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악타이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타이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사냥을 하던 중 우연히 목욕하는 아르테미스를 보게 되어 사슴으로 변해 자신의 사냥개들에게 찢겨 죽임을 당한다. 이 이야기는 인간의 호기심이나 불경함에 대한 경고로 해석되며, 예술 작품의 주요 소재로 활용되었다. 악타이온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상징적 의미와 문화적 묘사, 아카드와 우가리트 신화와의 유사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 공격으로 죽은 사람 - 에우리피데스
    에우리피데스는 기원전 5세기의 고대 그리스 비극 작가로, 인간의 고뇌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 특히 여성 캐릭터에 대한 섬세한 묘사로 유명하며, 혁신적인 작풍과 현실성으로 현대까지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아나트 - 삼갈
    삼갈은 판관기에 등장하는 사사로, 소몰이 막대기로 블레셋인 600명을 쳐죽여 이스라엘 민족을 구원한 인물로 기록되어 있으며, 드보라와 바락의 노래에 언급되지만 이야기가 짧고 유대교에서 외국인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 그리스 신화의 궁수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그리스 신화의 궁수 - 필록테테스
    필록테테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클레스의 활과 화살을 소유하고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지만 렘노스 섬에 버려졌다가 전쟁 승리를 위해 다시 소환되어 공동체의 정의 실현에 기여하며, 그의 이야기는 고통, 복수, 극복, 화해를 다루는 은유로 활용된다.
악타이온

2. 신화

카세르타 궁전의 폭포 조각상 단지, 아크타이온


아르테미스가 목욕하는 모습을 우연히 본 악타이온은 여신의 분노를 사 사슴으로 변했다. 자신의 사냥개들에게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사냥감으로 착각되어 쫓기다가 결국 갈기갈기 찢겨 죽었다.

2. 1. 죽음에 대한 여러 이야기

존 히스는 "변하지 않는 이야기의 핵심은 사냥꾼이 사슴으로 변신하여 사냥개에게 물려 죽는 것이었다. 그러나 작가들은 그의 죽음에 대한 다양한 동기를 제시할 자유가 있었다."라고 언급했다.[3] 헬레니즘 시인 칼리마코스[4] 제시한 표준적인 이야기에 따르면, 사냥꾼 아크타이온은 아르테미스가 숲에서 목욕하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여 그녀의 나체를 보게 된다. 그는 멈춰 서서 그녀의 아름다움에 놀라 쳐다보았다. 아르테미스는 아크타이온에게 복수하여 그에게 말하는 것을 금지했다. 만약 그가 말을 하려고 하면 그는 사슴으로 변할 것이었다. 이는 그녀의 처녀성의 비밀을 부정한 불운에 대한 벌이었다.[6][7]

장 미뇽의 에칭 ''아크타이온의 변신'' (1550년대). 아크타이온은 세 번 등장하며, 마지막에는 사냥개에게 죽임을 당한다.


사냥 무리의 부름을 들은 아크타이온은 그들에게 소리쳤고 즉시 변신했다. 그는 숲 속으로 도망쳤고, 연못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며 신음했다. 그의 사냥개들은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덤벼들었다. 자신을 구하기 위해 그는 올림푸스 산을 향해 눈을 들었다. 신들은 그의 절박함을 무시했고, 그는 찢겨 죽었다. 이전 신화의 한 요소는 아크타이온을 낯선 사람이 아닌 아르테미스의 친숙한 사냥 동료로 만들었다. 신화가 확장된 이야기에서, 사냥개들은 주인의 죽음에 매우 슬퍼하여 케이론은 사냥개들이 아크타이온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생생한 조각상을 만들었다.[8]

아크타이온의 범죄에 대한 다른 다양한 이야기가 있다. 헤시오도스의 ''여인들의 목록''과 가짜 아폴로도로스의 ''비블리오테카''는 그의 범죄가 제우스와 그의 어머니의 누이인 세멜레를 두고 경쟁한 것이라고 언급한다.[9] 반면 에우리피데스의 ''바쿠스 여신도''에서는 그가 아르테미스보다 더 나은 사냥꾼이라고 자랑했다고 한다.[10]



프랑수아 클루에의 ''다이아나의 목욕'' (1558–59)에서 아크타이온이 왼쪽에서 말을 타고 지나가고, 사슴으로 변하여 오른쪽에서 찢겨 죽는 것은 세 명의 여성 누드에 부수적인 사건이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4.81.4)는 아크타이온이 아르테미스와 결혼하고 싶어했다고 말하지만, 이는 대부분 무시되었다. 다른 작가들은 사냥개가 아르테미스 자신의 것이라고 말한다. 아크타이온의 변신과 죽음을 묘사한 많은 고대 그리스 화병에는 여신 리사가 등장하여 그의 개들에게 광견병을 퍼뜨리고 그를 공격하게 만든다.[12]

로마의 오비디우스[13] 말한 이야기의 라틴어 버전에 따르면, 키타이론 산에서 목욕하는 다이아나(아르테미스)를 우연히 본 아크타이온은 그녀에 의해 사슴으로 변했고, 50마리의 사냥개에게 쫓겨 죽었다. 이 버전은 칼리마코스의 다섯 번째 찬가에도 등장하며, 테이레시아스아테나의 목욕을 본 후 눈이 멀게 된 것과 유사한 신화적 병행물이다.

아크타이온 신화에 관한 문학적 기록은 대부분 사라졌지만, 라마 로널드 레이시[14]는 살아남은 신화 요소를 해체하고 후기 화병 그림의 도상학적 증거를 보충하여 고대 아크타이온 신화의 재구성을 제시했다. 그의 재구성은 아르카익 시대의 아크타이온이 세멜레를 열망하고,[15] 고전 시대의 아크타이온이 자신의 사냥 실력을 자랑하며, 헬레니즘 시대의 아크타이온이 아르테미스의 목욕을 엿보는 것에 반대한다.[16] 레이시는 아크타이온의 범죄 장소를 플라타이아에 있는 아르테미스에게 신성한 샘으로 특정하며, 그곳에서 아크타이온은 ''영웅 시조'' ("영웅 창시자")였다.[17] 의로운 사냥꾼이자 아르테미스의 동료인 그는 샘에서 나체로 목욕하는 그녀를 보고 디오도로스 시켈로스가 언급했듯이 그녀의 배우자가 되려고 했으며, 부분적으로는 "아르테미스에 대한 사냥꾼의 의례적으로 강요된 존경심"을 위반한 대가로 벌을 받았다 (레이시 1990:42).

어느 날 아크타이온은 키타이론 산의 갈가피아 골짜기에서[43][42], 사냥 동료들과 함께[43], 자신이 직접 키운[44] 50마리의 사냥개를 이끌고 사냥에 열중했다.[40] 사냥 성과가 좋았던 아크타이온은 잠시 사냥을 멈추고[43], 사냥개를 쉬게 하기 위해 샘을 찾아 걸었다.[42]

그런데 갈가피아 골짜기는 아르테미스에게 바쳐진 성역이었고, 마침 골짜기 가장 깊숙한 곳에 있는 동굴에서 솟아나는 샘에서 사냥에 지친 아르테미스가 수행원들과 함께 목욕을 하고 있었다. 그것도 모르고 아크타이온은 동굴로 들어가[43], 아르테미스의 입욕 중인 나체를 실수로 목격해 버렸다.[43][40][42] 이 때문에 여신의 노여움을 사서, 여신의 나체를 보았다고 떠벌릴 수 없도록 사슴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고[43][42], 더욱이 그의 사냥개들을 미치게 하여[40], 아크타이온에게 달려들게 했다.[42] 악타이온은 수면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놀랐지만, 입에서 나오는 것은 신음 소리뿐이었다. 악타이온은 테바이 왕궁으로 돌아가야 할지, 숲 속에 숨어 있어야 할지 망설인 끝에, 사냥개들에게 발각되어 물어뜯겨 죽었다.[43]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아크타이온의 죽음은 운명의 장난이었으며 악타이온에게 잘못이 없다고 하지만[43], 히기누스는 아르테미스의 나체를 목격했을 때 범하려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41]

그러나 다른 설에서는 악타이온이 자신의 사냥 솜씨를 뽐내며 여신을 업신여겼기 때문이며[44], 더 나아가 다른 설에서는 숙모인 세멜레와 결혼하려다 제우스와 다투었기 때문에[45][46], 아르테미스가 악타이온에게 사슴 가죽을 뒤집어씌워 사냥개들에게 덮치게 했다고 한다.[46]

2. 2. 죽음 이후

아크타이온이 죽은 후, 그의 사냥개들은 주인을 찾아 케이론의 동굴까지 갔는데, 케이론은 아크타이온과 똑같은 동상을 만들어 사냥개들을 위로했다.[40] 아크타이온이 죽은 현장은 후에 펜테우스가 죽은 현장이 되었고,[44] 아크타이온을 비롯한 여러 불행에 슬퍼한 양친은 테베를 떠났다. 어머니 아우토노에메가라 지방의 엘리네이아로 이주했고,[47] 아버지 아리스타이오스는 그리스인을 이끌고 사르데냐섬으로 이주했다.[48]

아크타이온은 죽은 후에 망령이 되어 오르코메노스를 괴롭혔다는 이야기도 남아 있다. 오르코메노스 주민이 망령을 진정시키는 방법을 델포이에 묻자, 아크타이온의 유품을 찾아 땅에 묻고, 더 나아가 아크타이온의 상을 만들어 쇠사슬로 바위에 묶어두라고 명했다. 이 상은 파우사니아스 시대에도 남아 있었으며, 매년 영웅으로 숭배되었다고 한다.[49]

2. 3. 플라타이아이의 전승

2세기경, 여행가 파우사니아스는 아테네에서 플라타이아로 가는 길에 엘레우테라이에서 메가라를 조금 지나면 있는 샘을 보여주었다. 그는 "조금 더 가면 바위가 있는데, 그곳은 악타이온의 침대라고 불리며, 사냥에 지쳐 잠들었고, 아르테미스가 그곳에서 목욕하는 동안 이 샘을 바라보았다고 전해진다."라고 기록했다.[24]

파우사니아스는 키타이론 근처의 플라타이아이에 악타이온이 사냥에 지쳤을 때 침대 대신 사용하며 잠들었다고 전해지는 바위가 있었으며, '''악타이온의 침상'''이라고 불렸다고 기록했다. 또한 아르테미스의 목욕을 목격했다고 전해지는 샘도 있었다고 한다.[50]

한편, 악타이온에게 키타이론은 사냥터일 뿐만 아니라, 이 땅의 번영에 기여한 영웅이기도 했다. 플루타르코스에 따르면, 악타이온은 안드로클라테스, 레우콘, 페이산드로스, 다모크라테스, 퓌프시온, 폴리에도스와 함께 플라타이아이를 번성하게 한 7명의 영웅 중 한 명이다. 페르시아 전쟁플라타이아이 전투 때 그리스군은 델포이의 신탁에 따라 제우스, 키타이론의 헤라, , 스플라기디온의 님프에게 서약을 하고 악타이온 등 7명의 영웅에게 희생을 바쳐 승리했다고 전해진다.[51]

3. 악타이온의 사냥개

악타이온이 데리고 온 사냥개들은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사냥감으로 착각하여 달려들었다. 악타이온은 사냥개들을 피해 달아나다 지쳐 결국 사냥개들에게 붙잡혀 갈기갈기 찢어졌다.[3]

오비디우스는 악타이온의 사냥개 50마리를 언급했다.

악타이온의 개 목록
출처배우자출처
아폴로도로스[18]오비디우스[19]히기누스[20]아폴로도로스오비디우스히기누스
오비디우스[21][22]기타 저자오비디우스기타 저자
아카마스아엘로 (폭풍)
아이톤알케 (강한)
아그리우스아그레 (사냥꾼)
아마린투스아르세나
아르카스?아레투사
아르기오두스 (견인)아르고
아스볼루스 (그을린)아우라?
발리우스 (얼룩무늬)카나케 (짖는 사람)
보락스체디아이트로스*
보레스킬로
보레아스디노마케
카롭스디오시페
코루스에키오네
킬로포데스고르고
키프리우스?하르피이아 (하르피)
도르케우스 (퀵사이트)라크네 (강모)
드라코라카에나
드로마스 (레이서)레에나
드로미우스리시스카 (울페트)
에크노바스?린케스테
엘리온?멜라네케테스 (블랙메인)
그노시우스?나페 (와일드우드)
에우드로무스오키드로메
하에몬오키페테
하르팔리쿠스오레시트로포스 (로버)
하르팔로스 (스냅)오리아스
힐락토르 (재잘거리는 사람)옥시로에
힐라에우스 (우드레인저)포에메니스 (목자)
이케우스사그노스*
이크노바테스 (추적자)스티크테 (반점)
라브로스 (와일드투스)테리오페
라콘테리폰
라돈테로다마스 (사바지)
라엘라프스 (헌터)테로다나피스?
람푸스우라니아
레온볼라토스*
레우콘 (블랑쉬)숫자1131520
린케우스colspan="5" |
마키무스colspan="5" |
멜람푸스 (블랙풋)colspan="5" |
멜라네우스 (블랙코트)colspan="5" |
오브리무스colspan="5" |
오키드로무스colspan="5" |
오키투스colspan="5" |
오마르구스colspan="5" |
네브로포노스 (킬벅)colspan="5" |
오리바소스 (슈어풋)colspan="5" |
파킬루스colspan="5" |
팜파고스 (탐욕)colspan="5" |
프테렐라스 (윙풋)colspan="5" |
스파르투스colspan="5" |
스틸본colspan="5" |
시루스colspan="5" |
테론 (폭풍)colspan="5" |
토스 (퀵풋)colspan="5" |
티그리스 (타이거)colspan="5" |
제피루스colspan="5" |
숫자6222726colspan="5" |



볼테라, 이탈리아. 에트루스칸 화장 항아리; 디아나의 개에게 찢긴 악타이온, 볼테라. 브루클린 박물관 아카이브, 굿이어 아카이브 컬렉션


참고:

  • 개의 이름은 오비디우스의 텍스트에 주어진 목록과 일치하는지 확인되었으며, 여기서 이름은 이미 음역되었다.[23]
  • ? = 히기누스의 ''파불라에''에 있는 개의 일곱 가지 나열된 이름은 오비디우스가 제공한 정확한 숫자 및 이름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후 저자에 의해 잘못 읽히거나 오해되었을 것이다.
  • * ''아르카스''는 팜파고스, 도르케우스, 오리바소스 세 마리의 개가 기원한 아르카디아를 의미한다.
  • * ''키프리우스''는 개 리시스카와 하르팔로스가 기원한 키프로스를 의미한다.
  • * ''그노시우스''는 크레타크노소스를 읽을 수 있으며, 이크노바테스가 크노소스 견종임을 의미한다.
  • * ''에크노바스'', ''엘리온'', ''아우라'' 및 ''테로다나피스''는 개의 특성을 정의하는 지명 또는 형용사였을 것이다.

4. 아카드와 우가리트 시와의 유사성

표준 버전의 ''길가메시 서사시''(제6판)에는 길가메시이슈타르가 연애 상대를 학대한 사례들을 언급하는 부분과 유사한 구절이 있다.[25] 아르테미스의 사주를 받은 개들에게 찢겨 죽은 악타이온은 우가리트의 영웅 아크하트가 아나트가 그의 사냥용 활을 탐내어 독수리에게 찢겨 죽는 이야기에서 또 다른 근동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26]

고전 시대의 순결한 아르테미스는 많은 연인을 거느린 이슈타르와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지만, 아르테미스가 오리온을 쏘는 신화적 소재는 T.C.W. 스틴턴에 의해 아르테미스가 악타이온을 벌하는 것과 연결되었다.[27] 필멸자가 사랑에 빠진 여신을 비난하는 그리스적 맥락은 안키세스아프로디테의 에피소드로 번역된다.[28] 다프니스 또한 여신에게 사랑받고 그녀에게 벌을 받은 목자였다. 테오크리토스의 첫 번째 전원시를 참조하라.[29]

5. 상징

악타이온은 인간의 호기심이나 불경함, 또는 신을 기쁘게 하기 위한 의례적인 인신 제사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0] 융 심리학자 볼프강 기게리히는 악타이온 신화를 영적 변환 및 깨달음의 상징으로 해석했다.[31]

악타이온은 종종 근친상간의 상징으로도 사용되는데, 사슴으로 변했을 때 "뿔이 생기는" 것과 관련이 있다.[32] 이는 셰익스피어의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과 로버트 버튼의 ''우울증의 해부'' 등에서 암시된다.[33][34]

6. 문화적 묘사

아르테미스가 숲에서 목욕하는 것을 우연히 발견한 악타이온은 그녀의 아름다움에 놀라 넋을 잃고 바라보았다. 이에 분노한 아르테미스는 악타이온에게 말을 하면 사슴으로 변하는 저주를 내렸다.[6][7] 사냥 무리의 부름에 답하려던 악타이온은 소리를 치자마자 사슴으로 변해 숲으로 도망쳤다. 연못에서 자신의 모습을 본 그는 절망했지만, 사냥개들은 주인을 알아보지 못하고 덤벼들었다. 악타이온은 올림푸스 산을 향해 눈을 들어 구원을 요청했지만, 신들은 외면했고 결국 사냥개들에게 찢겨 죽었다.[8]

다른 이야기에서는 악타이온이 제우스의 연인 세멜레를 탐냈거나,[9] 아르테미스보다 뛰어난 사냥꾼이라 자랑했다는[10] 이유로 벌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악타이온이 아르테미스와 결혼하려 했다고도 주장했지만, 이는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는다.[12]

티치아노의 ''악타이온의 죽음''


폴 맨쉽의 ''악타이온''


바실리 랴브첸코의 ''악타이온의 죽음'' (1988년, 캔버스 유채)


악타이온 신화는 고대부터 예술 작품의 소재로 자주 사용되었다.[35] 주요 장면은 악타이온이 아르테미스/다이아나를 놀라게 하는 장면과 그의 죽음이다. 고전 미술에서 악타이온은 사냥개에게 죽임을 당할 때조차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지만(때로는 작은 뿔이 있음), 르네상스 미술에서는 다이아나와 함께 있는 장면에서도 사슴 머리에 뿔이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죽을 때쯤에는 적어도 이 머리를 가지고 있었고 종종 완전히 사슴의 모습으로 변한다.

  • 아이스킬로스를 비롯한 여러 비극 시인들이 이 이야기를 사용했다.
  • 대영 박물관에는 이 이야기를 묘사하는 작은 대리석 조각군이 있다.
  • 16세기 화가 티치아노는 ''악타이온의 죽음''과 ''다이아나와 악타이온''이라는 두 점의 그림을 그렸다.
  • 마르크-앙투안 샤르팡티에는 오페라 파스토랄 ''악테옹''을 작곡했다.
  • 퍼시 비시 셸리존 키츠를 위한 비가 ''아도나이스''에서 악타이온을 언급했다.
  • 헨리 퍼셀의 ''디도와 아이네아스''에는 악타이온 이야기가 나오는 아리아가 있다.
  • 조르다노 브루노, 잠바티스타 마리노, 자크 오펜바흐, 테드 휴즈, 마리우스 프티파, 윌리엄 셰익스피어, 크리스토퍼 말로우 등 많은 작가와 예술가들이 악타이온 신화를 작품에 활용했다.
  • 폴 맨쉽은 1925년에 다이앤과 악타이온의 구리 조각상을 만들었다.
  • 매튜 바니는 2019년 영화 ''레다우트''에서 악타이온 신화를 재해석했다.
  • 시머스 히니의 시집 ''노스''에는 다이아나와 악타이온 신화에 관한 애실링이 포함되어 있다.


7. 테베 왕가 가계도



하르모니아1. 카드모스폴릭소A4. 닉테우스 (섭정)디르케B4 & A6. 리코스 (섭정)
colspan="23" |제우스
이노아가베에키온닉테이스3. 폴리도로스colspan="7" |안티오페colspan="5" |
세멜레아우토노에colspan="20" |
디오니소스2. 펜테우스에피로스4. 라브다코스5a. 암피온5b. 제토스
메노케우스colspan="13" |
에우리디케A7, A8 & A9. 크레온 (섭정)이오카스테6. 라이오스히포노메메로페폴리보스colspan="10" |
colspan="8" |알카이오스colspan="14" |
제우스colspan="4" |페리메데7. 오이디푸스colspan="10" |
colspan="1" |알크메네암피트리온colspan="17" |
메가라헤라클레스이피클레스아낙소colspan="16" |
헤니오케메가레우스하이몬안티고네8b. 에테오클레스아르게이아8a. 폴리네이케스colspan="12" |
피르라리코메데스이스메네9. 리쿠스 2세colspan="8" |
A12. 페넬레오스 (섭정)10. 라우다마스데모나사11. 테르산드로스colspan="6" |
오펠테스12. 티사메누스colspan="7" |
14. 다마시크톤13. 아우테시온colspan="7" |
15. 프톨레마이오스테라스아르기아아리스토데모스colspan="9" |
16. 크산토스에우리스테네스프로클레스colspan="8" |


참조

[1] 문서
[2] 서적 Homo Neca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3
[3] 간행물 The Failure of Orpheus 1994
[4] 문서 Hymn v
[5] 문서
[6] 서적 Chasing Immortality in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McFarland Inc. 2016-07-29
[7] 서적 The Everything Classical Mythology Book: Greek and Roman Gods, Goddesses, Heroes, and Monsters from Ares to Zeus https://books.google[...] Adams Media 2010-02-10
[8] 간행물 Aktaion and a Lost 'Bath of Artemis' 1990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서적 Fragmentation in Ancient Greek Drama https://books.google[...] de Gruyter 2020-08-10
[13] 문서
[14] 간행물 Aktaion and a Lost 'Bath of Artemis' 1990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Bibliotheca
[19] 문서 Metamorphoses
[20] 문서 Fabulae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Metamorphoses
[24] 웹사이트 Pausanias' Description of Greece, Vol. II., by Pausanias—A Project Gutenberg eBook https://www.gutenber[...] 2024-04-12
[25] 서적 Myths from Mesopotamia... a new translation by Stephanie Dalley
[26] 서적 Hellenosemitica: an ethnic and cultural study of West Semitic impact on Mycenaean Greece Leiden:Brill 1965
[27] 문서
[28] 문서 Homeric Hymn to Aphrodite
[29] 간행물 Theocritus, the Iliad, and the East 1992
[30] 서적 The Dictionary of Symbolism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31] 서적 The Soul’s Logical Life Peter Lang 2001
[32]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2010
[33] 서적 Slang and Its Analogues Past and Present https://books.google[...] 1903
[34] 서적 A Dictionary of Sexual Language and Imagery in Shakespearean and Stuart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001
[35] 웹사이트 Rooms 83-84: Roman sculpture http://www.thebritis[...] British Museum 2014-04-08
[36] 서적 'What Is Contemporary Ar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2-08-10
[37] 웹사이트 'The Scattering of the Son' http://www.newmediaa[...] 2011-01
[38] 뉴스 A Lighter Matthew Barney Goes Back to School, and Back Home https://www.nytimes.[...] 2019-03-21
[39] 서적 North Faber and Faber
[40] 문서 アポロドーロス、3巻4・4。
[41] 문서 ヒュギーヌス、180話。
[42] 문서 ヒュギーヌス、181話。
[43] 문서 オウィディウス『変身物語』3巻。
[44] 문서 エウリーピデース『バッコスの信女たち』。
[45] 문서 '[[アクーシラーオス]]断片(アポロドーロス、3巻4・4による引用)。'
[46] 문서 '[[ステーシコロス]]断片(パウサニアス、9巻2・3による引用)。'
[47] 문서 パウサニアス、1巻44・5。
[48] 문서 パウサニアス、10巻17・3。
[49] 문서 パウサニアス、9巻38・5。
[50] 문서 パウサニアス、9巻2・3。
[51] 문서 プルタルコス「[[アリステイデース]]伝」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