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그로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그로스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위치한 섬으로, 면적 13,309.6km²로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크다. 서쪽에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 동쪽에는 네그로스오리엔탈주가 위치하며, 두 주는 힐리가이논어와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지역으로 나뉜다. 주요 도시는 바콜로드와 두마게테이다. 과거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네그로스 공화국으로 독립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미국 식민지 시대를 겪었다. 현재 설탕 생산 중심지이며, 관광 산업도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그로스섬 지방 - 서네그로스주
    네그로스 섬 서쪽에 위치한 서네그로스주는 필리핀 설탕 산업의 중심지로 "필리핀의 슈가볼"이라 불리며,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경제 다변화를 이루어 발전된 지방으로 성장하고 있다.
  • 네그로스섬 지방 - 동네그로스주
    동네그로스주는 필리핀 네그로스 섬의 남동쪽 절반을 차지하며, 스페인 식민 시대부터 역사를 가진 주로, 두마게테를 주도로 하고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며 기독교가 다수이고 농업이 주요 산업이며 최근에는 BPO 산업과 관광업이 성장하고 2024년에 네그로스 섬 지역으로 이전되었다.
  • 동네그로스주의 섬 - 아포섬
    아포섬은 필리핀의 해양 관광지로, 다양한 해양 생물과 산호가 서식하여 다이빙과 스노클링 명소로 알려져 있으나, 환경 문제에 직면하여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인 해양 보호 구역이다.
  • 서네그로스주의 섬 - 라카원섬
    필리핀 네그로스옥시덴탈주에 있는 라카원섬은 썰물 때 걸어갈 수 있는 지형과 백사장 해변으로 유명하며, 태풍 피해를 입었지만 보트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
네그로스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섬 정보
2016년 센티넬-2에 의해 촬영된 네그로스섬 위성 이미지
네그로스섬 위성 이미지 (2016년 센티넬-2 촬영)
위치동남아시아
군도비사야 제도
좌표10° 19′ 37″ N, 123° 10′ 59″ E
해역보홀해
기마라스 해협
파나이만
술루해
타뇬 해협
비사얀해
면적13,309.60 km²
해안선 길이644.90 km
최고점칸라온산
높이2465 m
소속 국가필리핀
행정 구역 단위 (지역)네그로스 아일랜드 지역
행정 구역 단위 (주)네그로스옥시덴탈주
네그로스오리엔탈주
최대 도시바콜로드
최대 도시 인구600,783명
인구4,656,945명 (2020년)
인구 밀도350명/km²
주민네그렌세스, 네그로스아논, 네그오렌세스 (네그로스오리엔탈주 거주민)
민족비사야족 (힐리가이논족세부아노족)

2. 역사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네그로스는 원래 "잘려나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옛 힐리게이논어 단어인 ''Buglas''로 불렸다. 이는 이 섬이 더 큰 육지에서 분리되었다는 믿음 때문이다.[14] 세부아노를 사용하는 비사야인들 사이에서는 ''Mamaylan''과 ''Panilougon''으로도 알려져 있었다.[14] 이 섬의 가장 초기 주민들 중에는 아타 원주민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동남아시아 전역에 흩어져 있는 여러 원주민 네그리토 민족 집단 중 하나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섬의 서쪽 지역은 이웃 섬인 파나이와 기마라스의 마자스 케다투안의 명목상 지배를 받게 되었고, 동쪽 지역은 이웃 세부 섬의 세부 라자국의 영향을 받았다.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734년 ''필리핀 제도의 수문 및 지리지도(Carta Hydrographica y Chorographica de las Yslas Filipinas)''에 묘사된 네그로스섬("부글라스")


1565년 4월 섬에 도착한 스페인 식민 개척자들은 어두운 피부색의 원주민들을 보고 그 땅을 "네그로스"라고 불렀다.[15][16] 네그로스섬의 원래 이름은 "부글라스(Buglas)"였는데, 고대 현지어로 "잘려나간 섬"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설에 따르면 네그로스섬은 거대한 대륙의 일부였으나, 바다에 의해 잘려나갔다고 한다. 이를 대륙 이동으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고,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15] 가장 초기의 원주민 정착지 중 두 곳인 비날바간과 일로그는 각각 1573년과 1584년에 마을이 되었으며, 그 시대의 다른 정착지로는 히니가란, 바고, 마라요(현재 폰테베드라), 마말란(현재 히마마얀), 칸다구이트(현재 산 엔리케의 시티오)가 있다.[15][16]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엔코멘데로들을 섬에 임명한 후, 네그로스를 오톤 주지사의 관할 아래 파나이에 두었다.[15] 1734년에 섬은 일로그를 첫 수도로 하는 군사지구가 되었다.[15] 정부의 중심지는 나중에 히마마얀으로 이전되었다가 1849년에 바콜로드가 수도가 되었다.[15] 이 기간 동안 교회와 관리, 스페인인 이주민, 원주민 내 지배층들은 농장을 확장했고, 많은 농민들은 소작농이나 농장 노동자로 전락했다. 19세기 중반, 맞은편 일로일로시는 부유한 항구 도시이자 당시 비사야의 중심 도시였는데, 이곳의 영국 부영사 니콜라스 루니(Nicholas Loney)는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았던 설탕 산업에 주목하여 자금을 대출하며 설탕 산업을 육성했다. 일로일로의 부유층은 네그로스섬의 대규모 개발에 나서면서 사탕수수 재배가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1700년대 말까지 네그로스섬에는 5,741가구의 원주민 가족이 있었다.[15][16]

1890년, 이 섬은 오늘날의 네그로스옥시덴탈과 네그로스오리엔탈 두 주로 공식적으로 분할되었다.[17] 스페인 총독 D. 이시드로 카스트로 이 신세로스는 1898년 11월 6일 아니세토 락손과 후안 아라네타가 이끄는 네그로스 혁명 세력에게 항복했다.[17]

2. 3. 필리핀 혁명과 네그로스 공화국

1898년 11월 3일부터 6일까지, 네그로스 주민들은 이시드로 데 카스트로(Isidro de Castro) 대령이 이끄는 스페인 식민 정부에 반란을 일으켰다.[18] 스페인군은 바콜로드(Bacolod)를 향해 집게형 공격으로 진군하는 무장 부대를 보고 항복하기로 결정했다. 바고 출신의 후안 아라네타(Juan Araneta) 장군과 탈리사이 출신의 아니세토 락손(Aniceto Lacson) 장군이 이끄는 혁명군은 야자수 잎으로 만든 가짜 소총과 검게 칠한 대나무 매트로 만든 가짜 대포를 사용했다. 11월 6일 오후, 데 카스트로 대령은 항복 문서에 서명하여 네그로스 옥시덴탈(Negros Occidental)에서 수 세기 동안 지속된 스페인 식민 통치를 종식시켰다.[18]

이 사건을 기념하여 매년 11월 5일은 특별 휴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는 1989년 2월 10일 대통령 코라손 아키노(Corazon Aquino)가 서명한 공화국 법률 제6709호에 의거한다.

1898년 11월 27일, 네그로스 준공화국은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포했지만,[18] 1899년 4월 30일 미국이 이 지역을 보호령으로 삼으면서 단명했다. 이 지역은 1899년 7월 22일 네그로스 공화국(República de Negroses)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결국 1901년 4월 30일 미국에 의해 해산되어 필리핀 제도의 미국 군정에 병합되었다.

단명했던 공화국의 지도자들은 다음과 같다.[18]

  • 아니세토 락손(Aniceto Lacson), 1898년 11월 5일 – 1899년 7월 22일 (네그로스 옥시덴탈에서는 1898년 11월 27일까지)
  • 데메트리오 라레나(Demetrio Larena), 1898년 11월 24일 – 1898년 11월 27일 (네그로스 오리엔탈)
  • 제헌 의회 의장 호세 루주리아가(José Luzuriaga), 1899년 7월 22일 – 1899년 11월 6일
  • 전쟁 장관 후안 아라네타(Juan Araneta)
  • 민정 장관 멜레시오 세베리노(Melecio Severino), 1899년 11월 6일 – 1901년 4월 30일
  • 사법 장관 안토니오 레데스마 제이메(Antonio Ledesma Jayme), 1898년 11월 5일 – 1899년 7월 22일

단명했던 네그로스 공화국의 국기

2. 4. 미국 식민지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14년부터 1927년까지 서네그로스 지역에는 여러 새로운 정착지가 생겨났고, 이들은 네그로스의 화산토에서 재배된 매우 단맛이 나는 사탕수수를 가공하는 여러 "사탕 공장(sugar centrals)"으로 향하는 철도로 연결된 도시가 되었다. 이 사탕 공장들은 주변 농촌 지역에 자리 잡은 여러 "농장(Haciendas)"에서 생산된 사탕수수를 가공했다. 이러한 농장들은 시골을 뒤덮었고, 중앙 사탕 공장들은 결국 완전한 도시로 성장했다. 그 중 대표적인 곳은 일로그(Ilog), 히니가란(Hinigaran), 라 카를로타(La Carlota), 실라이(Silay), 풀루판단(Pulupandan), 바콜로드(Bacolod), 산 카를로스(San Carlos) 및 바이스(Bais)였다.[19] 서네그로스는 또한 파나이(Panay)에서 대규모 이민을 경험했는데, 농장을 관리했던 스페인, 중국, 프랑스 메스티소들이[20] 네그로스의 사탕수수 농장 경작을 위해 파나이 섬에서 노동자들을 수입하여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들을 몰아냈다.[21] 네그로스 동쪽은 그렇게 밀집해서 정착하지 않았지만, 교육의 중심지가 되었다.[17] 1901년 4월 9일,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William H. Taft) 의장의 제2 필리핀 위원회(Second Philippine Commission)가 두마게테(Dumaguete)에 도착했다. 몇 주 후인 5월 1일, 미국 주권 하의 민정이 수립되었고, 8월 28일 데이비드 S. 히바드(David S. Hibbard) 박사가 필리핀과 아시아 대륙 전체 최초의 미국 학교인 현재의 실리만 대학교(Silliman University)를 설립했다. 두마게테 최초 시장 멜리톤 라레나(Meliton Larena)와 데메트리오 라레나(Demetrio Larena)의 도움을 받았다. 따라서 네그로스는 필리핀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섬 중 하나이며, 구성 도시 수도 가장 많은 섬 중 하나이다.[22]

태평양 전쟁에서 네그로스섬도 일본군의 점령하에 놓였고, 주민 대부분은 산으로 피했다. 1944년, 반대로 미국군이 침공해 오자 일본군이 산으로 도망쳐 저항 끝에 1945년 8월 6일 항복했다.

2. 5. 설탕 경제의 위기와 내전 (1970년대~1990년대)

1970년대 초, 국제 사탕 가격 급등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필리핀 사탕 위원회(Philsucom)와 국가 사탕 무역 공사(NASUTRA)를 통해 사탕 무역을 통제했다.[23] 그러나 국제 사탕 가격이 폭락하면서[24][25] NASUTRA의 독점으로 인해 많은 사탕 재배농들이 파산하거나 빚더미에 올랐다. 1984년에는 19만 명이 넘는 사탕수수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고,[26][23] 약 100만 명의 농장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네그로스 기근"으로 고통받았다.[27] 1985년 사탕 가격 폭락으로 네그로스섬의 사탕 산업은 타격을 입었고, 이는 대규모 실업과 기아로 이어졌다. 유니세프는 10만 명이 넘는 아동들이 기아 위기에 처해 있다고 호소했으며, 일본 네그로스 캠페인 위원회 등의 NGO가 구호 활동을 시작했다.

옥스팜의 존 실바[28]는 네그로스섬의 참상을 묘사했고, 국제 구호 단체와 현지 NGO, 가톨릭 교회가 구호 활동을 펼쳤다.

1974년 미국과의 특혜 관세 무역 중단, EC 등의 사탕무 생산 증가, 대체 감미료 생산 증가, 석유파동(오일쇼크)으로 인한 각국의 자국 산업 보호 우선시 등이 필리핀산 원당 수요 감소의 원인이었다. 마르코스 독재 정권 말기의 정치 경제 불안정으로 인한 은행 융자 이자 급등 또한 농장주들이 사탕수수 재배를 포기하게 된 원인 중 하나였다.

사회적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1985년 9월 20일 준군사조직이 시위 농민들을 학살한 에스칼란테 학살이 발생하여 20~30명이 사망하고 3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30][31]

기근과 사회 불안은 마르크스-레닌주의-마오이즘 계열의 신인민군(NPA) 세력 확장을 초래했다.[32] 1970년대 이후 빈부 격차 심화로 신인민군(NPA) 가담자가 증가했고, 무력 공격과 납치가 잇따랐다. 정부군의 대규모 군사 작전으로 내전이 격화되었고, 1990년대 중반 NPA는 거의 괴멸되었지만, 내전의 후유증은 여전히 남아있다. 정부는 1988년 이후 토지 개혁을 시도했지만, 지주들의 저항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2. 6. 네그로스섬 지역 (2015-2017, 2024-)

단일 섬 지역을 위한 운동은 1980년대에 네그로스오시덴탈주와 네그로스오리엔탈주의 관리들이 한 섬, 한 지역 단위를 제안하면서 시작되었다. 네그로스오시덴탈주와 네그로스오리엔탈주는 필리핀에서 같은 섬에 위치하지만 인접한 파나이와 세부에 지역 사무소가 있는 두 개의 다른 행정 지역에 속하는 유일한 주였다. 네그로스섬의 두 주를 통합하려는 움직임은 1990년대와 2010년대에 계속되었다.[33]

대통령령 183호의 첫 페이지 (네그로스섬 지역 설립)


네그로스 지역 설립을 위한 캠페인은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이 내무 및 지방정부부(DILG)에 새로운 지역 설립을 연구하도록 지시하면서 성과를 거두었다.[34] 정부 기관은 나중에 이러한 조치를 승인했다.[35] NEDA는 연구 결과 제안된 지역이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함을 보여준다고 확인했다.[36]

2015년 5월 29일, 아키노 대통령은 네그로스섬 지역을 설립한 ''대통령령 183호''에 서명했다.[37] 이는 네그로스오시덴탈주와 그 중심지인 바콜로드를 서비사야스 지역(6지역)에서, 네그로스오리엔탈주를 중비사야스 지역(7지역)에서 분리하여 섬 지역을 형성했으며, 이로써 필리핀 지역의 총 수는 18개가 되었다.[10][11]

2017년 8월 9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예산부 장관인 베냐민 디옥노에 따르면 네그로스섬 지역(NIR)을 완전히 설립할 자금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183호 행정명령을 폐지하는 38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38] 이러한 해산은 네그로스섬 지역 관리들을 당황하게 했고, 네그로스 주민(Negrenses)들의 강력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38]

2024년 6월 13일, 네그로스섬은 인근 시키호르(Siquijor)와 함께 봉봉 마르코스(Bongbong Marcos) 대통령이 서명한 12000호 공화국 법률에 따라 재설립된 네그로스섬 지역으로 통합되었다.[39]

3. 지리

동쪽으로 타뇬 해협을 사이에 두고 세부(세부주)가 있고, 그 남쪽으로는 작은 시키호르섬(시키호루주)가 있다. 남쪽 민다나오해(보홀해)를 끼고 삼보앙가 반도지방의 북삼보앙가주가 있다. 서쪽은 파나이섬 사이에 파나이만이 있고, 그 앞에 술루해가 펼쳐져 있다. 북서쪽으로는 기마라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기마라스섬(기마라스주)가 있고, 그 앞에 여러 해협을 사이에 두고 파나이섬의 남쪽 부분을 차지하는 엘로엘로가 있다. 북쪽에는 비사얀해가 있다.

네그로스섬은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 나뉘어 있다. 이곳은 네그로스섬 지방에 속한 동네그로스주서네그로스주이다. 이 세그먼트는 섬 중앙 부분의 산맥을 기반으로 하며, 또한 이 지역의 두 민족 집단의 구분에 근거한다. 서부(서네그로스주)는 비사야 어족 중에서도 이롱고어(히리가이논어)를 말하는 사람, 동쪽(동네그로스주)은 세부아노어를 쓰는 사람들이다.

주요 도시는 파나이섬과 해협에 위치한 서네그로스주의 주도 바콜로드(Bacolod, 인구 42만 9천명)와 세부시, 시키호르섬을 향하는 동네그로스주의 주도 두마게테(Dumaguete, 인구 10만 3천명)이다.

섬의 동부는 낮은 산들이 해안까지 뻗어있는 지형이다. 한편 섬의 북쪽과 서쪽은 넓은 평야지대이며, 사탕수수 밭이 펼쳐져 있다. 섬 북부의 ‘칸라온 화산’(Canlaon Volcano 해발 2465m)은 바콜로드시 근처에 우뚝 솟아 가끔 활동한다. 섬 남쪽에는 ‘쿠에르노스 데 네그로스산’(Cuernos de Negros "네그로스 뿔" 해발 1864m)에는 성층 화산이 있다.

네그로스 옥시덴탈주 산 카를로스 시의 항공 사진


네그로스는 사마르섬 다음으로 비사야 제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며, 총 면적은 13,309.6 km²이다.[1] 서쪽으로는 파나이섬과 기마라스섬, 동쪽으로는 세부섬 사이에 위치하며, 섬의 남쪽 끝에는 시키호르섬, 북쪽에는 반타얀섬이 있다. 행정적으로 그리고 언어적으로 네그로스는 네그로스 옥시덴탈주와 네그로스 오리엔탈주 두 개의 주로 나뉜다.

섬의 중앙에 있는 산맥을 따라 대략적으로 나뉘는 이 구분은 두 개의 관련 언어 집단에 해당한다. 서쪽(옥시덴탈)은 힐리가이논 비사야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살고 있으며, 동쪽(오리엔탈)은 세부아노 비사야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살고 있다. 이들은 모두 네그렌세스(Negrenses)라고 불린다.

섬의 중앙 북부에 위치한 칸라온 화산은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활동적인 화산이며, 인근 지역 사회와 서쪽의 바콜로드 시를 내려다본다. 이 화산은 네그로스섬과 비사야 제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섬의 다른 주목할 만한 봉우리로는 네그로스 옥시덴탈주의 실레이 산과 만달라간 산, 네그로스 오리엔탈주의 탈리니스 산(또는 ''쿠에르노스 데 네그로스''로도 알려짐)이 있다. 또한 섬에는 여러 호수가 있는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네그로스 오리엔탈주의 발린사사요 쌍둥이 호수이다.

네그로스의 화산 활동은 섬의 두 지열 발전소를 통해 전기로 활용된다. 하나는 네그로스 오리엔탈주 발렌시아의 팔린피논에, 다른 하나는 네그로스 옥시덴탈주 바고의 마일룸에 위치해 있었으나 결국 폐쇄되었다.

3. 1. 주요 지형

네그로스섬은 비사야 제도에서 사마르섬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섬이자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며, 총 면적은 13,309.6 km²이다.[1] 서쪽으로는 파나이섬과 기마라스섬, 동쪽으로는 세부섬 사이에 위치하며, 섬의 남쪽 끝에는 시키호르섬, 북쪽에는 반타얀섬이 있다.

섬 중앙에 있는 산맥을 따라 네그로스 옥시덴탈주와 네그로스 오리엔탈주로 나뉜다. 서쪽(옥시덴탈)은 힐리가이논 비사야어를 사용하고, 동쪽(오리엔탈)은 세부아노 비사야어를 사용하며 이들은 모두 네그렌세스(Negrenses)라고 불린다.

섬 중앙 북부에 위치한 칸라온 화산은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활동적인 화산이며, 네그로스섬과 비사야 제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섬의 다른 주목할 만한 봉우리로는 네그로스 옥시덴탈주의 실레이 산과 만달라간 산, 네그로스 오리엔탈주의 탈리니스 산(또는 ''쿠에르노스 데 네그로스''로도 알려짐)이 있다. 섬에는 여러 호수가 있는데, 그중 네그로스 오리엔탈주의 발린사사요 쌍둥이 호수가 주목할 만하다.

네그로스의 화산 활동은 전기로 활용된다. 네그로스 오리엔탈주 발렌시아의 팔린피논과, 네그로스 옥시덴탈주 바고의 마일룸에 지열 발전소가 있었으나 마일룸 발전소는 폐쇄되었다.

4. 행정 구역

네그로스섬은 타뇬 해협을 사이에 두고 동쪽으로 세부(세부주)가 있으며, 남쪽에는 작은 시키호루섬(시키호루주)가 있다. 남쪽 민다나오해(보홀해)를 끼고 삼보앙가 반도지방의 북삼보앙가주가 있으며, 서쪽은 파나이섬 사이로 파나이만이 있고, 그 앞에 술루해가 펼쳐져 있다. 북서쪽으로는 기마라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기마라스섬(기마라스주)가 있고, 그 앞에 여러 해협을 사이에 두고 파나이섬의 남쪽 부분을 차지하는 엘로엘로가 있다. 북쪽에는 비사얀해가 있다.

네그로스섬은 정치적, 문화적으로 네그로스섬 지방에 속한 동네그로스주서네그로스주로 나뉜다. 이는 섬 중앙 부분의 산맥과 지역 민족 집단의 구분에 근거한다. 서부(서네그로스주)는 이롱고어(히리가이논 어)를 사용하고, 동쪽(동네그로스주)은 세부아노어를 사용한다.

주요 도시는 파나이섬과 해협에 위치한 서네그로스주의 주도 바콜로드(인구 42만 9천명)와 세부시, 키호루섬을 향하는 동네그로스주의 주도 두마게테(인구 10만 3천명)이다.

섬의 동부는 낮은 산들이 해안까지 뻗어있고, 북쪽과 서쪽은 넓은 평야지대에 사탕수수 밭이 펼쳐져 있다. 북부의 ‘칸라온 화산’(2465m)은 바콜로드시 근처에 솟아 가끔 활동하며, 남쪽 ‘쿠에르노스 데 네그로스산’(1864m)에는 성층 화산이 있다.

네그로스섬은 2개의 주, 1개의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 19개의 시, 38개의 자치구, 그리고 1,219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다.[40] 바콜로드는 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자 바콜로드 대도시권(탈리사이와 실레이 포함)의 중심지이며, 필리핀 전체에서 19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두마게테는 이 지역 전체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도시이다.

네그로스섬의 도시와 자치구 지도


주 |css=font-weight:normal}}중심지인구 면적[40]인구 밀도도시자치구바랑가이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km2sq mi/km2/sq mi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네그로스옥시덴탈바콜로드2,497,2617,802.543,012.573208301219601
네그로스오리엔탈두마게테1,354,9955,385.532,079.36250650619557
바콜로드561,875162.6762.813,5009,00061
합계4,414,13113,350.7413,350.7433085019381,219
colspan=14 style="padding-left:1em;" |



네그로스옥시덴탈은 13개의 도시(12개의 시와 1개의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41]와 19개의 필리핀 자치구를 포함하며, 601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된다. 이곳은 필리핀 모든 주 중에서 가장 많은 특허 도시를 보유하고 있다. 바콜로드가 주도이지만, 고도로 도시화된 도시이기 때문에 해당 주로부터 독립적으로 통치된다. 네그로스오리엔탈은 6개의 도시와 19개의 자치구로 구성되며, 557개의 바랑가이로 세분화된다.[40]

도시인구면적[42]인구 밀도도시 등급소득 등급
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km2sq mi/km2/sq mi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바콜로드561,875162.6762.813,5009,000고도로 도시화됨1급네그로스옥시덴탈
바고170,981401.20154.904301,1002급네그로스옥시덴탈
바이스76,291319.64123.412406203급네그로스오리엔탈
바야완117,900699.08269.921704402급네그로스오리엔탈
카디즈154,723524.57202.543007802급네그로스옥시덴탈
칸라온54,509170.9365.993208304급네그로스오리엔탈
두마게테131,37733.6212.983,90010,0002급네그로스오리엔탈
에스칼란테94,070192.7674.434901,3004급네그로스옥시덴탈
귀훌응안95,969388.56149.032506505급네그로스오리엔탈
히마마이란106,880367.04141.722907503급네그로스옥시덴탈
카방칼란181,977697.35269.252606701급네그로스옥시덴탈
라 칼로타64,469137.2953.014701,2004급네그로스옥시덴탈
사가이146,264330.34127.554401,1003급네그로스옥시덴탈
산 카를로스132,536451.50174.332907502급네그로스옥시덴탈
실레이126,930214.8082.935901,5003급네그로스옥시덴탈
시팔레이70,070379.78146.641804704급네그로스옥시덴탈
탈리사이102,214201.1877.685101,3004급네그로스옥시덴탈
탄자이80,532276.05106.582907504급네그로스오리엔탈
빅토리아스87,933133.9251.716601,7001급네그로스옥시덴탈


5. 인구

연도인구
19903,182,180
19953,459,433
20003,695,811
20104,194,525
20154,414,131
20204,656,945



출처: 필리핀 통계청

6. 경제

바콜로드 근처의 광대한 사탕수수 농장


네그로스는 필리핀에서 최대의 설탕 생산지이자 수출국으로 유명하다. 섬의 농업 지역에는 사탕수수 농장이 많다. 이 섬은 또한 목화와 경재도 생산한다. 설탕 산업이 섬에서 가장 큰 산업이며, 그 뒤를 유기농 농산물과 닭싸움용 닭 사육이 따른다.[43] 주요 설탕 재배 지역은 섬의 북쪽과 서쪽에 있으며, 비사야 해와 기마라스 해협 연안을 따라 북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비사야 지역의 주요 저지대 지역 중 하나이다. 네그로스는 현재 아시아 최대의 유기농 농산물 생산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44][45]

설탕 정제는 아세틸렌, 비료, 럼주와 같은 많은 부산물을 생성한다. 카디스를 중심으로 어업이 주요 산업이며, 많은 양식장이 있으며 새우 양식이 주요 산업으로 성장했다. 바콜로드는 네그로스의 상업과 금융의 중심지이다. 석유 회사, 공장, 병입 공장, 관련 산업체, 철골 가공, 발전, 농업 사업, 새우 양식 및 기타 수산 양식 사업이 있는 곳이다.[46] 2016년 11월까지 네그로스는 총 순자산가치가 ₱ 143억 5,500만 페소에 달했으며,[47] 이로써 네그로스의 주들은 필리핀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네그로스섬의 산업은 상품 작물을 이용한 농업이 주를 이루며, 해안가에서는 연안 어업 및 양식장 등을 통한 어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구리, , 등의 광업과 임업도 행해진다. 시팔라이(Sipalay)시에는 필리핀 최대의 구리 광산이 있으며, 카디즈(Cadiz)시에는 수산업 기지가 건설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이빙 등의 리조트 관광지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두마게테(Dumaguete)시 남쪽에 있는 아포 섬은 네그로스섬 본토에서 30분 거리에 위치하며, 산호와 열대어가 풍부하여 다이버들에게 인기가 많다.

6. 1. 농업

네그로스섬은 필리핀 최대의 설탕 생산지이자 수출국이다.[43] 섬의 농업 지역에는 사탕수수 농장이 많으며, 특히 네그로스옥시덴탈주는 필리핀 설탕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한다. 바콜로드 근처에는 광대한 사탕수수 농장이 펼쳐져 있다. 주요 설탕 재배 지역은 섬의 북쪽과 서쪽에 있으며, 비사야 해와 기마라스 해협 연안을 따라 북서쪽으로 뻗어 있다. 과거에는 설탕 운반 철도가 농장을 가로질러 섬의 15곳에 있는 설탕 집산지로 연결되었으나, 최근에는 국도를 이용한 대형 트럭 운송도 이루어지고 있다. 빅토리아스에 있는 제당·정제 공장은 필리핀뿐 아니라 세계 최대 규모이다.

이 섬은 목화와 경재도 생산하며, 설탕 산업이 섬에서 가장 큰 산업이다.[43] 설탕 정제는 아세틸렌, 비료, 럼주와 같은 부산물을 생성한다. 네그로스는 아시아 최대의 유기농 농산물 생산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44][45]

한편, 네그로스의 농업과 경제는 설탕 생산에 의존하는 단일경작 체제이다. 대부분의 농지가 농장이기 때문에 자급용 작물은 거의 재배되지 않고, 식량은 다른 섬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한다. 설탕 귀족이라 불리는 대지주들이 대농장을 소유하는 반면, 섬 주민 대부분은 설탕 산업에 종사하며 농장 노동 소득에 의존하고 있으며, 설탕 시장 가격에 따라 생계가 좌우되어 굶주림과 빈곤에 시달리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6. 2. 광업 및 어업

네그로스섬의 산업은 상품 작물을 이용한 농업이 주를 이루며, 해안가에서는 연안 어업 및 양식장 등을 통한 어업이 이루어지고 있다.[46] 구리, , 등의 광업과 임업도 행해진다.[46] 시팔라이(Sipalay)시에는 필리핀 최대의 구리 광산이 있으며, 카디스(Cadiz)시에는 수산업 기지가 건설되어 있다.[46]

네그로스는 필리핀에서 최대의 설탕 생산지이자 수출국으로 유명하다.[43] 섬의 농업 지역에는 사탕수수 농장이 많다.[43] 이 섬은 또한 목화와 경재도 생산한다.[43] 주요 설탕 재배 지역은 섬의 북쪽과 서쪽에 있으며, 비사야 해와 기마라스 해협 연안을 따라 북서쪽으로 뻗어 있으며, 비사야 지역의 주요 저지대 지역 중 하나이다.[43] 설탕 정제는 아세틸렌, 비료, 럼주와 같은 많은 부산물을 생성한다.[43] 카디스를 중심으로 어업이 주요 산업이며, 많은 양식장이 있으며 새우 양식이 주요 산업으로 성장했다.[43]

6. 3. 관광 산업



실라이 시의 발라이 네그렌세


바콜로드 시의 마스카라 축제


네그로스에는 많은 관광 명소가 있다. 실라이 시에는 30채의 조상 대저택이 있으며, 그중 발라이 네그렌세가 가장 주목할 만하다. 10월 셋째 주에 열리는 바콜로드 시의 마스카라 축제와 10월에 열리는 두마게테 시의 부글라산 축제도 네그로스의 주요 관광 명소이다.[48] 네그로스 박물관은 네그로스 오시덴탈 주청사 단지 뒤편에 위치하며 네그로스의 문화, 역사, 사람들을 보여준다.[49] 무르시아와 돈 살바도르 베네딕토는 네그로스 오시덴탈 내륙 지역에서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며,[50] 전자는 맘부칼 리조트로 유명하고, 후자는 "네그로스 오시덴탈의 여름 수도" 역할을 한다. 칸라온 화산과 다른 인근 봉우리들은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네그로스 서쪽 끝에 위치한 풀루판단 마을은 새로운 조류 관찰 보호구역 덕분에 조류 관찰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51]

카디즈의 라카원 섬, 에스칼란테의 호마보 섬, 산 카를로스 시의 시파웨이/레푸지오 섬, 시팔라이, 히노바안, 그리고 만주요드의 모래톱 등 해변과 해안 리조트가 인기있다. 카우아얀의 최고 관광 명소는 푼타 불라타 화이트 비치 리조트와 네그로스 오시덴탈의 주요 다이빙 명소인 단주간 섬이다. 사가이 시에 설립된 해양 보호구역은 해양 생물 애호가들에게 인기 있는 곳이다. 다우인은 해변 리조트와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유명한 다이빙 명소이자 해양 보호구역인 아포 섬으로 유명하다. 두마게테 시는 이 지역의 대학 도시로서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 바이스는 해안선이 타논 해협과 접해 있어 고래와 돌고래 관찰을 위한 관광 명소가 되었다.[52] 안툴랑 해변 리조트와 탐보보 만, 그리고 내륙의 발라난 호수는 시아톤 마을의 세 가지 중요한 명소이다. 시불란, 산호세, 발렌시아 마을에 위치한 발린사사요 쌍둥이 호수 자연공원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내륙 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중요한 명소이다.

두마게테(Dumaguete)시 남쪽에 있는 아포 섬은 산호와 열대어가 풍부하여 다이버들에게 인기가 많다.

7. 교통



네그로스섬의 두 개의 주는 주요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바콜로드에는 락손 거리(Lacson Street)와 아라네타 거리(Araneta Street)의 두 개의 주요 도로가 있다. 특히 바콜로드와 두마게테와 같은 주도는 지프니와 택시가 운행된다. 삼륜차는 주로 단거리 여행에 사용되며, 시(Barangay)와 소규모 도시 및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버스 터미널은 지역 내 주요 도시와 마을에 있다. 발라카르 트랜짓 코퍼레이션(Vallacar Transit Corporation)은 세레스 버스(Ceres buses)를 운영하며 네그로스 섬 전체를 운행한다. 섬 지역의 해안 도시와 마을을 위한 정기적인 고속선과 롤온·롤오프(Roll-on/roll-off) 서비스가 있다.

7. 1. 도로

네그로스섬의 두 개의 주는 주요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바콜로드에는 락손 거리(Lacson Street)와 아라네타 거리(Araneta Street)의 두 개의 주요 도로가 있다. 특히 바콜로드와 두마게테와 같은 주도는 지프니와 택시가 운행된다. 삼륜차는 주로 단거리 여행에 사용되며, 시(Barangay)와 소규모 도시 및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버스 터미널은 지역 내 주요 도시와 마을에 있다. 발라카르 트랜짓 코퍼레이션(Vallacar Transit Corporation)은 세레스 버스(Ceres buses)를 운영하며 네그로스 섬 전체를 운행한다. 섬 지역의 해안 도시와 마을을 위한 정기적인 고속선과 롤온·롤오프(Roll-on/roll-off) 서비스가 있다.

7. 2. 항공

현재 네그로스섬에는 두 개의 공항이 운영되고 있다. 바콜로드-실레이 국제공항은 실레이 시에 위치해 있으며 바콜로드 광역권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네그로스섬의 주요 국제 관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53] 두마게테-시불란 공항은 시불란에 위치해 있으며 두마게테와 인근 마을을 중심으로 운영된다.[53] 바콩에는 두마게테-시불란 공항을 대체하기 위한 새로운 공항 건설이 계획되고 있다.[53]

7. 3. 해상

네그로스섬의 두 주는 주요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바콜로드에는 락손 거리(Lacson Street)와 아라네타 거리(Araneta Street)의 두 개의 주요 도로가 있다. 특히 바콜로드와 두마게테와 같은 주도는 지프니와 택시가 운행된다. 삼륜차는 주로 단거리 여행에 사용되며, 시(Barangay)와 소규모 도시 및 마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버스 터미널은 지역 내 주요 도시와 마을에 있다. 발라카르 트랜짓 코퍼레이션(Vallacar Transit Corporation)은 세레스 버스(Ceres buses)를 운영하며 네그로스 섬 전체를 운행한다. 섬 지역의 해안 도시와 마을을 위한 정기적인 고속선과 롤온·롤오프(Roll-on/roll-off) 서비스가 있다.

8. 생태

네그로스는 중부 필리핀 (비사야 제도) 전역과 마찬가지로 고유종 수와 위협의 심각성 측면에서 야생 동물 보호의 최우선 순위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된다. 필리핀에 등재된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절반 이상이 네그로스에 서식한다. 네그로스는 남은 삼림 면적이 3%에 불과할 정도로 필리핀에서 가장 위협받는 지역이다.[55] 이 지역에는 심각한 위협을 받는 고유종과 아종이 가장 많다. 실라이 산과 만달라간 산은 북부 네그로스 자연공원의 두 봉우리다. 이 산에는 마지막 남은 원시림이 있다.

1954년 이후로 목격되지 않아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네그로스과일비둘기 그림


네그로스는 파나이섬과 많은 동물상을 공유한다. 삼림 벌채가 심각하여 대부분의 서부 비사야 고유종이 위협받고 있다. 여기에는 흰날개딱새, 비사야꽃솔새, 불꽃가슴딱새, 구부러진부리뿔새, 비사야검은뿔새, 네그로스피비둘기, 비사야솔새, 네그로스올빼미, 비사야얼룩사슴 및 비사야멧돼지가 포함된다.[56] 네그로스줄무늬딱새와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네그로스과일비둘기는 이 섬에서만 발견되고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기타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는 푸른등앵무, 핀스커매, 분홍배황제비둘기, 녹색얼굴앵무새, 그리고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천상의 솔새와 얼룩황제비둘기 아종이 있다.[57]

9. 더불어민주당 관련 인물

참조

[1] 논문 2010 Philippine Yearbook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5-12-14
[2] 웹사이트 Islands of Philippines http://islands.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5-09-18
[3]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http://www.phivolcs.[...]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2015-09-18
[4] 웹사이트 Definition of NEGROS https://www.merriam-[...] 2023-05-21
[5] 웹사이트 Negros https://web.archive.[...] 2017-09-19
[6] 논문 2010 Philippine Yearbook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5-12-14
[7] 논문 Delineating priority areas for marine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the Coral Triangle https://www.scienced[...] 2018-06-01
[8] 뉴스 FAST FACTS: The Negros Island Region http://www.rappler.c[...] 2015-06-05
[9] 뉴스 Negros Island Region is now Region XVIII https://web.archive.[...] 2015-06-20
[10] 뉴스 Aquino OKs creation of Negros Island Region http://newsinfo.inqu[...] 2015-06-05
[11] 뉴스 PNoy joins 2 Negros provinces into one region http://www.abs-cbnne[...] 2015-06-05
[12] 뉴스 BREAKING: President Rodrigo Duterte issues E.O. 38, which revokes the creation of Negros Island Region https://twitter.com/[...] 2017-08-09
[13] 웹사이트 Marcos signs law creating new Negros Island Region https://www.rappler.[...] 2024-06-13
[14] 서적 Looking Back: Volume 1 Anvil Publishing, Inc. 2012
[15]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http://www.xeniaedit[...]
[16]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https://ia601608.us.[...]
[17]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A Political, Geographical, Ethnographical, Social and Commercial History of the Philippine Archipelago Charles Scribner's Sons 1906
[18] 웹사이트 World Statesmen - Philippines - Republic of Negros http://www.worldstat[...] 2017-05-18
[19] 서적 "A Queen Dies Slowly: The Rise and Decline of Iloilo City" in 'Philippine Social History: Global Trade and Local Transformations' https://www.academia[...] 1982
[20] 서적 Sketches of the Island of Negros Ohio University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Southeast Asia Program 1978
[21] 문서 Estadisticas de los Terrenos Agricolas, La Carlota and Hinigaran, Negros Occidental PNA 1897
[22] 웹사이트 FAST FACTS: The Negros Island Region https://www.rappler.[...] 2015-04-19
[23] 서적 Some are smarter than others : the history of Marcos' crony capitalism Aletheia Publications 1991
[24] 웹사이트 Martial Law Museum https://martiallawmu[...] 2018-05-27
[25] 뉴스 Marcos Circle Said to Skim $1 Billion From Sugar Sales https://www.washingt[...] 1986-03-28
[26] 뉴스 Business in Philippines' sugar capital sours, leaving communists to prosper https://www.csmonito[...] 1985-08-07
[27] 뉴스 I saw martial law up close and personal http://newsinfo.inqu[...] 2018-05-27
[28] 웹사이트 Never forget the famine in Negros https://web.archive.[...] 2016-03-01
[29] 뉴스 Obituary: Antonio Fortich https://www.economis[...] 2022-08-14
[30] 웹사이트 Committee on Freedom of Association Report https://web.archive.[...] 2007-05-22
[31] 웹사이트 PHILIPPINE JURISPRUDENCE - FULL TEXT The Lawphil Project - Arellano Law Foundation G.R. No. 70748 October 21, 1985 LAURENTE C. ILAGAN vs. JUAN PONCE ENRILE http://www.lawphil.n[...]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07-05-22
[32] 웹사이트 ucan special report whats behind the negros famine crisis - ucanews.com https://www.ucanews.[...]
[33] 뉴스 What Went Before: A history of splits and mergers http://newsinfo.inqu[...] 2015-05-19
[34] 뉴스 One Negros dream: Aquino won't commit, points to Roxas http://newsinfo.inqu[...] 2014-05-27
[35] 뉴스 PNoy okay of island region seen http://www.visayanda[...] 2015-01-06
[36] 뉴스 NEDA: Negros Occ can survive if separated from WV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5-04-19
[37]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183, s. 2015 https://www.official[...] 2015-10-12
[38] 뉴스 Negrenses upset over Duterte's order dissolving Negros region http://www.sunstar.c[...] 2017-08-09
[39] 웹사이트 Marcos signs law creating new Negros Island Region https://www.rappler.[...] 2024-06-13
[40]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2016-03-29
[41] 웹사이트 Philippine Cities https://philippinesc[...]
[42] 웹사이트 PSGC Interactive; List of Cities http://www.nscb.gov.[...] 2016-03-29
[43] 뉴스 Bird Flu Alert In Negros http://www.sunstar.c[...] 2014-01-25
[44] 뉴스 Is Negros Island the organic bowl of Asia? http://www.manilatim[...] 2015-07-13
[45] 뉴스 Agrilink 2016 to Highlight Potentials of Negros Island Region's Organic Agriculture http://agrilink.org/[...] 2016-09-20
[46] 뉴스 About Negros Occidental - Negros Occidental Provincial Government http://www.negros-oc[...]
[47] 뉴스 2 Negros provinces among richest in Philippines http://www.sunstar.c[...]
[48] 웹사이트 Buglasan Festival of Negros Oriental http://dumaguete.com[...]
[49] 웹사이트 The Negros Museum: A Quick Way to Get to Know the Island of Negros http://www.choosephi[...] 2013-07-24
[50] 뉴스 Beat The Summer Heat in Negros http://sunstar.com.p[...] Sun.Star 2017-05-12
[51] 웹사이트 Pulupandan: A New Birdwatching Sanctuary http://harrybalais.c[...] 2012-02-04
[52] 웹사이트 Dolphin Watching at Bais City, Negros Oriental http://journeyingjam[...] 2012-10-16
[53] 뉴스 To a new site in Bacong town Solon wants to relocate airport from Dumaguete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14-11-19
[54] 뉴스 Negros may become biofuel center source http://www.philstar.[...] The Philippine Star 2006-05-02
[55] 웹사이트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Gallicolumba keayi https://www.iucnredl[...] 2018-08-07
[56] 웹사이트 Developing Field Research Priorities in Negros Island (West Visayas, Philippin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key threatened endemic species, September 2008, by Bristol Clifton and West of England Zoological Society Fauna and Flora International – Philippines Biodiversity Conservation Programme Philippines Biodiversity Conservation Foundation, Inc. http://www.rufford.o[...]
[57] 웹사이트 Birds of Negros Oriental https://ebird.org/re[...] 2024-05-29
[58] 웹사이트 The Montilla family http://montillas.t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