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 카르니글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카르니글리아는 아르헨티나 출신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보카 주니어스 등에서 활약했으며, 프랑스 리그에서도 뛰었다. 감독으로서는 OGC 니스, 레알 마드리드, AS 로마 등을 맡아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레알 마드리드에서는 유러피언컵 2회 우승과 라리가 우승을 달성했으며, AS 로마에서는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이끌었다. 은퇴 후에는 보카 주니어스의 단장과 아르헨티나 축구인 노조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감독 - 아르투르 조르즈
아르투르 조르즈는 뛰어난 득점력으로 프리메이라리가 득점왕을 두 차례 수상하고 벤피카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포르투갈의 전 축구 선수이자, FC 포르투의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과 파리 생제르맹의 리그 1 우승을 포함하여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인물이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감독 - 비센테 델 보스케
비센테 델 보스케는 스페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레알 마드리드와 스페인 국가대표팀에서 선수 및 감독으로 활약하며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고, 2011년 델 보스케 후작 작위를 받았다. - 차카리타 주니어스의 축구 선수 - 레오폴도 루케
레오폴도 루케는 아르헨티나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1978년 FIFA 월드컵에서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우승에 기여했으며, 월드컵에서 4골을 기록했고, 우니온 데 산타페, 로사리오 센트랄, 리버 플레이트 등에서 활약하며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61경기 100골을 기록했다. - 차카리타 주니어스의 축구 선수 - 후안 카를로스 로렌소
후안 카를로스 로렌소는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여러 팀에서 활약했고, 감독으로서 산 로렌소,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 등을 지도하며 여러 리그 우승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달성했다.
루이스 카르니글리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루이스 안토니오 카르니글리아 |
출생일 | 1917년 10월 4일 |
사망일 | 2001년 6월 22일 |
출생지 |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올리보스 |
사망지 |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연도: 1932–1933 클럽: Club de Olivos |
클럽 경력 | 연도: 1933–1936 클럽: 티그레 연도: 1936–1941 클럽: 보카 주니어스 출장: 54 골: 17 연도: 1942–1945 클럽: 차카리타 출장: 14 골: 3 연도: 1945–1948 클럽: 아틀라스 연도: 1951–1952 클럽: 니스 출장: 10 골: 1 연도: 1952–1953 클럽: 툴롱 출장: 26 골: 4 연도: 1953–1955 클럽: 니스 출장: 8 골: 0 |
감독 경력 | |
감독 경력 | 연도: 1955–1957 클럽: 니스 연도: 1957–1959 클럽: 레알 마드리드 연도: 1959 클럽: 레알 마드리드 연도: 1959–1960 클럽: 피오렌티나 연도: 1961 클럽: 바리 연도: 1961–1963 클럽: 로마 연도: 1963–1964 클럽: 밀란 연도: 1964–1965 클럽: 데포르티보 연도: 1965–1968 클럽: 볼로냐 연도: 1969–1970 클럽: 유벤투스 연도: 1973 클럽: 산 로렌소 연도: 1978–1979 클럽: 보르도 |
2. 선수 경력
부에노스아이레스주 올리보스 출신으로, 현역 시절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였다. 1932년 4부 리그의 클루브 데 올리보스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티그레를 거쳤다.
1936년에는 유년 시절부터 동경하던 보카 주니어스에 입단하여 꿈을 이루었다. 보카 소속으로 리그 우승 등을 경험했으나, 1941년 산 로렌소와의 경기에서 다리가 골절되는 심각한 부상을 당하며 선수 경력에 큰 위기를 맞았다.[13][4] 이 부상으로 인해 3년간의 재활 기간을 거쳐야 했고, 이 기간 동안 차카리타 주니어스와 멕시코의 아틀라스 등에서 뛰었으나 이전의 기량을 완전히 되찾지는 못했다.
선수 생활 말년에는 프랑스로 건너가 툴롱과 니스 등에서 활약했다. 특히 니스 소속으로 리그와 컵 대회 우승을 경험하며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고, 이곳에서 감독으로 전향하게 되었다.
클럽 | 국가 | 활동 기간 |
---|---|---|
CA 티그레 | 아르헨티나 | 1933–1936 |
보카 주니어스 | 아르헨티나 | 1936–1941 |
차카리타 주니어스 | 아르헨티나 | 1942–1945 |
아틀라스 | 멕시코 | 1945–1948 |
CA 티그레 | 아르헨티나 | 1949 |
OGC 니스 | 프랑스 | 1951–1952 |
툴롱 | 프랑스 | 1952–1953 |
OGC 니스 | 프랑스 | 1953–1955 |
2. 1. 보카 주니어스 (1936-1941)
올리보스 출신인 카르니글리아는 1932년 4부 리그 클럽인 클루브 데 올리보스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티그레를 거쳤다. 1936년, 그는 유년 시절부터 동경하던 보카 주니어스에 입단하며 꿈을 이루었다.보카에서의 데뷔전은 파라나와의 친선 경기였는데, 카르니글리아는 경기 시작 3분 만에 골을 넣었지만, 불과 2분 뒤인 시작 5분 만에 왼팔이 골절되는 부상을 당했다.[12][3] 팀은 이 경기에서 3-0으로 승리했다. 그는 보카 소속으로 1940년 아르헨티나 1부 리그와 코파 독토르 카를로스 이바르구렌 우승에 기여하며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
그러나 1941년, 산 로렌소와의 경기 도중 다리가 부러지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13][4] 이 부상은 그의 보카 주니어스에서의 선수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2. 차카리타 주니어스, 아틀라스 (1942-1948)
1941년 산 로렌소와의 경기 도중 다리가 부러지는 큰 부상을 당했다.[4] 회복에 3년이 걸렸으며, 이 기간 동안 차카리타 주니어스 (1942-1945)와 멕시코의 아틀라스 (1945-1948)에서 뛰었지만, 예전과 같은 기량을 회복하지는 못했다.[4]2. 3. 프랑스 리그 (1949-1955)
아르헨티나에서 선수 생활 중 큰 부상을 겪은 카르니글리아는 프랑스로 건너가 선수 경력을 이어갔다. 그는 리그 1과 리그 2에서 활약했는데, OGC 니스와 툴롱 소속으로 뛰었다.니스에서의 선수 시절은 특히 성공적이었다. 그는 1952년에 리그 1과 쿠프 드 프랑스에서 동시에 우승하는 '더블'을 달성했고, 1954년에는 다시 한번 쿠프 드 프랑스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4] 그는 니스에서 선수 생활을 하는 동안 감독 역할로 전환하기도 했다.
프랑스 리그에서의 선수 경력은 다음과 같다.
클럽 | 활동 기간 |
---|---|
OGC 니스 | 1951–1952 |
스포르팅 클럽 툴롱 | 1952–1953 |
OGC 니스 | 1953–1955 |
선수 생활을 마친 카르니글리아는 1955년 OGC 니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그는 부임 첫 해에 팀을 리그 1 정상에 올려놓았다.[14] 1957년에는 스페인의 명문 레알 마드리드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 당시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프란시스코 헨토, 푸슈카시 페렌츠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지도하며 1957-58 시즌 라 리가 우승과 유러피언컵 2회 연속 우승(1958, 1959)을 달성했다.[15][6]
3. 감독 경력
레알 마드리드를 떠난 후에는 주로 이탈리아 무대에서 활동했다. 피오렌티나와 바리를 거쳐 1961년 AS 로마의 감독이 되었고, 1961년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이끌었다.[16][7] 1963년에는 AC 밀란의 지휘봉을 잡아 1963년 인터콘티넨털컵에 참가했으나, 브라질의 산투스와의 결승전에서 논란 끝에 준우승에 머물렀다.[17][8]
이후에도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볼로냐, 유벤투스, 산 로렌소, 지롱댕 드 보르도 등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수행하며 오랜 기간 지도자로 활동했다. 감독직에서 은퇴한 후에는 아르헨티나로 돌아가 보카 주니어스의 단장을 맡았으며, 아르헨티나 선수 노조인 FAA(Futbolistas Argentinos Agremiados)의 초대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3. 1. OGC 니스 (1955-1957)
1953년 니스로 복귀한 카르니글리아는 선수로 2년을 더 뛴 뒤 은퇴하였고, 영국인 감독 조지 베리의 뒤를 이어 1955년 니스의 지휘봉을 잡았다. 감독 부임 첫 해인 1955-56 시즌에 팀의 리그 1 우승을 이끌며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그러나 다음 시즌인 1956-57 시즌에는 리그 13위에 머물렀다. 1957년, 카르니글리아는 니스를 떠나 스페인의 명문 구단 레알 마드리드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14] 니스 구단은 그의 후임으로 프랑스 출신의 장 루시아노를 선임했다.
3. 2. 레알 마드리드 (1957-1959)
OGC 니스 감독직을 마친 후, 카르니글리아는 1957년 6월부터 1959년 7월까지 스페인의 거함 레알 마드리드의 감독을 맡았다.[14][5] 다만 1959년 2월부터 두 달 동안은 신장 문제로 인해 잠시 지휘봉을 내려놓기도 했다.
당시 레알 마드리드는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프란시스코 헨토, 레몽 코파, 엑토르 리알 등 세계 최고의 선수들이 포진한 강력한 팀이었으며, 특히 디 스테파노는 당시 발롱도르 수상자였다. 여기에 1957년에는 수비수 호세 산타마리아가, 1958년에는 전설적인 공격수 푸슈카시 페렌츠가 합류했다. 카르니글리아는 푸슈카시가 1년 넘게 프로 무대에서 활약하지 않았고 눈에 띄게 체중이 불어난 상태였기 때문에 영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그는 푸슈카시가 레알 오비에도와의 라리가 데뷔전을 치르기 전까지 15kg의 체중을 감량하도록 강하게 훈련시켰다.[15][6]
카르니글리아는 레알 마드리드에서 감독 경력 중 가장 성공적인 시기를 보냈다. 그는 1957-58 시즌 라 리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유러피언컵에서는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1958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는 이탈리아의 AC 밀란을 3-2로 꺾었고, 1959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는 프랑스의 스타드 드 랭스를 2-0으로 이겼다.
하지만 1959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푸슈카시를 출전 명단에서 제외한 결정은 논란을 낳았고, 이 일로 인해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레알 마드리드 회장에 의해 결국 해임되었다.[15][6]
3. 3. AS 로마 (1961-1963)
ACF 피오렌티나와 AS 바리에서 짧은 기간 감독직을 맡은 후, 1961년에 AS 로마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로마 감독으로서 1961년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7] 그러나 1963년 시즌 도중 구단 수뇌부와의 불화로 인해 로마 감독직에서 물러났다.[8] 이후 그는 AC 밀란의 감독이 되었다.
3. 4. AC 밀란 (1963-1964)
1963년 AS 로마를 시즌 중반에 떠난 후, 카르니글리아는 AC 밀란의 감독직을 맡게 되었다. 로마를 떠난 배경에는 구단 수뇌부와의 불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8] 카르니글리아는 1958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를 이끌고 밀란을 꺾었던 경험이 있었다.
당시 밀란은 유러피언컵 우승팀 자격으로 1963년 인터콘티넨털컵에 참가했다. 결승 상대는 당대 최고의 선수 펠레가 이끄는 브라질의 강호 산투스 FC였다.
밀라노에서 열린 1차전에서는 밀란이 산투스를 4-2로 꺾으며 기선을 제압했다. 산투스가 기록한 두 골은 모두 펠레의 발끝에서 나왔다. 그러나 브라질에서 열릴 2차전을 앞두고 아르헨티나 출신 주심이 매수되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8] 밀란 측은 심판 교체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차전에서는 부상으로 결장한 펠레 없이도 산투스가 밀란을 4-2로 이겼다.
1, 2차전 합계 동점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하자, 2차전 종료 불과 48시간 만에 상투스에서 3차 재경기가 열렸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2차전과 같은 심판이 경기를 주관했다. 경기 시작 단 3분 만에 조반니 트라파토니가 페널티 구역 안에서 반칙을 범했다는 판정과 함께 산투스에게 페널티킥이 주어졌고, 이는 결승골로 이어졌다. 이에 격렬하게 항의하던 체사레 말디니는 퇴장당했다. 결국 밀란은 재경기에서 0-1로 패배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카르니글리아는 1964년까지 밀란 감독직을 수행했다.
3. 5. 기타 클럽
레알 마드리드를 떠난 후, 카르니글리아는 피오렌티나와 바리에서 짧은 기간 감독직을 수행한 뒤 1961년 AS 로마에 합류했다. 그는 로마를 이끌고 1961년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차지했다.[7] 그러나 1963년 시즌 중반, 구단 수뇌부와의 불화로 인해 로마를 떠났다.[8]
이후 그는 AC 밀란의 감독을 맡았는데, 밀란은 그가 1958년 레알 마드리드 감독 시절 꺾었던 상대였다. 당시 밀란은 유러피언컵 우승팀 자격으로 인터콘티넨털컵에 참가했다. 결승 상대는 펠레가 이끄는 브라질의 강호 산투스였다. 밀란은 밀라노에서 열린 1차전에서 4-2로 승리했지만, 펠레에게 2골을 내주었다. 2차전을 앞두고 아르헨티나 출신 심판이 매수되었다는 소문이 돌았고, 밀란은 심판 교체를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8] 산투스는 펠레 없이 치른 2차전에서 4-2로 승리했다. 합계 점수가 동률이 되면서, 2차전 종료 48시간 만에 상투스에서 3차 재경기가 열렸다. 같은 심판이 배정된 재경기에서, 조반니 트라파토니의 파울로 선언된 페널티킥을 산투스가 성공시켰고, 체사레 말디니는 항의하다 퇴장당했다. 결국 밀란은 재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
밀란을 떠난 후 카르니글리아는 스페인의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964-1965), 이탈리아의 볼로냐 (1965-1968)와 유벤투스 (1969-1970)를 거쳐 아르헨티나의 산 로렌소 (1973), 프랑스의 지롱댕 드 보르도 (1978-1979) 등 여러 클럽의 감독직을 맡았다.
감독 은퇴 후에는 실비오 마르졸리니를 코치로 두고 보카 주니어스의 단장으로 활동했으며, 아르헨티나 선수 노조인 FAA(Futbolistas Argentinos Agremiados)의 초대 회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감독 경력 요약'''
클럽 | 국가 | 재임 기간 |
---|---|---|
OGC 니스 | 프랑스 | 1955–1957 |
레알 마드리드 | 스페인 | 1957–1959 |
피오렌티나 | 이탈리아 | 1959–1960 |
바리 | 이탈리아 | 1961 |
AS 로마 | 이탈리아 | 1961–1963 |
AC 밀란 | 이탈리아 | 1963–1964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 스페인 | 1964–1965 |
볼로냐 | 이탈리아 | 1965–1968 |
유벤투스 | 이탈리아 | 1969–1970 |
산 로렌소 | 아르헨티나 | 1973 |
지롱댕 드 보르도 | 프랑스 | 1978–1979 |
4. 은퇴 후
감독직 은퇴 후, 카르니글리아는 실비오 마르솔리니 감독을 보좌하는 보카 주니어스의 단장이 되었다. 그는 아르헨티나 축구 선수들의 노동조합인 아르헨티나 축구인 노조(FAA)의 초대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5. 수상
감독으로서는 1955년 부임한 OGC 니스에서 첫 해에 리그 1 우승을 이끌었다. 1957년부터 2년간 레알 마드리드를 지휘하며 라리가 우승 1회와 유러피언컵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는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
5. 1. 감독
1953년 니스로 복귀한 카르니글리아는 2년간 선수로 더 활동한 뒤 은퇴하고, 영국인 조지 베리의 뒤를 이어 니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는 감독 첫 해인 1955-56 시즌에 팀을 리그 1 우승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다음 시즌인 1956-57 시즌에는 리그 13위에 머물렀고, 시즌 종료 후 니스를 떠나 스페인의 레알 마드리드 감독이 되었다.[14] 니스는 그의 후임으로 프랑스인 장 루시아노를 선임했다.카르니글리아는 1957년 6월부터 1959년까지 레알 마드리드를 지휘했다. 중간에 1959년 2월부터 두 달간 신장 문제로 잠시 감독직을 내려놓기도 했다. 당시 레알 마드리드는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프란시스코 헨토, 레몽 코파, 엑토르 리알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디 스테파노는 당시 발롱도르 수상자였다. 1957년에는 호세 산타마리아, 1958년에는 푸슈카시 페렌츠가 합류했다. 카르니글리아는 푸슈카시 영입에 처음에는 반대했는데, 푸슈카시가 1년 넘게 프로 무대 경험이 없었고 과체중 상태였기 때문이다. 그는 푸슈카시가 오비에도와의 라 리가 경기에 출전하기 전까지 15kg을 감량하도록 강하게 독려했다.[15] 카르니글리아는 1959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서 푸슈카시를 출전 명단에서 제외했고, 이 결정으로 인해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회장에 의해 해임되었다.[15] 감독 전향 후 카르니글리아는 레알 마드리드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유러피언컵을 2회 연속 우승했다. 1958년 결승에서는 밀란을 3-2로, 1959년 결승에서는 랭스를 2-0으로 꺾었다. 또한 1957-58 시즌 라 리가 우승도 차지했다.
레알 마드리드를 떠난 후, 카르니글리아는 피오렌티나와 바리의 감독을 잠시 맡았고, 1961년에 로마 감독으로 부임했다. 로마에서는 1961년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우승을 이끌었다.[16] 1963년 시즌 도중 구단 운영진과의 갈등 끝에 사임했고,[17] 1958년 유러피언컵 결승에서 자신이 이끌던 레알 마드리드에 패했던 밀란의 감독이 되었다. 당시 밀란은 유러피언컵 우승팀 자격으로 인터콘티넨털컵에 참가했다. 상대는 펠레가 핵심 선수로 뛰고 있던 브라질의 강팀 산투스였다. 밀란은 밀라노에서 열린 1차전 홈 경기에서 4-2로 승리했지만, 펠레에게 2골을 내주었다. 2차전을 앞두고 아르헨티나 출신 주심이 매수되었다는 소문이 돌았고,[17] 밀란은 심판 교체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차전 원정 경기에서는 부상으로 빠진 펠레 없이 산투스가 4-2로 승리했다. 두 경기 합계 점수가 같아 승부를 가리기 위해 2차전 종료 48시간 만에 산투스에서 3차전 플레이오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조반니 트라파토니가 페널티 구역 안에서 반칙을 범했다는 판정으로 산투스에게 페널티킥이 주어졌고, 이는 결승골로 이어졌다. 체사레 말디니는 판정에 강하게 항의하다 퇴장당했고, 경기는 밀란의 0-1 패배로 끝났다.
이후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1964-1965), 볼로냐 (1965-1968), 유벤투스 (1969-1970), 산 로렌소 (1973), 지롱댕 드 보르도 (1978-1979) 등 여러 팀의 감독을 맡았다.
기간 | 구단 |
---|---|
1955–1957 | OGC 니스 |
1957–1959 | 레알 마드리드 |
1959–1960 | 피오렌티나 |
1961 | 바리 |
1961–1963 | 로마 |
1963–1964 | AC 밀란 |
1964–1965 | 데포르티보 라 코루냐 |
1965–1968 | 볼로냐 |
1969–1970 | 유벤투스 |
1973 | 산 로렌소 |
1978–1979 | 지롱댕 드 보르도 |
참조
[1]
웹사이트
RSSSF AS Roma Coaches
https://www.rsssf.or[...]
[2]
웹사이트
RSSSF Trainers of French Clubs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Obituary for Luis Carniglia
http://www.ayudatare[...]
[4]
웹사이트
Boca Juniors profile
http://www.informexe[...]
2008-04-19
[5]
웹사이트
rsssf: Real Madrid managers
https://www.rsssf.or[...]
[6]
웹사이트
Ferenc Puskás Biography
http://www.nemzetisp[...]
2006-12-05
[7]
웹사이트
RSSSF Fairs Cup 1960–61 statistics
https://www.rsssf.or[...]
[8]
웹사이트
RSSSF – Fragments of an interview
https://www.rsssf.or[...]
[9]
웹사이트
Luis Cesar jr. Carniglia
http://www.magliaros[...]
[10]
웹인용
RSSSF AS Roma Coaches
http://www.rsssf.com[...]
[11]
웹인용
RSSSF Trainers of French Clubs
http://www.rsssf.com[...]
[12]
웹인용
Obituary for Luis Carniglia
http://www.ayudatare[...]
[13]
웹인용
Boca Juniors profile
http://www.informexe[...]
2019-10-30
[14]
웹사이트
rsssf: Real Madrid managers
http://www.rsssf.com[...]
[15]
웹인용
Ferenc Puskás Biography
http://www.nemzetisp[...]
[16]
웹인용
RSSSF Fairs Cup 1960–61 statistics
http://www.rsssf.com[...]
[17]
웹인용
RSSSF – Fragments of an interview
http://www.rsssf.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