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한유엔기념공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한유엔기념공원은 한국 전쟁 중 사망한 유엔군 병사들을 안장하기 위해 조성된 묘역이다. 1951년 4월에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개 지역의 묘지를 통합하여 부산에 조성되었으며, 21개 유엔 회원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다. 전쟁 후 유엔 총회 결의에 따라 기념 묘지로 설립되었고, 대한민국 정부는 부지를 영구 무상 제공했다. 1974년부터는 11개국으로 구성된 국제관리위원회가 관리하며, 2001년에는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015년부터는 참전 용사의 사후 안장도 허용되었다. 현재 2,320여 명이 안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육군 의장대가 국기 게양 행사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묘지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묘지 - 망월묘지공원
    망월묘지공원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희생자들이 안장되어 역사적 의미를 지니며, 이한열 열사 안장 후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 장소로 부상하여 관련 인사 및 언론인들이 안장되어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송정역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위치한 송정역은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으로, 과거 무인역으로 개업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구 역사를 가지며, 송정해수욕장 인근에 있어 이용객이 많다.
  • 부산광역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부산전차
    부산전차는 조선와사전기가 부산궤도를 인수하여 1915년부터 1968년까지 부산 시내를 운행한 노면전차로, 일제강점기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한국전쟁 이후 쇠퇴하여 폐지되었고 현재 동아대학교에 1량이 보존되어 있으며, 2020년 오륙도선 트램 건설로 부활이 추진되었으나 지연되고 있다.
  • 대한민국-유엔 관계 -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
    공동경비구역 유엔사경비대대는 1952년 창설되어 공동경비구역 내 유엔사령부 구역 경비, 침입자 방어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여러 사건을 겪고 1991년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 대한민국-유엔 관계 -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는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유엔에서 활동하는 외교 공관이며, 1991년 대한민국이 유엔에 가입하면서 대표부로 승격되어 상임이사국 및 비상임이사국과 협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재한유엔기념공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Jaehan Yuen ginyeomgongwon
영어 명칭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한자 표기在韓유엔記念公園
위치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 (대연동)
좌표35°7′41″N 129°5′49″E
개요
종류군사 기념 묘지
면적14 헥타르
조성 시기1951년 1월 18일 (유엔군 묘지로서)
관리 주체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CUNMCK)
안장 기간1950년~1953년 (한국 전쟁), 이후 유엔군 전사자
안장자 현황
총 안장자 수2,300명
등록 문화재 정보
지정 번호국가등록문화재 제359호
지정 일자2007년 10월 24일
소유자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
면적133,701m²
웹사이트재한유엔기념공원 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유엔기념공원 추모비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

2. 역사

한국 전쟁 중 부산 인근에서 전사한 유엔군 병사와 의료 관계자를 안장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공원 내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21개 유엔 회원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다.[80]

아직 정전 협정이 체결되기 전인 1951년 4월, 유엔은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곳에 흩어져 있던 임시 군인 묘지를 통합하여 현재 위치에 묘지를 조성하였다. 이후 정전 협정이 체결되자, 국제 연합 총회는 전사자들을 기리기 위해 이곳을 기념 묘지로 설립하고 유지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묘지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무상으로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81]

1960년부터는 유엔이 직접 묘지를 관리하기 시작했으며[82][83], 2011년 11월 30일에는 당시 유엔 사무총장이었던 반기문이 유엔 사무총장 자격으로는 처음으로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84][85]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여러 기념물들이 추가되었다.[86][87]

2. 1. 임시 전장 묘지와 유해 봉환

한국 전쟁은 1950년 6월 조선인민군대한민국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 전투가 진행됨에 따라 유엔군은 대전(1950년 7월 9일), 청도군 금천면, 칠곡군 신동 등지에 임시 군사 묘지를 설치했다.[17][90] 그러나 조선인민군부산으로 진격해 오면서 이들 임시 묘지는 포기해야만 했다.[17][90]

이후 부산 교두보 전투가 벌어지면서 마산, 밀양, 대구 등지에 임시 묘지가 마련되었고, 부산에는 1950년 7월 11일 묘지가 설치되었다.[21][91] 전투가 북한 지역으로 확대되면서 개성, 숙천군, 원산, 북청군, 그리고 장진호 전투가 벌어진 유담리와 고토리 등지에도 임시 묘지가 세워졌다.[16][18][92][93] 전쟁 초기 두 달 동안 약 11개의 사단 규모 묘지가 설치되었고,[19][94] 이후 북한 지역에 5개의 유엔군 묘지가 추가로 만들어졌다.[20]

한국 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한반도에서 가장 가까운 미국 육군의 유해 처리 부대는 일본 요코하마시에 주둔하고 있던 제108영현등록소대였다. 이 부대는 당시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종된 미국 항공병들의 유해를 찾고 있었다.[21][22][95][96] 다른 미국의 현역 영현 등록 부대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브래그에 있었다.[23] 제108소대는 제114영현등록중대로 재편성되어 흥남, 평양, 숙천 등지에 임시 묘지를 설치하는 임무를 맡았다.[21][95]

미국 제2보병사단을 지원했던 제2병참중대 영현등록반은 유엔군과 미군 병사들의 유해를 수습했으며, 이후 제148영현등록중대로 재편되었다.[24][97] 1950년 9월 유엔군의 인천 상륙 작전 당시에는 제565영현등록중대의 한 소대가 함께했다.[21][95] 1951년 4월부터는 제293영현등록중대도 유해 수습 및 처리 임무를 시작했다.[21][95] 하지만 험준한 지형과 혹독한 날씨, 그리고 곳곳에 남겨진 불발탄과 부비트랩의 위협 때문에 한국에서 유해를 수습하고 안장하는 작업은 매우 어려웠다.[7][25][98][99]

2. 2. 유엔군 묘지의 조성

250px


1951년 4월, 부산의 유엔군 묘지에서 한 한국 소녀가 미군 병사의 묘에 헌화하고 있으며, 의장대 군인들이 예를 표하고 있다.


1951년 1월 18일, 유엔군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당곡마을에 28.2ha 규모의 유엔군 묘지(United Nations Military Cemetery|유나이티드 네이션스 밀리터리 세메터리eng) 조성을 인력으로 시작했다.[100][101][26] 같은 해 4월에 묘지가 완공되었고,[100] 4월 6일 매슈 리지웨이 미 육군 대장이 참석하여 봉헌식을 거행했다.[90][101][17][26][27]

묘지 완공과 함께, 유엔군 영현등록부대는 한국 전쟁 중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개 지역에 가매장되어 있던 미군 및 유엔군 전사자 유해를 이곳 부산 유엔군 묘지로 통합하여 안장하거나 각국으로 송환하는 작업을 시작했다.[100][90][96][17][22]

묘지에는 매장 업무 외에도 유해 보관을 위한 냉장 시설[26]과 화장 시설이 추가되었다. 일례로 콜롬비아 대대 전사자들은 이곳에서 화장된 후 1954년 콜롬비아로 유해가 송환되었다.[28]

한국 전쟁 휴전 후, 국제 연합 총회는 전사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이곳 유엔군 묘지를 영구적으로 설립하고 유지 관리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묘지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무상으로 기증할 것을 약속했다.

2. 3. 정전 이후

1951년 4월, 한국 전쟁 중 유엔은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곳에 분산되어 있던 유엔군 묘지를 통합하여 현재의 위치에 유엔 기념 묘지를 조성했다.[80] 1953년 7월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이 체결된 후, 유엔사령부는 북한 지역에 매장된 유엔군 유해를 수습하고자 노력했다.[102][29] 북한 내 16곳의 포로 수용소에는 포로 묘지가 조성되어 있었다.[30] 1954년 9월부터 10월까지 유엔군과 조선인민군 사이에서 진행된 유해 교환 작전인 글로리 작전을 통해 총 4,219구의 유엔군 유해가 봉환되었으며, 이 중 1,275구는 미군 외의 유해였다.[103][31] 이 작전을 통해 약 14,000구의 조선인민군 및 중국인민지원군 유해도 북한 측으로 송환되었다.[104][32]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약 11,000구의 유엔군 유해가 이곳 유엔 기념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당시에는 미국 육군 영현등록국에서 관리했다.[105][106][5][33][34]

휴전 이후 국제 연합 총회는 한국 전쟁 전사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기념 묘지를 설립하고 유지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묘지 부지를 유엔에 영구히 무상으로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81] 1960년부터는 유엔이 이 묘지를 정식으로 관리하고 있다.[82][83] 묘지 내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21개 유엔 회원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다.[80]

현재 묘지에 안장된 전사자의 국적별 인원은 다음과 같다.[81]

국적인원
영국 연방1,588명
튀르키예462명
캐나다376명
오스트레일리아286명
네덜란드117명
미국36명
대한민국36명
남아프리카 공화국11명
노르웨이1명
국적 불명4명



1998년 11월에는 호주 조각가가 제작한 기념비가 기증되었고, 2006년에는 검은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추모의 벽'이 세워져 모든 전사자와 행방불명자의 이름이 새겨졌다.[86] 2011년 11월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캐나다 참전용사들이 기념상을 기증했다.[87] 같은 해 11월 30일에는 당시 유엔 사무총장이었던 반기문이 유엔 사무총장으로서는 처음으로 이곳을 방문했다.[84][85]

2. 4. 유엔기념묘지로의 재조성과 국제관리위원회로의 이관

1955년 11월 7일 대한민국 국회묘지가 위치한 토지유엔에 영구히 기증하고, 이곳을 성지로 지정할 것을 유엔에 건의했다.[100] 이에 따라 같은 해 12월 15일, 유엔 총회는 결의 제977(X)호를 채택하여 이 묘지를 유엔 기념 묘지(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eng)로 공식 지정하고,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며 해당 토지에 대한 불가침권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100][107][35]

한국 전쟁 이후, 유엔 기념 묘지는 유엔의 기금으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나, 중화인민공화국소련 등 일부 국가의 반대로 재정 지원에 어려움을 겪었다.[108][109][36][37]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59년 11월 6일, 대한민국 정부와 유엔은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간의 협정”을 체결하여 묘지 관리의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100] 이후 1974년, 유엔은 묘지의 관리 책임을 유엔 회원국 중 묘지에 유해가 안장된 11개국 대표로 구성된 유엔기념묘지 국제관리위원회 (CUNMCK)로 이관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00][110][15][38]

2. 5. 유엔기념공원으로의 변경

재한유엔기념묘지는 영문 명칭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더 친숙한 공간으로 다가가기 위해 2001년 3월 30일 한국어 명칭을 재한유엔기념공원으로 변경하였다.[100] 이후 2007년 10월 24일에는 대한민국 문화재청에 의해 근대문화재 제359호로 등록되었다.[111][112] 오늘날에는 많은 사람이 찾는 관광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111][112]

3. 참전 및 지원 현황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파병된 유엔군의 희생을 기리기 위한 공간이다. 공원 부지 내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거나 지원한 21개 유엔 회원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어, 국제적인 연대의 의미를 상징한다.[80]

이 묘지는 휴전 이전인 1951년 4월,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곳에 분산되어 있던 유엔군 묘지를 통합하여 조성되었다. 휴전 이후 국제 연합 총회의 결의에 따라 영구적인 기념 묘지로 설립되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묘지 부지를 유엔에 영구 무상 기증했다. 1960년부터 유엔이 직접 관리하고 있다.[82][83] 2011년 11월 30일에는 당시 유엔 사무총장이었던 반기문이 방문하여 참배하기도 했다.[84][85] 공원 내에는 다양한 기념물이 설치되어 참전 용사들의 헌신을 기리고 있다.[86][87]

3. 1. 파병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유엔1950년 6월 28일 제2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군 파병을 결의하였다. 총 63개국이 대한민국을 지원하기 위해 참전하였다. 참전 국가는 지원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13]

3. 2. 전사자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 전쟁은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되기까지 이어졌으며, 이 기간 동안 참전한 21개국 중 17개국(의료지원국인 노르웨이 포함)에서 총 40,896명의 유엔군 전사자가 발생했다.

북한 인민군의 남침으로 유엔군은 전투 지역 곳곳에 임시 묘지를 설치해야 했다. 대전(1950년 7월 9일)을 시작으로 관의(관니),[16] 금천,[16] 신동 등에 임시 묘지가 만들어졌으나,[17] 북한군의 남하로 인해 곧 포기해야 했다.[17] 이후 부산 교두보 전투가 전개되면서 마산, 밀양, 대구에 새로운 임시 묘지가 설치되었고, 1950년 7월 11일에는 부산에도 묘지가 마련되었다.[21]

전선이 북상하면서 개성,[16] 숙천, 원산, 부전,[16] 그리고 장진호 전투 지역인 유담리와 고토리[18] 등 북한 지역에도 임시 묘지가 설치되었다. 전쟁 초기 두 달 동안 약 11개의 사단급 묘지가 설치되었고,[19] 이후 북한 지역에 5개의 유엔군 묘지가 추가로 마련되었다.[20]

전사자 유해 처리 및 안장은 미 육군 사망자 처리 부대가 주로 담당했다. 전쟁 초기, 가장 가까운 미 육군 사망자 처리 부대는 일본 요코하마에 주둔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실종 미 공군 유해를 찾던 제108 묘지 등록 소대였다.[21][22] 이 부대는 제114 묘지 등록 중대로 재편성되어 흥남, 평양, 숙천 등지에 임시 묘지를 설치하는 임무를 수행했다.[21] 미 제2보병사단은 제2병참중대 묘지 등록반의 지원을 받았으며, 수습된 유해는 제148 묘지 등록 중대에서 처리했다.[24] 1950년 9월 인천 상륙 작전 당시에는 제565 묘지 등록 중대의 한 소대가 상륙 부대와 동행했으며,[21] 1951년 4월에는 제293 묘지 등록 중대가 추가로 창설되었다.[21] 하지만 한국의 험준한 지형과 혹독한 기후, 곳곳에 남겨진 불발탄과 부비트랩의 위협 때문에 유해 수습 및 매장 작업은 매우 어려웠다.[7][25]

정전 협정 체결 이전인 1951년 4월, 유엔군사령부는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곳에 분산되어 있던 유엔군 묘지를 통합하여 현재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부지에 단일 묘지를 조성했다. 정전 후 국제 연합 총회는 전사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기념 묘지를 영구적으로 설립하고 유지 관리하기로 결의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묘지 부지를 유엔에 영구 무상 기증할 것을 약속했다.

현재 공원에는 벨기에,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그리스, 필리핀, 태국, 미국, 프랑스, 노르웨이 등 유엔군 참전 용사들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 안장자 수는 미국 36명, 영국 연방 1,588명, 캐나다인 376명, 호주인 286명, 터키인 462명[81](다른 기록에는 44명으로도 표기됨), 네덜란드인 117명,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11명, 노르웨이인 1명, 한국인 36명, 국적 불명 4명이다.[81]

1960년부터 유엔이 공원을 정식으로 관리하고 있다.[82][83] 2011년 11월 30일에는 당시 유엔 사무총장이었던 반기문이 유엔 사무총장으로서는 처음으로 공원을 방문하여 참배했다.[84][85]

공원 내에는 전사자들을 기리기 위한 여러 기념물이 설치되어 있다. 1998년 11월 호주 조각가가 제작한 기념비가 기증되었고, 2006년에는 모든 전사자와 행방불명자의 이름이 새겨진 검은 대리석 재질의 '추모의 벽'이 건립되었다.[86] 또한 2011년 11월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캐나다 참전용사들이 기증한 기념상이 세워졌다.[87]

4. 안장 기록

1951년 4월, 유엔군사령부는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개 지역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사자 유해를 모아 현재의 위치에 묘지를 조성했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이곳에는 21개국 유엔군 전사자 약 11,000여 명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후 벨기에,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그리스, 룩셈부르크, 필리핀, 태국 등 7개국 용사의 유해 전부와 그 외 일부 국가의 유해가 본국으로 이장되었다. 그 결과 2012년 기준으로 유엔군에 파견 중 전사한 대한민국 국군 37명을 포함하여 11개국 2,300여 구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114]

특히 영국군 889명을 비롯한 영연방 국가 전사자들의 유해가 많이 안치되어 있는데, 이는 전사한 곳에 묻히는 영국의 풍습에 따른 것이다.[115]

안장된 이들이 모두 한국 전쟁 중 전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미군의 경우, 참전용사 본인이 원하면 사후 이곳에 안장될 수 있었다. 또한, 전쟁이 끝난 후에도 몇 년간 대한민국에 주둔하던 중 사고로 사망하여 이곳에 안장된 경우도 있다. (자세한 안장자 현황 및 정전 후 안장 규정 변화는 하위 문서를 참조.)

4. 1. 전체 안장자

오늘날의 묘역


2023년 7월 기준으로 총 2,320위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116][73] 안장자 수는 다음과 같다. (참전 인원 및 전사자 수는 2014년 6월 기준[117][74][75])

국명참전자
(연인원)
사망자안장자 수 (2023년 7월 기준)
영국56,0001,078886
튀르키예21,212966462
캐나다26,791516378
호주17,164340281
네덜란드5,322120117
프랑스3,42126244
미국1,789,00036,51636
뉴질랜드3,7942334
남아프리카 공화국8263611
노르웨이62331
콜롬비아5,100213-
그리스4,992192-
태국6,326129-
에티오피아3,518122-
필리핀7,420112-
벨기에3,49899-
룩셈부르크1002-
스웨덴1,124--
덴마크630--
인도627--
이탈리아128--
UN 총계1,957,61640,732-
비전투요원--11
무명용사--4
대한민국--38
총계--2,320



한국 전쟁 중 부산 인근에서 사망한 유엔군 병사와 의료 관계자 등을 매장하기 위해 1951년 4월, 유엔군사령부가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지에 가매장되어 있던 유엔군 전사자 유해를 모아 조성했다. 1951년부터 1954년 사이에는 21개국 출신 유엔군 약 11,000여 명의 유해가 안장되었으나, 이후 벨기에,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그리스, 룩셈부르크, 필리핀, 태국 등 7개국 용사들의 유해는 본국으로 이장되었다.[71] 2012년 기준으로 11개국 2,300위가 안장되어 있었으며, 이 중에는 유엔군 기지에 파견되었던 대한민국 군인 36명도 포함된다. 영연방 소속 전사자 묘역도 이곳에 있으며, 영국군 전사자 885명(2023년 7월 기준 886명)이 안장되어 있다.[72]

주요 안장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빌 매든 (GC): 제3호주 왕립 연대 소속, 포로로 사망.
  • 케네스 뮤어 (VC): 아길 앤드 서더랜드 하이랜더 소속, 282고지 전투에서 전사.[65]
  • 필립 커티스 (VC): 콘월 공작 경 보병 연대 소속, 임진강 전투에서 글로스터셔 연대 배속 중 전사.[66]
  • 찰스 허큘리스 그린 중령 (DSO): 제3호주 왕립 연대 사령관, 청주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안주에서 사망.[67]
  • 마리누스 페트루스 안토니우스 덴 오덴 중령: 네덜란드 반 헌츠 연대 사령관, 1951년 라운드업 작전 중 전사. 사후 네덜란드 최고 무공훈장인 빌럼 군사훈장 수훈.[68]
  • 크리스토퍼 버클리: 언론인, 전쟁 초기 지뢰 폭발로 사망.[69]
  • 빌 스피크먼: 빅토리아 십자 훈장 수훈자, 한국 전쟁 참전용사. 2018년 사망 후 2019년 안장.[70]


2015년부터는 한국 전쟁 참전 용사 본인이 희망할 경우 사후 안장을 공식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이후 안장된 참전 용사는 다음과 같다.

순번이름국적매장 날짜비고
1레이몬드 조셉 베나드프랑스2015-05-15
2로버트 스티드 홀먼 맥코터영국2015-11-11
3버나드 제임스 델라헌티미국2016-02-20
4니콜라스 프란스 베셀스네덜란드2016-05-12
5앙드레 벨라발프랑스2016-10-27
6요한 테오도르 알데벨트네덜란드2017-09-27
7윌리엄 스피크먼영국2019-02-19
8빌헬름 코르넬리스 데 부이저네덜란드2019-03-12
9앨버트 휴 맥브라이드캐나다2019-06-12
10커트 드레스미국2019-11-30
11보이드 L. 와츠미국2020-04-07
12러슬 해럴드 존스태드미국2020-11-27
13황두석대한민국2020-11-27카투사 소속
미 제25보병사단
14존 로버트 코르미어캐나다2022-06-21[76]
15마티아스 후베르투스 호겐붐네덜란드2022-11-11
16에두아르트 율리우스 엥베링크네덜란드2022-11-11
17제임스 레이먼드 그런디영국2022-11-11
18로베르 외젠 장 데지레 피케나르프랑스2022-11-12
19이영차대한민국2023-02-09카투사 소속
미 제7보병사단
20호세 세르지오 로메로콜롬비아2023-11-11
21호세 구스타보 파스가사 레온콜롬비아2023-11-11
22루이스 카를로스 가르시아 아르실라콜롬비아2023-11-11
23호르헤 산체스 타피아콜롬비아2023-11-11
24브라이언 제임스 로렌슨영국2023-11-11
25브라이언 우드영국2023-11-11
26레옹 쥘 길레인 보스케벨기에2023-11-15
27페르디난드 티탈렙타네덜란드2024-05-02
28롯 아사나판태국2024-11-11



공원 내에는 1998년 11월 호주 조각가가 기증한 기념비와 2006년 건립된 검은 대리석 '추모의 벽'이 있다. 추모의 벽에는 한국 전쟁에서 전사하거나 실종된 모든 장병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86] 또한, 2011년 11월에는 캐나다 참전용사들이 기증한 기념상도 설치되었다.[87]

4. 2. 정전 후 안장자

1953년 7월 한국전쟁 정전 이후, 재한유엔기념공원의 안장 규정은 변화를 거쳤다. 초기에는 한국 전쟁 중 전사한 장병 외에는 안장이 엄격히 제한되었으나, 예외적으로 전사자의 배우자[67]나 형제[79], 그리고 주한 미군으로 복무했던 일부 인물에게 안장이 허용되기도 했다.

2015년부터는 한국 전쟁에 참전했던 유엔군 용사 본인이 사망한 경우에도 공원에 안장될 수 있도록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70] 이에 따라 정전 이후에도 다양한 국적의 참전용사들이 사후에 안장되었으며, 전쟁 중 실종되었던 무명용사의 유해가 발굴되어 안장되는 사례[77][78]나 기존 안장자와의 합장 사례[67][79]도 있었다.

4. 2. 1. 유엔군 참전용사 사후 안장자

(Raymond Joseph Benard|Raymond Joseph Benardfra)프랑스1950년 11월~1951년 10월2015년 5월 15일2로버트 스티드 홀먼 맥카터
(Robert Steed Holman McCotter|Robert Steed Holman McCottereng)영국2015년 11월 11일3버나드 제임스 델라헌티
(Bernard James Delahunty|Bernard James Delahuntyeng)미국2016년 2월 20일4니콜라스 프란스 웨셀
(Nicolas Frans Wessels|Nicolas Frans Wesselsnld)네덜란드2016년 5월 12일5앙드레 벨라발
(Andre Belaval|Andre Belavalfra)프랑스2016년 10월 27일6요한 테오도르 알데베렐트
(Johan Theodoor Aldewereld|Johan Theodoor Aldewereldnld)네덜란드2017년 9월 27일7윌리엄 스피크먼
(William Speakman|William Speakmaneng)영국2019년 2월 19일빅토리아 십자 훈장 수훈자[70]8윌렘 코넬리스 드바우즈르
(Wilhelm Cornelis de Buijzer|Wilhelm Cornelis de Buijzernld)네덜란드2019년 3월 12일9앨버트 휴 맥브라이드
(Albert Hugh Mcbride|Albert Hugh Mcbrideeng)캐나다2019년 6월 12일10커트 드레슬러
(Kurt Dressler|Kurt Dresslereng)미국2019년 11월 30일11보이드 L. 왓츠
(Boyd L. Watts|Boyd L. Wattseng)미국2020년 4월 7일12러셀 해롤드 존스태드
(Russll Harold Johnstad|Russll Harold Johnstadeng)미국2020년 11월 27일13황두석
(Hwang Doo-suk|황두석kor)대한민국2020년 11월 27일미 제25보병사단 배속 카투사[118]14존 로버트 코미어
(John Robert Cormier|John Robert Cormiereng)캐나다2022년 6월 21일[119]15마티아스 후베르투스 호겐봄
(Mathias Hubertus Hoogenboom|Mathias Hubertus Hoogenboomnld)네덜란드2022년 11월 11일16에두어드 율리어스 엥베링크
(Eduard Julius Engberink|Eduard Julius Engberinknld)네덜란드2022년 11월 11일17제임스 레이몬드 그룬디
(James Raymond Grundy|James Raymond Grundyeng)영국1951년 2월~1953년 6월2022년 11월 11일18로베르 피케나르
(Robert Eugene Jean Desire Picquenard|Robert Eugene Jean Desire Picquenardfra)프랑스2022년 11월 12일19이영차
(Lee Young-cha|이영차kor)대한민국2023년 2월 9일미 제7보병사단 배속 카투사20호세 세르히오 로메로
(José Sergio Romero|José Sergio Romerospa)콜롬비아2023년 11월 11일21호세 구스타보 파스카가사 레온
(José Gustavo Pascagaza León|José Gustavo Pascagaza Leónspa)콜롬비아2023년 11월 11일22루이스 카를로스 가르시아 아르실라
(Luis Carlos García Arcila|Luis Carlos García Arcilaspa)콜롬비아2023년 11월 11일23호르헤 산체스 타피아
(Jorge Sánchez Tapia|Jorge Sánchez Tapiaspa)콜롬비아2023년 11월 11일24브라이언 제임스 로렌슨
(Bryan James Laurenson|Bryan James Laurensoneng)영국2023년 11월 11일25브라이언 우드
(Brian Wood|Brian Woodeng)영국2023년 11월 11일26레옹 보스케
(Léon Jules Ghislain Bosquet|Léon Jules Ghislain Bosquetfra)벨기에2023년 11월 15일27페르디난드 티탈렙타
(Ferdinand Titalepta|Ferdinand Titaleptanld)네덜란드2024년 5월 2일28롯 아사나판
(Rod Asanapan|롯 아사나판tha)태국2024년 11월 11일



'''기타 안장자'''

#이름국적매장일비고
1리처드 S. 화이트콤미국1982년 7월 20일그는 한국 전쟁 참전 용사였다.
2아치볼드 로이드 허시
(Archibald Lloyd Hussey|Archibald Lloyd Husseyeng)
캐나다2012년 4월 25일그는 형제(조셉 윌리엄 허시)와 같은 묘에 안장되었다.[79]
그는 또한 한국 전쟁 참전 용사였다.
3올윈 그린
(Olwen Green|Olwen Greeneng)
호주2023년 9월 21일그녀는 남편 (찰스 그린)과 같은 묘에 안장되었다.


4. 2. 2. 무명용사 안장자

1구: 경기도 파주시 마산리 영평산2021년 11월 11일대한민국과 미국 전문가들은 이들이 임진강 전투와 파평산 전투에서 전사한 글로스터셔 연대 소속으로 추정했다.[77][78][121]


4. 2. 3. 형제/부부 합장 안장자

(Archibald Lloyd Hearsey)캐나다형 조셉 윌리엄 허시 (Joseph William Hearsey)
이등병 묘에 합장2012년 4월 25일아치볼드 로이드 허시
또한 참전용사 출신[122]


4. 2. 4. 참전용사 출신 주한미군 사후 안장자



재한유엔기념공원에는 한국전쟁 참전 용사들과 그들의 배우자, 그리고 비전투원들이 안장되어 있다. 묘지에는 총 2,289명의 군인과 11명의 비전투원의 묘가 있다.
참전용사 배우자 합장 명단

#이름국적사유안장일비고
1엘렌 헤론 (Ellen Heron)영국남편 제임스 T. 헤론 (James T. Heron) 상등병 묘에 합장2001년 1월 10일
2메리 도리스 셰퍼드 (Mary Doris Sheppard)오스트레일리아남편 존 T. 셰퍼드 (John T. Sheppard) 중사 묘에 합장2005년 10월 19일
3낸시 H. 허머스톤 (Nancy M. Hummerston)오스트레일리아남편 케네스 존 허머스톤 (KeJohn Hummerston) 대위 묘에 합장2010년 4월 14일
4명자 메세나 (Myong Cha Mathena)대한민국남편 레지날드 말콤 메세나 (Reginald Malcolm Mathena) 병장 묘에 합장2011년 6월 24일
5도린 워드 (Doreen Ward)영국남편 W.J. 워드 (W. J. Ward) 상사 묘에 합장2013년 11월 11일
6기옥 터커 (Kee Ok Tucker)미국남편 필립 리 터커 (Philip Lee Tucker) 중사 묘에 합장2014년 5월 13일
7손호 홀 (Son Ho Hall)미국남편 토마스 홀 (Thomas Hall) 하사 묘에 합장2014년 11월 6일
8한묘숙 (Han Myo-sook)대한민국남편 리처드 S. 위트컴 장군 묘에 합장2017년 1월 4일
9올윈 그린 (Olwyn Green)오스트레일리아남편 찰스 허큘리스 그린 중령 묘에 합장2023년 9월 21일


주요 안장자 명단

5. 시설

재한유엔기념공원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유엔군 전사자가 안장된 곳으로, 유엔이 직접 관리하는 세계 유일의 유엔 기념 묘지이자 성지이다.[89] 총 면적은 133701m2이며, 기념묘지 면적은 13.37ha이다. 공원 내에는 미국, 영국, 터키 등 참전국 출신 전사자 약 2,300여 명이 안장되어 있다.[89][81]

주요 시설로는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한 정문과 추모관, 그리고 기념관이 있다.[89] 정문은 한국의 전통적 조형성을 추상적으로 표현했으며, 추모관과 기념관은 참전국의 의미와 다국적·다종교적 성격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89] 또한, 대한민국 정부가 1978년에 건립한 높이 12m의 유엔군 위령탑이 세워져 있다.

공원 부지 내에는 한국 전쟁에 참전한 21개 유엔 회원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으며,[80] 각 참전국을 기리는 기념물과 조각품들이 조성되어 있다. 1998년에는 호주, 2011년에는 캐나다에서 기념 조형물을 기증했으며,[87] 2006년에는 전사자와 실종자 4만여 명의 이름이 새겨진 '추모의 벽'이 건립되었다.[86]

이 공원은 1951년 4월, 개성, 인천, 대전, 대구, 밀양, 마산 등 6곳에 흩어져 있던 유엔군 묘지를 통합하여 조성되었으며, 1960년부터 국제 연합이 정식으로 관리하고 있다.[81][82][83] 2011년 11월 30일에는 당시 유엔 사무총장이었던 반기문이 방문하기도 했다.[84][85]

5. 1. 상징구역



상징구역에는 한국 전쟁 참전국 및 유엔기가 게양되어 있으며, 안장된 국가들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각 국가별로 안장자 유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곳에 안장되어 있다. 매일 대한민국 육군 제53사단의 의장대가 국기 게양식을 거행한다.[43]

2001년 10월에는 유엔 조각공원이 설립되었으며, 묘역 내에는 총 29개의 영구 기념물이 자리하고 있다.[44] 주요 기념물은 다음과 같다.

또한, 2006년에 완공된 추모의 벽에는 한국 전쟁 중 전사하거나 실종된 40,896명의 유엔군 장병 이름이 140개의 대리석 패널에 새겨져 있다.[63][64]

5. 2. 주묘역



주묘역은 재한유엔기념공원 내에서 대부분의 한국 전쟁 유엔군 전사자 유해가 안장된 구역이다. 이곳에는 영연방,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영국 등 주요 참전국들의 위령탑과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5. 3. 녹지지역

참전용사묘역, 유엔군 위령탑, 제2기념관, 무명용사의 길,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 등이 있다.

5. 4. 기념건축물



이 공원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유엔군 전사자가 안장된 세계 유일의 유엔 기념 묘지이자 성지이다.[89] 공원 내에는 전사자들을 추모하고 전쟁의 역사를 기억하기 위한 여러 기념 건축물이 세워져 있다. 주요 건축물로는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한 정문과 추모관, 그리고 기념관 등이 있다.[89]

대한민국 육군 제53사단의 의장대가 매일 국기 게양 행사를 수행한다.[43]

2001년 10월에는 유엔 조각공원이 조성되었으며, 묘역에는 총 29개의 영구 기념물이 있다.[44] 주요 기념물은 다음과 같다.

구분기념물비고
영연방 기념물오스트레일리아 기념물[63][45]
영국 기념물[46]2010년 헌정
캐나다 전몰 장병 기념비[63][47][48]동일 기념비가 오타와에 위치
영연방 기념물[49]
영연방 실종 장병 기념비[45]
뉴질랜드 기념물[50][51]워렌 앤 매호니 설계, 코로만델 반도 대리석 사용
남아프리카 공화국 기념물조각가 스트라이돔 반 데르 메르웨의 화해[44]2001년 국제 조각 심포지엄 일환 제작
프랑스 기념물[63][52][53]2007년 헌정
그리스 기념물[63][54]1961년 헌정
노르웨이 기념물[8][55]
태국 기념물[63][56]2008년 11월 헌정
터키 기념물 I 및 II[63][57][58]1960년, 1962년, 2008년 헌정
미국 한국전쟁 기념관[60][61][62]프랭크 게일로드 조각, 바레 화강암 사용2013년 헌정 (미국 전몰 장병 기념 위원회 후원)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기념 시설들이 있다.

5. 4. 1. 정문

정문은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하여 1966년 11월 30일에 완공되었다.[115] 김중업은 정문 설계를 통해 한국의 전통적 조형성을 추상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89]

정문 지붕을 받치는 8개 기둥의 끝은 순간과 영원을 상징하는 사발 형태(주두)로 디자인되어 전몰장병들을 위한 부드럽고 엄숙한 기립을 표현한다. 지붕의 네 모서리 끝 추녀는 머나먼 고향을 향한 그리움을, 지붕 아래 네 개의 물받이는 전몰장병의 눈물을, 유리로 마감된 지붕 천창은 유엔군 영혼의 빛을 상징한다.[115]

김중업은 이 정문에 대해 "이국 땅에서 평화를 위하여 싸우다 간 여러 나라들의 천사들에게 두 손 모아 경건히 바친 작품"이며, "어린 시절의 아스라한 향수를 기억하면서 잃어버린 고향을 되찾으려는 벅찬 작업의 소산"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우 딴 유엔 사무총장은 이 정문을 "유엔 관계 건축 가운데서는 가장 아름다운 건축"이라고 평가했다.

5. 4. 2. 추모관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으로 참전하여 전사한 장병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1964년 8월 21일 유엔이 건립하였다.[115]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한 이 추모관은[89] 건물을 지탱하는 여섯 개의 노출된 들보와 추상성 및 영원성을 강조하는 기하학적인 삼각 형태가 주요 특징이다.[115] 외형은 다국적, 다종교관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으며,[89] 양쪽의 스테인드글라스는 각각 평화의 사도, 승화, 전쟁의 참상, 사랑과 평화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115] 내부에는 전투지원 참전 16개국을 상징하는 16개의 선이 중앙 정면 바닥에서부터 유엔 상징을 통과하여 하늘로 승화하는 듯 천장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디자인되었다.[115] 이는 전쟁의 비극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소망과 의지를 담은 추모 공간으로서 엄숙함을 더한다.[115]

5. 4. 3. 기념관

기념관은 1968년에 건축되었다.[89] 건축가 김중업이 설계하였는데, 한국 전쟁 참전 16개국의 의미를 담아 내부를 디자인하였고, 외형은 여러 국가와 종교를 고려하여 설계하였다.[89] 기념관 내부에는 한국 전쟁 당시 유엔군의 활동을 보여주는 사진 자료와 관련 기념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6. 국제관리위원회

1955년 12월 15일 유엔 총회 결의 제977(X)호에 따라 유엔 기념 묘지(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eng)가 공식적으로 조성되었고, 유엔이 영구적으로 관리하며 토지에 불가침권을 부여하기로 결의했다.[100][107] 1959년 11월 6일에는 대한민국유엔 사이에 "유엔 기념 묘지 설치 및 관리 유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유엔간의 협정”이 체결되었다.[100]

이후 1974년, 유엔은 유엔기념묘지의 관리를 유해가 묻힌 11개국으로 이루어진 유엔기념묘지 국제관리위원회(Commission for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CUNMCKeng)로 이관했다.[100][110] 이에 따라 1974년부터 대한민국을 포함한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터키, 영국, 미국 등 전사자가 안장된 11개국으로 구성된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가 유엔기념공원의 관리를 맡고 있다.

국제관리위원회는 매년 봄과 가을에 실무대표들로 구성된 실무회의(Sub-Committee Meeting of the Commission for the UNMCKeng)를 열며, 10월 24일 유엔의 날을 전후하여 각국의 주한 대사들로 이루어진 정기총회(Regular Meeting of the Commission for the UNMCKeng)를 개최한다. 위원회 의장국과 의장은 위원국별 알파벳 순서에 따라 매년 임명되며, 임기는 당해년도 11월 1일부터 다음 해 10월 31일까지이다.

7.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평화로 93 (대연동)에 있으며, 평화공원, 유엔조각공원, 부산문화회관, 부산박물관 등과 이웃하고 있다.

8. 주요 묘역

묘지에는 2,300여명의 묘가 있다. 그 가운데에는 포로로 사망한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제3대대 이등병 빌 매든과 282고지 전투에서 전사한 아가일 및 서덜랜드 하이랜더스 연대 소령 케네스 뮤어, 설마리 전투에서 전사한 콘월 공작 경보병 연대 중위 필립 커티스, 정주 전투에서 부상당해 안주에서 사망한 왕립 오스트레일리아 연대 제3대대장 중령 찰스 허큘리스 그린, 1951년 라운드업 작전 도중 전사해 연대원들과 함께 묻힌 네덜란드 판 회츠 연대 중령 마리뉘스 덴 아우던, 개전 초기에 지뢰 폭발로 사망한 영국인 저널리스트 크리스토퍼 버클리 등이 있다.

참조

[1] 뉴스 Ashes of Canadian veteran buried beside brother in S. Korea http://www.tbnewswat[...] 2012-04-25
[2] 서적 2 Squadron in Korea: Flying Cheetahs 1950–1953 Freeworld Publications
[3] 웹사이트 Turkish Fallen of Korean War Remembered http://www.diplomati[...] Över Publishing 2014-02-16
[4] 웹사이트 Speech at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Busan http://www.governmen[...] Government of the Netherlands 2010-04-29
[5] 웹사이트 UNMCK: Status of Interred at the UNMCK http://www.unmck.or.[...] 2013-11-10
[7] 서적 The Foreign Burial of American War Dead: A History McFarland & Co.
[8] 웹사이트 Korea 2007 http://www.kongehuse[...] 2014-02-02
[9] 서적 Seven Years in Asia: A Wander's Tale Booksmango
[10] 서적 In the Shadow of the Greatest Generation: the Americans who fought the Korean War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1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Korea https://www.unmck.or[...] 2021-01-12
[12] 웹사이트 Pusan (Korea) 1959 http://collections.l[...]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Libraries Digital Collections#Holdings of the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Library|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Library Digital Map Collection]] 2013-11-10
[13] 웹사이트 Pusan: South Korea http://geographic.or[...] 2011-08-15
[15] 서적 The Seoul Foreigners' Cemetery at Yanghwajin Seoul Union Church 2014-02-15
[16] 서적 Combat Support in Korea [[Center for Military History]] 2014-02-17
[16] 서적 Combat Support in Korea [[Center for Military History]] 2014-02-17
[17] 간행물 Graves Registration in the Korean Conflict http://www.qmmuseum.[...] Army Quartermaster Museum 2013-10-22
[18] 간행물 Our Honored Dead http://www.memoriald[...] United States Quartermaster Museum & The Memorial Day Foundation 2013-10-22
[19] 간행물 With All Due Honors: A History of the Quartermaster Graves Registration Mission http://www.qmfound.c[...] 2014-03-16
[20] 웹사이트 POW March Routes and United Nations Cemeteries [map] http://www.dtic.mil/[...] [[Defense POW/Missing Personnel Office]] 2014-03-17
[21] 간행물 Recovering the Korean War Dead, 1950–1958: Graves Registration, Forensic Anthropology, and Wartime Memorialization http://www.smh-hq.or[...] Project Muse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2013-10-22
[22] 서적 A Companion to American Military History, Vol II Wiley-Blackwell 2020-10-29
[23] 간행물 United States Culture and Its Effects on Military Policy Regarding Mortuary Affairs http://oai.dtic.mil/[...]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4-02-16
[24] 서적 Combat Support in Korea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3-11-10
[25] 서적 Soldier Dead: How We Recover, Identify, Bury, and Honor Our Military Fallen Columbia University Press
[26] 간행물 Below Ground: The Treatment of American Remains from the Korean War [[National Council on Public History]] 2010-02
[27] 웹사이트 UN Memorial Cemetery http://eng.koreanwar[...] The 6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Commemoration Committee
[28] 간행물 The Colombian Army in Korea, 1950–1954 Project Muse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2005-10
[29] 웹사이트 Major Remains Concentrations in North Korea http://www.dtic.mil/[...] [[Defense POW/Missing Personnel Office]] 2014-03-17
[29] 웹사이트 POW March Routes and U.N. Cemeteries http://www.dtic.mil/[...] [[Defense POW/Missing Personnel Office]] 2014-03-17
[30] 웹사이트 Major Remains Concentrations in North Korea [map] http://www.dtic.mil/[...] [[Defense POW/Missing Personnel Office]] 2014-03-17
[31] 간행물 Operation GLORY: Historical Summary http://www.qmmuseum.[...] Army Quartermaster Museum 2013-10-22
[32] 서적 POW/MIA Issues Volume 1, The Korean War National Defense Research Institute 2015-11-12
[3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Korea Scarecrow Press
[34] 간행물 Conference Series: Canada and the United Nations
[35] 웹사이트 977(X).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a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http://www.worldlii.[...] United Nations 2014-03-16
[36] 논문 The Soviet Bloc and the United Nations System: the Quantitative Record 1972-06
[37] 서적 China and Korea: Dynamic Relations Hoover Press
[38] 웹사이트 Cemeteries overseas http://www.dva.gov.a[...] Australia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2012-09-30
[39] 웹사이트 UN Commemoration Park in Korea http://english.cha.g[...]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40] 서적 Pilgrimage: A Traveler's Guide to Australia's Battlefields Black Inc.
[41] 서적 Tourism in the Pacific Rim: Development, Impacts, and Markets Longman Cheshire
[42] 웹사이트 Remarks at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as delivered] https://www.un.org/a[...] UN News Center 2011-11-30
[43] 웹사이트 Korea Vet News http://france-coree.[...] Korean War Commemoration Council of Canada
[44] 웹사이트 UN Sculpture Park http://southafrica-e[...] Republic of South Africa Embassy
[45] 웹사이트 Remembering the Korean War http://www.defencean[...] Defence Anglicans
[46] 웹사이트 UNMCK: British Memorial http://www.unmck.or.[...]
[47] 웹사이트 Monument to Canadian Fallen (Korean War Monument) http://www.pch.gc.ca[...] Canadian Heritage, Government of Canada 2013-10-25
[48] 웹사이트 Canadian Korean War Veterans Participate in a Remembrance Ceremony at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prnewswir[...] PR Newswire 2013-07-28
[49] 서적 British and Commonwealth War Cemeteries Shire Publications
[50] 웹사이트 New Zealand Memorial in Korea http://www.mch.govt.[...] NZ Identity & Heritage 2013-02-19
[51] 웹사이트 Veterans To Attend Korean War Armistice Commemoration http://www.airforce.[...] New Zealand Defence Force 2013-06
[52] 웹사이트 UNMCK: French Memorial http://www.unmck.or.[...]
[53] 논문 The French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a 'Path of Memory' in South Korea 2013-11-05
[54] 웹사이트 UNMCK: Greek Memorial http://www.unmck.or.[...]
[55] 웹사이트 Vice Minister [Foreign Affairs, Torgeir Larsen] Visits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http://www.norway.or[...] The Royal Norwegian Embassy in Seoul 2013-10-04
[56]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 Military cooperation http://www.thaiembas[...] Royal Thai Embassy, Seoul 2013-05-02
[57] 웹사이트 South Koreans, allies pay tribute to Turkish war effort http://defence.pk/th[...] Pakistan Defence 2010-06-27
[58] 웹사이트 UNMCK: Turkish Memorial I http://www.unmck.or.[...]
[59] 웹사이트 UNMCK: UN Forces Monument http://www.unmck.or.[...]
[60] 웹사이트 Dedication of the U.S. Korean War Memorial in Busan, South Korea on July 28 http://www.abmc.gov/[...] American Battle Monuments Commission 2013-07-22
[61] 웹사이트 Korean War Monument at Busan http://www.abmc.gov/[...]
[62] 웹사이트 Barre granite is new, unique memorial in South Korea http://www.vermontto[...] Rutland Herald
[63] 웹사이트 Korean War Memorials: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http://www.koreanwar[...]
[64] 웹사이트 UNMCK: Wall of Remembrance http://www.unmck.or.[...]
[65] 웹사이트 Major Muir, K. http://www.unmck.or.[...] UN Memorial Cemetery, Korea
[66] 웹사이트 Lt. Curtis, P.K.E. http://www.unmck.or.[...] UN Memorial Cemetery, Korea
[67] 웹사이트 Lt. Col. Green, Charles Hercules http://www.unmck.or.[...] UN Memorial Cemetery, Korea
[68] 웹사이트 Lt. Kol. Cdt. Ouden, M.P.A. den http://www.unmck.or.[...] UN Memorial Cemetery, Korea
[69] 웹사이트 Mr. Buckley, C. http://www.unmck.or.[...] UN Memorial Cemetery, Korea
[70] 뉴스 Hero Bill Speakman buried with his Korea Comrades https://www.express.[...] 2019-03-29
[7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https://web.archive.[...] unmck.or.kr / 2017-09-08
[72] conference Forgotten War, Abandoned Soldiers Seoul Governmental Society Conference Proceedings
[73] 웹사이트 Status of the Interred at the UNMCK https://www.unmck.or[...] 2023-07-16
[74] 간행물 The Statistics of the Korean War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2014 (E-BOOK) https://new.mnd.go.k[...]
[75] 간행물 The Statistics of the Korean War - ROK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2014 (PDF) https://www.imhc.mil[...]
[76] 웹사이트 캐나다군 참전용사 안장식 https://www.unmck.or[...] 2023-04-21
[77] 웹사이트 영국군 무명용사 안장식 https://www.unmck.or[...] 2023-04-21
[78] 웹사이트 '6·25 참전' 英 무명용사 3인… 70년 만에 전우들 곁으로 https://m.hankookilb[...] 2023-04-22
[79] 웹사이트 A brotherly love that even war couldn't kill https://koreajoongan[...] 2023-04-22
[80]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emetery – Busan – South Korea https://koreanwarmem[...] 2024-11-09
[81] 웹사이트 Korean War Monument at Busan https://www.abmc.gov[...] 2024-11-09
[82] 문서 https://www.jtb.co.j[...]
[83] 웹사이트 Busan UN Memorial Cemetery http://koreadmztour.[...] 2024-11-09
[84] 연설 Remarks at UN Memorial Cemetery in Korea [as delivered] UN News Center 2011-11-30
[8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https://www.veterans[...] 2024-11-09
[8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https://www.koreanwa[...] 2024-11-09
[87] 웹사이트 UN Peace and Culture Specialized Zone Information https://www.fomo.or.[...] 2024-11-09
[88] 뉴스 "11월 11일 11시 기억하자" 유엔군 전몰용사 추모 시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8-05-03
[89]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90] 간행물 Graves Registration in the Korean Conflict http://www.qmmuseum.[...] 1953
[91] 논문 Recovering the Korean War Dead, 1950–1958: Graves Registration, Forensic Anthropology, and Wartime Memorialization 2008
[92] 서적 Combat Support in Korea http://www.koreanwar[...] Center of Military History
[93] 간행물 Our Honored Dead http://www.memoriald[...] 1952
[94] 간행물 With All Due Honors: A History of the Quartermaster Graves Registration Mission 1988
[95] 논문 Recovering the Korean War Dead, 1950-1958: Graves Registration, Forensic Anthropology, and Wartime Memorialization 2008
[96] 서적 A Companion to American Military History, Vol II.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0
[97] 간행물 Quartermaster Field Service Platoon in Action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51
[98] 서적 The Foreign Burial of American War Dead: A History. McFarland & Co. 2011
[99] 서적 Soldier Dead: How We Recover, Identify, Bury, and Honor Our Military Falle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100] 웹인용 유엔기념공원 역사 https://www.unmck.or[...]
[101] 논문 Below Ground: The Treatment of American Remains from the Korean War National Council on Public History 2010
[102] 문서 "Major Remains Concentrations in North Korea" Defense POW/Missing Personnel Office
[103] 간행물 Operation GLORY: Historical Summary http://www.qmmuseum.[...] 2004
[104] 서적 POW/MIA Issues Volume 1, The Korean War https://www.rand.org[...] National Defense Research Institute 1994
[10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Korea. Scarecrow Press 2004
[106] 간행물 Conference Series: Canada and the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xternal Affairs 1956
[107] 웹사이트 977(X).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a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 http://www.worldlii.[...] United Nations 1955-12-15
[108] 논문 The Soviet Bloc and the United Nations System: the Quantitative Record 1972
[109] 서적 China and Korea: Dynamic Relations Hoover Press 1996
[110] 간행물 "Part III: Smaller Foreign Cemeteries in the Provinces" null Seoul Union Church 1996
[111] 서적 Pilgrimage: A Traveler's Guide to Australia's Battlefields Black Inc 2006
[112] 서적 Tourism in the Pacific Rim: Development, Impacts, and Markets Longman Cheshire 1994
[113] 웹인용 유엔군 지원현황 및 전사자 현황 http://unmck.or.kr/k[...] 2012-07-13
[114] 웹인용 유엔기념공원 안장자 현황 http://unmck.or.kr/k[...] 2012-07-13
[115] 저널 잊혀진 전쟁, 버려진 병사 2010
[116] 웹사이트 안장자 및 전사자 현황 https://www.unmck.or[...]
[117] 웹인용 통계로 본 6.25 전쟁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4 (E-BOOK) https://new.mnd.go.k[...] 2023-07-16
[118] 웹사이트 유엔군 소속 한국군 참전용사 안장식 https://www.unmck.or[...]
[119] 웹사이트 캐나다군 참전용사 안장식 https://www.unmck.or[...]
[120] 웹사이트 프랑스 참전용사 한국에서 영면하다 https://www.rfa.org/[...]
[121] 웹사이트 영국군 무명용사 안장식 https://www.unmck.or[...]
[122] 뉴스 '캐나다판 태극기 휘날리며'…60 년 만에 함께 잠든 형제 https://news.naver.c[...]
[123] 뉴스 전쟁고아 아버지 '리처드 위트컴 장군' 추모식 열려 https://news.naver.c[...]
[124] 웹사이트 프랑스 참전용사 한국에서 영면하다 https://www.rfa.org/[...]
[125] 저널 프로젝트 리포트 : 재한 유엔 기념 공원 추모명비, UNMCK 2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