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 미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멤버 미는 2084년 미래의 네오 파리를 배경으로, 기억 조작 능력을 가진 주인공 닐린이 기억을 훔치고 재배열하는 '기억 리믹스' 기술을 활용하여 진행하는 3인칭 시점의 액션 어드벤처 게임이다. 닐린은 기억을 업로드하고 공유하는 뇌 임플란트 센센을 개발한 멤머라이즈 사에 맞서 싸우며, 기억 리믹스, 콤보 시스템, 그리고 기억을 훔치는 '리멤버런스' 등의 게임플레이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게임은 세계관 디자인, 사운드트랙, 스토리로 호평을 받았지만, 일부 스토리, 디자인 선택, 전투 시스템은 비판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80년대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로보트론: 2084
로보트론: 2084는 1982년에 출시된 2D 멀티 디렉션 슈터 아케이드 게임으로, 로봇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플레이어가 로보트론을 조종하여 인간을 구출하고 점수를 얻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2080년대를 배경으로 한 비디오 게임 - 웨이스트랜드 (비디오 게임)
웨이스트랜드는 핵전쟁 이후 미국 남서부를 배경으로 사막 레인저 부대가 인공지능에 맞서는 이야기를 다룬 인터플레이 엔터테인먼트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롤플레잉 게임으로, 독특한 시스템과 자유도로 호평받으며 후대 게임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사이버펑크 게임 - 텍스 머피
텍스 머피는 3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샌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다양한 사건을 해결하는, 크리스 존스와 Access Software가 제작한 어드벤처 게임 시리즈의 터프한 사립 탐정 주인공이다. - 사이버펑크 게임 - 미러스 엣지 카탈리스트
미러스 엣지 카탈리스트는 미래 도시 글래스를 배경으로 페이스 코너스를 조작하여 파쿠르 액션과 전투를 즐기는 1인칭 시점 오픈 월드 게임이며, 2016년에 출시되었으나 2023년에 멀티플레이어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기억 조작을 소재로 한 작품 - 웨스트월드 (드라마)
마이클 크라이튼의 영화를 원작으로 하는 웨스트월드 드라마는 테마파크에서 인간과 안드로이드 호스트, 스태프의 시점을 교차하며 호스트의 자각과 반란, 인간 본성, 자유 의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인공지능과 사회 시스템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SF 서부극이다. - 기억 조작을 소재로 한 작품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은 2017년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로, 소드 아트 온라인 애니메이션 시리즈 두 번째 시즌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며, 증강 현실 시스템 '어그마'를 배경으로 키리토와 아스나가 새로운 위협에 맞서는 이야기와 카지우라 유키의 사운드트랙, LiSA의 주제가가 특징이다.
리멤버 미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발사 | DONTNOD Entertainment |
배급사 | 캡콤 |
감독 | 장-막심 모리스 |
프로듀서 | 니콜라스 시몬 |
디자이너 | 필리프 모로 마르크 페스카 |
프로그래머 | 제롬 바날 |
아티스트 | 알렉시 브리클로 미셸 코흐 |
작가 | 알랭 다마시오 스테판 보베르제 |
작곡가 | 올리비에 데리비에르 |
엔진 | 언리얼 엔진 3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3 윈도우 엑스박스 360 |
출시일 | 북미: 2013년 6월 3일 호주: 2013년 6월 6일 유럽: 2013년 6월 7일 |
장르 | 액션 어드벤처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시스템 요구 사양 (권장) | |
운영체제 |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윈도우 8 |
CPU | Intel® Core™ Quad 2.7 Ghz 이상, AMD Phenom™ II X4 3 Ghz 이상 |
메모리 | 4GB 이상 |
GPU | NVIDIA® GeForce® GTX 560 이상 |
사운드 | 표준 오디오 장치 |
저장 공간 | 9 GB 이상 |
2. 게임플레이
2084년, '센센'이라는 회사가 '센센(Sensen)'이라는 뇌 임플란트 기술을 통해 사람들의 기억을 통제하는 네오 파리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 닐린은 사람들의 기억을 훔치고 바꿀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기억 사냥꾼', 즉 '에러리스트'이다. 그녀는 센센에 의해 기억 대부분을 잃고 수감되었으나, 자신의 이름만을 기억한 채 탈출에 성공한다. 이후 닐린은 자신을 돕는 동료들과 함께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고, 사회를 통제하려는 센센의 음모에 맞서 싸우게 된다.
''리멤버 미''는 플랫폼 게임 요소와 탐험, 근접 전투가 결합된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주인공 닐린을 3인칭 시점으로 조작하며 게임을 진행한다. 이 게임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기억 리믹스'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특정 대상의 기억 속으로 들어가 기억의 세부 사항을 수정하고 재배열하여, 대상이 기억하는 결과 자체를 바꿀 수 있다. 또한, '리멤버런스'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특정 대상의 기억을 훔치고, 획득한 포인트를 사용해 실시간으로 기억을 재생할 수도 있다. 이는 게임 진행에 단서를 얻거나 미처 인지하지 못한 위험을 피하는 데 활용된다. 플레이어의 체력이 낮아지면 화면에 글리치 효과가 나타나며, 체력이 회복될 때까지 지속된다. 게임 진행 중에는 문을 열기 위해 풀어야 하는 수수께끼 형태의 퍼즐을 만나게 되며, 이를 해결하며 스토리를 진행한다.
전투 시스템의 핵심은 '콤보 랩'이다. 플레이어는 이곳에서 자신만의 이동 콤보를 직접 만들고 설정할 수 있다. 콤보 랩에서는 '프레센'이라 불리는 네 가지 종류의 전투 기술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프레센은 PMP(절차적 숙련 능력)를 획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한 번에 최대 네 개의 콤보를 활성화할 수 있다. 프레센 기술의 종류는 재생(체력 회복), 파워(공격력 증가), 체인(이전 기술 효과 복제 및 증폭), 쿨다운(S-프레센 에너지 재생)이 있다. 이 기술들을 조합하여 약 50,000가지의 다양한 콤보를 만들 수 있다. 게임을 진행하면서 플레이어는 다섯 가지의 강력한 'S-프레센'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 기술들은 적 무리를 기절시키거나,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며 공격하거나, 적 로봇을 아군으로 만들어 자폭시키는 등 다양한 특수 효과를 발휘한다. 근접 전투 외에도 스팸머(Spammer)나 정크 볼트(Junk Bolt)와 같은 투사체 기반 무기도 사용할 수 있다.
3. 시놉시스
3. 1. 배경
''리멤버 미''는 2084년 미래의 파리, 네오 파리를 배경으로 한다. 이곳에서 멤머라이즈(Memorize) 사는 센센(Sensen)이라는 새로운 뇌 임플란트를 발명했는데, 이는 인구의 99%가 자신의 기억을 업로드하여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불행하거나 불쾌한 기억을 제거할 수 있게 해준다. 이로 인해 멤머라이즈는 감시 국가가 되었고, 이에 대항하여 에러리스트(Errorists)라는 소규모 반란 단체가 멤머라이즈를 무너뜨리려 시도한다. 또한, 센센의 발명은 리퍼(Leapers)라는 존재를 만들어냈다. 이들은 너무 많은 기억을 흡수한 나머지 센센이 손상되어 인간 이하의 형태로 변이된 기억 중독자들로, 현재 네오 파리의 하수구에서 살고 있다.
3. 2. 줄거리
2084년, 센센이라는 회사가 사람들의 기억을 조작하여 사회를 통제하려 한다. 주인공 닐린(케지아 버로우)은 기억을 훔치고 재구성하는 능력을 가진 '기억 사냥꾼', 즉 에러리스트이다. 게임은 닐린이 바스티유 요새에 수감되어 메모라이즈에 의해 거의 모든 기억 삭제를 당한 상태에서 시작된다. 마지막 기억이 지워지기 직전, 에러리스트 리더인 '에지'라는 의문의 남자가 통신을 통해 그녀의 탈출을 돕는다. 에지는 닐린에게 그녀가 가진 기억 조작 능력을 상기시킨다.
네오 파리의 빈민가로 탈출한 닐린은 동료 에러리스트 토미를 만나지만, 곧 현상금 사냥꾼 올가 세도바의 습격을 받는다. 닐린은 올가의 기억을 리믹스하여 그녀의 남편이 메모라이즈 의사에게 살해당했다고 믿게 만들고, 올가를 동료로 만든다. 올가의 도움으로 생미셸 구역에 도착한 닐린은 또 다른 에러리스트 배드 리퀘스트의 도움을 받아, 네오 파리 최고 건축가 카오리 셰리단의 비밀 코드를 훔쳐 에지에게 전송한다. 에지는 이 코드를 이용해 생미셸 댐을 열어 빈민가를 침수시킨다.
이후 닐린은 바스티유 요새에 다시 잠입하여 기억 서버에 접근한다. 그곳에서 가학적인 관리자 마담을 쓰러뜨리고, 자신과 다른 수감자들의 기억을 해방시키며 자신의 기억 일부를 되찾는다. 되찾은 기억 속에는 과거 임무 중 메모라이즈 사령관의 기억을 조작해 여자 친구를 살해했다고 믿게 만들어 자살로 몰고 간 자신의 행동도 포함되어 있었다.
다음 목표는 메모라이즈의 CEO인 스킬라 카르티에-웰스의 기억을 리믹스하여 회사 기술의 위험성을 깨닫게 하는 것이었다. 닐린은 스킬라의 사무실에 침투해 그녀의 정신에 접속하고, 과거 자동차 사고 기억을 리믹스하여 그녀를 더 동정적인 인물로 바꾸려 한다. 이 과정에서 닐린은 스킬라가 자신의 어머니임을 알게 된다. 이후 에지의 지시로 바스티유 지하로 가 붙잡힌 배드 리퀘스트를 구하려 하지만, 그의 기억은 이미 완전히 지워진 상태였다. 그곳에서 메모라이즈 과학자 닥터 콰이드가 리퍼(기억을 잃고 변이된 존재)를 통제하여 사병으로 만들려는 음모가 드러난다. 그러나 콰이드의 전 동료이자 스스로 리퍼가 된 조니 그린티스가 콰이드를 살해하고 바스티유를 자폭시키려 한다. 배드 리퀘스트는 닐린이 조니를 막는 것을 돕다가 목숨을 잃고, 닐린은 파괴되는 시설에서 탈출한다.
메모라이즈의 비밀 작전이 대부분 무력화되자, 에지는 닐린에게 메모라이즈 중앙 기지인 컨셉션 큐브로 가서 중앙 서버 H3O를 파괴하라고 지시한다. 그곳에서 닐린은 센스 기술의 창시자이자 자신의 아버지인 찰스 카르티에-웰스를 만난다. 그는 아내(스킬라)를 다치게 한 자동차 사고의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벗어나고자 이상적인 세계를 꿈꾸며 기술을 개발했고, 딸인 닐린 역시 사고의 기억을 잊게 하려 했음이 밝혀진다. 닐린은 아버지에게 현실을 직시하게 하고, 뒤이어 나타난 스킬라는 찰스에게 닐린이 H3O에 접근하도록 도와달라고 설득한다.
중앙 서버 H3O 앞에서 에지의 정체가 밝혀진다. 그는 H3O 서버 내에 저장된 수많은 사람들의 원치 않는 기억들이 모여 자아를 형성한 존재였다. 닐린 자신의 불행했던 어린 시절 기억이 에지의 탄생에 기여했다는 사실도 드러난다. 닐린은 H3O/에지의 의지에 따라 그를 파괴하고, 저장된 모든 기억을 일반 대중에게 해방시킨다. 기억이 해방되면서 닐린은 "정신은 요새다"라는 에지의 말을 떠올린다. 에지는 기억이 모두에게 공개되어서는 안 되며, 고통스러운 기억 또한 기억 삭제가 아닌 함께 살아가야 할 부분임을 상기시키기 위해 스스로 파괴를 선택한 것이었다. 닐린은 이제 망가진 정신뿐 아니라 다시 찾은 가족과 함께, 상처 입은 세상을 치유해 나가야 함을 깨닫는다.
4. 등장인물
- '''닐린''' (케지아 버로우): 게임의 주인공이자 기억을 훔치고 재구성하는 능력을 지닌 뛰어난 '기억 사냥꾼'이다. 원래 바스티유 요새에 수감된 에러리스트였으나, 메모라이즈에 의해 거의 모든 기억을 잃은 상태에서 에지의 도움으로 탈출한다. 자신의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고, 기억 통제 사회의 이면에 감춰진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메모라이즈에 맞선다. 임무 수행 중 자신이 메모라이즈 CEO 스킬라와 센센 개발자 찰스의 딸임을 알게 된다.
- '''에지''': 에러리스트 조직의 리더로, 통신 장치를 통해서만 닐린에게 지시를 내리는 수수께끼 같은 인물이다. 닐린의 탈출을 돕고 메모라이즈에 대항하는 임무를 부여한다. 게임 후반부에 그의 정체는 메모라이즈 중앙 서버인 H3O 내부에 축적된 원치 않는 기억들이 모여 자아를 갖게 된 존재임이 밝혀진다. 그는 닐린의 불행했던 어린 시절 기억을 계기로 탄생했으며, 결국 닐린에게 자신을 파괴하여 모든 기억을 해방시켜 달라고 요청한다.
- '''올가 세도바''': 처음에는 닐린을 쫓는 현상금 사냥꾼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닐린이 그녀의 기억을 리믹스하여 남편의 죽음에 대한 진실을 왜곡하자, 메모라이즈에 대한 복수심으로 에러리스트의 동맹이 되어 닐린을 돕는다.
- '''배드 리퀘스트''': 닐린과 협력하는 동료 에러리스트이다. 닐린이 카오리 셰리단의 비밀 코드를 훔치는 것을 돕는 등 여러 임무에서 활약한다. 이후 바스티유에서 붙잡혀 기억이 완전히 삭제된 상태로 발견되며, 닐린이 조니 그린티스와 싸울 때 그녀를 돕다가 목숨을 잃는다.
- '''스킬라 카르티에-웰스''': 거대 기업 메모라이즈의 CEO이자 닐린의 어머니다. 과거 자동차 사고로 인해 세상에 대해 냉소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으나, 닐린이 그녀의 기억을 리믹스하여 사고의 진실을 바꾸자 점차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딸인 닐린이 H3O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남편 찰스를 설득한다.
- '''찰스 카르티에-웰스''': 기억을 디지털화하는 '센센' 기술의 창시자이자 닐린의 아버지다. 아내 스킬라가 다친 자동차 사고의 고통스러운 기억에서 벗어나고자 센센 개발에 몰두했으며, 이 기술이 가져올 사회적 파장에 대해서는 깊이 생각하지 못한 모습을 보인다. 닐린과 스킬라의 설득으로 자신의 기술이 초래한 문제점을 깨닫고 닐린을 돕는다.
- '''H3O/에지''': 메모라이즈 중앙 서버 내부에 축적된, 사회 구성원들이 잊고 싶어 하는 고통스럽고 원치 않는 기억들의 집합체가 자아를 갖게 된 존재이다. 에지의 실제 정체이며, 모든 기억이 자유롭게 흘러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다. 최종적으로 닐린에게 자신을 파괴하여 억눌린 기억들을 세상에 해방시켜 달라고 요구한다.
5. 개발 및 출시
리멤버 미 (비디오 게임)의 개발은 Dontnod Entertainment가 설립된 2008년에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Adrifteng라는 제목으로 알려졌으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물에 잠긴 세계를 배경으로 하여 플레이어가 제트스키를 타고 해안 도시를 탐험하는 방식이었다. 이후 개발팀은 기억을 핵심 주제로 삼기로 결정하고 게임을 재설계했다. 게임 디렉터 Jean-Maxime Moris|장-막심 모리스fra는 스튜디오가 파리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파리를 배경으로 설정하는 것은 꺼렸다고 밝혔다.
이 게임은 본래 롤플레잉 게임으로 기획되었으며, 소니가 PlayStation 3 독점 타이틀로 배급을 맡아 2010년 2월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갔다. 그러나 Dontnod와 소니 간의 창작 방향에 대한 의견 차이와 예산 삭감 문제로 인해 2011년 2월 프로젝트가 취소되었다. Dontnod는 새로운 배급사를 찾기 위해 2011년 게임스컴에서 프로젝트를 공개했다. 이후 캡콤 유럽과 파트너십을 맺었고, 캡콤은 2012년에 지적 재산권을 인수하고 프로젝트 자금을 지원하여 여러 플랫폼으로 출시될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게임을 재구상했다.
게임의 주제는 페이스북, 텀블러, 트위터와 같은 현대 사회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영감을 받았다. 모리스는 게임의 일부 요소가 환상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소셜 네트워킹이 미래에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에 대한 현실적인 고찰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리멤버 미''는 Dontnod의 후속작인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가 아날로그적 관점에서 인간 정체성을 다룬 것과 대비되어, 디지털적 관점에서 정체성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여겨진다. 또한, ''아키라''나 ''공각 기동대'' 같은 고전 사이버펑크 애니메이션과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서도 영향을 받았다. 주인공을 여성으로 설정한 이유에 대해 모리스는 "감정, 친밀감, 정체성, 그리고 기술이 이러한 요소들과 교차하는 방식"을 다루는 사이버펑크 게임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에 여성 캐릭터가 더 적합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러 잠재적 배급사들은 남성 캐릭터가 더 상업적으로 성공할 것이라며 프로젝트 지원을 망설이기도 했다.
게임 음악은 Olivier Deriviere|올리비에 데리비에르fra가 작곡했으며, 70인조 오케스트라와 녹음한 후 전자 장비를 이용해 음악을 수정하고 변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데리비에르는 게임의 복잡한 정보와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음악에 반영하고자 했으며, 게임의 메인 테마는 플레이어가 닐린의 여정을 완전히 경험한 후에야 온전히 들을 수 있도록 악곡 전체에 걸쳐 조각내어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이 음악은 2013년 IFMCA에서 비디오 게임 및 인터랙티브 미디어 부문 최우수 오리지널 스코어 상을 수상했다. ''리멤버 미''는 100명 미만의 직원으로 구성된 신생 스튜디오가 새로운 지적 재산을 개발하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언리얼 엔진 3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Dontnod는 에픽 게임즈의 엔지니어링 팀과 협력하여 엔진을 효과적으로 활용했다.
6. 평가
''리멤버 미''는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 따르면 평론가들로부터 플랫폼별로 "평가 혼조 또는 평균" 등급을 받았다.[1][2][3] 전반적으로 게임의 세계관 디자인, 사운드트랙, 그리고 핵심 줄거리는 호평을 받았으나, 스토리의 일부 측면, 디자인 선택, 전투 시스템 등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긍정적인 평가 요소로는 독특한 세계관 설정과 매력적인 사운드트랙이 주로 꼽혔다. 특히 게임의 핵심 시스템인 '기억 리믹스'는 많은 매체로부터 신선하고 몰입도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게임 인포머는 기억 리믹스를 게임의 하이라이트로 꼽았으며,[6] 유로게이머 역시 기억 리믹스 시퀀스의 몰입도를 칭찬했다.[5] 주인공 '닐린'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이었다. 엣지는 닐린을 "강력한 여성 주인공"으로 묘사했고,[4] 게임스팟은 그녀를 "강력하면서도 취약한 훌륭한 여성 영웅"이라고 평가하며 캐릭터의 입체성을 높이 샀다.[7] 폴리곤 또한 게임 세계, 스토리와 함께 주인공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3]
반면, 비판적인 의견도 다수 존재했다. 전투 시스템에 대해서는 유로게이머가 신선한 시도라고 평가하기도 했지만,[5] 조이스틱은 "뻣뻣하고 흥미 없다"고 비판했으며,[11] 게임스레이더 역시 "뻣뻣하다"고 지적했다.[8] 스토리의 경우, 핵심 전제는 흥미롭다는 평가가 있었으나[7] 후반부 전개가 아쉽다는 의견과 함께[5] 일부 대화[7] 및 전문 용어 남발[8]이 몰입을 방해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또한, 탐험 요소가 제한적이고[8][10] 레벨 디자인이 단조롭다는 지적[7][8]도 있었다. 닐린 외의 주변 캐릭터들이 상대적으로 깊이가 부족하다는 평가[4][6]도 나왔다.
2017년, 영국의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리멤버 미''를 최고의 사이버펑크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
6.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해외 주요 게임 매체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으며, 이는 대한민국 게이머들에게도 게임을 판단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매체 | 플랫폼 | 점수 |
---|---|---|
메타크리틱 | 플레이스테이션 3 | 72/100[1] |
메타크리틱 | Xbox 360 | 70/100[2] |
메타크리틱 | PC (윈도우) | 65/100[3] |
Edge | 8/10[4] | |
유로게이머 | 7/10[5] | |
게임 인포머 | 7.75/10[6] | |
게임스팟 | 7/10[7] | |
게임스레이더+ | 3.5/5[8] | |
게임트레일러스 | 6.8/10[9] | |
IGN | 5.9/10[10] | |
Joystiq | 2.5/5[11] | |
OPM (UK) | 7/10[12] | |
Polygon | 8/10[13] |
7. 판매량
''리멤버 미''는 2013년 10월과 2014년 2월 PlayStation Plus 구독 서비스에 포함되어 200만 명 이상의 플레이어를 확보했으며, 유럽 지역에서는 두 번째로 많이 다운로드된 PlayStation Plus 게임이 되었다. 2016년에는 판매량 100만 장을 돌파하여 캡콤의 "플래티넘 타이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개발사 돈노드 엔터테인먼트의 CEO 오스카 길버트(Oskar Guilbert)는 ''리멤버 미''의 성과가 괜찮았다고 평가하면서도, 예상치 못한 후속작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의 큰 성공 덕분에 회사가 재정적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밝혔다.
8. 기타 미디어
게임 출시 전에 멀티미디어 웹사이트를 통해 공식적인 프리퀄 스토리가 공개되었다. 이 인터랙티브 사이트는 메모라이즈(Memorize) 기업의 설립자이자 센센(Sensen) 뇌 임플란트 개발자인 앙투안 카르티에-웰스(Antoine Cartier-Wells)의 일기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게임 시작 100년 전 메모라이즈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게임 출시 시점에는 다크 호스 코믹스에서 맷 킨트가 글을 쓰고 매튜 사우스워스가 그림을 그린 24페이지 분량의 인쇄 코믹북이 발매되었다. 이 코믹북은 게임스톱에서 게임을 예약 구매한 사람들에게 독점 보너스 아이템으로 제공되었다. 다크 호스 코믹스는 이후 콘셉트 아트와 개발자 해설이 담긴 184페이지 분량의 하드커버 아트북도 출판했다.
2013년 6월 20일에는 또 다른 공식 프리퀄 스토리인 소설 《판도라 아카이브》(The Pandora Archive)가 출판되었다. 영국 소설가 스콧 해리슨이 집필한 이 이야기는 게임 시작 몇 달 전을 배경으로 주인공 닐린(Nilin)의 이야기를 다루며, 캡콤(Capcom)에서 전자책 형태로 출판했다.
9. 후속작 가능성
2015년, 개발사 돈노드 엔터테인먼트는 《리멤버 미 2》의 스토리가 완성되었으며, 제작 여부는 배급사 캡콤의 결정에 달려있다고 밝혔다. 게임 디렉터 장-막심 모리스는 《리멤버 미 2》를 진행하기 전에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의 다른 시즌을 먼저 작업하고 싶다는 의사를 언급하기도 했다. 현재로서는 캡콤과의 후속작 협업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인용
Remember Me for PlayStation 3 Reviews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6-11-28
[2]
웹인용
Remember Me for Xbox 360 Reviews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7-01-18
[3]
웹인용
Remember Me for PC Reviews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7-01-02
[4]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http://www.edge-onli[...]
Future Publishing
2013-06-03
[5]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http://www.eurogamer[...]
Gamer Network
2013-06-03
[6]
웹인용
Remember Me: A Fun Adventure, But Not Entirely Memorable
http://www.gameinfor[...]
GameStop
2013-06-03
[7]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3-06-03
[8]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3-06-03
[9]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http://www.gametrail[...]
IGN Entertainment
2013-06-03
[10]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http://www.ign.com/a[...]
IGN Entertainment
2013-06-03
[11]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You are what you do
https://www.engadget[...]
AOL Tech
2013-06-03
[12]
웹인용
Remember Me PS3 review
http://www.officialp[...]
Future Publishing
2013-06-03
[13]
웹인용
Remember Me review: past is present
https://www.polygon.[...]
Vox Media
201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