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S. 위트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S. 위트컴은 1894년 캔자스에서 태어난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그는 한국 전쟁 중 제2군수사령부 사령관으로 부산에서 근무하며, 1953년 부산 판자촌 화재 이재민 구호 활동을 펼치고 미국 의회 청문회에서 한국 지원을 호소했다. 1954년 퇴역 후 대한민국에 남아 전후 복구 사업을 지원하고, 장진호 전투 전사자 유해 송환에 헌신했으며, 1982년 사망 후 재한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기려 2022년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돈 오버도퍼
돈 오버도퍼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25년간 활동한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한국전쟁 참전 경험과 냉전 종식 및 한국 현대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저널리즘과 국제 관계 분야에 기여했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1894년 출생 - 전영택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개신교 목사인 전영택은 1919년 한국 최초의 문학 동인지 《창조》를 창간하고, 단편소설 〈화수분〉, 〈소〉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개신교 관련 간행물 발행, 중앙신학교 및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한국문인협회 초대 회장 등을 역임했다. - 1894년 출생 - 김형직
김형직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김일성의 아버지로, 조선국민회에 참여하고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북한에서는 항일 독립운동 지도자로 추앙받지만 반공주의적 성향을 가졌다는 증언도 있다. - 1982년 사망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1982년 사망 - 김지태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 부산에서 활동한 기업인이자 정치인인 김지태는 동양척식주식회사 근무를 시작으로 제지업과 섬유업 등으로 재산을 축적하고 부산일보 사장과 부산상공회의소 초대 회장, 제2, 3대 민의원을 지냈으나, 사사오입 개헌 반대와 부정축재 혐의, 친일 행위 논란으로 재산을 몰수당하는 등 그의 재산 형성 과정과 정치 활동, 박정희 정권과의 관계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리처드 S. 위트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리처드 S. 위트컴 |
현지어 표기 | Richard Seabruy Whitcomb |
출생일 | 1894년 12월 27일 |
출생지 | 캔자스주 |
사망일 | 1982년 7월 12일 |
사망지 | 알 수 없음 |
국적 | 미국 |
성별 | 남성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민태정 |
친척 | 알 수 없음 |
군 복무 정보 | |
소속 군대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알 수 없음 ~ 1954년 |
최종 계급 | 준장 |
지휘 | 제11항만중대 제2군수사령부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
참전 기간 | 알 수 없음 |
서훈 | |
서훈 내역 | 제1등급 국민훈장 무궁화장(사후) |
2. 초기 생애
위트컴은 1894년 12월 27일 캔자스에서 태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소령으로 복무를 시작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준장으로 진급하였으며, 필리핀 마닐라에서 항만 사령관을 지냈다.
3. 군 경력
한국 전쟁 중에는 부산의 제2군수사령부 사령관으로 복무하였다. 특히 한국 전쟁 휴전 이후 발생한 부산 대화재 당시 이재민 구호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3. 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소령 계급이었다. 1941년부터 1943년까지 아이슬란드에서 복무했으며, 1943년부터 1945년까지는 영국과 프랑스에서 미 육군 제11수송대대 사령관으로 복무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준장으로 진급했으며, 필리핀 마닐라에서 미 육군 항만 사령관을 지냈다.
3.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 중이던 1953년 부산에서 제2군수사령부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54년까지 복무하였다. 한국 전쟁 휴전이 체결된 후인 1953년 11월, 부산 판자촌에 큰 불이 발생하여 많은 이재민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되자, 군수 물자인 옷과 식량을 풀어 이들을 적극적으로 구호하였다. 이후 미국 의회 청문회에 출석하여 당시 한국의 어려운 상황을 알리고 지원을 호소하기도 했다.
4. 전역 후
제2군수사령부 사령관 직임을 끝으로 1954년 퇴역하였으며[1], 1955년 2월 미국 육군을 공식적으로 떠났다.[2] 그는 퇴역 후에도 대한민국에 남아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돕는 데 헌신했다. 특히 피난민과 전쟁고아를 위한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직접 한복을 입고 캠페인을 벌이는 등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보여주었다. 또한 대한민국의 전후 복구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했으며,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를 발굴하여 고국으로 돌려보내는 일에 남은 생애를 바쳤다.[1][2]
1982년 7월 12일 세상을 떠난 후, 그의 유언에 따라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재한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되었다.[1][2]
5. 사망
6. 유산
2022년 11월 8일, 대한민국 정부는 위트컴 장군의 공로를 기려 제1등급 국민훈장인 무궁화장을 추서하였다.[4][5]
7. 표창
2022년 11월 8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제1등급 국민훈장인 무궁화장을 사후에 수여받았다.[4][5] 같은 해 11월 무궁화대훈장 또한 수여받았다.[3]
참조
[1]
뉴스
위트컴의 인류애…부산 넘어 글로벌 추모사업으로 승화를
https://n.news.naver[...]
[2]
간행물
따뜻한 한미동맹, 리처드 S 위트컴 장군의 발자취
https://kafs.or.kr/f[...]
[3]
뉴스
고 리차드 위트컴 장군,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https://www.korea.kr[...]
[4]
보도자료
고 리차드 위트컴 장군, 국민훈장 무궁화장 추서
https://www.korea.kr[...]
국가보훈처
2022-11-08
[5]
보도자료
US Army general posthumously honored by South Korea
https://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Public affair office
2022-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