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방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방섬은 필리핀 루손섬 바로 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루방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면적은 약 125km²이며, 루방, 로오크 두 개의 지자체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카브라, 암빌, 골로 섬 등 주변 섬들을 포함하며,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 잔류병 오노다 히로오가 은신했던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현재는 어업과 관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루방 숲쥐, 루방섬 비늘발 도마뱀붙이 등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민도로주의 섬 - 민도로섬
민도로섬은 필리핀에서 일곱 번째로 큰 섬으로, 서민도로주와 동민도로주로 나뉘며, 민도로 산맥을 중심으로 고유종이 많은 생물 다양성의 중심지이자 농업과 관광업이 발달한 곳이다. - 서민도로주의 섬 - 아포리프
아포리프는 필리핀 민도로 해협에 위치한 삼각 환초로, 1980년 해양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 명소로 알려져 있다. - 필리핀의 섬 - 탈 화산
필리핀 루손섬 바탕가스주에 있는 탈 화산은 유라시아판과 필리핀 이동대 간의 섭입 작용으로 형성된 활화산으로, 거대한 칼데라 내에 탈 호수와 화산섬이 있으며 잦은 화산 활동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 필리핀의 섬 - 네그로스섬
네그로스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있는 섬으로,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크며, 서쪽에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가, 동쪽에는 네그로스오리엔탈주가 위치하고, 설탕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루방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필리핀 |
좌표 | 13°46′3″N 120°11′10″E |
군도 | 루방 제도 |
수역 | 남중국해 베르데 섬 통로 |
면적 | 125 km² |
최고 높이 | 610 m |
최고봉 | 암본옹산 |
행정 구역 | |
국가 | 필리핀 |
지방 | 미마로파 |
주 | 옥시덴탈민도로주 |
자치체 | 루방 로오크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기준) | 20,436명 |
2. 지리
민도로섬과 루방섬 사이는 카타비테 수로로 분리되어 있다. 동쪽에는 루손의 바탕가스주가 있고 마닐라에서 남서쪽 150km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다. 루방섬은 루방 제도에서 가장 큰 섬으로, 길이 30km, 폭 10km이며, 4개의 큰 섬과 여러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에는 둥근 모양의 앰빌섬(Ambil)이 있고, 남동쪽에는 길쭉한 골로섬(Golo)이, 서쪽에는 작은 카브라섬(Cabra)이 있다.[1]
루방섬은 행정구역상 미마로파 지역 서민도로주에 속하며 루방(Lubang)과 로오크(Looc)의 두 지자체로 구성된다. 루방 마을은 루방섬 서쪽 절반과 카브라섬을, 루크 마을은 루방섬 동쪽 절반과 앰빌섬, 골로섬을 관할한다. 제도에는 총 25개의 바랑가이(마을)가 있다.
주민 생활은 대부분 섬을 둘러싼 바다를 이용한 어업에 의존하지만, 하얀 모래 해변이 이어지는 아름다운 해안선 덕분에 관광 개발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투기 시덴(紫電機) 조종사 칸노 나오시가 불시착한 섬으로도 알려져 있다.
루방 제도는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네 개의 주요 섬, 즉 카브라, 루방섬, 암빌, 골로 섬으로 구성된다. 이 중 카브라 섬은 루방섬과 깊이 약 3km의 수로로 분리되어 있다. 그 외 탈리나스, 만다우이, 말라바투안 등 세 개의 작은 섬도 있다.[1]
2. 1. 루방섬
민도로섬과 루방섬 사이는 카타비테 수로로 분리되어 있다. 동쪽에는 루손의 바탕가스주가 있고 마닐라에서 남서쪽 150km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다. 길이 30km, 폭 10km의 루방섬은 4개의 큰 섬과 수 많은 작은 섬으로 이루어진 루방 제도의 가장 큰 섬이다. 동쪽에는 둥근 모양의 앰빌섬(Ambil)이 있고, 남동쪽에는 길쭉한 골로섬(Golo)이, 서쪽에는 작은 카브라섬(Cabra)이 있다.[1]루방섬은 행정구역상 미마로파 지역 서민도로주에 속하며 루방(Lubang)과 로오크(Looc)의 두 지자체를 구성하고 있다. 루방 마을은 루방섬 서쪽 절반과 카브라섬을 관할하고, 루크 마을은 루방섬 동쪽 절반과 앰빌섬, 골로섬 두 섬을 관할한다. 제도에 따라 25개 바랑가이(마을)가 있다.
생업의 대부분은 섬을 둘러싼 바다를 통한 어업에 의존하고 있지만, 하얀 모래 해변이 계속되는 아름다운 해안선이 있기 때문에 관광 개발의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전투기 시덴(紫電機) 승무원 칸노 나오시가 불시착한 섬으로도 알려져 있다.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네 개의 주요 섬이 있는데, 깊이가 약 3km에 달하는 수로를 사이에 두고 루방섬과 분리된 카브라 섬, 루방섬의 북동쪽에 있는 암빌, 그리고 마지막으로 골로 섬이다. 세 개의 작은 섬은 탈리나스(Talinas), 만다우이(Mandaui), 그리고 말라바투안(Malavatuan)이다.[1]
섬 이름 | 면적 | 설명 | 비고 |
---|---|---|---|
카브라(Cabra) | 대부분 나무가 우거져 있으며 길이가 약 3km이고 높이가 약 60m에 달한다. 섬의 북서쪽 끝에는 카브라 섬 등대(Cabra Island Lighthouse)가 있다.[1][2] | 루방 시의 카브라 바랑가이 | |
루방섬(Lubang Island) | 약 125km2 | 길이가 25km가 넘고 너비는 최대 10km에 달한다. | 필리핀 군도에서 34번째로 큰 섬 |
암빌(Ambil) | 약 26km2 | 높이가 760m가 넘는 사화산섬(extinct volcanic island)이다. 스페인 식민 시대 초기에 암빌이 분화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독일 과학자 칼 젬퍼(Carl Semper)가 암빌에 올라갔을 때 역사 시대에 분화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4] | 필리핀 군도에서 93번째로 큰 섬, 루옥 시의 암빌 바랑가이, 만다우이와 말라바투안이라는 두 개의 작은 섬 |
골로(Golo) | 약 26km2 | 길고 좁고 평평하다. | 루옥 시의 불라칸(Bulacan)과 탈라오타오(Talaotao)라는 두 개의 바랑가이 |
2. 2. 암빌섬
암빌은 높이가 760m가 넘는 사화산섬이며 면적은 26km2이다.[1] 스페인 식민 시대 초기에 암빌이 분화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독일 과학자 칼 젬퍼(Carl Semper)가 암빌에 올라갔을 때 역사 시대에 분화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4] 필리핀 군도에서 93번째로 큰 섬이다. 암빌은 만다우이(Mandaui)와 말라바투안(Malavatuan)이라는 두 개의 작은 섬과 함께 루옥(Looc) 시의 암빌 바랑가이(barangay)에 속한다.2. 3. 골로섬
골로섬은 길고 좁고 평평하며 면적은 약 26km2이다.[1] 루방섬의 루옥(Looc) 시에 속하며 불라칸(Bulacan)과 탈라오타오(Talaotao)라는 두 개의 바랑가이로 나뉜다.2. 4. 카브라섬
카브라섬은 루방 시 카브라 바랑가이에 속하며, 대부분 나무가 우거져 있다. 길이는 약 3km, 높이는 약 60m이다. 섬의 북서쪽 끝에는 카브라 섬 등대가 있다.[1][2] 카브라섬은 루방섬과 깊이가 약 3km에 달하는 수로를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있다.[1]2. 5. 기타 섬
루방 제도는 4개의 큰 섬과 수많은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에는 둥근 모양의 앰빌섬(Ambil)이 있고, 남동쪽에는 길쭉한 골로섬(Golo)이, 서쪽에는 작은 카브라섬(Cabra)이 있다.[1]섬 이름 | 설명 |
---|---|
카브라섬(Cabra) | 루방 시(municipality of Lubang)의 카브라(Cabra) 바랑가이(barangay)에 속하며, 대부분 나무가 우거져 있다. 길이는 약 3km이고 높이는 약 60m이다. 섬의 북서쪽 끝에는 카브라 섬 등대(Cabra Island Lighthouse)가 있다.[2] |
앰빌섬(Ambil) | 높이가 760m가 넘는 사화산섬(extinct volcanic island)이며 면적은 약 26km2이다.[1] 스페인 식민 시대(Spanish Colonial Era) 초기에 암빌이 분화했다는 보고가 있었다.[3] 그러나 19세기 후반에 독일 과학자 칼 젬퍼(Carl Semper)가 암빌에 올라갔을 때 역사 시대에 분화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4] 필리핀 군도에서 93번째로 큰 섬이다. 암빌은 만다우이(Mandaui)와 말라바투안(Malavatuan)이라는 두 개의 작은 섬과 함께 루옥(Looc) 시의 암빌 바랑가이(barangay)에 속한다. |
골로섬(Golo) | 길고 좁고 평평하며 면적은 약 26km2이다.[1] 루옥(Looc) 시의 불라칸(Bulacan)과 탈라오타오(Talaotao)라는 두 개의 바랑가이(barangay)로 나뉜다. |
기타 작은 섬 | 탈리나스(Talinas), 만다우이(Mandaui), 말라바투안(Malavatuan)[1] |
이 섬의 최근 역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사건은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항복병인 일본 육군 소위이자 정보 장교였던 오노다 히로의 이야기이다. 1944년 12월, 첩보 및 유격 지휘 임무를 받고 부하들과 함께 루방섬에 파견되어 게릴라전을 수행했다. 필리핀이 연합군에 의해 점령된 후에도, 오노다는 전쟁이 끝났다는 사실을 믿지 않고 정글 속에 숨어 부하들과 함께 게릴라전을 계속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주민들과 그의 부하들이 목숨을 잃었다.
3. 역사
전쟁이 끝난 지 29년 후인 1972년, 그의 부하들이 현지 경찰에 의해 사살되면서 오노다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1974년 3월, 그는 전 상관으로부터 임무 해제 명령을 받고 필리핀군에 항복했다.[6]
3. 1. 초기 역사
루방 섬은 원래 현재의 타갈로그족으로 발전한 원시 민족 집단이 처음 정착했다.[1] 루방 섬 주민들은 중국 상인들과 무역 접촉을 가진 필리핀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였는데, 이 섬이 당시 중국 상인들이 무역 기록에서 "마이(Ma-i)"라고 불렀던 곳으로 들어가는 입구였기 때문이다.[5]
스페인은 틸릭 항구 입구의 서쪽 지점에 산 비센테 요새(San Vicente Bastion)라는 요새를 건설했다. 19세기 후반, 미국은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필리핀을 병합했다.
3. 2. 스페인 식민 시대
루방 섬은 원래 현재의 타갈로그족으로 발전한 원시 민족 집단이 처음 정착했다.[1] 루방 섬 주민들은 중국 상인들과 무역 접촉을 가진 필리핀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였는데, 이 섬이 당시 중국 상인들이 무역 기록에서 "마이(Ma-i)"라고 불렀던 곳으로 들어가는 입구였기 때문이다.[5]
스페인은 틸릭 항구 입구의 서쪽 지점에 산 비센테 요새(San Vicente Bastion)라는 요새를 건설했다.
3. 3. 미국 식민 시대
루방 섬은 원래 현재의 타갈로그족으로 발전한 원시 민족 집단이 처음 정착했다.[1] 루방 섬 주민들은 중국 상인들과 무역 접촉을 가진 필리핀 최초의 사람들 중 하나였는데, 이 섬이 당시 중국 상인들이 무역 기록에서 "마이"라고 불렀던 곳으로 들어가는 입구였기 때문이다.[5]
19세기 후반, 미국은 스페인-미국 전쟁 이후 필리핀을 병합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과 오노다 히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루방 섬은 일본군 정보 장교였던 오노다 히로와 그의 부하 3명이 연합군이 필리핀을 탈환했을 때 정글에 숨어 지낸 곳이다. 이들은 미국, 그리고 나중에는 필리핀 연방군과 준군사 경찰에 맞서 지속적이고 때로는 치명적인 게릴라전을 벌였다. 부하 중 한 명은 항복했고, 두 명은 수십 년 동안 사망했다.[6]
1944년 12월, 오노다 히로는 첩보와 유격 지휘 임무를 맡은 부하들과 함께 루방섬에서 게릴라 활동을 했다. 필리핀이 연합군에 제압된 후에도 정글에 숨어 전쟁이 끝났다는 사실을 믿지 못하고 부하들과 게릴라전을 계속하였고, 그 과정에서 많은 주민과 부하들이 사망했다.
전쟁이 끝난 뒤 29년 후인 1972년에 그의 부하들이 현지 경찰에 사살된 것을 계기로 그의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1974년 3월, 전 상관에게 임무 해제 명령을 받고 필리핀군에 항복했다.[6]
오노다의 루방 섬 생활을 다룬 영화로는 ''오노다의 전쟁''(2016)[7]과 ''오노다: 정글의 1만 야경''(2021)이 있다.[8] 베르너 헤르초크는 이 사건을 바탕으로 소설 ''황혼의 세계''를 썼다.[8]
3. 5. 칸노 나오시
이 섬의 최근 역사에서 가장 흥미로운 이야기는 제2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항복병인 일본 육군 소위 정보 장교 오노다 히로의 사건이다. 그는 1944년 12월 첩보와 유격 지휘 임무를 맡은 부하들과 함께 루방섬에서 게릴라 활동을 했다. 필리핀이 연합군에 제압된 후에도 정글에 숨어 전쟁이 끝났다는 사실을 믿지 못하고 부하들과 게릴라전을 계속하였고, 그 과정에서 많은 주민과 부하들이 사망했다.[6]
1972년 그의 부하들이 현지 경찰에 사살된 것을 계기로 그의 존재가 알려졌으며, 1974년 3월 전 상관의 임무 해제 명령을 받고 필리핀군에 항복했다. 그는 전쟁이 끝난 지 29년 후 전직 지휘관에 의해 공식적으로 복무 해제되어 마지막 일본군 중 한 명으로 항복했다.[6] 오노다의 루방 섬 생활을 다룬 ''오노다의 전쟁''(2016)[7]과 ''오노다: 정글의 1만 야경''(2021) 두 편의 영화가 있다.[8] 또한, 베르너 헤르초크는 이에 관한 소설 ''황혼의 세계''를 썼다.[8]
4. 행정 구역
루방섬은 행정구역상 서민도로주에 속하며 루방(Lubang)과 로오크(Looc) 두 개의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다. 루방 마을은 루방섬 서쪽 절반과 카브라섬을 관할하고, 루크 마을은 루방섬 동쪽 절반과 앰빌섬, 골로섬을 관할한다. 제도에는 총 25개의 바랑가이(마을)가 있다.[1]
5. 경제
주민들의 주요 생업은 섬 주변 해역에서의 어업과 쌀, 마늘, 땅콩, 채소 재배이다. 섬의 아름다운 백사장 해안선을 바탕으로 관광업의 경제적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6. 생물 다양성
루방섬은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특히, 필리핀 루방 제도에 고유한 루방 숲쥐(Apomys lubangensis)와 같은 희귀종도 발견된다.[9]
루방 제도의 멧돼지(Sus spp) 개체군은 별개의 개체군을 나타낼 수 있으며, 형태 및 계통 발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섬에는 루방섬 비늘발 도마뱀붙이(Lepidodactylus nakahiwalay)[10], 루방섬 가는석용(Brachymeles ligtas)[11], 필리핀 코브라(Naja philippinensis)[12], 킹 코브라 종(Ophiophagus spp.)[13] 등 다양한 파충류가 서식한다. 이 파충류들은 과거 해발 2800m까지의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서식지 감소와 남획으로 인해 외딴 숲에 국한되어 서식하고 있다.[14]
이 섬에서 발견할 수 있는 조류에는 동양쇠딱따구리, 금빛박쥐, 맹그로브파랑딱새, 흰목쇠딱따구리, 필리핀 엽조, 검은목휘파람새, 붉은극락조, 자색목태양새, 아름다운태양새 등이 있다.[17]
루방섬과 그 주변 섬의 바다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베르데섬 해협과 만난다.[18]
6. 1. 포유류
루방 숲쥐(Apomys lubangensis)는 필리핀 루방 제도에 고유한 설치류 종이다.[9]루방 제도의 멧돼지(Sus spp) 개체군은 별개의 개체군을 나타낼 수 있다. 계통을 확인하려면 형태 및 계통 발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6. 2. 파충류
루방섬에는 다양한 파충류가 서식하고 있다.- '''루방섬 비늘발 도마뱀붙이(Lepidodactylus nakahiwalay)'''는 필리핀 루방 제도에 고유한 도마뱀목 게코과의 한 종이다.[10]
- '''루방섬 가는석용(Brachymeles ligtas)'''는 필리핀 루방 제도에 고유한 도마뱀목 석용과의 한 종이다.[11]
- '''필리핀 코브라(Naja philippinensis)'''[12]와 '''킹 코브라''' 종(Ophiophagus spp.)도 루방 제도에서 발견된다.[13]
이 파충류들은 과거에는 해발 0m부터 최대 2800m까지의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었으나, 서식지 감소와 남획으로 인해 현재는 외딴 숲에 국한되어 서식하고 있다.[14]
6. 3. 조류
이 섬에서 발견할 수 있는 조류에는 동양쇠딱따구리, 금빛박쥐, 맹그로브파랑딱새, 흰목쇠딱따구리, 필리핀 엽조, 검은목휘파람새, 붉은극락조, 자색목태양새, 아름다운태양새 등이 있다.[17]6. 4. 해양 생물
루방섬과 그 주변 섬의 바다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베르데섬 해협과 만난다.[18]참조
[1]
서적
The Gems of the East: Sixteen Thousand Miles of Research Travel Among Wild and Tame Tribes of Enchanting Islands
https://books.google[...]
Harper & Bros.
1904
[2]
서적
Philippine Islands Sailing Directions: Section II: Southwest and South Coasts of Luzon and Adjacent Islands from Manila to San Bernardino Straits
https://books.google[...]
U.S. Coast and Geodetic Survey
1906
[3]
서적
A description of active and extinct volcanos, of earthquakes, and of thermal springs
https://books.google[...]
Richard and John E. Taylor
1848
[4]
서적
Report of the Geology of the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01
[5]
논문
Cultural Encounters and Transformation of Early Historical Polities on Lubang Island, the Philippines, Ca. A.D. 1200-1800
University of Arizona
2009
[6]
학술지
A Straggler Returns: Onoda Hirō and Japanese Memories of the War
1999-10
[7]
웹사이트
Onoda's War
https://www.rhymelu.[...]
2022-03-08
[8]
웹사이트
The Twilight World
https://en.wikipedia[...]
2024-08-26
[9]
학술지
Two new species of Philippine forest mice (''Apomys'', Muridae, Rodentia) from Lubang and Luzon Islands, with a redescription of ''Apomys sacobianus'' Johnson, 1962
2014-01
[10]
웹사이트
Genus Lepidodactylus - taxonomy & distribution / RepFocus
http://www.repfocus.[...]
2021-12-06
[11]
데이터베이스
2020-10-13
[12]
학술지
Naja philippinensis (Northern Philippine Cobra): Philippines, Lubang Island
2017-09
[13]
학술지
Taxonomic revision of the king cobra ''Ophiophagus hannah'' (Cantor, 1836) species complex (Reptilia: Serpentes: Elapidae), with the description of two new species
https://europeanjour[...]
[14]
웹사이트
Philippine Warty Pig articles - Encyclopedia of Life
https://eol.org/page[...]
[15]
학술지
First records of ''Myxomycetes'' from Lubang Island, Occidental Mindoro, Philippines
2012
[16]
학술지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yxomycetes in coastal and mountain forests of Lubang Island, Occidental Mindoro, Philippines
2016
[17]
학술지
Three new records from Lubang island, Philippines
2007
[18]
서적
The Coral Triangle: the 2011 Hearst Philippine Biodiversity Expedition
California Academy of Sciences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