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도비쿠스 5세 이네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5세는 서프랑크 왕국의 왕 로테르 2세의 아들로, 카롤링거 왕조의 마지막 국왕이었다. 979년 아버지와 함께 공동 국왕으로 즉위했으며, 986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단독으로 통치했으나 987년 승마 중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여러 번 결혼했으나 후사를 남기지 못했고, 그의 죽음으로 카롤링거 왕조가 단절되고 위그 카페가 프랑스 왕으로 선출되어 카페 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87년 사망 - 최지몽
최지몽은 낭주 최씨의 시조이자 고려 초기의 관료로서, 천문과 복서에 능통하여 태조 왕건의 통일을 예견하고 왕조 보위에 기여한 인물이다. - 987년 사망 - 쉬니 백작 오토 1세
쉬니 백작 오토 1세는 10세기 인물로, 로타링기아의 치니 백작이었으며, 신성 로마 황제 오토 1세의 외외종조부이다. - 960년대 출생 - 세이 쇼나곤
세이 쇼나곤은 헤이안 시대 궁중 여성으로 후지와라노 데이시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학식으로 이름을 알렸고, 궁정 생활을 배경으로 한 수필 『마쿠라노소시』를 남겨 일본 고전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 960년대 출생 - 바그라트 3세
바그라트 3세는 975년부터 1014년까지 조지아를 통치하며 압하지아 왕국 왕위 계승 후 여러 지역을 정복 및 합병하여 통일 조지아 왕국 건설에 기여하고 조지아 정교회 발전과 교회 및 대성당 건설을 통해 종교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서프랑크인의 왕 - 루도비쿠스 2세 발부스
루도비쿠스 2세 발부스는 샤를 2세의 아들이자 말더듬이로 불린 서프랑크 왕국의 국왕으로, 귀족들의 자치권을 인정하며 왕위를 유지하려 했으나 건강 악화로 사망했다. - 서프랑크인의 왕 -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
샤를마뉴의 아들이자 카롤링거 왕조의 황제인 루도비쿠스 1세 피우스는 '경건왕'이라는 별칭을 가졌으나, 정치적 무능과 상속 분쟁으로 인해 제국 분열을 초래했다.
루도비쿠스 5세 이네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서프랑크 국왕 |
별칭 | (무기력한 왕) |
전체 이름 | 루이 5세 |
출생일 | 966년/967년 |
사망일 | 987년 5월 22일 (20–21세) |
사망 장소 | 우아즈 아라스 숲 |
통치 | |
즉위 | 986년 3월 2일 |
대관식 | 979년 6월 8일, 콩피에뉴 |
이전 통치자 | 로테르 |
다음 통치자 | 위그 카페 |
결혼과 가족 | |
배우자 | 아델라이드 블랑슈 당주 (982년 결혼, 984년 무효) |
왕가 | 카롤링거 왕조 |
아버지 | 로테르 |
어머니 | 이탈리아의 엠마 |
2. 생애
루이 5세는 프랑스의 로테르 5세와 이탈리아의 엠마 왕비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978년 아버지에 의해 정치에 참여하게 되었고, 979년 6월 8일 랭스의 아달베로 대주교에 의해 콩피에뉴의 생 코르네유 수도원에서 공동 왕으로 즉위했다.[1]
982년 오비에유-브리우드에서 15세의 루이는 40세의 앙주 백작 아델라이드-블랑슈와 결혼했다.[2] 이 결혼은 왕국의 남부에서 카롤링거 왕가의 권력을 회복하고, 로베르티앵과의 싸움에서 남부 영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이었다. 결혼 직후, 루이와 아델라이드-블랑슈는 아키텐의 왕과 왕비로 즉위했다.[3] 그러나 이 부부는 나이 차이와 루이의 불륜 등으로 인해 불화를 겪었고, 결국 2년 만에 이혼했다.[4][5] 984년, 아델라이드는 루이를 떠나 가족에게 돌아갔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방스 백작 윌리엄 1세와 재혼했다.[6]
986년 3월 2일 아버지 로테르 5세가 죽자 루이 5세는 프랑크 왕국의 왕이 되었다. 그러나 당시 프랑크 궁정에는 오토 왕조와의 우호 관계를 추구하는 파벌과 로타링기아 회복을 원하는 파벌이 대립하고 있었다. 루이 5세는 랭스 대주교 아달베론을 반역 혐의로 공격하기도 했지만, 987년 봄에 화해를 모색했다.
987년 5월 22일, 루이 5세는 할라트 숲에서 사냥을 하던 중 낙마하여 사망했다.[8][9][10] 그는 콩피에뉴의 생 코르네유 수도원에 묻혔다. 루이 5세는 적법한 상속자를 남기지 않았으므로, 그의 삼촌 로렌 공작 샤를이 왕위 상속자로 지명되었다. 그러나 성직자들은 위그 카페의 선출을 주장했고, 결국 위그 카페가 프랑크 왕위에 오르면서 카롤링거 왕조의 통치는 끝나고 카페 왕가 시대가 시작되었다.
2. 1. 초기 활동
루이 5세는 서프랑크 왕국의 왕 로테르와 엠마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서프랑크 왕국의 초대 군주인 대머리 카를 2세의 5대손이었다. 모계로는 중프랑크 왕국의 왕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로타르 1세의 6대손이 된다. 신성 로마 제국의 오토 왕가와는 이중 삼중의 인척관계였지만 사이는 좋지 않았다. 루이 5세의 친동생으로 랭스 백작 외드가 있었고, 이복 동생인 랭스 대성당의 대주교를 지낸 아르눌프가 있었다.978년 6월부터 아버지 로테르에 의해 공동 국왕으로 임명되었지만, 실권은 없었다. 979년 6월 8일 꽁피에뉴의 성 코르넬리에 수도원에서 랭스의 아달베롱 대주교의 집전하에 공동 왕으로 대관을 받았다.[1]
969년 아키텐 백작 스테판과 툴루즈 백작 레이몽의 미망인인 아키텐의 윌렘 3세의 딸 아키텐의 아들라이데와 결혼하여 아키텐의 왕이 되었다.[18] 그러나 조건 결혼이었던 두 사람의 결혼은 원만하지 못했고, 자녀도 없었으며, 아들라이데는 2년 후에 아를로 도망가 버렸다. 루이는 980년 앙주의 백작 풀크 3세의 딸 아들라이데와 결혼하였지만 4년만인 984년에 이혼하고 만다.
982년에는 앙주 백작풀크 2세의 딸이자 툴루즈 백작 레몽(5세)의 미망인이었던 아델라이드-블랑슈[15][16]와 결혼했지만, 1년 후에 혼인을 해소했다.[17]
2. 2. 결혼
982년 오비에유-브리우드에서 15세의 루이는 40세의 앙주 백작 아델라이드-블랑슈와 결혼했다. 아델라이드-블랑슈는 앙주 백작 제프루아 1세의 누이였으며, 제보당 백작 스테판 및 툴루즈 백작 레이몽 3세와의 결혼으로 두 번이나 과부가 된 상태였다.[2] 이 결혼은 왕의 정치적 목적에 따라 이루어졌는데, 왕국의 남부에서 카롤링거 왕가의 권력을 회복하고, 로베르티앵과의 싸움에서 남부 영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 로테르 5세는 왕국의 가장 강력한 두 남부 백작 가문과 혼인함으로써 위그 카페의 권력에 맞설 수 있다고 믿었다.결혼 직후, 루이와 아델라이드-블랑슈는 아델라이드의 오빠인 르퓌의 주교 가이에 의해 아키텐의 왕과 왕비로 즉위했다.[3] 그러나 처음부터 이 부부는 함께 평화롭게 살 수 없었다.[4] 그들 사이의 큰 나이 차이뿐만 아니라, 루이의 불륜 때문이었다. 리체루스에 따르면, 그들은 부부로서의 사랑이 거의 없었고, 불화와 의견 불일치만 있었다고 한다. 그들은 함께 침실을 사용하지 않았고, 여행을 할 때는 각자 다른 숙소를 사용했으며, 대화를 할 때는 야외에서 몇 마디만 나누었다. 그들은 2년 동안 이런 식으로 살다가 성격 차이로 이혼했다.[5]
984년, 2년간의 자녀 없는 결혼 생활 후[4] 아델라이드는 어린 남편을 속여 아키텐을 방문하게 한 후 그를 떠나 가족에게 돌아갔고,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방스 백작 윌리엄 1세와 재혼했다.[6]
그러나 이 결혼의 존재는 최근 역사학자 칼리히르트 브륄에 의해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7]
982년에 앙주 백작풀크 2세의 딸이자, 툴루즈 백작 레몽(5세)의 미망인이었던 아델라이드-블랑슈[15][16]와 결혼했지만, 1년 후에 혼인을 해소했다.[17] 아델라이드-블랑슈는 그 후, 프로방스 백작 기욤 1세, 더 나아가 부르고뉴 백작오토-기욤에게 재가했다. 프랑스 국왕 로베르 2세의 왕비 콩스탕스는 아델라이드-블랑슈와 그녀의 네 번째 결혼 상대인 프로방스 백작 기욤 1세의 딸이다.[15]
2. 3. 치세
986년 로테르 3세가 죽은 후 루이는 실질적인 왕이 되어 혼자서 나라를 다스렸는데, 아버지 때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의 가문과 카페 가문의 위협을 받았다. 보소니드 가문 역시 루이 5세를 위협하는 주요 귀족 중 하나였다.[8]986년 아버지가 죽은 뒤부터는 혼자서 나라를 다스렸는데, 어머니 엠마와 랭스 대주교 아달베롱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6촌인 오토 3세와 친교를 맺으라고 충고했으나, 루이는 귀담아 듣지 않았다. 그해 11월 2일 어머니 엠마도 사망했다. 랭스의 대주교 아달베롱은 오토 가문과 루이를 화해시키려 노력했지만 루이는 듣지 않았고, 오히려 아달베롱을 반역 혐의로 감옥에 가두고 재판을 하려고 했다.
987년 5월 루이 5세는 주교 아달베롱의 반역죄를 추궁하려는 재판을 하려는 중에 승마를 하다, 상리스 근처 오이세의 알라떼 숲에서 말에서 떨어져 낙마 사고로 죽었다.[9][10] 친동생인 랭스 백작 외드는 그보다 앞서 986년에 먼저 사망했다. 루이 5세는 콩피에뉴의 생 코르네유 수도원에 묻혔다.
루이 5세는 적법한 상속자를 남기지 않았으므로, 그의 삼촌 로렌 공작 샤를이 왕위의 세습 상속자로 지명되었다. 그러나 아달베론과 게르베르를 포함한 성직자들은 왕족 출신일 뿐만 아니라 그의 행동과 군사력으로 자신을 증명한 위그 카페의 선출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위그는 프랑크 왕위에 선출되었고 아달베론은 그에게 왕관을 씌웠으며, 이 모든 일은 루이 5세의 죽음에서 두 달 안에 일어났다. 이로써 카롤링거 왕조의 통치는 끝나고 카페 왕가 시대가 시작되었다.[14]
2. 4. 죽음과 카롤링거 왕조의 몰락
루이 5세는 적법한 후계자가 없었다. 카롤링거 왕조의 다른 후손으로는 하(下) 로렌로타링기아 공작 샤를과 루이의 서제인 아르눌프가 있었으나, 제르베르 등 성직자와 귀족들은 강력한 귀족이자 군사력을 가진 카페 왕조의 위그 카페를 프랑스의 왕으로 선출하였다.[8][9][10] 루이 5세의 동생인 랭스 주교 외드는 986년 11월 13일에 이미 사망했고, 또 다른 동생 리샤르(Richard) 역시 991년 경에 사망하여 카를 2세의 직계는 단절되었다.샤를은 루이 5세의 삼촌이자 카롤링거 왕조의 마지막 혈손이었으나 귀족들에게 인기가 없었다. 따라서 왕위는 위그 카페에게 넘어갔고, 이로써 카롤링거 왕조는 막을 내리고 카페 왕조가 프랑스의 왕위를 잇게 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루이 4세 | |
아버지 | 로테르 2세 | |
어머니 | 이탈리아의 엠므 | |
동생 | 외드 | 986년 사망 |
동생 혹은 이복동생 | 랭스의 아르눌프 | 1021년 3월 5일 사망 |
왕비 | 아키텐의 아델라이드 | 아키텐의 왕 윌리엄 3세의 딸, 이혼 |
왕비 | 아델라이드-블랑슈 | 앙주 백작 풀크 2세의 딸, 이혼[15][16] |
외할아버지 | 로타리오 3세 | 이탈리아의 왕 |
외할머니 | 부르고뉴의 아델라이드 | 진외종조부인 오토 1세와 재혼 |
982년 앙주 백작 풀크 2세의 딸 아델라이드-블랑슈[15][16]와 결혼했지만, 1년 후에 혼인을 해소했다[17]. 아델라이드-블랑슈는 그 후, 프로방스 백작 기욤 1세, 부르고뉴 백작오토-기욤에게 재가했다. 프랑스 국왕 로베르 2세의 왕비 콩스탕스는 아델라이드-블랑슈와 그녀의 네 번째 결혼 상대인 프로방스 백작 기욤 1세의 딸이다[15].
참조
[1]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ambledon Continuum
2007
[2]
서적
La Préhistoire des Capétiens
1993
[3]
서적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3
[4]
서적
Fulk Nerra the Neo-Roman Consul, 987–104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5]
간행물
Historiarum libri quatuor
http://gallica.bnf.f[...]
Académie impériale de Reims
1855
[6]
간행물
Collection des mémoires de France par M. Guizot
http://remacle.org/b[...]
Paris
1824
[7]
서적
Naissance de deux peuples, Français et Allemands (10th–11th siècle)
Fayard
1996-08
[8]
웹사이트
Histoire de son temps II
https://books.google[...]
[9]
서적
The Capetians: Kings of France, 987–1328
Hambledon Continuum
2007
[10]
서적
The Carolingians; A Family who Forged Europ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3
[11]
문서
下津
[12]
문서
瀬原
[13]
문서
佐藤
[14]
문서
シャルル (下ロレーヌ公)
[15]
문서
柴田他
[16]
문서
ルゴレエル
[17]
서적
Fulk Nerra the Neo-Roman Consul, 987-104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18]
문서
아들라이데에게는 세 번째 재혼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