른 버전의 아르테미스는 이 칭호 아래 혼합되었다.[49] 네미의 디아나에 관해서는 스트라보[50]와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 스트라보의 버전은 아르테미스 성소에 대한 1차 자료, 즉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사제 아르테미도로스를 접할 수 있었기에 가장 권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타우로폴로스''의 의미는 달의 속성을 가진 아시아 여신, 가축의 여인을 의미한다.[51] ''디아나 네모렌시스''와 관련된 고대의 유일한 가능한 ''해석''은 빛의 여신, 야생 동물의 주인의 이 고대 측면에 기반한 것이었을 것이다. ''타우로폴로스''는 아르테미스, 헤카테, 그리고 심지어 아테나에게 붙여진 고대 칭호이다.[52] 전설에 따르면 오레스테스는 이피게니아와 함께 네미를 세웠다.[53] 쿠마에에서 시빌은 포이보스와 트리아의 여사제이다.[54] 헤시오도스[55]와 스테시코루스[56]는 그녀의 죽음 이후 이피게니아가 헤카테라는 이름으로 신격화되었는데, 이는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가 타우리드에서 그녀의 여사제이자 인간의 전형이었던 여주인공과 진정한 고대 동맹을 맺었다는 가정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 종교적 복합체는 차례로 아르테미스-헤카테의 삼중 조각상에 의해 뒷받침된다.[9]
로마에서 디아나는 큰 존경을 받았고 평민, 그리고 그녀의 신전에서 망명을 받을 수 있었던 노예의 후원자였다. 게오르그 비소와는 로마의 첫 노예가 이웃 부족의 라틴인이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제안했다.[57] 그러나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은 망명과 같은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 로마에서의 숭배 ====
디아나 숭배는 기원전 550년경 헬레니즘화가 진행되고 그리스 여신 아르테미스와 결합하면서 로마 시내로 퍼져나갔을 것으로 보인다.[58] 디아나는 처음에는 오빠 아폴론과 어머니 라토나와 함께 마르스 광장에 있는 그들의 신전에서 숭배받았고, 이후에는 팔라티누스 언덕의 아폴론 신전에서도 숭배받았다.[63]
로마 인근에서 디아나에게 헌정된 최초의 주요 신전은 아벤티노 언덕의 디아나 아벤티나 신전이었다.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에 따르면, 이 신전의 건설은 기원전 6세기에 시작되었으며, 에페소스에 있는 거대한 아르테미스 신전에 대한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 아르테미스 신전은 소아시아의 모든 도시가 공동으로 건설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이 거대한 정치적, 경제적 협력 행위에 감명을 받아 라틴 동맹의 도시들이 로마인들과 함께 여신을 위한 신전을 짓도록 설득했다.[59] 그러나 신전의 초기 건설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없으며, 이는 네미의 신전의 영향을 받아 기원전 3세기에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아마도 로마에 베르투누스 (디아나와 연관됨)를 위한 최초의 신전이 세워진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였을 것이다 (기원전 264년).[58] 아벤티노 신전이 에페소스 신전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오해는 전자의 숭배상과 조각상이 후자의 조각상에 크게 기반했기 때문에 생겼을 수 있다.[58] 초기 건설 날짜와 관계없이, 기록에 따르면 아벤티노 신전은 기원전 32년에 루키우스 코르니피키우스에 의해 재건되었다.[36] 만약 4세기 CE까지 사용되었다면, 아벤티노 신전은 후기 로마 제국 시대의 이교도 박해 동안 영구적으로 폐쇄되었을 것이다. 오늘날에는, '디아나 신전 거리'(Via del Tempio di Diana)라는 짧은 거리와 관련된 광장인 '디아나 신전 광장'(Piazza del Tempio di Diana)이 신전 터를 기념하고 있다. 그 벽의 일부는 아풀레이우스 레스토랑의 홀 중 하나 안에 있다.[60]
이후 신전 헌정은 디아나 아벤티나 신전의 의례적 형식과 규정을 모델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61] 로마의 정치인들은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로마의 다른 지역에 디아나를 위한 여러 작은 신전을 지었다. 그 중 하나는 기원전 187년에 마르스 광장에 지어졌다. 이 신전에 대한 제국 시대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극장을 건설하기 위해 기원전 55년경에 철거된 신전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36] 디아나는 또한 퀴리날 언덕에 공공 신전인 디아나 플란시아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이 신전은 기원전 55년에 플란키우스에 의해 헌정되었으나, 어떤 플란키우스인지는 불분명하다.[36]
그리스인들은 아르테미스를 숭배하면서 유명 조각가들이 제작한 여신 조각상으로 신전을 채웠으며, 기원전 2세기경부터 (로마 종교에 대한 강력한 헬레니즘의 영향의 시작) 로마인들이 디아나 숭배에 사용하도록 많은 조각상들을 개조했다.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묘사는 이 시대의 에페소스 동전에서 발견된다. 제국 시대에 이르러, 에페소스 아르테미스의 작은 대리석 조각상들이 지중해 서부 지역에서 생산되었고, 종종 로마의 후원자들에게 구매되었다.[62] 로마인들은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신전을 위해 에페소스 아르테미스 조각상의 대형 복사본을 얻었다.[63] 디아나는 일반적으로 교양 있는 로마인들에게 그리스식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만약 그녀가 사슴과 함께 묘사되었다면, 이는 ''베르사유의 디아나''에서처럼, 디아나가 사냥의 수호신이었기 때문이다. 사슴은 또한 디아나가 알몸으로 목욕하는 것을 본 악타이온 (또는 악테온)의 신화에 대한 은밀한 언급일 수도 있다. 디아나는 악타이온을 수사슴으로 변하게 하고 그의 사냥개들이 그를 죽이도록 했다.
==== 티파타 산에서의 숭배 ====
캄파니아에서 디아나는 카푸아 근처 티파타 산에 주요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티파티나'로 숭배받았다. 이곳은 캄파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 중 하나였다. 시골 신전으로서 로마가 캄파니아를 정복한 후 노예들이 경작했을 토지와 저택을 포함했으며, 기록에 따르면 로마 군사 작전의 다른 정복을 통해 그녀의 신전에 대한 확장 및 개조 프로젝트가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받았다. 현대 기독교 교회인 산탄젤로 인 포르미스는 티파타 신전의 폐허 위에 세워졌다.[36]
==== 로마 속주에서의 숭배 ====
로마 속주에서 디아나는 지역 신들과 함께 널리 숭배받았다. 갈리아, 상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를 중심으로 100개 이상의 디아나 헌정 비문이 속주에서 cataloged 되었다. 디아나는 흔히 또 다른 숲의 신인 실바누스와 다른 "산의 신"과 함께 언급되었다. 속주에서 그녀는 때때로 아브노바와 같은 지역 여신과 동일시되었고, "아우구스타(Augusta)"와 "레기나(regina, 여왕)"가 일반적인 칭호로 사용되는 등 높은 지위를 부여받았다.[64]
==== 가정 숭배 ====
디아나는 황야와 사냥의 여신으로 여겨졌을 뿐만 아니라 종종 가문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다. 그녀는 부뚜막 여신인 베스타와 유사한 역할을 했으며, 때로는 가정 의례에서 가장 자주 불리는 신인 페나테스의 일원으로 여겨졌다.[65] 이러한 역할에서 그녀는 종종 그녀를 숭배하고 그녀의 보호를 요청하는 가문의 부족을 반영하는 이름을 받았다. 예를 들어, 현재의 비스바덴에서 디아나는 마티아치 부족에 의해 ''디아나 마티아카''(Diana Mattiaca)로 숭배되었다. 고대 문헌에서 증명된 다른 가문 유래 이름으로는 ''디아나 카리치아나''(Diana Cariciana), ''디아나 발레리아나''(Diana Valeriana), ''디아나 플란시아''(Diana Plancia)가 있다.[65] 가문의 여신으로서 디아나는 로마 국가 종교에 의한 공식적인 숭배에 비해 종종 그 지위가 격하되었다. 개인 또는 가문의 숭배에서 디아나는 다른 가신들의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가문의 번영과 가족의 지속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졌다.[65]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자신의 ''송가''에서 디아나를 가문의 여신으로 간주했으며, 그의 별장에 가문 숭배를 행할 수 있는 그녀를 위한 제단을 두었다. 호라티우스는 그의 시에서 아벤티노 신전에서 전형적으로 행해졌을 로마 국가 전체를 위한 웅장하고 고양된 디아나 찬송가와, 더 개인적인 형태의 헌신을 의도적으로 대조했다.[65]
디아나와 관련된 신화의 이미지들은 부유한 로마인들의 석관에서 발견되었다. 그들은 종종 여신에게 바치는 희생을 묘사하는 장면을 포함했으며, 적어도 한 예에서는 죽은 남자가 디아나의 사냥에 참여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63]
==== 다른 여신들과의 융합 ====
디아나는 처음에는 사냥의 여신이자 네미[66]의 지역 숲의 여신이었지만, 숭배가 확산되면서 다른 유사한 여신들의 속성을 갖게 되었다. 아르테미스와 융합되면서 달의 여신이 되었고, 다른 달의 여신인 루나와 헤카테와 동일시되었다.[66] 또한 출산의 여신이 되었고 시골을 다스렸다. 카툴루스는 디아나에게 바치는 시를 썼는데, 거기에는 그녀가 여러 별칭, 즉 라토니아, 루키나, 유노, 트리비아, 루나를 가지고 있다고 썼다.[67]
마르스와 함께 디아나는 로마 원형 극장에서 열리는 경기에서 자주 숭배받았으며, 다뉴브 속주에서 발견된 일부 비문은 그녀가 이 역할에서 네메시스와 융합되어 "디아나 네메시스"로 숭배되었음을 보여준다.[63]
이탈리아 외곽에서 디아나는 골, 상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에서 유사한 지역 신들과 융합된 중요한 숭배 중심지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검은 숲 주변 지역에서 중요했으며, 그곳에서 지역 여신 아브노바와 융합되어 "디아나 아브노바"로 숭배되었다.[68]
일부 후기 고대 자료에서는 더 나아가 많은 지역 "위대한 여신"들을 단일 "하늘의 여왕"으로 융합했다. 2세기 후반에 글을 쓴 플라톤주의 철학자 아풀레이우스는 여신이 다음과 같이 선언하는 것을 묘사했다.
> "나는 당신의 간청에 감동하여 왔습니다, 루키우스. 나는 우주의 어머니이자, 모든 원소의 여주인이자, 시대의 맏이며, 신들 중 가장 높고, 그림자의 여왕이며, 하늘에 거하는 자들 중 으뜸이며, 하나의 형상으로 모든 신과 여신을 나타냅니다. 나의 의지는 빛나는 하늘의 높이와 생명을 주는 바다의 바람, 그리고 지옥의 슬픈 침묵을 다스립니다. 온 세상이 천 가지 형태로, 다양한 의식으로, 여러 다른 이름으로 나의 단일한 신성을 숭배합니다. 인류의 맏이인 프리기아인들은 나를 페시눈티안 신들의 어머니라고 부르고, 토착 아테네인들은 케크로피안 미네르바라고 부르며, 섬에 사는 키프로스인들은 파피안 비너스라고 부르고, 궁술가 크레타인들은 딕틴난 디아나라고 부르며, 세 개의 혀를 가진 시칠리아인들은 스티기안 프로세르피나라고 부르며, 고대 엘레우시스인들은 악타이안 케레스라고 부릅니다. 어떤 이들은 나를 유노라고 부르고, 어떤 이들은 벨로나라고 부르며, 다른 이들은 헤카테라고 부르고, 또 다른 이들은 람누시아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해가 뜨는 곳과 지는 곳 모두에 사는 에티오피아인들과 고대 학문에 뛰어난 이집트인들은 진정으로 나의 숭배를 통해 나를 존경하며 나의 진정한 이름으로 부릅니다. 즉, 여왕 이시스입니다."
>:--아풀레이우스, 번역: E. J. 케니. ''황금 당나귀''[69]
후기 시인과 역사가들은 디아나의 정체를 삼중 여신으로 보고, 그녀를 하늘, 땅, 지하 세계(지하) 여신들과 융합했다.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라티우스는 같은 여신이 하늘에서는 루나, 땅에서는 디아나, 지옥에서는 프로세르피나라고 불린다고 말했다.[70] 마이클 드레이턴은 시 "달 속의 남자"(1606)에서 삼중 디아나를 칭송한다. "이 세 위대한 여신은 나머지 중에서 가장 강력한 포이베, 디아나, 헤카테이며, 하늘, 땅, 지옥에서 그녀의 주권을 말해준다."[71][72][73]
==== 신플라톤주의에서의 디아나 ====
플라톤의 초기 저작을 바탕으로 한 후기 고대 시대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은 헬레니즘 전통의 다양한 주요 신들을 삼위일체를 내포한 일련의 모나드로 통합했다.[74] 이 체계 내에서 프로클로스는 디아나를 주요 활력을 불어넣는 신들 중 하나로 여겼다. 프로클로스는 오르페우스 전통을 인용하며 디아나가 "자연의 모든 생성에 관여하며 육체적 생산 원리의 산파"이며, "이 생식기를 확장하여 바쿠스의 번식력을 지하 세계까지 분배한다"고 결론 내린다.[74]
프로클로스는 지적 영역 내에서 최상위 생명 생성 원리를 레아로 보았으며, 그녀를 케레스와 동일시했다. 이 원리를 더 낮은, 초우주적 현실의 영역으로 투사하여 더 낮은 모나드인 코레를 생성했는데, 코레는 "처녀적" 생성 원리를 구현했고, 데메테르가 무차별적으로 생명을 생성하는 반면, 코레는 개별적으로 생명을 분배하는 분할의 원리를 포함했다. 이러한 분할의 결과로 코레의 모나드 내에 처녀 삼위일체, 즉 디아나, 프로세르피나, 미네르바가 형성되며, 이들을 통해 개별 생명체에게 생명이 부여되고 완성된다. 디아나(헤카테와 동일시됨)는 존재를, 프로세르피나(영혼과 동일시됨)는 형태를, 미네르바(덕과 동일시됨)는 지성을 부여한다.[76]
19세기 플라톤주의 학자 토마스 테일러는 프로클로스에 대한 해설에서 디아나의 핵심 특징인 처녀성에 세 가지 형태를 부여했다. 즉, 더럽혀지지 않은 것, 세속적인 것, 그리고 인도하는 것이다. 첫 번째 형태로, 디아나는 "처녀성의 연인", 두 번째로 덕의 수호자, 세 번째로 "생성에서 발생하는 충동을 혐오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럽혀지지 않은 원리를 통해, 그녀는 프로클로스의 생명을 부여하는 신들의 삼위일체에서 최고의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이러한 역할에서 테우르기스트들은 그녀를 헤카테라고 불렀다. 디아나는 다른 신들로부터 더럽혀지지 않은 힘(''아밀리에티'')을 부여받는다. 이 생성력은 여신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녀 안에 머물러 있으며, 그녀에게 비할 데 없는 덕을 부여한다.[75] 프로클로스에 대한 후기 해설자들은 디아나의 처녀성이 성적 충동의 부재가 아니라 성적 행위의 포기라고 명확히 했다. 디아나는 생성하지만 능동적인 번식을 앞서기 때문에 처녀성을 구현한다.[76]
고대 신플라톤주의를 바탕으로, 테일러는 또한 디아나와 관련 여신들의 삼위일체적 본성과, 그들이 서로 공존하며 서로의 힘과 속성에 불균등하게 참여하는 방식에 대해 논평했다. 예를 들어, 코레는 디아나/헤카테와 미네르바를 모두 구현하여 그녀 안에 덕스러운 혹은 처녀적인 힘을 생성한다고 하며, 또한 프로세르피나를 통해 코레 전체의 생성력이 세상으로 나아가 데미우르고스와 결합하여 더 많은 신들을 생산한다고 한다.[75]
프로클로스는 아르테미스/디아나를 케레스 및 유노와 함께 두 번째 신들의 삼위일체에 포함시켰다. 프로클로스에 따르면 "생명 생성 삼위일체는 전체 우주적 생명, 즉 지적 생명, 정신적 생명, 몸과 분리할 수 없는 생명을 낳는 데메테르로 시작한다. 영혼의 탄생을 가져오는 헤라는 응집하는 중간 위치를 차지한다. 마지막으로, 아르테미스는 삼위일체의 끝에 배정되었는데, 그녀는 모든 자연적 형성 원리를 활성화하고 물질의 자기 완성을 완벽하게 하기 때문이다."[76]
프로클로스는 ''일리아스''에서 헤라와 아르테미스 사이의 갈등을 두 종류의 인간 영혼의 표현
5. 1. 고대 로마 시대의 숭배
디아나는 모든 라틴 부족에게 공통적인 고대 여신이었다. 따라서 라틴족이 거주하는 땅에는 그녀를 위한 많은 성소가 헌정되었다. 그녀의 주요 성소는 "디아나의 거울"이라고도 알려진 네미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숲속 숲이었으며,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네모렌시스 또는 "숲의 디아나"로 숭배받았다. 로마에서 디아나 숭배는 도시 자체만큼이나 오래되었을 수 있다. 바로는 티투스 타티우스 왕이 신전을 짓겠다고 약속한 신들의 목록에서 그녀를 언급했다. 그의 목록에는 루나와 디아나 루키나가 별개의 존재로 포함되었다. 그녀의 숭배의 고대성에 대한 또 다른 증언은 근친상간 죄인을 디아나에게 '사크라티오'(sacratio)하는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왕의 ''렉스 레지아''(lex regia)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녀는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왕이 헌정했다고 전해지는 아벤티노 언덕에 로마에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아벤티노 언덕의 위치는 디아나가 로마인만의 여신이 아니라 모든 라틴인에게 공통적인 여신이라는 전통을 준수하기 위해 도시의 원래 영토인 포메리움 밖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아벤티노 언덕에 위치하고, 따라서 ''포메리움'' 밖에 위치한다는 것은 디아나의 숭배가 본질적으로 디오니소스의 숭배와 마찬가지로 '외래' 숭배로 남아 있었음을 의미하며, 그녀는 베이의 약탈 이후 유노가 그랬던 것처럼 공식적으로 로마로 '옮겨지지' 않았다.디아나를 위한 다른 알려진 성소와 신전으로는 투스쿨룸 근처의 콜레 디 코르네가 있으며,[26] 그곳에서 그녀는 고대 라틴 이름인 ''데바 코르니스카''(deva Cornisca)로 불리고, 숭배자들의 콜레기움이 존재했다.[27] 포르투갈의 에보라;[28] 투스쿨룸 근처의 알기두스 산;[29] 라비니움;[30] 그리고 티부르 (티볼리)가 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오피페라 네모렌시스''(Diana Opifera Nemorensis)로 불린다.[31] 디아나는 또한 리비우스가 언급한 신성한 숲에서 숭배받았는데,[32] – ''아드 콤피툼 아나그니눔''(Anagni 근처), 캄파니아의 티파타 산에서도 숭배받았다.[33]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남녀 모두 디아나의 숭배자였으며 그녀의 모든 신전에 환영받았다. 유일한 예외는 비쿠스 파트리시우스에 있는 신전이었는데, 남자는 전통 때문에 들어가지 않거나 들어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플루타르코스는 이 신전에서 숭배하는 여성을 공격하려던 남자가 개 떼에게 살해된 전설을 언급했는데(디아나와 악타이온의 신화와 일치), 이로 인해 남자가 그 신전에 들어가는 것에 대한 미신이 생겨났다.[34]
서기 2세기까지 디아나의 거의 모든 신전과 성소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사슴 뿔을 걸어 놓는 것이었다. 플루타르코스는 예외가 하나 있는데,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신전으로, 그곳에는 황소 뿔이 걸려 있었다고 언급했다. 플루타르코스는 아벤티노 신전의 창건 당시 세르비우스 왕이 인상적인 사비니 황소를 희생한 것에 대한 전설을 언급하면서 이를 설명한다.[34]
5. 1. 1. 네미 호수의 성소
디아나에 대한 숭배는 아리차 근처 알반 언덕에 있는 네미 호수가 내려다보이는 야외 성소에서 시작되었을 수 있으며,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네모렌시스 (숲의 요정 디아나)로 숭배받았다.[35] 전설에 따르면, 성소는 오레스테스와 이피게네이아가 타우리에서 도망친 후 세워졌다. 이 전통에 따르면, 네미 성소는 초기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 신전의 양식으로 지어졌으며,[36] 네미의 첫 번째 숭배상은 타우리에서 훔쳐 오레스테스가 네미로 가져왔다고 한다.[63][58]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네미에서 디아나 숭배는 기원전 6세기부터[58] 서기 2세기까지 번성했다. 그녀의 컬트는 대 카토에 의해 라틴 문학에서 처음 증명되었으며, 이는 후기 문법학자 프리스키아누스가 인용한 것이다.[37] 기원전 4세기까지 네미의 단순한 신사에는 신전 단지가 추가되었다.[58] 이 성소는 라틴 동맹에 의해 공동으로 소유되었으므로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했다.[38][39]
네모랄리아라는 디아나 축제가 매년 8월 아이데스(8월 13-15일[40])에 네미에서 열렸다. 숭배자들은 횃불과 화환을 들고 네미로 여행했으며, 호수에 도착한 후에는 울타리에 묶인 실 조각과 기도문이 새겨진 태블릿을 남겼다.[41][42] 디아나 축제는 결국 이례적으로 디아나 컬트의 지방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이탈리아 전역에서 널리 기념되었다. 시인 스타티우스는 이 축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다:[4]
:"하늘의 가장 뜨거운 지역이 땅을 차지하고, 하이페리온의 태양에 의해 자주 타격을 받은 날카로운 개별 시리우스가 숨을 헐떡이는 들판을 태우는 계절이다. 도망친 왕들에게 편리한 트리비아의 아리키아 숲이 연기가 자욱해지고, 히폴리토스의 죄를 알고 있는 호수가 많은 횃불의 반사로 빛나는 날이다. 디아나 자신은 가치 있는 사냥개에게 화환을 씌우고 화살촉을 광내고 야생 동물이 안전하게 다니도록 허락하며, 모든 이탈리아는 정숙한 난로에서 헤카테의 아이데스를 기념한다." (스타티우스 ''실비.'' 3.I.52–60)
스타티우스는 하늘(별), 땅(숲 자체) 및 저승(헤카테) 이미지를 불러일으켜 여신의 삼중적 성격을 묘사한다. 그는 또한 개에게 화환을 씌우고 창을 광내는 것으로 보아 축제 기간 동안 사냥이 허용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4]
전설에 따르면 네미의 디아나의 대사제는 렉스 네모렌시스로 알려졌으며, 항상 전임자를 결투에서 이겨야만 그 지위를 얻을 수 있는 도망친 노예였다.[35]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 경은 스트라보 (5.3.12), 파우사니아스 (2,27.24) 및 세르비우스의 ''아이네이스''(6.136) 주석의 간략한 언급을 바탕으로 자신의 해석을 담아 이 신성한 숲에 대해 ''황금 가지''에 썼다. 전설은 숲의 중앙에 서서 심하게 경계되는 나무에 대해 이야기한다. 도망친 노예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그 가지를 꺾을 수 없었고, 그 노예는 할 수 있다면 가지 하나를 꺾을 수 있었다. 그런 다음 그는 디아나의 현재 왕이자 사제인 렉스 네모렌시스와 죽도록 싸울 특권을 부여받았다. 노예가 승리하면 그는 도전을 이길 수 있는 한 다음 왕이 되었다. 그러나 조셉 폰텐로즈는 이러한 종류의 의식이 실제로 성소에서 발생했다는 프레이저의 추정을 비판했으며,[43] 역사적으로 ''렉스 네모렌시스''가 존재했음을 뒷받침하는 동시대 기록은 없다.[44]
5. 1. 2. 로마로의 확산과 아르테미스와의 융합
로마는 네미 주변의 라틴 부족들을 통합하고 통제하려 했고,[38] 디아나 숭배는 정치적 연대의 표시로 로마로 수입되었다. 디아나는 곧 헬레니즘화되어 그리스 신화의 아르테미스와 결합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399년 로마의 첫 번째 ''렉티스테르니움''에서 아르테미스의 오빠인 아폴로 옆에 디아나가 나타나는 것으로 절정에 달했다."[45] 두 여신의 동일시 과정은 아마도 네미 외곽의 디아나 신전을 위해 새로운 종교 조각상을 제작하도록 의뢰받은 예술가들이 디아나와 더 친숙한 아르테미스의 유사한 속성에 감명을 받아 이전의 아르테미스 묘사에 영감을 받아 디아나를 조각하면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마실리아와의 시빌린의 영향력과 교역은 아르테미스의 유사한 숭배 조각상이 존재했고, 이 과정을 완료했을 것이다.[58]
프랑수아즈 헬렌 페롤트의 연구에 따르면,[46] 역사적 및 고고학적 증거는 아벤티노 언덕의 디아나와 네모렌시스의 디아나에게 주어진 특성이 기원전 6세기와 5세기경에 포케아인들이 쿠마에와 카푸아의 그리스 마을에 퍼뜨리고, 그들이 다시 에트루리아인과 라틴인에게 전달한 아르테미스 숭배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영향의 산물임을 보여준다.
증거는 타르퀴니아, 불치 및 카에레 (카푸아의 그리스와 동맹)와 클루시움의 두 에트루리아 집단 간의 패권 다툼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오레스테스가 네미에 도착하여 그의 뼈가 토성의 신전 근처 로마 포럼에 매장된 전설에 반영되어 있다.[47] 오레스테스가 네미에 도입한 숭배는 분명히 타우로폴로스의 아르테미스의 숭배이다. 문학적 증폭은[48] 혼란스러운 종교적 배경을 드러낸다. 다른 버전의 아르테미스는 이 칭호 아래 혼합되었다.[49] 네미의 디아나에 관해서는 스트라보[50]와 세르비우스 호노라투스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 스트라보의 버전은 아르테미스 성소에 대한 1차 자료, 즉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사제 아르테미도로스를 접할 수 있었기에 가장 권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타우로폴로스''의 의미는 달의 속성을 가진 아시아 여신, 가축의 여인을 의미한다.[51] ''디아나 네모렌시스''와 관련된 고대의 유일한 가능한 ''해석''은 빛의 여신, 야생 동물의 주인의 이 고대 측면에 기반한 것이었을 것이다. ''타우로폴로스''는 아르테미스, 헤카테, 그리고 심지어 아테나에게 붙여진 고대 칭호이다.[52] 전설에 따르면 오레스테스는 이피게니아와 함께 네미를 세웠다.[53] 쿠마에에서 시빌은 포이보스와 트리아의 여사제이다.[54] 헤시오도스[55]와 스테시코루스[56]는 그녀의 죽음 이후 이피게니아가 헤카테라는 이름으로 신격화되었는데, 이는 아르테미스 타우로폴로스가 타우리드에서 그녀의 여사제이자 인간의 전형이었던 여주인공과 진정한 고대 동맹을 맺었다는 가정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 종교적 복합체는 차례로 아르테미스-헤카테의 삼중 조각상에 의해 뒷받침된다.[9]
로마에서 디아나는 큰 존경을 받았고 평민, 그리고 그녀의 신전에서 망명을 받을 수 있었던 노예의 후원자였다. 게오르그 비소와는 로마의 첫 노예가 이웃 부족의 라틴인이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제안했다.[57] 그러나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은 망명과 같은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5. 1. 3. 로마에서의 숭배
디아나 숭배는 기원전 550년경 헬레니즘화가 진행되고 그리스 여신 아르테미스와 결합하면서 로마 시내로 퍼져나갔을 것으로 보인다.[58] 디아나는 처음에는 오빠 아폴론과 어머니 라토나와 함께 마르스 광장에 있는 그들의 신전에서 숭배받았고, 이후에는 팔라티누스 언덕의 아폴론 신전에서도 숭배받았다.[63]
로마 인근에서 디아나에게 헌정된 최초의 주요 신전은 아벤티노 언덕의 디아나 아벤티나 신전이었다.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에 따르면, 이 신전의 건설은 기원전 6세기에 시작되었으며, 에페소스에 있는 거대한 아르테미스 신전에 대한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 아르테미스 신전은 소아시아의 모든 도시가 공동으로 건설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세르비우스 툴리우스는 이 거대한 정치적, 경제적 협력 행위에 감명을 받아 라틴 동맹의 도시들이 로마인들과 함께 여신을 위한 신전을 짓도록 설득했다.[59] 그러나 신전의 초기 건설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없으며, 이는 네미의 신전의 영향을 받아 기원전 3세기에 지어졌을 가능성이 높으며, 아마도 로마에 베르투누스 (디아나와 연관됨)를 위한 최초의 신전이 세워진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였을 것이다 (기원전 264년).[58] 아벤티노 신전이 에페소스 신전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오해는 전자의 숭배상과 조각상이 후자의 조각상에 크게 기반했기 때문에 생겼을 수 있다.[58] 초기 건설 날짜와 관계없이, 기록에 따르면 아벤티노 신전은 기원전 32년에 루키우스 코르니피키우스에 의해 재건되었다.[36] 만약 4세기 CE까지 사용되었다면, 아벤티노 신전은 후기 로마 제국 시대의 이교도 박해 동안 영구적으로 폐쇄되었을 것이다. 오늘날에는, '디아나 신전 거리'(Via del Tempio di Diana)라는 짧은 거리와 관련된 광장인 '디아나 신전 광장'(Piazza del Tempio di Diana)이 신전 터를 기념하고 있다. 그 벽의 일부는 아풀레이우스 레스토랑의 홀 중 하나 안에 있다.[60]
이후 신전 헌정은 디아나 아벤티나 신전의 의례적 형식과 규정을 모델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61] 로마의 정치인들은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로마의 다른 지역에 디아나를 위한 여러 작은 신전을 지었다. 그 중 하나는 기원전 187년에 마르스 광장에 지어졌다. 이 신전에 대한 제국 시대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극장을 건설하기 위해 기원전 55년경에 철거된 신전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36] 디아나는 또한 퀴리날 언덕에 공공 신전인 디아나 플란시아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이 신전은 기원전 55년에 플란키우스에 의해 헌정되었으나, 어떤 플란키우스인지는 불분명하다.[36]
그리스인들은 아르테미스를 숭배하면서 유명 조각가들이 제작한 여신 조각상으로 신전을 채웠으며, 기원전 2세기경부터 (로마 종교에 대한 강력한 헬레니즘의 영향의 시작) 로마인들이 디아나 숭배에 사용하도록 많은 조각상들을 개조했다. 에페소스의 아르테미스에 대한 가장 초기의 묘사는 이 시대의 에페소스 동전에서 발견된다. 제국 시대에 이르러, 에페소스 아르테미스의 작은 대리석 조각상들이 지중해 서부 지역에서 생산되었고, 종종 로마의 후원자들에게 구매되었다.[62] 로마인들은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신전을 위해 에페소스 아르테미스 조각상의 대형 복사본을 얻었다.[63] 디아나는 일반적으로 교양 있는 로마인들에게 그리스식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만약 그녀가 사슴과 함께 묘사되었다면, 이는 ''베르사유의 디아나''에서처럼, 디아나가 사냥의 수호신이었기 때문이다. 사슴은 또한 디아나가 알몸으로 목욕하는 것을 본 악타이온 (또는 악테온)의 신화에 대한 은밀한 언급일 수도 있다. 디아나는 악타이온을 수사슴으로 변하게 하고 그의 사냥개들이 그를 죽이도록 했다.
5. 1. 4. 티파타 산에서의 숭배
캄파니아에서 디아나는 카푸아 근처 티파타 산에 주요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그곳에서 그녀는 '디아나 티파티나'로 숭배받았다. 이곳은 캄파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신전 중 하나였다. 시골 신전으로서 로마가 캄파니아를 정복한 후 노예들이 경작했을 토지와 저택을 포함했으며, 기록에 따르면 로마 군사 작전의 다른 정복을 통해 그녀의 신전에 대한 확장 및 개조 프로젝트가 부분적으로 자금을 지원받았다. 현대 기독교 교회인 산탄젤로 인 포르미스는 티파타 신전의 폐허 위에 세워졌다.[36]
5. 1. 5. 로마 속주에서의 숭배
로마 속주에서 디아나는 지역 신들과 함께 널리 숭배받았다. 갈리아, 상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를 중심으로 100개 이상의 디아나 헌정 비문이 속주에서 cataloged 되었다. 디아나는 흔히 또 다른 숲의 신인 실바누스와 다른 "산의 신"과 함께 언급되었다. 속주에서 그녀는 때때로 아브노바와 같은 지역 여신과 동일시되었고, "아우구스타(Augusta)"와 "레기나(regina, 여왕)"가 일반적인 칭호로 사용되는 등 높은 지위를 부여받았다.[64]5. 1. 6. 가정 숭배
디아나는 황야와 사냥의 여신으로 여겨졌을 뿐만 아니라 종종 가문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다. 그녀는 부뚜막 여신인 베스타와 유사한 역할을 했으며, 때로는 가정 의례에서 가장 자주 불리는 신인 페나테스의 일원으로 여겨졌다.[65] 이러한 역할에서 그녀는 종종 그녀를 숭배하고 그녀의 보호를 요청하는 가문의 부족을 반영하는 이름을 받았다. 예를 들어, 현재의 비스바덴에서 디아나는 마티아치 부족에 의해 ''디아나 마티아카''(Diana Mattiaca)로 숭배되었다. 고대 문헌에서 증명된 다른 가문 유래 이름으로는 ''디아나 카리치아나''(Diana Cariciana), ''디아나 발레리아나''(Diana Valeriana), ''디아나 플란시아''(Diana Plancia)가 있다.[65] 가문의 여신으로서 디아나는 로마 국가 종교에 의한 공식적인 숭배에 비해 종종 그 지위가 격하되었다. 개인 또는 가문의 숭배에서 디아나는 다른 가신들의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가문의 번영과 가족의 지속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졌다.[65]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자신의 ''송가''에서 디아나를 가문의 여신으로 간주했으며, 그의 별장에 가문 숭배를 행할 수 있는 그녀를 위한 제단을 두었다. 호라티우스는 그의 시에서 아벤티노 신전에서 전형적으로 행해졌을 로마 국가 전체를 위한 웅장하고 고양된 디아나 찬송가와, 더 개인적인 형태의 헌신을 의도적으로 대조했다.[65]디아나와 관련된 신화의 이미지들은 부유한 로마인들의 석관에서 발견되었다. 그들은 종종 여신에게 바치는 희생을 묘사하는 장면을 포함했으며, 적어도 한 예에서는 죽은 남자가 디아나의 사냥에 참여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63]
5. 2. 다른 여신들과의 융합
디아나는 처음에는 사냥의 여신이자 네미[66]의 지역 숲의 여신이었지만, 숭배가 확산되면서 다른 유사한 여신들의 속성을 갖게 되었다. 아르테미스와 융합되면서 달의 여신이 되었고, 다른 달의 여신인 루나와 헤카테와 동일시되었다.[66] 또한 출산의 여신이 되었고 시골을 다스렸다. 카툴루스는 디아나에게 바치는 시를 썼는데, 거기에는 그녀가 여러 별칭, 즉 라토니아, 루키나, 유노, 트리비아, 루나를 가지고 있다고 썼다.[67]마르스와 함께 디아나는 로마 원형 극장에서 열리는 경기에서 자주 숭배받았으며, 다뉴브 속주에서 발견된 일부 비문은 그녀가 이 역할에서 네메시스와 융합되어 "디아나 네메시스"로 숭배되었음을 보여준다.[63]
이탈리아 외곽에서 디아나는 골, 상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에서 유사한 지역 신들과 융합된 중요한 숭배 중심지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검은 숲 주변 지역에서 중요했으며, 그곳에서 지역 여신 아브노바와 융합되어 "디아나 아브노바"로 숭배되었다.[68]
일부 후기 고대 자료에서는 더 나아가 많은 지역 "위대한 여신"들을 단일 "하늘의 여왕"으로 융합했다. 2세기 후반에 글을 쓴 플라톤주의 철학자 아풀레이우스는 여신이 다음과 같이 선언하는 것을 묘사했다.
> "나는 당신의 간청에 감동하여 왔습니다, 루키우스. 나는 우주의 어머니이자, 모든 원소의 여주인이자, 시대의 맏이며, 신들 중 가장 높고, 그림자의 여왕이며, 하늘에 거하는 자들 중 으뜸이며, 하나의 형상으로 모든 신과 여신을 나타냅니다. 나의 의지는 빛나는 하늘의 높이와 생명을 주는 바다의 바람, 그리고 지옥의 슬픈 침묵을 다스립니다. 온 세상이 천 가지 형태로, 다양한 의식으로, 여러 다른 이름으로 나의 단일한 신성을 숭배합니다. 인류의 맏이인 프리기아인들은 나를 페시눈티안 신들의 어머니라고 부르고, 토착 아테네인들은 케크로피안 미네르바라고 부르며, 섬에 사는 키프로스인들은 파피안 비너스라고 부르고, 궁술가 크레타인들은 딕틴난 디아나라고 부르며, 세 개의 혀를 가진 시칠리아인들은 스티기안 프로세르피나라고 부르며, 고대 엘레우시스인들은 악타이안 케레스라고 부릅니다. 어떤 이들은 나를 유노라고 부르고, 어떤 이들은 벨로나라고 부르며, 다른 이들은 헤카테라고 부르고, 또 다른 이들은 람누시아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해가 뜨는 곳과 지는 곳 모두에 사는 에티오피아인들과 고대 학문에 뛰어난 이집트인들은 진정으로 나의 숭배를 통해 나를 존경하며 나의 진정한 이름으로 부릅니다. 즉, 여왕 이시스입니다."
>:--아풀레이우스, 번역: E. J. 케니. ''황금 당나귀''[69]
후기 시인과 역사가들은 디아나의 정체를 삼중 여신으로 보고, 그녀를 하늘, 땅, 지하 세계(지하) 여신들과 융합했다. 마우루스 세르비우스 호라티우스는 같은 여신이 하늘에서는 루나, 땅에서는 디아나, 지옥에서는 프로세르피나라고 불린다고 말했다.[70] 마이클 드레이턴은 시 "달 속의 남자"(1606)에서 삼중 디아나를 칭송한다. "이 세 위대한 여신은 나머지 중에서 가장 강력한 포이베, 디아나, 헤카테이며, 하늘, 땅, 지옥에서 그녀의 주권을 말해준다."[71][72][73]
5. 3. 신플라톤주의에서의 디아나
플라톤의 초기 저작을 바탕으로 한 후기 고대 시대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자들은 헬레니즘 전통의 다양한 주요 신들을 삼위일체를 내포한 일련의 모나드로 통합했다.[74] 이 체계 내에서 프로클로스는 디아나를 주요 활력을 불어넣는 신들 중 하나로 여겼다. 프로클로스는 오르페우스 전통을 인용하며 디아나가 "자연의 모든 생성에 관여하며 육체적 생산 원리의 산파"이며, "이 생식기를 확장하여 바쿠스의 번식력을 지하 세계까지 분배한다"고 결론 내린다.[74]프로클로스는 지적 영역 내에서 최상위 생명 생성 원리를 레아로 보았으며, 그녀를 케레스와 동일시했다. 이 원리를 더 낮은, 초우주적 현실의 영역으로 투사하여 더 낮은 모나드인 코레를 생성했는데, 코레는 "처녀적" 생성 원리를 구현했고, 데메테르가 무차별적으로 생명을 생성하는 반면, 코레는 개별적으로 생명을 분배하는 분할의 원리를 포함했다. 이러한 분할의 결과로 코레의 모나드 내에 처녀 삼위일체, 즉 디아나, 프로세르피나, 미네르바가 형성되며, 이들을 통해 개별 생명체에게 생명이 부여되고 완성된다. 디아나(헤카테와 동일시됨)는 존재를, 프로세르피나(영혼과 동일시됨)는 형태를, 미네르바(덕과 동일시됨)는 지성을 부여한다.[76]
19세기 플라톤주의 학자 토마스 테일러는 프로클로스에 대한 해설에서 디아나의 핵심 특징인 처녀성에 세 가지 형태를 부여했다. 즉, 더럽혀지지 않은 것, 세속적인 것, 그리고 인도하는 것이다. 첫 번째 형태로, 디아나는 "처녀성의 연인", 두 번째로 덕의 수호자, 세 번째로 "생성에서 발생하는 충동을 혐오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더럽혀지지 않은 원리를 통해, 그녀는 프로클로스의 생명을 부여하는 신들의 삼위일체에서 최고의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이러한 역할에서 테우르기스트들은 그녀를 헤카테라고 불렀다. 디아나는 다른 신들로부터 더럽혀지지 않은 힘(''아밀리에티'')을 부여받는다. 이 생성력은 여신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녀 안에 머물러 있으며, 그녀에게 비할 데 없는 덕을 부여한다.[75] 프로클로스에 대한 후기 해설자들은 디아나의 처녀성이 성적 충동의 부재가 아니라 성적 행위의 포기라고 명확히 했다. 디아나는 생성하지만 능동적인 번식을 앞서기 때문에 처녀성을 구현한다.[76]
고대 신플라톤주의를 바탕으로, 테일러는 또한 디아나와 관련 여신들의 삼위일체적 본성과, 그들이 서로 공존하며 서로의 힘과 속성에 불균등하게 참여하는 방식에 대해 논평했다. 예를 들어, 코레는 디아나/헤카테와 미네르바를 모두 구현하여 그녀 안에 덕스러운 혹은 처녀적인 힘을 생성한다고 하며, 또한 프로세르피나를 통해 코레 전체의 생성력이 세상으로 나아가 데미우르고스와 결합하여 더 많은 신들을 생산한다고 한다.[75]
프로클로스는 아르테미스/디아나를 케레스 및 유노와 함께 두 번째 신들의 삼위일체에 포함시켰다. 프로클로스에 따르면 "생명 생성 삼위일체는 전체 우주적 생명, 즉 지적 생명, 정신적 생명, 몸과 분리할 수 없는 생명을 낳는 데메테르로 시작한다. 영혼의 탄생을 가져오는 헤라는 응집하는 중간 위치를 차지한다. 마지막으로, 아르테미스는 삼위일체의 끝에 배정되었는데, 그녀는 모든 자연적 형성 원리를 활성화하고 물질의 자기 완성을 완벽하게 하기 때문이다."[76]
프로클로스는 ''일리아스''에서 헤라와 아르테미스 사이의 갈등을 두 종류의 인간 영혼의 표현으로 지적했다. 헤라가 더 높고 교양 있는 영혼을 창조하는 반면, 아르테미스는 덜 이성적인 영혼에게 빛을 비추고 완성시킨다. 랑고스(2000)는 "아르테미스와 헤라가 공유하고 상징적인 갈등을 일으키는 현실의 측면은 생명의 생성이다."라고 설명하며, 헤라는 이성적인 생명체를 지적인 존재로 승격시키는 반면, 아르테미스의 힘은 살아있는 것으로서의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삶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 "아르테미스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생명 또는 모든 생명의 가장 기본적인 부분을 다루는 반면, 헤라는 가장 고귀한 형태의 생명 또는 모든 생명의 가장 고귀한 부분에서 작용한다."[76]
6. 중세 이후 유럽의 디아나 숭배
설교 및 기타 종교 문서는 중세 시대 디아나 숭배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세부 사항은 거의 기록되지 않았지만, 초기 기독교 시대 디아나 숭배에 대한 언급이 충분히 존재하여 유럽 전역의 외딴 지역 및 농촌 공동체에서 비교적 널리 퍼져 있었고, 이러한 믿음이 메로빙거 왕조 시대까지 지속되었음을 시사한다.[77] 이베리아 반도와 현재 프랑스 남부에서는 6세기부터 디아나 숭배에 대한 언급이 존재하며,[77] 특히 저지대 국가와 벨기에 남부에서는 디아나 신앙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 제시되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아마도 지역 여신, 나무 님프 또는 드리아데스였으며, 기독교 작가들이 지역 이름을 라틴어로 표기하고 전통을 혼합하면서 디아나와 혼동된 것으로 보인다.[77]
10세기의 기독교 법규서에서는 마녀들의 여신은 디아나와 헤로디아스라고 기록하고 있다.[117] 중세 유럽 각지에서는 밤에 이교의 여신인 디아나의 인도로 야수를 타고 기행하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전해졌다.
1889년에 찰스 고드프리 릴랜드가 발표한 『아라디아, 또는 마녀의 복음』에서는 디아나가 원초의 달의 여신으로 등장하며, 빛의 신 루시퍼(악마의 루시퍼와는 다르다)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라디아를 지상에 보내 억압받는 자들에게 박해하는 자들에게 마법으로 대항하는 것을 가르쳤다고 한다.[117]
6. 1. 저지대 국가
6세기 투르의 그레고리 주교는 현재 프랑스 마르귀에 있는 언덕에 은둔처를 세운 불필라이크가 "믿지 않는 사람들이 신으로 숭배하는 디아나의 형상"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불필라이크는 지역 주민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킨 후, 큰 조각상을 파괴했다.[78]7세기 오도인이 쓴 ''엘리기의 생애''에는 플랑드르 사람들에게 엘리기우스가 한 훈계들이 기록되어 있다. 엘리기우스는 사람들이 따르는 "이교도 관습"을 비난하며, 로마 신과 여신들을 드루이드 신화적 믿음 및 대상과 함께 언급했다. 특히 디아나, 미네르바 등의 이름을 부르지 말 것을 강조했다.[79]
중세 벨기에의 전설에 따르면, 레마클은 바르슈 강 주변 지역에서 디아나와 켈트 다신교 여신 아르두이나의 혼합 숭배를 만났다고 한다. 레마클은 샘에 악마적 존재가 있다고 믿고 축귀를 수행하여 물이 다시 흐르도록 했다.[80]
6. 2. "디아나의 사회"
신약 성경에서 이름으로 언급된 유일한 이교 여신인 디아나[101]는 사도행전 19장의 일부 번역본에 등장하며, 다른 많은 성경은 아르테미스로 지칭한다.[101] 가톨릭교회 성직자들은 디아나를 악마화하려 했으며, 디아나는 초자연적인 존재와 관련된 민간 신앙과 연관되었다.[101] 중세 시대 북부 이탈리아, 서부 독일, 남부 프랑스의 교회 기록에는 여성 인물이 이끄는 밤의 정령 행렬에 대한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집으로 들어가 음식을 먹고, 노래하고 춤을 추며, 약초 치유와 분실물 위치에 대한 조언을 했다.[101] 집이 잘 정돈되어 있으면 다산과 풍요를 가져다주었지만, 그렇지 않으면 가족에게 저주를 가져다주었다.[101] 일부 여성들은 몸은 침대에 누워 있는 동안 이 행렬에 참여했다고 보고했다. 역사가 카를로 긴즈부르그는 이러한 영적 모임을 "디아나의 사회"라고 불렀다.[101]지역 성직자들은 여성들이 디아나 또는 헤로디아를 따르고 있다고 믿고, 지정된 밤에 행렬에 합류하거나 여신의 지시를 수행하기 위해 나선다고 불평했다.[81] 이 전설에 대한 초기 보고는 899년 프뤼음의 레기노의 저술에서 나타났으며, 이후 라테리우스 등의 문서에서 추가 보고와 전설의 변형이 이어졌다. 1310년경에는 전설에 붙어 있는 여신 인물의 이름이 때로는 '헤로디아나'로 결합되었다.[81] 성직자들은 이 행렬의 지도자를 디아나 또는 헤로디아로 동일시하여, 이전의 민간 신앙을 성경적 틀에 맞추려 했을 가능성이 높다. 두 인물 모두 신약 성경에 등장하며 악마화되기 때문이다.[81] 헤로디아는 전설에서 종종 그녀의 딸 살로메와 혼동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의 잘린 머리를 받았을 때 성인의 입에서 나온 바람에 의해 공중으로 날려 영원히 떠돌아다녔다는 이야기도 있다.[81] 디아나는 죽은 자의 영혼과 마법과 관련된 여신 헤카테와 종종 혼동되었다.[81] 성직자들은 이러한 동일시를 이용하여 영혼이 악하며, 그들을 따르는 여성들이 악마에게 영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81]
교회 문서와 신자 고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회가 디아나 또는 헤로디아로 확인한 영은 홀다와 같은 기독교 이전 인물의 이름이나, 라틴어 '''아분디아'''("풍요"를 의미), '''사티아'''("충만" 또는 "풍요"를 의미) 및 이탈리아어 리첼라("부자"를 의미)와 같이 그녀가 가져다주는 번영을 언급하는 이름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높다.[81] 그녀의 지역 칭호 중 일부, 예를 들어 ''bonae res''("좋은 것들"을 의미)는 'bona dea'와 같은 헤카테에 대한 후기 고전적 칭호와 유사하다. 이것은 중세 민간 사상과 이전 이교 신앙 체계의 잔재가 문화적으로 혼합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81] 13세기까지 전설적인 영적 행렬의 지도자는 교회의 영향으로 디아나와 헤로디아와 확고하게 동일시되었다.[81]
10세기의 기독교 법규서에서는 마녀들의 여신은 디아나와 헤로디아스라고 기록하고 있다.[117] 중세 유럽 각지에서는 밤에 이교의 여신인 디아나의 인도로 야수를 타고 기행하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전해졌다.
1889년에 찰스 고드프리 릴랜드가 발표한 『아라디아, 또는 마녀의 복음』에서는 디아나가 원초의 달의 여신으로, 빛의 신 루시퍼(악마의 루시퍼와는 다르다)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라디아를 지상에 보내 억압받는 자들에게 박해하는 자들에게 마법으로 대항하는 것을 가르쳤다고 한다.[117]
7. 현대의 발전과 민속
7. 1. 황금 가지
인류학자 제임스 조지 프레이저는 신화와 종교에 대한 광범위하고 비교적인 연구인 ''황금가지''에서 디아나와 네미에 관련된 전설적인 의례, 특히 ''네모렌시스 왕''의 의례를 재해석하기 위해 다양한 증거를 활용했다. 프레이저는 J. M. W. 터너의 그림, 즉 네미 숲 속 호수의 몽환적인 모습을 그린, 같은 제목의 ''황금가지''와 관련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82] 프레이저에 따르면, 네미의 ''네모렌시스 왕''은 죽고 부활하는 신, 즉 여신과 신비로운 결혼을 하는 태양신의 화신이었다. 그는 수확기에 죽고 봄에 환생했다. 프레이저는 이러한 죽음과 부활의 모티프가 세계 거의 모든 종교와 신화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82] 프레이저의 이론에서 디아나는 풍요와 출산의 여신으로 기능했으며, 성스러운 왕의 도움을 받아 봄에 땅에 생명을 의례적으로 되돌렸다. 이 계획에서 왕은 고위 사제이자 숲의 신 역할을 했다. 프레이저는 이 인물을 거의 알려지지 않은 비르비우스와, 성스러운 참나무와의 연관성을 통해 유피테르와 동일시한다. 프레이저는 더 나아가 유피테르와 유노는 단순히 야나와 야누스의 중복된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즉, 디아나와 디아누스는 모두 동일한 기능과 기원을 가지고 있었다.[82]
디아나의 기원과 네미에서의 그녀의 숭배에 대한 프레이저의 추측적인 민속은 그의 동시대인들에게서도 호평을 받지 못했다. 고드프리 리엔하르트는 프레이저의 생전에도 다른 인류학자들이 "대부분 그의 이론과 의견에서 거리를 두었다"고 언급했으며, ''황금가지''와 프레이저의 더 광범위한 작품이 미친 지속적인 영향력은 "학문적인 세계보다는 문학적인 세계에서였다"고 말했다.[83] 로버트 애커먼은 인류학자들에게 프레이저는 "그들 중 가장 유명하다는 이유로 당혹스러운 존재"이며, 대부분 그의 작업에서 거리를 둔다고 썼다. ''황금가지''는 광범위한 "대중적인 호소력"을 얻었고 "매우 많은 [20세기] 창작 작가들에게" "과도한" 영향을 미쳤지만, 프레이저의 아이디어는 학문적인 사회 인류학의 역사에서 "훨씬 작은 역할"을 했다.[83]
7. 2. 마녀의 복음
디아나 여신을 영혼들과의 금지된 여성들의 모임과 연결하는 민간 전승은 이후의 민속 작품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이러한 작품 중 하나는 찰스 고드프리 릴랜드의 ''아라디아, 또는 마녀의 복음''으로, 이탈리아 마녀 숭배의 중심에 디아나가 등장한다.[81] 릴랜드가 해석한 이탈리아 민간 마법에서 디아나는 마녀의 여왕으로 여겨진다. 이 신념 체계에서 디아나는 모든 창조의 씨앗을 자기 안에 품고 스스로 세상을 창조했다고 한다. 그녀는 스스로 어둠과 빛을 나누어 창조의 어둠은 간직하고, 그녀의 형제 루시퍼를 창조했다고 전해진다. 디아나는 그녀의 형제를 사랑하고 그와 함께 통치했으며, 그와 함께 딸 아라디아(이름은 헤로디아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음)를 낳았는데, 아라디아는 지구상의 마녀들을 이끌고 가르친다.[84][81]
릴랜드가 '아라디아'가 고대부터 디아나를 비밀리에 숭배해 온 지하 마녀 숭배의 진정한 전통을 나타낸다고 주장한 것은 대부분의 민속학, 종교학 및 중세사 학자들에 의해 부인되었다.[85][86] 1921년 마거릿 머레이의 ''서유럽의 마녀 숭배''가 출판된 후, 이 책은 유럽의 마녀 재판이 실제로 이교도 종교의 생존에 대한 박해라고 가설을 세웠다. 미국의 선정적인 작가 테다 케년의 1929년 저서 ''마녀는 여전히 살아있다''는 머레이의 논제를 '아라디아'의 마법 종교와 연결했다. 머레이의 논제에 대한 반론은 결국 릴랜드에 대한 반론으로 이어졌다. 마법 학자 제프리 버튼 러셀은 1980년 저서 ''마법의 역사: 마법사, 이단자, 이교도''의 일부를 릴랜드가 '아라디아'에서 제시한 주장에 반박하는 데 할애했다.[87] 역사학자 엘리엇 로즈의 ''염소를 위한 면도칼''은 '아라디아'를 종교를 묘사하려다 실패한 주문집으로 일축했다.[88] 역사학자 로널드 허턴은 저서 ''달의 승리''에서 '아라디아'가 나타낸다고 주장하는 종교의 존재뿐만 아니라 릴랜드가 제시한 전통이 실제 중세 문학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르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했다.[89] 그는 릴랜드가 그렇게 쉽게 "속을" 수 있었을 가능성보다 릴랜드가 이야기를 전체적으로 만들어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하며, 릴랜드의 자료의 존재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90] 종교 학자 채스 S. 클리프턴은 허턴의 입장에 이의를 제기하며, 허턴의 입장이 "부재의 논거"에 의해 제기된 "심각한 문학적 사기" 혐의에 해당한다고 적었다.[91]
프레이저, 머레이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20세기와 21세기의 일부 작가들은 디아나와 더 지역적인 신들 사이의 연관성을 식별하려 했다. 예를 들어, R. 로우 톰슨은 2013년 저서 ''악마의 역사''에서 디아나가 골족의 뿔 달린 신 케르눈노스의 때때로 "배우자"로 연결되었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톰슨은 사냥의 야생 여신으로서의 디아나가 서유럽에서 케르눈노스의 적절한 배필이 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했으며, 디아나가 프로세르피나로서, 골족의 케르눈노스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땅의 부와 관련된 그리스 신 플루토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10세기의 기독교 법규서에서는 마녀들의 여신은 디아나와 헤로디아스라고 기록하고 있다.[117] 중세 유럽 각지에서는 밤에 이교의 여신인 디아나의 인도로 야수를 타고 기행하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전해졌다.
1889년에 찰스 고드프리 릴랜드가 발표한 『아라디아, 또는 마녀의 복음』에서는 디아나가 원초의 달의 여신으로 등장하며, 빛의 신 루시퍼(악마의 루시퍼와는 다르다)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라디아를 지상에 보내 억압받는 자들에게 박해하는 자들에게 마법으로 대항하는 것을 가르쳤다고 한다.[117]
7. 3. 현대의 숭배
1889년에 찰스 고드프리 릴랜드가 발표한 『아라디아, 또는 마녀의 복음』에서는 디아나가 원초의 달의 여신으로 등장하며, 빛의 신 루시퍼(악마의 루시퍼와는 다르다) 사이에서 태어난 딸 아라디아를 지상에 보내 억압받는 자들에게 마법으로 대항하는 것을 가르쳤다고 한다.[117] 10세기의 기독교 법규서에서는 마녀들의 여신은 디아나와 헤로디아스라고 기록하고 있다.[117] 중세 유럽 각지에서는 밤에 이교의 여신인 디아나의 인도로 야수를 타고 기행하는 여자들의 이야기가 전해졌다.렐런드의 이탈리아 마녀 숭배에 대한 주장은 의문스러우므로, 현대 시대에 디아나를 숭배하는 최초의 증명 가능한 사례는 아마도 위카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다. 알려진 가장 초기의 신이교 마법 실천자들은 제럴드 가드너가 시작한 전통의 구성원들이었다. 가드너 그룹에서 사용된 헌신적인 자료의 출판된 버전은 194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렐런드의 민속에서 디아나의 딸인 아라디아를 숭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디아나 자신은 위칸의 여신의 맹세에서 묘사된 것처럼 아풀레이우스의 전통에서 단일 "위대한 여신"의 측면으로 인식되었다(이것은 렐런드의 텍스트에서 각색되었다).[92] 스콧 커닝햄과 같은 일부 후기 위칸들은 아라디아를 디아나로 대체하여 숭배의 중심 초점으로 삼았다.[93]
1960년대 초, 빅터 헨리 앤더슨은 찰스 렐런드의 민속과 가드너 전통에서 모두 영향을 받은 위카의 한 형태인 페리 전통을 창시했다. 앤더슨은 1926년에 어린 시절에 마법 전통에 처음으로 입문했다고 주장했으며,[94] 마녀들이 숭배하는 여신의 이름이 타나라고 들었다고 주장했다.[95] 타나라는 이름은 렐런드의 ''아라디아''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는 그것이 디아나의 고대 에트루리아 이름이라고 주장했다. 앤더슨이 창시한 페리 전통은 타나/디아나를 불의 원소와 관련된 별의 여신의 측면으로, "모든 물질을 낳고 변형시키는 불타는 자궁"을 나타내는 것으로 계속 인식하고 있다.[95] (''아라디아''에서, 디아나는 또한 물질 세계의 창조자이자 요정 여왕으로 여겨진다[96]).
몇몇 위칸 전통은 디아나를 더 두드러진 숭배 위치로 끌어올렸고, 주로 디아나에 초점을 맞춘 두 개의 독특한 현대 위카 분파가 있다. 첫 번째는 1970년대 초 미국에서 모건 맥팔랜드와 마크 로버츠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페미니스트 신학을 가지고 있으며 때때로 남성 참가자를 받아들이고, 지도력은 여성 여사제로 제한된다.[99][97] 맥팔랜드 디아닉 위칸들은 주로 로버트 그레이브스의 저서 ''백색 여신''을 기반으로 전통을 세웠으며, 마가렛 머레이의 저서 ''서유럽의 마녀 숭배''에 중세 유럽의 "디아닉 컬트"의 존재에 대한 언급에서 영감을 받았다.[97] 두 번째 디아닉 전통은 1970년대 중반 주자나 부다페스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신성한 여성적 측면에 대한 배타적인 초점을 특징으로 하며, 결과적으로 전적으로 여성적이다. 이 전통은 영국 전통 위카, 찰스 렐런드의 작업을 기반으로 한 이탈리아 민속 마법, 페미니스트 가치, 다양한 문화에서 파생된 치유 관행의 요소를 결합한다.[98][99]
이탈리아 민속의 관점을 통해 디아나 숭배에서 크게 영감을 받은 세 번째 신이교 전통은 1980년대에 설립된 스트레게리아이다. 이 전통은 디아나와 디아누스를 포함하여 여러 변형된 이름으로 알려진 신성한 연인으로 여겨지는 한 쌍의 신들을 중심으로 하며, 번갈아 가며 타나와 타누스 또는 야나와 야누스로 주어진다(후자의 두 신의 이름은 제임스 프레이저가 그의 저서 ''황금 가지''에서 디아나와 디아누스의 후기 타락으로 언급했으며, 이들은 스스로 유노와 유피테르의 대체 이름이자 아마도 더 오래된 이름이었다).[100] 이 전통은 작가 레이븐 그리마시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그의 어머니가 그에게 말해준 이탈리아 민담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한 민담 중 하나는 렐런드의 디아나와 그녀의 연인 루시퍼의 신화와 유사하게, 달이 그녀의 연인인 새벽별에 의해 임신되는 것을 묘사한다.[101]
디아나는 또한 1967년부터 시작된 추분점을 둘러싼 특정 페라페리아 의식의 대상이기도 했다.[102]
8. 유산
8. 1. 언어
루마니아어에서 "요정"을 뜻하는 단어 자너/Zânăro[103], 레온어와 포르투갈어에서 "물의 요정"을 뜻하는 단어 ''xana'', 그리고 스페인어에서 "사격 표적"과 "모닝콜"을 뜻하는 단어 (디아나/dianaes) 모두 디아나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8. 2. 예술
르네상스 이후, 디아나의 신화는 오페라를 포함하여 시각 및 극예술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16세기에 디아나의 이미지는 프랑스 국왕 앙리 2세의 애첩 디안 드 푸아티에를 기리기 위해 퐁텐블로 성, 슈농소 성, 아네 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루이 14세가 자신을 아폴로와 같은 "태양왕"으로 묘사하며, 디아나를 포함한 올림푸스 신화의 도상을 자신의 주변에 배치했다. 디아나는 1876년 레오 들리브의 발레 ''실비아''의 등장인물이기도 하다. 줄거리는 디아나의 님프 중 한 명이자 정절을 맹세한 실비아와 양치기 아민타스에 대한 실비아의 애정에 대한 디아나의 공격을 다룬다.
디아나는 미술에서 가장 인기 있는 주제 중 하나였다. 티치아노, 페테르 파울 루벤스, 프랑수아 부셰, 니콜라 푸생과 같은 화가들은 그녀의 신화를 주요 주제로 활용했다. 미술 작품 속 디아나의 묘사는 대부분 디아나와 악타이온, 또는 칼리스토의 이야기, 혹은 사냥 후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 티치아노의 ''디아나와 악타이온'', ''디아나와 칼리스토'', 그리고 ''악타이온의 죽음''
- 프랑수아 부셰의 ''디아나와 칼리스토'', ''사냥에서 돌아오는 디아나'', ''목욕 후 휴식을 취하는 디아나'', 그리고 ''목욕에서 나오는 디아나''
- 렘브란트의 ''님프들과 함께 목욕하는 디아나''
- 푸생의 ''디아나와 엔디미온''
- 루벤스의 ''디아나와 칼리스토'', ''사냥을 떠나는 디아나와 님프들'', ''목신에게 놀라는 디아나와 님프들''
- 요한 미하엘 로트마이어의 ''디아나와 엔디미온''


thumb의 ''Diana'' (1892–93).]]
thumb의 청동 조각상 ''Diana Wounded''.]]
- 에드거 버트럼 매케날 경의 청동 조각상 ''Diana Wounded''는 런던의 테이트 갤러리에 소장되어 있다 (1908년 구입).[105]
- 이탈리아 카세르타 궁전의 유명한 분수는 파올로 페르시코, 브루넬리, 피에트로 솔라리가 제작했으며, 악타이온에게 놀라는 디아나를 묘사한다.
- 크리스토프 가브리엘 알레그랭의 조각상은 루브르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 오거스터스 세인트 고든스의 구리 조각상 ''타워의 디아나''는 1893년 두 번째 매디슨 스퀘어 가든의 풍향계로 제작되었다. 현재는 필라델피아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시드니의 아치볼드 분수에 있는 프랑스 조각가 프랑수아-레옹 시카르의 [https://web.archive.org/web/20140823073936/http://www.dictionaryofsydney.org/item/18337 조각].[106]
- 파르마의 산 파올로 수도원에서는 안토니오 알레그리 다 코레조가 아베스 조반나 피아첸차의 아파트 방을 그렸다. 그는 1519년에 천장과 벽난로 받침대를 그리도록 의뢰받았는데, 벽난로 받침대에는 사슴이 끄는 수레를 탄 디아나의 이미지를 그렸다.
- ''Fuente de la Diana Cazadora'' [헌트리스 디아나 분수]는 멕시코 시티의 파세오 데 라 레포르마에 위치해 있다.
- 안나 하이엇 헌팅턴의 1922년 청동 조각상 ''Diana of the Chase''는 하버드 대학교의 포그 미술관, 뉴욕 시티의 뉴욕 역사 협회, 캘리포니아주 산 마리노의 헌팅턴 미술관 등에 전시되어 있다. 이 조각상의 가장 유명한 복제품 중 하나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브룩그린 가든에서 찾아볼 수 있다.
- 보자르 건축 및 정원 디자인 (19세기 후반 및 20세기 초)은 현대화된 형태로 고전적인 참조를 사용했다. 이 시대의 가장 인기 있는 두 가지는 농업의 은유로서의 포모나 (과수원의 여신)와 이익과 이점을 위한 영원한 사냥을 나타내는 상업을 상징하는 디아나였다.
thumb (왼쪽)와 디아나.]]
불가리아 얌볼에는 사냥꾼 디아나의 조각상이 많이 있다.
8. 3. 문학
르네상스 이후, 디아나의 신화는 시각 및 극예술에서 자주 묘사되었는데, 오페라 ''L'arbore di Diana''가 그 예이다.[104] 16세기에 디아나의 이미지는 프랑스 국왕 앙리 2세의 애첩 디안 드 푸아티에를 기리기 위해 퐁텐블로 성, 슈농소 성, 아네 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104]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태양왕" 루이 14세가 자신을 아폴로와 같은 올림푸스 신화의 도상에 통합하면서 디아나 역시 포함되었다.[104] 레오 들리브의 1876년 발레 ''실비아''에서도 디아나가 등장하는데, 줄거리는 디아나의 님프 중 한 명이자 정절을 맹세한 실비아와 양치기 아민타스에 대한 실비아의 애정에 대한 디아나의 공격을 다룬다.[104]카를로스 푸엔테스의 소설 ''디아나 오 라 카사도라 솔테라''(Diana, or The Lone Huntress)의 주인공 디아나는 여신과 같은 성격을 가진 것으로 묘사된다.[104] 조나단 스위프트의 시 "미의 진보"에서 달의 여신인 디아나는 스위프트가 풍자적으로 묘사하는 17세기/18세기 초 일상적인 여성과 비교하여 사용된다.[104] 제프리 오브 몬머스의 ''브리타니아 열왕사''(Historia Regum Britanniae)에서 디아나는 트로이의 브루투스를 브리튼으로 인도하여 그와 그의 백성이 정착하게 한다.[104] 브라이언 헤일스의 어린이 소설 ''The Moon Stallion''(1978)과 동명의 BBC 텔레비전 시리즈의 주요 캐릭터 ''디아나''는 배우 사라 서튼이 연기한다.[104] 릭 라이어던의 ''혼혈 캠프 연대기''에서 디아나는 아르테미스의 로마적 화신으로 등장하며, ''폭군의 무덤''에서 아폴론은 타르퀴니우스와 그의 언데드 군대에 맞서기 위해 누이를 소환한다.[104]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페리클레스, 타이어의 왕자''에서 디아나는 페리클레스에게 환영으로 나타나 자신의 신전에 가서 자신의 이야기를 추종자들에게 하라고 말한다.[104] ''뜻대로 하세요''에서 헬레나는 "이제, 디안, 당신의 제단에서 날아가겠어요..."와 같은 여러 암시를 한다.[104]
비디오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의 디아나 캐릭터는 여신을 기반으로 한다.[104] 윌리엄 몰턴 마스턴은 원더우먼의 본명인 DC 코믹스의 다이애나 공주를 위한 비유적 기초로 디아나 원형을 차용했다.[104] 디아나는 또한 비디오 게임 ''라이즈''의 주요 신들 중 하나이다.[104] 만화 및 애니메이션 시리즈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에서 디아나는 우사기의 딸 치비우사의 고양이 동반자이며, 아르테미스와 루나의 딸이다.[104]
8. 4. 게임 및 만화
8. 5. 영화
르네상스 이후, 디아나의 신화는 시각 및 극예술에서 자주 묘사되었으며, 영화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등장한다.
- 장 콕토의 1946년 영화 ''미녀와 야수''에서 야수를 변모시키고 가둔 것은 디아나의 힘이다.[107]
- 디아나/아르테미스는 ''환타지아''의 '전원 교향곡' 부분 마지막에 등장한다.[107]
- 프랑수아 트뤼포는 1968년 영화 ''검은 옷을 입은 신부''에서 이 신화적 상징을 이용했다. 잔 모로가 연기한 줄리 콜러는 예술가 퍼거스를 위해 디아나/아르테미스로 분한다. 이 선택은 복수에 시달리는 인물인 줄리에게 적절해 보이며, 퍼거스는 그녀의 네 번째 희생자가 된다. 그녀는 흰색 옷을 입고 활과 화살을 든 채 포즈를 취한다.[107]
- 1995년 코미디 영화 ''네 개의 방''에서 마녀들은 새해 전날 석화된 디아나를 부활시킨다.[107]
- 프랑스 기반의 단체 LFKs와 그의 영화/연극 연출가, 작가, 시각 예술가 장 미셸 브뤼에르는 2002년에 600편의 단편과 "중편" 영화, 대화형 시청각 360° 설치 작품(''Si poteris narrare licet'' ("말할 수 있다면, 그렇게 해도 좋다"......)를 제작했고, 2008년부터 2016년까지 3D 360° 시청각 설치 작품 ''La Dispersion du Fils''[107], 야외 공연 "Une Brutalité pastorale"(2000)을 제작했는데, 이 모든 작품은 디아나와 악타이온의 신화를 다루고 있다.[107]
8. 6. 음악
르네상스 이후, 디아나의 신화는 오페라 ''L'arbore di Diana''를 포함하여 시각 및 극예술에서 자주 묘사되었다. 16세기에 디아나의 이미지는 프랑스 국왕 앙리 2세의 애첩 디안 드 푸아티에를 기리기 위해 퐁텐블로 성, 슈농소 성, 아네 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아폴로와 같은 "태양왕" 루이 14세가 자신을 에워싸는 올림푸스 신화의 도상에 통합되었다. 디아나는 또한 1876년 레오 들리브의 발레 ''실비아''의 등장인물이기도 하다. 줄거리는 디아나의 님프 중 한 명이자 정절을 맹세한 실비아와 양치기 아민타스에 대한 실비아의 애정에 대한 디아나의 공격을 다룬다.디아나는 장-필립 라모의 오페라인 ''힙폴리토와 아리치아''의 등장인물이다. 프로그레시브 메탈 밴드 프로테스트 더 히어로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포트리스''의 앨범 아트에서 디아나는 숫양과 다른 동물들에게 보호받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디아나의 테마는 앨범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
노르웨이 클래식 작곡가 마틴 롬베르그는 렐랜드의 텍스트 ''아라디아''의 시를 선택하여 7개의 파트로 구성된 미사곡을 작곡했는데, 여기에는 디아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마녀 미사"는 2012년 그렉스 보칼리스와 함께 베스트폴 국제 페스티벌에서 초연되었다. 음악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페스티벌 측은 퇸스베르그의 한 도로 터널을 통째로 막아 공연장으로 사용했다. 이 작품은 2014년 Lawo Classics를 통해 CD로 발매되었다. 아르테미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디아나는 AURORA의 2022년 앨범 ''The Gods We Can Touch''의 열두 번째 트랙인 "아르테미스"의 초점으로 사용된다.
8. 7. 기타
그녀의 오빠는 1997년 다이애나 왕세자비의 장례식에서 그의 여동생을 사냥의 고대 여신에 비유하며 "현대 시대 가장 사냥당한 인물"이라고 묘사했다. 공기총 회사인 DIANA Mayer & Grammelspacher GmbH & Co.KG는 사냥의 여신 디아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10] 네덜란드 왕립 공군 323 비행대는 디아나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휘장에 활을 든 디아나의 모습을 사용한다.[111] 2013년 멕시코 후아레스 시에서 "버스 운전사의 사냥꾼 디아나"라고 자칭하는 여성이 두 명의 버스 운전자를 총격하는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었는데, 이는 자경단 공격이었을 수 있다.[112][113] 디아나는 산호뱀의 한 종인 ''Micrurus diana''의 학명에 기념되어 있다.[114]참조
[1]
웹사이트
Diana – Roman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8-11-21
[2]
서적
Larousse Desk Reference Encyclopedia
The Book People
1995
[3]
서적
The Clay-footed Superheroes: Mythology Tales for the New Millennium
[4]
서적
Roman Religion and the Cult of Diana at Aric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1974
[6]
서적
The Nature of the God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7]
웹사이트
CNG-Ancient Greek, Roman, British Coins
https://www.cngcoins[...]
[8]
논문
Diana Nemorensis
1960
[9]
간행물
Diana Nemorensis
1960
[10]
문서
Carmina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Aeneid
[14]
문서
Carmina
[15]
문서
Epode
[16]
문서
VII 6, 4
[17]
서적
Tre' d'histoire des religionsait
1954
[18]
서적
La religion Romaine archaique
1974
[19]
뉴스
Artemis
http://www.greekmyth[...]
2012-11-11
[20]
문서
Fasti
[21]
문서
Ab Urbe Condita
[22]
웹사이트
Gods and Goddesses of Rome
http://www.novaroma.[...]
[23]
문서
Annales, Timaeus, Adversus Nationes
[24]
문서
Saturnalia, De Natura Deorum
[25]
논문
Diana and Actaeon: Metamorphoses of a Myth
1984
[26]
문서
Naturalis Historia
[27]
문서
CIL
[28]
웹사이트
The Goddess Diana
http://witchesofthec[...]
2012-11-27
[29]
문서
Carmina, Carmen Saeculare
[30]
문서
CIL
[31]
문서
CIL
[32]
문서
Ab Urbe Condita
[33]
서적
The cults of Campania
Papers and Monographs of the American Academy in Rome
1919
[34]
문서
Roman Questions
[35]
서적
The Forest in Folklore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01
[36]
서적
Sanctuaries of Artemis and the Domitii Ahenobarbi
Museum Tusculanum Press
2009
[37]
문서
1932
[38]
문서
[39]
서적
Introduction
Museum Tusculanum Press
2009
[40]
논문
On the Origin of Diana
1932
[41]
서적
Fasti
Harvard University Press
1931
[42]
문서
The Sound of Silence: Sacred Place in Byzantine and Post-Byzantine Devotional Art
2011
[43]
서적
The Ritual Theory of My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44]
문서
On the Origin of Diana
[45]
문서
1932
[46]
간행물
Diana Nemorensis, déesse latine, déesse hellénisée
1969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논문
On the Origin of Diana
1932
[59]
문서
[60]
웹사이트
Apuleius
https://www.wantedin[...]
2014-11-24
[61]
서적
An Introduction to Roman Religion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03
[62]
서적
Diana Efesia Multimammia: The metamorphosis of a pagan goddess from the Renaissance to the age of Neo-Classicism
Museum Tusculanum Press
2009
[63]
서적
Sanctuaries of the Goddess of the Hunt
Museum Tusculanum Press
2009
[64]
웹사이트
Diane Abnobae: to Diana Abnoba
http://www.deomercur[...]
2018-11-21
[65]
서적
Roman Lyric: Collected Papers on Catullus and Horace
Walter de Gruyter
2012
[66]
웹사이트
Diana, Roman religion
https://www.britanni[...]
2015-08-25
[67]
웹사이트
Latin Oration
https://www.scribd.c[...]
[68]
서적
Les dieux gaulois : répertoire des noms de divinités celtiques connus par l'épigraphie, les textes antiques et la toponymie
Editions Errance
2001
[69]
서적
The Golden Ass
Penguin classics
1998
[70]
문서
Commentary on Virgil's Aeneid
[71]
서적
The Works of the English Poets, from Chaucer to Cowper VOL.IV
1810
[72]
서적
The Fatal Hero: Diana, Deity of the Moon, As an Archetype of the Modern Hero in English Literature
1996
[73]
서적
Earth-Moon Relationships
2001
[74]
서적
Platonic Theology
[75]
서적
The Six Books of Proclus, the Platonic Successor, on the Theology of Plato
1816
[76]
간행물
Proclus and Artemis: On the Relevance of Neoplatonism to the Modern Study of Ancient Religion.
http://journals.open[...]
2000
[77]
서적
Pagan Survivals, Superstitions and Popular Cultures in Early Medieval Pastoral Literature.
PIMS
2005
[78]
서적
History of the Franks
https://archive.org/[...]
[79]
문서
McNamara's translation of the Vita Eligii
[80]
서적
Negotiating the Landscape: Environment and Monastic Identity in the Medieval Ardenn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2
[81]
서적
Aradia in Sardinia: The Archaeology of a Folk Character
Hidden Publishing
2009
[82]
서적
The Golden Bough
Wordsworth
1993
[83]
간행물
Frazer's anthropology: science and sensibility
[84]
서적
Aradia: The Gospel of Witches
Theophania Publishing, US
2010
[85]
문서
2000
[86]
문서
[87]
서적
A History of Witchcraft: Sorcerers, Heretics and Pagans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88]
서적
A Razor for a Goa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9]
문서
2000
[90]
서적
The Pagan Religions of the Ancient British Isles: Their Nature and Legacy
Oxford University Press
[91]
문서
[92]
웹사이트
The Gardnerian Book of Shadows
http://www.sacred-te[...]
2018-11-26
[93]
서적
Cunningham's Book of Shadows: The Path of An American Traditionalist
Llewellyn: Woodbury, MN
2009
[94]
웹사이트
Victor Henry Anderson (1917–2001)
https://web.archive.[...]
2015-02-19
[95]
서적
Forbidden Mysteries of Faery Witchcraft
Llewellyn Worldwide
2018
[96]
서적
Forward
Troy Books Publishing
2018
[97]
웹사이트
The McFarland Dianics – A Chronology – Spring Equinox, 2000
http://www.mcfarland[...]
[98]
서적
Holy Book of Women's Mysteries, The
1980
[99]
서적
Drawing Down the Moon: Witches, Druids, Goddess-Worshippers, and Other Pagans in America Today
Beacon press, Boston
1979
[100]
서적
The Encyclopedia of Modern Witchcraft and Neo-Paganism
2004
[101]
간행물
Italian American Stregheria and Wicca: Ethnic Ambivalence in American Neopaganism
https://www.academia[...]
ABC-Clio, Santa Barbara, CA
2006
[102]
웹사이트
Early Autumnal Festival
http://www.phaedrus.[...]
2018-11-26
[103]
웹사이트
Zână
http://www.toatecuvi[...]
[104]
서적
The Yale Shakespeare: the complete works
Barnes & Noble
[105]
문서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106]
웹사이트
City of Sydney
http://www.cityofsyd[...]
[107]
웹사이트
N E W M E D I A A R T . E U
http://www.newmediaa[...]
2024-07-28
[108]
웹사이트
Report from the planning of the concert
https://www.tb.no/ku[...]
tb.no
2012-04-12
[109]
웹사이트
Witch Mass on CD
http://www.challenge[...]
challengerecords.com
[110]
COMPANY
DIANA Mayer & Grammelspacher GmbH & Co.KG – THE DIANA TRADEMARK.
http://www.diana-air[...]
2012-11-27
[111]
웹사이트
F-16 Units – RNLAF 323rd squadron
http://www.f-16.net/[...]
[112]
웹사이트
Diana Huntress of Bus Drivers instils fear and respect in Ciudad Juárez
https://www.theguard[...]
2013-09-06
[113]
웹사이트
Diana, Hunter of Bus Drivers
http://www.thisameri[...]
2018-09-20
[114]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5]
서적
アエネーイス
新評論
[116]
문서
Poem: The Man in the Moone by Michael Drayton
http://www.poetrynoo[...]
[117]
서적
実践 悪魔学入門
二見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