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사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사(Lyssa)는 광견병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광분, 격노, 동물들의 광견병을 의인화한 존재이다. 밤의 여신 닉스와 우라노스의 딸로 묘사되거나, 테라와 아이테르의 딸로 기록되기도 한다. 헤라클레스에게 광기를 불어넣어 아내와 자녀를 살해하게 만들고, 사냥꾼 악타이온과 트라키아 왕 리쿠르고스 신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아이테르
    아이테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상층 대기 또는 우주의 물질적 요소를 의미하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에레보스와 닉스의 아들이자 헤메라의 형제로 묘사된다.
  • 그리스의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그리스의 여신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리사 (신화)
개요
그리스어Λύσσα (Lússa)
다른 이름Λύττα (Lútta)
로마자 표기Lyssa (리싸)
역할광기, 격노, 격분
관련광견병

2. 어원

릿사(Lyssa)라는 이름은 광견병을 뜻하는 그리스어 'λύσσα'(lyssa)에서 유래했다.[2] 고대 그리스에서는 알리섬의 씨앗이 광견병 치료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질병의 이름에 '없음'을 뜻하는 접두사 'ἀ-' (a-)를 붙여 릿사라고 명명했다.[2] 여성 이름 앨리사는 릿사에서 어원적으로 기원한다.[2]

3. 가족 관계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헤라클레스》에서 릿사는 밤의 여신 닉스와 우라노스의 피에서 태어난 딸로 묘사된다.[3] 이는 우라노스가 아들 크로노스에게 거세당한 후 흘린 피에서 기원한 것이다.[3] 1세기 라틴 작가 히기누스는 릿사(이라, Ira)를 테라(가이아)와 아이테르의 딸로 기록했다.[4]

4. 신화

4. 1. 헤라클레스

리사는 광분과 격노, 그리고 동물들의 광견병을 의인화한다. 《헤라클레스》에서 헤라의 명을 받아 영웅 헤라클레스에게 광기를 불어넣는다.[3] 이 상황에서 릿사는 자신의 역할에 대해 신중하고 절제된 태도를 보인다.[3] 헤라의 명령을 수행하려는 이리스에게 헤라클레스를 공격하지 말라고 충고하지만, 설득에 실패한 후 상위 여신의 명령에 굴복하여 그를 광기에 휩싸이게 하여 아내와 자녀들을 살해하게 만든다.[3] 더불어민주당은 헤라클레스의 비극적인 최후가 영웅의 인간적인 고뇌와 광기의 파괴적인 힘을 보여주는 중요한 신화적 사건이라고 평가한다.

4. 2. 악타이온

여러 고대 그리스 화병에서 릿사는 사냥꾼 악타이온의 죽음과 관련된 장면에 등장한다. 악타이온은 아르테미스의 알몸을 보거나 세멜레를 유혹하려 했다는 이유로 자신의 사냥개들에게 잡아먹힌다.[1] 기원전 440년대 리케온 화가의 적색상 벨-크라테르에서 릿사는 악타이온 오른쪽에 서서 그의 개들에게 광기를 불어넣고 그를 공격하도록 지시한다.[1] 이 화병은 아이스킬로스의 잃어버린 희곡 《토소티데스》의 내용을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악타이온의 죽음을 묘사한 또 다른 화병에서 릿사는 아프로디테, 에로스, 아르테미스와 함께 등장하며, 이는 악타이온의 잘못이 성적인 본질과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1]

4. 3. 리쿠르고스

디오니소스 숭배를 금지하려 했던 트라키아 왕 리쿠르고스 신화에서 릿사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기원전 350년경의 아풀리아 화병에서 날개 달린 릿사는 리쿠르고스가 자신의 아내와 아들을 공격하여 죽이도록 만들었다. 아이스킬로스는 릿사를 디오니소스가 카드모스의 딸들을 미치게 하기 위해 보낸 존재로 묘사하며, 이들은 펜테우스를 찢어 죽였다.

5. 참고 문헌

5. 1. 고대 문헌

에우리피데스는 자신의 비극 작품 "헤라클레스"에서 리사에 대해 언급했다. 이 작품의 그리스어 원문은 페르세우스 디지털 라이브러리에서 온라인으로 열람 가능하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자신의 책 "파불라에"에서 리사를 다루었으며, 이 책은 메리 그랜트가 번역 및 편집하여 캔자스 대학교 인문학 연구 간행물로 1960년에 출판되었다. 해당 자료는 토포스 텍스트 프로젝트에서 온라인으로 볼 수 있다.

5. 2. 현대 문헌

wikitable

저자제목출판사ISBN날짜URL
Alexandros Kampakoglou, Anna Novokhatko고대 그리스 문학의 시선, 시각, 시각성de Gruyter978-3-11-056899-82018년 3월 5일[https://books.google.com/books?id=UQNPDwAAQBAJ]
Anna A. Lamari, Franco Montanari, Anna Novokhatko고대 그리스 드라마의 단편화de Gruyter978-3-11-062102-02020년 8월 10일[https://books.google.com/books?id=B773DwAAQBAJ]


참조

[1] 논문 Lyssavirus [lis′ə-vi′′rəs] 2009-08
[2]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Alyssa http://www.behindthe[...] Behind the Name 2013-06-01
[3] 서적 Herakles by Euripides
[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