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조던 개틀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조던 개틀링은 1818년에 태어나 1903년에 사망한 미국의 발명가로, 특히 개틀링 건의 발명으로 유명하다. 그는 농업 기계, 스크류 프로펠러 등 다양한 발명품을 개발했으며, 오하이오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기도 했다. 남북 전쟁 중 개틀링 건을 발명하여 전쟁의 참상을 줄이려 했으나, 실제로는 전쟁 양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미국 발명가 및 제조업자 협회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만년에는 증기 트랙터 회사를 설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기 개발 - 자폭형 무인 항공기
자폭형 무인 항공기는 폭발물을 싣고 목표물을 공격하는 무인 항공기로, 순항 미사일과 무인 전투 항공기의 중간 형태로 목표 지역을 배회하며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목표물을 탐색 및 공격하는 배회형 자율 무기 또는 배회형 공격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 발명 - 지식 재산권
지식재산권은 지적 활동 및 창작 활동에서 비롯되는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 디자인권, 영업비밀 등을 포괄하는 무형의 재산적 권리로서, 국제 기구와 조약을 통해 보호되지만 혁신 저해 및 불평등 심화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는 제도이다. - 발명 - 세런디피티
세렌디피티는 예상치 못한 행운이나 뜻밖의 발견을 의미하는 단어로, 발명과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온라인 환경에서 우연한 발견을 촉진하고 건강한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 기관총 - 다목적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은 다양한 전장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기관총으로, MG34 개발을 통해 개념이 등장한 이후 각국에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현대에도 기술 발전이 지속되고 있다. - 기관총 - 중기관총
중기관총은 강력한 소총탄 또는 최소 12mm 구경의 대구경 탄약을 사용하여 장거리에서 지속적인 자동 사격이 가능한 기관총으로, 차량, 건물, 항공기 등에 대한 높은 사거리, 관통력, 파괴력을 제공하며, 현대에는 장갑차량 부무장, 군용 차량, 군함의 자위용 무장, 보병 지원 화력, 드론 방어 수단 등으로 널리 활용된다.
리처드 조던 개틀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리처드 조던 개틀링 |
출생일 | 1818년 9월 12일 |
출생지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하트퍼드군 |
사망일 | 1903년 2월 26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시 |
안장지 | 크라운 힐 공동묘지 |
배우자 | 제미마 샌더스(1854년 10월 25일 결혼) |
학력 및 경력 | |
알려진 업적 | 개틀링 기관포 |
기타 |
2. 생애
개틀링은 1818년 노스캐롤라이나주 허트퍼드 카운티에서 태어났다. 21세 때 증기선용 스크류 프로펠러를 만들었지만, 그 전에 존 에릭슨이 특허를 냈었다.[13]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사는 동안, 개틀링은 지역 사무관, 교사, 상인등을 하였다. 36세 때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로 이사하여 직물 가게에서 일하면서 쌀 씨앗을 뿌리는 기계와 밀 심는 기계를 발명했다.[14] 천연두에 걸린 후 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850년에 오하이오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의사보다는 발명가로 일하는 것에 더 큰 흥미를 느꼈다.
남북 전쟁이 발발했을 때, 개틀링은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거주하고 있었다. 1861년에 개틀링 기관총을 발명했으며,[15] 1년 후, 개틀링 건 회사(Gatling Gun Company)를 설립했다.
생애 말년에 개틀링은 변기, 자전거, 공기 압축 장치 등 여러 분야의 발명품을 특허로 내기도 했다. 1891년에는 미국 발명가 및 제조업자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Inventors and Manufacturers)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어 6년간 회장을 했다. 그는 죽을 때까지 부자였지만, 투자를 잘못해 돈을 잃기도 했다.
개틀링은 생애 마지막 해에 다시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로 돌아가 증기 트랙터 회사를 설립했다. 1903년 2월 26일, 뉴욕에 있는 딸의 집에서 별세했으며, 인디애나폴리스의 크라운 힐 묘지에 매장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은 개틀링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플레처급 구축함 DD-671을 USS 개틀링(USS Gateling)으로 명명했다.[14]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리처드 조던 개틀링은 1818년 노스캐롤라이나주 허트퍼드 카운티에서 농부이자 발명가인 아버지 조던 개틀링의 아들로 태어났다.[1] 개틀링 가문은 창의성과 발명에 관심이 많은 가정 환경이었으며, 형제들 모두 벅혼 학교(Buckhorn Academy)를 졸업했다. 아버지의 영향으로 개틀링은 어린 시절부터 기계 조립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다.[16]21세 때 개틀링은 증기선용 스크류 프로펠러를 발명했지만, 몇 달 전에 존 에릭슨이 이미 특허를 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13] 그는 어부, 재판소 서기, 교사, 가게 주인 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다.[1] 36세 때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로 이주하여 직물 가게에서 일하면서 쌀 씨앗을 뿌리는 기계와 밀 심는 기계를 발명했다.[14] 이러한 기계들의 도입은 미국의 농업 시스템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
개틀링은 천연두를 앓은 후 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850년에 오하이오 의과대학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14] 그러나 그는 의사로 일하는 것보다 발명가로 일하는 것에 더 큰 흥미를 느꼈다.
2. 2. 초기 경력 및 결혼
개틀링은 1818년 노스캐롤라이나주 허트퍼드 카운티에서 태어났다. 21세 때 증기선용 스크류 프로펠러를 발명했으나, 존 에릭슨이 이미 특허를 낸 상태였다.[13] 그는 노스캐롤라이나에서 군청 사무관, 교사, 상인 등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36세에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로 이주하여 자신의 가게를 운영하면서 쌀 씨앗을 뿌리는 기계와 밀 심는 기계를 발명하여 판매했다.[14] 이 기계들은 미국 농업 시스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1850년 천연두를 앓은 후 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오하이오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러나 의사보다는 발명가로서의 길을 선택했다.
1850년대 초, 사업에서 성공한 개틀링은 자신보다 19세 연하이자 인디애나폴리스의 저명한 의사의 딸인 제미마 샌더스와 1854년 10월 25일에 결혼했다.[2] 그녀의 언니 제렐다는 데이비드 월리스 인디애나 주지사와 결혼했다.
2. 3. 개틀링 건 발명
남북 전쟁 (1861년~1865년) 당시, 개틀링은 많은 병사들이 총에 맞아 죽는 것보다 질병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20] 1877년에 그는 "만약 내가 빠른 사격 속도로 한 사람이 100명의 전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총을 발명할 수 있다면, 대규모 군대의 필요성을 상당 부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전투와 질병에 노출되는 위험이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썼다.[20]개틀링은 자신의 씨앗 파종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1861년에 개틀링 건의 시제품을 개발했다.[15] 1862년에는 인디애나폴리스에 개틀링 건 회사(Gatling Gun Company)를 설립하여 개틀링 건을 판매하기 시작했다.[15] 처음 생산된 6정의 개틀링 건은 1862년 12월 공장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지만,[15] 개틀링은 굴하지 않고 신시내티의 공장에서 13정을 추가로 생산했다.[15]
개틀링 건은 남북 전쟁 중에 개발되었지만, 전쟁 중에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인 개틀링은 남부 연합을 지지한다는 오해를 받기도 했지만,[21] 실제로는 연방 정부나 군대와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21] 벤자민 F. 버틀러 장군과 데이비드 디슨 포터 제독이 개인적으로 개틀링 건을 구매하기도 했지만,[7]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개틀링 건을 구매한 것은 1866년이었다.[8]
1870년, 개틀링은 개틀링 건 특허를 콜트사에 판매했다.[9] 1893년에는 전기 모터를 장착하여 분당 3,000발을 발사할 수 있는 개량형 개틀링 건을 특허냈다.[14]
2. 4. 개틀링 건 이후의 삶
개틀링은 말년에 변기, 자전거, 증기 경운기, 공기 압축 장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명 특허를 취득했다.[10] 1891년에는 미국 발명가 및 제조업자 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Inventors and Manufacturers)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어 6년간 재임했다.[10] 그는 여러 차례 투자 실패를 겪기도 했지만, 전반적으로 성공적인 발명가이자 사업가로서의 삶을 살았다.[10]개틀링은 말년에 증기 쟁기(트랙터)를 제조하는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다시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로 돌아갔다.[10] 1903년 2월 26일, 뉴욕에서 딸의 집을 방문하던 중 사망했으며, 인디애나폴리스의 크라운 힐 묘지에 안장되었다.[10][11]

3. 발명품
개틀링은 어린 시절부터 기계 조립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개틀링 건 외에도 다양한 발명품을 남겼다.
특히 농업 기계 발명에 관심이 많아 곡식 씨앗을 뿌리는 기계를 발명해 농사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17] 1839년에는 이앙기를 만들었다. 증기선용 스크루 프로펠러를 발명하기도 했으며, 1857년에는 증기 경운기를 발명해 특허를 받았다.[18] 1862년에는 수동 크랭크 (기계)를 돌려 작동하는 초기 개틀링 건을 개발했고, 이후 전기 모터를 장착한 형태로 개량하여 남북 전쟁에 사용되었다.[19]
3. 1. 개틀링 건
개틀링 건은 리처드 조던 개틀링의 가장 유명한 발명품으로, 여러 개의 총열을 묶어 수동 크랭크를 돌려 회전시키면서 연속 발사가 가능한 초기 형태의 기관총이다. 1861년 시제품이 개발되었고, 1862년 개틀링은 인디애나폴리스에 개틀링 건 회사(Gatling Gun Company)를 설립하여 판매를 시작했다.[19] 최초 생산된 6정의 총은 공장 화재로 소실되었지만, 신시내티에 있는 공장에서 13정을 추가 생산했다.[19]개틀링 건은 남북 전쟁 중에 만들어졌지만, 전쟁 중에는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19] 개틀링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이라는 이유로 남부 동조자로 의심받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남부군과 관련이 없었다.[21] 그는 남북전쟁에서 많은 병사들이 총상보다 질병으로 사망한다는 사실을 알고, 한 사람이 100명의 전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총을 발명하여 군대 규모를 줄이고자 했다.[20]
남북 전쟁 이후 1866년, 미 육군은 개틀링 건을 정식 무기로 채택했다.[18] 당시 이 무기는 분당 600발 정도를 발사할 수 있었으며, 하이럼 스티븐스 맥심이 개발한 맥심 기관총과 함께 전쟁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18] 1893년, 개틀링은 전기 모터를 장착하여 분당 3,000발을 발사하는 개량형 개틀링 건을 특허냈다. 손으로 돌리는 개틀링 건은 1911년 미국 육군에 의해 구식으로 선언되었다.[9]
3. 2. 기타 발명품
개틀링은 개틀링 건이 가장 잘 알려진 발명품이지만, 이외에도 많은 발명품을 만들었다. 어릴 때부터 농업기계 발명에 몰두하여 곡식 씨앗을 뿌리는 기계를 발명해 농사법에 혁신을 가져왔다.[17] 1839년 이앙기를 만들었고 증기선용 스크루 프로펠러도 발명했다. 1857년에는 증기 경운기를 발명해 특허를 받았다.[18]그의 다른 발명품으로는 스크류 프로펠러와 밀 파종기(파종 장치, 1839년), 삼 파쇄기(1850년), 증기 쟁기(증기 트랙터, 1857년), 해군 증기 램(1862년), 동력 쟁기(트랙터) 등이 있다.
4. 개틀링 건 발명 비화
개틀링은 남북 전쟁에서 많은 병사들이 총상보다는 질병으로 사망한다는 사실을 알고 개틀링 건을 발명했다. 1877년 그는 "만약 내가 빠른 사격 속도로 한 사람이 100명의 전투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관총을 발명할 수 있다면, 대규모 군대의 필요성을 상당 부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전투와 질병에 노출되는 위험이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자서전에 기록했다.[20]
개틀링 건은 개틀링의 씨앗 파종기(Seed Planter)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4] 1861년 시제품이 개발되었고, 1862년 인디애나폴리스에 개틀링 건 회사(Gatling Gun Company)를 설립하여 판매를 시작했다. 처음 생산된 6정은 1862년 12월 공장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개틀링은 신시내티에 있는 공장에서 13정을 추가로 생산했다.
개틀링 건은 남북 전쟁 중에 개발되었지만, 실제로 전쟁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았다. 벤자민 F. 버틀러 장군이 12정, 데이비드 디슨 포터 제독이 1정을 구매했으나,[7]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개틀링 건을 구매한 것은 1866년이었다.[8] 1870년 개틀링은 개틀링 건 특허를 콜트에 판매했고,[9] 1897년 개틀링 건 회사는 콜트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4. 1. 남부연합 지지 논란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인 개틀링은 남북전쟁 당시 북군을 지지하지 않고 남부 연맹을 돕는 인물이나 단체를 가리키는 "카퍼헤드"라는 의심을 받기도 했다.[21] 하지만 개틀링은 미국 연방 정부나 군대와 아무 관련이 없었으며, 내전 동안 남부에 거주한 적이 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6]5. 영향
개틀링 건은 전쟁의 양상을 크게 바꾸었으며, 기관총 발전의 초석을 다졌다.[18] 초기에는 개틀링 건이 전쟁을 억제하고 인명 피해를 줄일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맨몸으로 돌격하는 병사나 기병 모두 기관총 앞에서는 속수무책이었다.[18]
개틀링 건의 개발은 이후 자동화기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기관총 및 발칸포와 같은 무기 체계의 발전에 기여했다. 개틀링은 전기모터를 장착한 개량형 개틀링 건을 개발하여 분당 3000발을 발사할 수 있게 하였는데, 이는 발칸포의 전신으로 여겨진다.[14]
더욱 강력한 무기가 평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개틀링의 믿음은 핵무기 개발 경쟁과 냉전 시대로 이어지기도 했다.[18]
6. 개틀링 관련 방송
2019년 11월 17일 MBC의 '신비한TV 서프라이즈' 890회에서 "최악의 발명가, 그 남자의 발명품"이라는 제목으로 개틀링 건과 관련된 이야기가 방영되었다.[14]
YTN DMB의 '[https://www.youtube.com/watch?v=gBkukFhuQgY 밀리터리를 사랑하는 당신, 밀당]'에서는 "분당 4,200발의 화력 ··· 역사와 현대의 만남 '개틀링 건'"이라는 제목으로 개틀링 건을 다루었다. YTN2의 'https://www.youtube.com/watch?v=IIR9KYTg6Xs 뉴스멘터리 전쟁과 사람 [95회]'에서는 "최초의 기관총, 개틀링 기관총"과 "현대 지상전의 패러다임을 바꾸다."라는 내용으로 개틀링 건의 역사와 영향을 다루었다.
참조
[1]
간행물
[2]
간행물
[3]
간행물
[4]
서적
Abstract of "Mr. Gatlings Terrible Marvel"
https://books.google[...]
2008-05-08
[5]
서적
The Gatling Gun
Arco Publishing
1971
[6]
서적
Machine Gun
2002
[7]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11]
간행물
[12]
서적
무기의 경제학
플래닛미디어
2018-06-12
[13]
웹인용
Mr Gatling's Terrible Marvel: The Gun That Changed Everything and the Misunderstood Genius Who Invented It
https://archive.org/[...]
Viking
2008
[14]
웹인용
Richard Jordan Gatling
http://www.bookrags.[...]
Encyclopedia of World Biography
2005
[15]
서적
무기의 경제학
플래닛미디어
2018-06-12
[16]
서적
The Gatling Gun and Flying Machine of Richard and Henry Gatling
1979
[17]
웹인용
"[역사 속의 인물] 기관총 발명자, 개틀링"
https://news.imaeil.[...]
매일신문
2012-09-12
[18]
웹인용
"[火요일에 읽는 전쟁사]터미네이터가 휘두르던 '개틀링'이 사람 이름라고요?"
https://www.asiae.co[...]
2017-09-05
[19]
웹인용
역사속의 오늘-개틀링포 발명가 개틀링 출생
https://news.imaeil.[...]
2006-09-11
[20]
서적
The Gatling Gun. Arco
1971
[21]
웹인용
Copperhead
http://aha-dic.com/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