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멜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멜레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딸이며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디오니소스를 낳았다. 세멜레는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임신했지만, 헤라의 질투로 인해 제우스의 신성을 증명하려는 과정에서 번개에 맞아 죽었다. 제우스는 세멜레의 뱃속에 있던 디오니소스를 구출하여 자신의 허벅지에 봉합했고, 디오니소스는 두 번의 탄생을 거쳐 신이 되었다. 세멜레는 이후 하데스에서 구출되어 올림포스 산에서 '튀오네'라는 이름으로 여신이 되었다. 세멜레 이야기는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널리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오니소스 - 아리아드네
아리아드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도록 테세우스를 돕고 디오니소스의 아내가 되거나 테세우스에게 버려졌다는 이야기로 전해지며, 예술 작품과 관용구의 소재로 활용된다. - 디오니소스 - 리베르
리베르는 자유를 의미하는 로마 신으로, 포도주, 자유, 권력 전복과 관련되어 그리스 신 디오니소스와 동일시되었으며, 리베랄리아 축제를 통해 숭배되었다. - 테바이 신화 - 안티고네
안티고네는 그리스 신화 속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의 딸로, 크레온의 명령에 맞서 오빠의 장례를 치르려다 비극을 맞이하며 인간의 법과 신의 법 사이 갈등의 상징으로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준 인물이다. - 테바이 신화 - 하르모니아
하르모니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조화와 화합을 상징하는 여신으로, 카드모스의 아내이자 저주받은 목걸이와 관련된 비극적인 이야기를 가진 인물이다. - 제우스의 여인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 제우스의 여인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세멜레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멜레 |
다른 이름 | 티오네 |
역할 | 테베의 공주 바쿠스적인 광란의 여신 |
신화 정보 | |
배우자 | 제우스 |
부모 |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 |
형제자매 | 아우토노에, 아가베, 이노, 폴리도로스 |
자녀 | 디오니소스 |
소속 | 테베 왕가 |
2. 어원
일부 언어학자들에 따르면, 세멜레(Semele)라는 이름은 트라키아인과 프리기아인에서 유래되었으며,[5] '땅'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조어 어근에서 파생되었다고 한다. 프리기아어 비문에는 ''diōs zemelō'' (διως ζεμελωgrc)가 언급되어 있는데, 첫 번째 단어는 그리스어 ''제우스''(소유격: 디오스)에 해당하며, 두 번째 단어는 일부 인도유럽어족에서 '땅'을 의미한다.[6] 율리우스 포코르니는 세멜레의 이름을 '땅'을 의미하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dgem-mis에서 재구성했으며, 이를 트라키아어의 Zemeletxh, 즉 '어머니 대지'와 관련짓는다.[7] 리투아니아 신화에서 땅의 여신(어머니 여신)인 Žemyna (žemė - 땅에서 파생됨)와 슬라브 및 라트비아의 대지의 여신인 Zeme, 즉 Zemes-mãte와 비교해 볼 수 있다.[8][9]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딸 세멜레는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디오니소스를 임신하게 된다.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질투심에 불타 늙은 여인으로 변장하여 세멜레에게 접근, 제우스에게 진정한 모습을 보여달라고 부추긴다.[17][18]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소원을 빌었고, 제우스는 스틱스 강의 맹세를 통해 이를 들어주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인간은 제우스의 본모습인 번개를 보면 타 죽을 수밖에 없었기에, 세멜레는 결국 번개에 타 죽고 만다.[19] 제우스는 세멜레의 몸에서 태아를 꺼내 자신의 넓적다리에 넣고 꿰맸고, 몇 달 후 디오니소스가 태어났다. 이 때문에 디오니소스는 "두 번 태어난 자"라고 불린다.[20]
맬러리와 애덤스는 세멜레가 다른 어머니 대지/대지의 여신 동족어와 "어원적으로 관련"되어 있지만, 그녀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어휘의 일부로 상속된 것이 아니라 "다른 인도유럽어 출처"에서 차용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10] 부케르트는 세멜레가 "분명히 그리스어가 아니"지만, "세멜레가 땅을 의미하는 트라코-프리기아어 단어라는 것을 확증하는 것은 리디아어의 baki-xld가 바쿠스보다 디오니소스의 이름으로서 우선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만큼 불가능하다"고 말한다.[11] 마틴 리치필드 웨스트는 프리기아어 ''zemelo'', 고대 슬라브어 ''zemlya'', 리투아니아어 ''zēmē''를 인도유럽어 *dʰéǵʰōm (땅)에서 파생한다. 세멜레는 ''gʰem-elā''에서 유래된 대지의 여신의 트라키아어 이름인 것으로 보인다. 발음은 아마도 Zemelā였을 것이다.[12]
트라코-프리기아어 Semeletxh와 발토-슬라브어의 대지 신과의 어원적 연관성이 주목받아 왔는데, 발트 Zemyna의 다른 이름이 Žemelėlt이고,[13][14] 슬라브어에서 semesla (세멜레)는 '씨앗'을, zemljasla (Zemele)는 '땅'을 의미하기 때문이다.[15] 따라서 보리소프에 따르면 "그녀는 고대 트라키아와 슬라브 숭배를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가 될 수 있다(...)".[16]
3. 신화
성장한 디오니소스는 하데스에서 어머니를 구출하여 올림포스 산으로 데려왔고,[21] 세멜레는 '튀오네'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여신이 되었다.[22] 튀오네는 히아데스 중 한 명의 이름이기도 하다.
이후 세멜레는 디오니시아카에서 자신의 아들 디오니소스가 올림푸스에서 신들과 함께하게 된 것을 자랑스러워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23]
3. 1. 제우스와의 사랑과 디오니소스의 탄생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딸인 세멜레는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아이를 배게 되었다. 이를 눈치챈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늙은 마녀로 변장하여[18] 세멜레와 친구가 되었다. 세멜레는 자신의 연인이 사실 제우스라고 털어놓았다. 헤라는 믿지 않는 척하며 세멜레의 마음에 의심의 씨앗을 심었다.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정말로 자신을 사랑한다면 원래의 모습을 보여 달라고 부탁했다. 제우스는 사랑하는 세멜레를 기쁘게 해주고 싶어 스틱스 강에 맹세하며 그녀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주겠다고 약속했다.[19]
본래의 모습이 번개인 제우스를 인간인 세멜레가 보게 되면 번개를 맞아 죽을 수 있었지만, 제우스는 맹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본모습을 보였다. 제우스는 세멜레를 구하기 위해 가장 작은 번개와 가장 희미한 뇌우 구름을 보여주려 했으나, 필멸자는 불에 타지 않고는 신을 볼 수 없기에 세멜레는 번개로 인한 불꽃에 휩싸여 죽고 말았다.[19] 다른 이야기에서는 제우스가 세멜레의 강요에 응하지 않자, 세멜레가 진짜 모습을 보여주지 않으면 침실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겠다고 하여, 결국 화가 난 제우스가 벼락에 휩싸인 진정한 모습을 드러내 세멜레는 벼락에 맞아 타 죽었다고도 한다.
제우스는 세멜레의 몸에서 태아를 꺼내어 자신의 넓적다리에 넣고 꿰맸는데, 이렇게 하여 태어난 아이가 디오니소스이다.[20] 디오니소스는 "두 번 태어난" 존재라고 불리게 되었다.
디오니소스는 성장한 후 어머니를 하데스에서 구출했고,[21] 그녀는 올림포스 산에서 새로운 이름 '튀오네'로 여신이 되어 아들 디오니소스가 불러일으키는 광란을 주관했다.[22] 튀오네는 히아데스 중 한 명의 이름이기도 하다.
3. 2. 다양한 전승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아이를 배게 된 세멜레는, 헤라의 계략으로 인해 제우스에게 본모습을 보여달라고 부탁하게 된다. 인간이 제우스의 본모습인 번개를 보면 타 죽을 수밖에 없었지만, 스틱스 강의 맹세 때문에 제우스는 어쩔 수 없이 본모습을 보였고, 세멜레는 번개에 타 죽고 만다. 제우스는 세멜레의 몸에서 태아를 꺼내 자신의 넓적다리에 넣고 꿰맸는데, 이 아이가 바로 디오니소스이다. 훗날 디오니소스는 지하세계에서 어머니를 구출하여 여신으로 승격시켰고, 세멜레는 튀오네라는 이름으로 올림포스에서 살게 되었다.[24]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의 《이야기》(''Fabulae'')에 따르면, 디오니소스는 제우스와 프로세르피나의 아들로, 티탄들에게 죽임을 당한다. 제우스는 찢긴 디오니소스의 심장을 세멜레에게 마시게 하거나, 혹은 심장을 삼켜 세멜레를 임신시켰다. 헤라는 세멜레를 설득해 제우스에게 신의 모습으로 와달라고 부탁하게 했고, 세멜레는 죽고 만다. 제우스는 아기를 허벅지에 봉합했고,[25] 이 때문에 디오니소스는 "두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는 의미의 Διμήτωρ|디메토르grc라고 불렸다.
칼리마코스[26]와 논노스[27]의 전승에서는 첫 번째 디오니소스가 자그레우스로 불린다. 논노스는 제우스가 자그레우스의 심장을 삼킨 후 세멜레를 유혹하여 임신시켰다고 묘사한다. 제우스는 세멜레 외에도 이오, 에우로파 등 열한 명의 여성과 관계를 맺어 아이를 낳았다.[28]
세멜레 이야기는 테베의 아크로폴리스, 즉 "카드메이아"에서 주로 전해진다.[29] 파우사니아스는 2세기에 테베를 방문했을 때 제우스가 세멜레를 방문하여 디오니소스를 낳았던 신방을 보았다고 기록했다. 궁전에서 발견된 동방의 원통형 인장 도장이 기원전 14-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므로,[30] 세멜레 신화는 미케네 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디오니소스는 레르나 근처 알키오니아 호수에서 타르타로스로 내려가 어머니를 구했는데, 고전 시대에는 그곳에서 연례 의식이 거행되었다.[31]
호메로스 찬가는 제우스가 세멜레에게서 디오니소스를 낳은 장소를 드라카눔, 이카로스, 낙소스, 알페이오스 강, 니사 등 다양하게 묘사한다.
세멜레는 아테네에서 레나이아 축제 때 숭배되었으며, 디오니소스를 상징하는 일 년생 황소가 희생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제단에 황소의 아홉 분의 일을 태우고 나머지는 날것으로 먹었다.[32]
파우사니아스는 카드모스가 세멜레와 디오니소스를 상자에 넣어 바다에 던졌고, 상자가 프라시아이 해안가로 밀려왔다는 지역 전승을 기록했다.[33][34][35][36] 이는 다나에와 페르세우스 이야기에서 차용된 것일 수 있다.[37][38]
아이스킬로스는 세멜레를 주제로 비극을 썼으나, 옥시린쿠스에서 발견된 파피루스 조각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유실되었다.[39]
제우스는 인간 모습으로 세멜레와 관계를 맺어 임신시켰다. 헤라는 베로에로 변장하여 세멜레에게 제우스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달라고 부추겼다.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스튀스 강에 맹세하고 소원을 들어달라고 요청했고, 제우스가 본모습을 드러내자 세멜레는 불타 죽었다. 제우스는 태아를 자신의 허벅지에 꿰매 넣었고, 3개월 후 디오니소스가 태어났다. 디오니소스는 "두 번 태어난 자" 등으로 불린다.
디오니소스는 타르타로스로 내려가 은매화 나무를 페르세포네에게 주고 세멜레를 데려왔다. 세멜레는 여신이 되었고, 트로이젠의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하늘로 승천했다. 디오니소스는 세멜레의 이름을 '''튀오네'''로 바꾸어 신들에게 소개했다.
4. 계보
카드모스와 하르모니아의 딸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아이를 배게 되었다. 이를 눈치챈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다른 여인으로 변장하여 그녀를 유혹하였고, 세멜레는 제우스에게 정말로 그녀를 사랑한다면 원래의 모습을 보여 달라고 빌게 되었다. 본래의 모습이 번개인 제우스를 인간인 세멜레가 보게 되면 번개를 맞아 죽을 수 있었지만, 원하는 소원 하나를 들어 주겠다고 스틱스 강의 맹세를 하게 된 제우스는 어쩔 수 없이 본모습을 보이고, 세멜레는 번개에 타 죽고 만다. 제우스는 그녀의 몸에서 태아를 꺼내어 자신의 넓적다리에 넣고 꿰맸는데, 이렇게 하여 태어난 아이가 디오니소스이다. 헤라의 꾀임에 넘어가서 죽었던 그녀는 후세에 다시 디오니소스가 지하세계 명부로 내려가서 하데스를 통해서 구출되어서 다시 생존하여 제우스가 그녀를 다시 죽지 못하게끔 여신으로 승격시켜서 티오네로 불리게 되었다. 그리고 그녀는 올림포스에서 거주하게 되었다.
호메로스의 아카이아인 그리스 신화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
style="padding: 0.6em 4em;" | |
5. 예술 작품
기독교 시대 고전 신화의 후대 신화 전통에서 고대 신들과 그들의 이야기는 종종 우화적으로 해석되었다. 예를 들어, 헨리 모어(1614–1687)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에서 세멜레는 "지적 상상력"을 구현하는 것으로 여겨졌다.[49]
18세기에는 세멜레 이야기가 존 에클스의 오페라(1707, 윌리엄 콩그리브 대본), 마랭 마레의 오페라(1709),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1742) 등 세 개의 동명 오페라의 기초가 되었다. 헨델의 작품은 콩그리브의 대본을 기반으로 했지만 추가 내용이 있었으며, 본질적으로 오페라였지만 사순절 콘서트 시리즈에서 공연할 수 있도록 오라토리오로 공연되었고, 1744년 2월 10일에 초연되었다.[50] 독일 극작가 쉴러는 1782년에 징슈필 ''세멜레''를 제작했다. 빅토리아 시대 시인 콘스턴스 네이든은 1881년 시집 ''봄의 노래와 소네트''에 처음 실린 세멜레의 목소리로 소네트를 썼다.[51] 폴 뒤카는 칸타타 ''세멜레''를 작곡했다.
5. 1. 회화

5. 2. 음악
제목 | 작곡가 | 종류 | 초연 연도 |
---|---|---|---|
세멜레 | 니콜라우스 스트룽크 | 오페라 | 1681년 |
세멜레 | 존 에클스 | 오페라 | 1706년 |
세멜레 | 마랭 마레 | 트라제디 앙 뮈지크 | 1709년 |
세멜레 | 프란체스코 만치니 | 오페라 | 1711년 |
세멜레 | 엘리자베스 자케 드 라 게르 | 칸타타 | 1715년 |
유피테르 에 세멜레 | 안토니오 데 리테레스 | 오페라 | 1718년 |
세멜레 | 앙드레 카르디날 데투슈 | 칸타타 | 1719년 |
세멜레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오라토리오 | 1743년 |
세멜레 | 폴 뒤카 | 칸타타 | 1889년 |
세멜레 | 미셸 폴 기 드 샤바농 | 오페라 | 날짜 미상 |
참조
[1]
웹사이트
The cult of Dionysus : legends and practice
http://www.greekthea[...]
[2]
서적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n Religion, Vol I
C. H. Beck Verlag
1967
[3]
서적
Histories
Penguin Books
[4]
웹사이트
Histories, II,
https://www.perseus.[...]
[5]
문서
Kerenyi 1976 p. 107; Seltman 1956
[6]
서적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n Religion, Vol I
C. H. Beck Verlag
1967
[7]
문서
Indogermanisches Etymologisches Woerterbuch
[8]
서적
Goddesses in World Mythology
ABC-CLIO
1993
[9]
웹사이트
The Living Goddesses
https://books.google[...]
[10]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Routledge
1997
[11]
서적
Greek Religion
1985
[12]
웹사이트
Indoeuropean poetry and myt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Gyvatė, Žemė, Žemyna: vaizdinių koreliacija nominavimo ir semantikos lygmenyje
Lietuvių literatūros ir tautosakos institutas
2004
[14]
서적
A History of Pagan Europe
Routledge
1995
[15]
웹사이트
Motina Žemyna baltų deivių kontekste
https://www.lituanis[...]
2007
[16]
간행물
Non-Iranian Origin of the Eastern-Slavonic God Xŭrsŭ/Xors" [Neiranskoe proishoždenie vostočnoslavjanskogo Boga Hrsa/Horsa
2014
[17]
서적
Dionysiaca
2005
[18]
서적
Metamorphoses
[19]
서적
Metamorphoses
[20]
서적
Bibliotheca (Pseudo-Apollodorus)
[21]
서적
Astronomy
2005
[22]
서적
Dionysiaca
[23]
서적
Direct Speech in Nonnus’ Dionysiaca
Brill
2017
[24]
웹사이트
Fabulae 167.1
http://www.theoi.com[...]
[25]
웹사이트
Library of History
http://www.theoi.com[...]
[26]
서적
Fragments
1844
[27]
웹사이트
Dionysiaca
http://www.theoi.com[...]
[28]
웹사이트
Dionysiaca
http://www.theoi.com[...]
[29]
문서
Orpheus and Greek Religion
1953
[30]
문서
Kerenyi 1976 p 193 and note 13
[31]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2005
[32]
문서
1960
[33]
간행물
The Floating Chest
1949
[34]
웹사이트
The Floating Chest: Maidens, Marriage, and the Sea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6
[35]
Pausanias
[36]
서적
Greek Heroine Cult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5
[37]
서적
Greek Heroine Cult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5
[38]
간행물
Under the Open Sky: Imagining the Dionysian Landscape
V&R Unipress
2015
[39]
논문
Divine Guilt in Aischylos
1981
[40]
서적
Etruscan myth, sacred history, and legend
Univ.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2006
[41]
문서
CIL 6.9897
[42]
서적
Ausführliches Lexikon der griechischen und römischen Mythologie
Teubner
1890-94
[43]
문서
Fasti
[44]
문서
De Civitate Dei
[45]
문서
Ab Urbe Condita
[46]
서적
A Commentary on Ovid
[47]
서적
A Commentary on Ovid
[48]
서적
Roman Gods: A Conceptual Approach
Brill
2009
[49]
문서
A Platonick Song of the Soul
1647
[50]
서적
Handel's dramatic oratorios and masques
Oxford University Press
[51]
서적
The Complete Poetical Works of Constance Naden
https://archive.org/[...]
Bickers & Son
[52]
서적
ギリシア神話
新潮社
1994
[53]
서적
マンガ ギリシア神話2 至高神ゼウス
中央公論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