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기는 인류의 위생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시설로, 배설물을 처리하고 공중 보건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중세 시대에는 가드로브와 같은 형태의 변소가 사용되었다. 근대에 들어 수세식 변기가 등장하고, 기술 발전에 따라 자동 물내림, 비데 등의 기능이 추가된 첨단 변기가 개발되었다. 변기의 종류는 수세식, 비수세식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작동 방식과 특징을 갖는다. 변기 사용 방법은 문화권에 따라 다르며, 위생과 관련된 다양한 주의사항이 존재한다. 한국 변기 시장은 기술 발전과 소비자 요구에 따라 고급화, 친환경화되는 추세이며, 위생 설비 시장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장실 - 배뇨
배뇨는 비뇨기계를 통해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생리 현상으로, 요의를 느끼고 뇌의 제어를 받아 이루어지며, 사회문화적 측면과 관련될 뿐 아니라 배뇨 관련 질병 및 장애도 존재한다. - 화장실 - 요강
요강은 실내 배관 시설이 보급되기 전 널리 사용된 휴대용 변기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실내 배관 시설이 없는 지역이나 배변 훈련을 받는 어린이를 위해 사용된다. - 위생 시설 - 공중보건
공중보건은 조직적인 노력과 사회적 선택을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과학 기술이며, 환경보건, 역학, 보건관리 분야를 포함하여 개인과 인구 집단의 건강을 개선하고 평균 수명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위생 시설 - 설사
설사는 세계보건기구(WHO) 정의에 따라 하루 세 번 이상 묽은 변을 보거나 평소보다 많은 변을 보는 상태로, 급성, 지속성, 만성으로 나뉘며, 소화흡수능력 저하, 감염,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물 같은 변, 복통, 구토, 탈수 증상을 동반하며, 위생적인 생활 습관과 수분 및 전해질 보충으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변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종류 | 배관 설비 |
주요 목적 | 인간 배설물 수집 및 처리 |
사용 방법 | 앉기, 쪼그려 앉기 |
형태 | |
종류 | 수세식 변기 좌변기 간이 화장실 이동식 화장실 푸세식 화장실 |
재질 | 세라믹 도자기 플라스틱 스테인리스강 |
기능 | |
배설물 처리 | 물 내림 진공 |
냄새 관리 | 물 트랩 환기 시스템 |
문화적 측면 | |
종교적 중요성 | 일부 종교에서는 정결 의식과 관련됨 |
사회적 의미 | 개인 위생과 관련됨 |
기술적 측면 | |
디자인 | 다양함, 사용자 편의성 고려 |
급수 시스템 | 저수조, 직결수 |
하수 처리 | 정화조, 하수 처리 시설 |
위생 및 건강 | |
오염 방지 | 적절한 위생 관리 필수 |
질병 예방 | 위생적인 변기 사용 중요 |
기타 | |
관련 용어 | 화장실, 변소, 뒷간, 측간 |
국제 표준 | 디자인과 안전 관련 규격 존재 |
이미지 | |
![]() | |
![]() | |
![]() |
2. 역사
18세기 이전 유럽에서는 물로 인한 질병이 많아 집 안에서도 물을 쓰지 않아 변기와 욕조를 사용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배설물을 양동이에 담아 길에 버렸다.[96] 1760년대 유럽에서는 변기와 욕조가 생겼다.[96]
건축물(주택, 시설 등) 전 세계의 다양한 건축물에서 화장실에 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변기의 형태, 설치 방법, 오물 처리 방법은 각 국가의 생활 습관과 수자원 사정에 따라 다르다. 소변 전용 소변기와 대소변 겸용인 대변기가 있으며, 대변기에는 물이 고이는 트랩을 가진 수세식 변기와, 주로 오수받이식으로 사용되는 변기에 구멍이 뚫린 낙하식 변기가 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변기 설치에 급수 배수 공사가 필요하므로, 위생 설비 업체가 구매 및 공사를 담당했다. 도매업체나 도매상에서는 위생 설비 업체나 상하수도 설비 업체 이외의 일반인에게 판매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매립 등 시공이 어려운 한국식 변기에 비해 시공이 비교적 용이해진 양식 변기가 주류가 되고, DIY나 일요일 목수가 직접 시공하는 경우도 늘어났다. 이에 따라 홈센터 등에서도 변기가 판매되고, 소비자가 소매점이나 통신 판매를 통해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설치 노하우도 인터넷에서 널리 소개되어 소비자가 직접 설치하는 것도 용이해졌다.
- -]
2. 1. 고대



기원전 4천년기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점토 파이프, 하수구, 화장실이 발명되었으며, 오늘날 우루크 도시에는 기원전 3200년경의 가장 초기의 내부 구덩이 변기가 남아있다.[38] 신석기 시대 마을 스카라 브레이에는 기원전 3000년경의 공동 배수구 위에 있는 작은 내부 방이 있었는데, 이는 구덩이 변기가 아닌 형태이다.[39] 인도 북서부와 파키스탄의 인더스 문명은 세계 최초의 도시 위생 시스템의 고향이었다. 모헨조다로(기원전 2800년경)에서는 화장실이 집의 외벽에 설치되었고, 수직 슈트를 통해 폐기물을 정화조나 거리 하수구로 배출했다.[40] 로탈(기원전 2350년경)에서는 상류층 주택에 덮개가 있는 하수도 네트워크에 연결된 개인 화장실이 있었다.[41] 이 하수도는 석고 기반 모르타르로 고정된 벽돌로 건설되었으며, 주변 수역이나 정화조로 배출되었고, 정화조는 정기적으로 비우고 청소했다.[42]
스코틀랜드 오크니 제도의 스카라 브레이(기원전 3100년경~기원전 2500년경 거주)에서는 폐기물 제거를 위해 흐르는 물을 사용한 매우 초기의 화장실이 발견되었다. 일부 주택에는 바로 아래로 배수구가 지나가고, 배수구 위에 칸막이가 설치된 곳도 있었다. 기원전 18세기경에는 미노아 크레타, 파라오 시대 이집트, 고대 페르시아에 화장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스리랑카에서는 화장실과 세면대 건설 기술이 여러 단계에 걸쳐 발전했다. 아누라다푸라의 아바야기리 비하라(Abhayagiri Vihāra) 단지(기원전 2세기~서기 3세기)와 폴로나루와 및 아누라다푸라(5세기~13세기)의 후기 화장실은 화려한 장식 모티브가 조각되어 있다.[46][47][48] 링웰 피트가 있는 세면대, 정화조로 이어지는 지하 테라코타 파이프, 바닥이 없는 큰 점토 항아리를 서로 위에 놓아 크기를 줄인 소변기 피트 등 여러 유형의 화장실이 개발되었다. 소변기 아래 항아리에는 "모래, 석회, 숯"이 들어 있어 소변이 정화된 형태로 땅으로 여과되었다.[46]
로마 문명에서는 흐르는 물을 사용하는 푸세식 변기가 공중 목욕탕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로마의 푸세식 변기는 일반적으로 앉은 자세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 화장실은 정기적으로 흐르는 물로 씻겨 내려가는 개방형 하수구 위에 높이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로마인과 그리스인은 식사와 음주 모임에 가져온 배설물 단지도 사용했다.[49]
2천 년 전 중국 한나라에서는 돼지 변기를 사용했다.
2. 2. 중세
18세기 이전 유럽에서는 물로 인한 질병이 많아 집에 있는 화장실에서도 물을 쓰지 않아 변기와 욕조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래서 배설물을 양동이에 넣어 길에다 버렸다.[96]가드로브(Garderobe)는 후기 중세 시대에 사용된 변소로, 주로 상류층 주택에서 발견되었다. 기본적으로 벽에서 벽까지 놓인 평평한 나무나 돌판에 하나 이상의 구멍이 뚫려 있는 형태였다. 이러한 구멍은 성이나 영지(Manor house) 외부로 배출되는 슈트 또는 파이프 위에 설치되었다.[50] 가드로브는 냄새 때문에 침실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51] 실내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부엌이나 벽난로 근처에 설치되었다.[50]
변소 문제를 해결하는 또 다른 주요 방법은 밤용변기(chamber pot)였다. 이것은 보통 도자기나 금속으로 만든 용기로, 배설물을 받는 데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수백 년 동안 사용되었으며, 모양, 크기 및 장식적 변형은 여러 세기에 걸쳐 변화했다.[52] 밤용변기는 고대부터 유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중세 순례자들에 의해 중동으로도 가져가졌다.[53]
2. 3. 근대
초기 근대에는 변기가 자기나 구리로 만들어지기도 했으며, 정교한 장식이 포함되기도 했다. 사람들은 변기의 내용물을 집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배수구에 버렸다.근대 이전 덴마크에서는 사람들이 농지나 인분을 비료로 수거할 수 있는 장소에 배설했다.[54] 고대 노르드어에는 화장실을 가리키는 ''garðhús''(마당집), ''náð-/náða-hús''(휴식의 집), ''annat hús''(다른 집) 등의 용어가 있었다. 18세기까지 덴마크 시골 지역에는 기능적인 화장실이 거의 없었다.[54]
16세기가 되자 유럽에서는 도시 인구가 증가하고 거리 배수구가 많은 양의 인분으로 막히면서 집 근처 땅에 정화조가 점점 더 많이 파였다. 정화조는 공 농부들이 밤에 수거했는데, 이들은 액체 폐기물을 펌핑하고 고체 폐기물은 삽으로 퍼내어 밤토라는 이름으로 농업용 비료로 판매했다.
19세기 초, 공무원과 공중위생 전문가들은 수십 년 동안 위생 문제를 연구하고 논의했다. 19세기 중반에는 고체 및 액체 폐기물을 운반하기 위한 지하 배관망 건설이 시작되어 정화조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대체했지만, 20세기에도 파리의 일부 지역에서는 정화조가 여전히 사용되었다.[55]
수세식 변기는 튜더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1770년경 알렉산더 커밍과 조셉 브라마의 업적을 통해 현재 알려진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수세식 변기는 1850년경에 집 밖에서 집 안으로 옮겨지기 시작했다.[56] 일체형 수세식 변기는 1860년대와 1870년대에 중산층 주택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2. 3. 1. 건식 화장실의 발전
18세기 이전 유럽에서는 물로 인한 질병이 많아 집에 있는 화장실에서도 물을 쓰지 않아 변기와 욕조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래서 배설물을 양동이에 넣어 길에다 버렸다. 1760년대 유럽에서는 변기와 욕조가 생겼다.[96]
수세식 화장실이 널리 보급되기 전에는 "건식 토양 화장실" – 오늘날 건식 화장실 또는 퇴비 화장실로 알려짐 – 의 사용을 지지하는 발명가, 과학자 및 공중 보건 담당자가 있었다.[63]
2. 3. 2. 수세식 변기의 발전
존 해링턴이 1596년에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양변기 시스템의 전신을 설계했지만,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후반이었다. 산업혁명과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양변기는 현대적인 형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1775년 스코틀랜드 기술자 알렉산더 커밍스가 발명한 S-트랩은 배관의 중요한 발전이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S-트랩은 고여 있는 물을 사용하여 변기 배출구를 밀봉하여 하수구에서 악취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19세기 중반, 도시화와 산업 번영이 증가하면서 양변기가 널리 사용되고 판매되는 발명품이 되었다. 이 시기는 특히 런던에서 하수 시스템의 급격한 성장과 일치하여, 양변기를 건강과 위생상의 이유로 특히 매력적으로 만들었다.[56]양변기는 "수세식 변기"로도 알려져 있었는데, 1880년대에 영국에 처음 등장하여 곧 유럽 대륙으로 퍼져나갔다. 미국에서는 1890년대에 부유층 가정과 호텔에 체인을 당겨 사용하는 실내 변기가 도입되었다. 1906년 윌리엄 엘비스 슬론은 플러시미터를 발명했는데, 이것은 공급 라인에서 직접 가압수를 사용하여 배수 사이의 재순환 시간을 단축시켰다.
2. 3. 3. 현대의 첨단 변기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볼 수 있는 "첨단" 변기는 자동 물내림 장치, 비데 또는 "항문 세척기", 건조기, 소음을 가리는 인공 물내림 소리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64] 다른 기능으로는 소변 및 대변 분석, 혈압, 체온, 혈당 검사 등의 의료 모니터링 기능이 있다. 일부 변기에는 자동 뚜껑 작동, 온열 시트, 탈취 팬 또는 자동 화장지 시트 교체 기능도 있다. 여러 국가에서 사용자들이 비디오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대화형 소변기"가 개발되었다. 세가(Sega)에서 생산한 "토일렛(Toylet)"은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소변의 흐름을 감지하고 이를 화면 상의 액션으로 변환한다.[64]국제 우주 정거장의 우주비행사들은 음용수를 회수할 수 있는 소변 전환 기능이 있는 우주 변기를 사용한다.[65]
3. 종류
변기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며,[2][3]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변기는 서서(소변), 앉아서, 쪼그리고 앉아서(대변) 사용할 수 있다. 앉는 변기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에게 필수적이며, 장애인과 노인에게 화변기보다 편리하다.[4]
개발도상국에서는 변기 접근성이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련이 있으며, 저소득층은 변기가 없어 분뇨 무단 투기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위생 문제의 일부로, 세계 화장실의 날과 같은 국제적인 노력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5]
건축물(주택, 시설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변기가 설치되며, 설치 방법과 오물 처리 방법은 각 국가의 생활 습관과 수자원 사정에 따라 다르다. 대변기에는 수세식 변기와 낙하식 변기가 있다.


최근에는 DIY와 일요일 목수의 증가로 소비자가 직접 변기를 구매하고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3. 1. 수세식 변기
물을 사용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변기는 크게 양변기와 화변기로 나뉜다. 수세식 변기는 물을 사용하여 냄새를 차단하고 위생적으로 오물을 처리하는 방식이다.일반적인 양변기는 물탱크와 배수관에 연결된 용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 후 물을 내리면 오수가 정화조나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된다. 변기 내부의 U자형 관은 하수가스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6]
일본에서는 남성용 소변기가 주로 사용되며, 위생을 위해 세정제나 살균제를 사용한다. 과거 공중화장실이나 철도역에는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하는 소변기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개별 소변기가 주로 설치된다.
비데는 17세기경 이탈리아에서 보급되기 시작하여 남유럽에서 많이 사용되며, 비데 샤워는 동남아시아, 인도, 이슬람권, 북유럽 등에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페리 내항 이후 서양식 변기가 전래되어 '양식'이라고 불리며, 온열 변좌나 온수 세정 변좌와 같은 기능성 변기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 세척 기능 등을 탑재한 고기능 변기도 등장하고 있다.
변기 크기는 엘롱게이트 사이즈(대형)와 표준 사이즈가 있으며, 최근에는 엘롱게이트 사이즈가 대부분이다. 유아용, 장애인용, 스모 선수용 등 특수 목적의 변기도 있다.
3. 1. 1. 일반 수세식 변기
일반적인 양변기는 위쪽은 물을 빠르게 채우는 저수조(탱크)에 연결되고, 아래쪽은 오수를 배출하는 배수관에 연결된 세라믹 용기(팬)로 구성되어 있다. 변기를 사용한 후 물을 내리면 오수는 정화조 또는 하수 처리장에 연결된 시스템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많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처리 단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변기의 물은 거꾸로 된 U자 모양의 파이프에 연결된다. U자형 채널의 한쪽은 변기의 물 높이보다 긴 흡입관으로 배치된다. 흡입관은 배수관에 연결된다. 배수관 바닥은 물이 배수관으로 흘러가기 전에 용기의 물 높이를 제한한다. 용기의 물은 건물로 유입되는 하수가스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하수가스는 하수관에 연결된 통풍관을 통해 배출된다.
기존 양변기의 물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개인의 일일 물 사용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6] 그러나 현대식 절수형 양변기 설계는 물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듀얼 플러시 양변기는 소변용과 대변용 플러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제품보다 상당한 양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한 유형의 듀얼 플러시 시스템은 손잡이를 위로 누르면 한 가지 종류의 플러시를, 아래로 누르면 다른 종류의 플러시를 할 수 있도록 한다.[7] 다른 설계는 소변용과 대변용 버튼을 두 개씩 가지는 것이다. 어떤 지역에서는 소변 후에는 물을 내리지 않도록 권장하기도 한다. 양변기는 중수(설거지, 세탁, 목욕에 이전에 사용되었던 물)를 상수(음용수) 대신 사용하도록 배관할 수 있다. 일부 최신 변기는 탱크의 물에 압력을 가하여 적은 양의 물로도 물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변형으로는 부어서 내리는 변기가 있다.[2] 이 유형의 양변기는 저수조가 없지만 작은 양동이로 수 리터의 물을 수동으로 부어서 물을 내린다. 물을 내리는 데 2L 에서 3L만큼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2] 이러한 유형의 변기는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변기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구덩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어서 내리는 구덩이식 화장실" 또는 "이중 구덩이 부어서 내리는 구덩이식 화장실"이라고 한다. 정화조에도 연결될 수 있다.[8]
선박의 양변기는 일반적으로 바닷물로 물을 내린다.
3. 1. 2. 절수형 수세식 변기
현대식 절수형 양변기 설계는 물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듀얼 플러시 양변기는 소변용과 대변용 물 내림(플러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제품보다 상당한 양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7] 듀얼 플러시 시스템은 손잡이를 위로 누르면 한 가지 종류의 플러시를, 아래로 누르면 다른 종류의 플러시를 할 수 있도록 한다.[7] 다른 설계는 소변용과 대변용 버튼을 두 개씩 가지는 것이다. 어떤 지역에서는 소변 후에는 물을 내리지 않도록 권장하기도 한다. 양변기는 중수(설거지, 세탁, 목욕에 이전에 사용되었던 물)를 상수(음용수) 대신 사용하도록 배관할 수 있다. 일부 최신 변기는 탱크의 물에 압력을 가하여 적은 양의 물로도 물을 내릴 수 있도록 한다.3. 1. 3. 부어 내리는 변기
부어 내리는 변기는 저수조 없이 작은 양동이에 몇 리터의 물을 직접 부어 물을 내리는 방식이다.[2] 물을 내리는 데 2L에서 3L 정도의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2] 이러한 유형의 변기는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 변기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구덩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어서 내리는 구덩이식 화장실" 또는 "이중 구덩이 부어서 내리는 구덩이식 화장실"이라고 한다. 정화조에도 연결할 수 있다.[8]3. 1. 4. 이중 구덩이 화장실
이중 구덩이 화장실은 두 개의 구덩이를 번갈아 사용하는 방식이다. 한 구덩이가 몇 달 또는 몇 년 후에 가득 차면 다른 구덩이를 사용한다.[9] 구덩이는 1년 또는 2년 동안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10] 이렇게 하면 가득 찬 구덩이의 내용물이 부분적으로 위생 처리된 토양과 같은 물질로 변환될 충분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후 수동으로 발굴할 수 있다.[10] 지하수면이 높거나 변동이 심한 지역, 또는 기반암에 균열이 있는 지역에 구덩이를 설치하면 지하수 오염의 위험이 있다.[10]
3. 1. 5. 진공식 변기
진공식 변기는 진공 하수 시스템에 연결되어 흡입으로 배설물을 제거하는 양변기이다. 물 사용량이 매우 적거나(1회 사용량이 0.25L 미만)[12] 아예 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1] 일부는 물 대신 착색된 소독액으로 세척한다.[12] 회색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별도로 처리할 수도 있다.[13]
여객 열차 화장실, 항공기 화장실, 버스 화장실, 배관이 설치된 선박에서는 종종 진공식 변기를 사용한다. 물 사용량이 적어 무게를 줄이고, 이동 중 변기에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한다.[14] 차량에서는 휴대용 수집 용기가 사용된다. 중간 진공 용기의 양압으로 채워지는 경우 진공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15]
3. 1. 6. 부유식 화장실
부유식 화장실은 물 위에 떠 있거나 물 위에 지어진 플랫폼 위에 설치된 화장실이다. 배설물은 땅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탱크나 통에 모인다. 육지로 배설물을 운반해야 하는 양을 줄이기 위해 많은 부유식 화장실은 소변 분류 방식을 사용한다.[16] 부유식 화장실은 육지에 쉽게 접근할 수 없거나 하수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은 주민들을 위해 개발되었다.[17] 또한 장기간 홍수 피해를 입는 지역에서도 사용된다.[17] 이러한 유형의 화장실은 캄보디아와 같은 지역에서 수요가 높다.[18]3. 2. 비수세식 변기
비수세식 변기는 물을 사용하지 않고 오물을 처리하는 변기다. 홑구덩이 화장실, 오수조 화장실, 소변 분리식 건식 화장실, 휴대용 화장실, 화학 변기 등이 있다. 동물 급여식 화장실은 사람의 배설물을 가축이 직접 먹도록 하는 방식이며, 중국, 일본, 한국, 인도 등에서 사용되었다.[19] 날아다니는 변기는 비닐 봉투에 배설물을 담아 버리는 행위로, 매우 비위생적이다.[38]3. 2. 1. 홑구덩이 화장실
홑구덩이 화장실은 땅에 구덩이를 파서 만든 가장 간단한 형태의 화장실이다. 보통 좁고 깊은 구멍을 파서 만들며, 쪼그려 앉는 자세로 사용한다. 구덩이의 깊이는 0.5m~3m, 너비는 0.3m~0.5m 정도이다. 홑구덩이 화장실은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하지만, 위생 문제가 심각하다. 구덩이가 가득 차면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며, 악취와 해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하수를 오염시킬 위험도 있다.3. 2. 2. 오수조 화장실
오수조 화장실(vault toilet)은 배수 시설이 없는 화장실로, 배설물을 받는 밀폐된 용기(또는 오수조)가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방식이다. 모든 배설물은 펌핑으로 제거될 때까지 지하에 보관된다. 오수조 화장실은 폐기물이 지하 토양으로 스며들지 않고 오수조에 축적된다는 점에서 웅덩이식 화장실과 구별된다.3. 2. 3. 소변 분리식 건식 화장실
소변과 대변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방식의 화장실이다.3. 2. 4. 휴대용 화장실
휴대용 화장실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이동식 화장실로, 주로 건설 현장이나 대규모 야외 행사장에 설치된다. 캠핑용으로도 사용되며, 화학 물질을 이용해 배설물을 분해한다.3. 2. 5. 화학 변기
화학 변기는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오물을 분해하고 냄새를 제거한다.3. 2. 6. 동물 급여식 화장실
돼지 화장실은 배수구를 통해 돼지우리와 연결된 화장실로 구성되며, 제한적으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9] 중국 농촌 지역에서 흔했으며, 일본, 한국, 인도에서도 알려져 있었다. "어항 화장실"은 사람의 배설물을 가축(종종 잉어)이 직접 먹는다는 동일한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3. 2. 7. 날아다니는 변기
날아다니는 변기(Flying toilet영어)는 비닐 봉투에 배설물을 담아 아무 곳에나 버리는 행위를 말한다. 이는 위생적이지 못한 처리 방법으로, 공중 보건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38]3. 3. 좌식 변기
쪼그려 앉는 방식의 변기는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에 걸쳐 각각 전통적인 양식이 존재한다. 일본 특유의 구조를 가진 것은 일반적으로 '''화식변기'''라고 불리며,[90] '''화변기'''(和便) 또는 '''일본식'''이라고도 한다. 한국 등 해외에서는 '동양식'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바닥에 매립되는 형태로 시공되며, 걸터앉아서 사용한다. 문이 변기의 전후 방향에 있는 경우, 문을 등지고 설치된다.[83] 재질은 도기제가 일반적이며, 열차 등에는 스테인리스제,[91] 공중화장실 등 일부에는 FRP제도 소수 존재한다. 변기 앞부분에는 금가리개라고 불리는 부분이 있다.소변기를 개별 공간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화식변기를 한 단(20~30 정도) 높인 바닥에 설치하고, 변기 후면을 단차 부분으로 돌출시켜 남성용 소변기 기능을 겸하는 양용 변기(단차식이라고도 함)라는 방식이 있다. 이는 평평한 바닥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일본식 변기와 구별된다. 원래는 열차용으로 채택된 방식으로 「열차 화장실」・「열차식 화장실」・「기차변기」(汽車便)라고 불렸다.[92] 소변기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일본의 주택 환경도 있어 일반 주택에서 널리 채택되었다.
화식변기는 바닥과 평면으로 시공한 경우, 바닥을 청소할 때 더러운 물을 직접 변기에 흘려보낼 수 있는 청소상의 장점도 있다. 유치원, 어린이집용으로 크기를 줄인 유아용도 존재한다. 금가리개가 흉기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교도소용으로는 금가리개가 없는 타입도 있다. 변기에 직결된 플러시 밸브나 급수관을 잡고 앉으면 파이프가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열차 화장실처럼 변기 앞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4. 사용 방법
전 세계적으로 변기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문화적 차이가 있다. 배뇨 시 자세는 중동과 아시아에서는 쪼그리고 앉는 자세가 일반적인 반면, 서구에서는 서서 또는 앉아서 소변을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20]
배변 후 항문 세척 방식 또한 문화권마다 다르다. 서구권에서는 주로 화장지를 사용하거나 비데를 사용하는 반면,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이슬람식 화장실 예절에 따라 비데 샤워기를 설치하기도 한다.[23]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성경적 화장실 예절에 따라 배변 후 물로 세척하는 것을 권장하며,[24] 가톨릭 국가에서는 항문 세척에 물이 필수적이라고 여겨 비데가 흔하다.[25][26] 정교회나 루터교 국가인 그리스와 핀란드에서도 비데 샤워기가 일반적이다.[27]
일본의 화장실과 같이 항문 및 생식기 물 분사 장치가 통합된 변기 시트는 노인이나 장애인에게 유용할 수 있다. 장애인 화장실은 신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설계되었으며, 변기 이용을 돕기 위한 넓은 공간과 손잡이가 제공된다. 공공시설 등에 설치된 공중화장실은 청결 유지가 필수적이다.
교도소 수감자들은 변기와 관련 배관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물건을 주고받는 '변기 통신'을 하기도 한다.[28][29]
4. 1. 배뇨
전 세계적으로 소변을 볼 때 사회적으로 용인되고 선호되는 자세에는 문화적 차이가 있다. 중동과 아시아에서는 쪼그리고 앉는 자세가 더 흔한 반면, 서구에서는 서서 또는 앉아서 소변을 보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20]4. 2. 항문 세척 습관
서구권에서는 배변 후 항문 부위를 청결하게 하기 위해 주로 화장지를 사용하거나 비데를 사용한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이슬람식 화장실 예절에 따라 비데 샤워기를 설치하기도 한다.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왼손을 세척에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왼손을 불결하게 여기기도 한다.[23]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성경적 화장실 예절에 따라 배변 후 물로 세척하는 것을 권장한다.[24] 가톨릭 국가에서는 항문 세척에 물이 필수적이라고 여겨 비데가 흔하며,[25][26] 정교회나 루터교 국가인 그리스와 핀란드에서도 비데 샤워기가 일반적이다.[27]
일본의 화장실과 같이 항문 및 생식기 물 분사 장치가 통합된 변기 시트가 장착된 변기도 있으며, 이는 노인이나 장애인에게 유용할 수 있다.
4. 3. 장애인 화장실
장애인 화장실은 나이가 들어 이동이 제한되거나 장애로 인해 보행이 불가능한 신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해 설계되었다.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변기로 이동하고 변기에서 일어서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한 더 넓은 공간과 손잡이가 제공되며, 필요에 따라 보호자를 위한 충분한 공간도 포함된다.4. 4. 공중화장실
공공시설 등에 설치된 화장실을 말한다. 공중화장실은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기 때문에 관리가 중요하며, 청결 유지가 필수적이다.공중화장실에도 양변기 설치가 대부분이지만, 일부는 여전히 일본식 변기가 남아있다. 이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변기에 직접 앉는 것을 꺼리는 사람들이 일본식 변기 설치를 바라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령화 대응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의 관점에서 양식 변기 설치가 거의 대부분이 되어 양식 변기 출하는 연간 99%인데 반해, 일본식 변기는 1%를 밑돌고 있다.
4. 5. 변기를 이용한 소통
교도소 수감자들은 변기와 관련 배관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물건을 주고받을 수 있다.[28][29] 이른바 '변기 통신', '변기 전화'라고[30][31] 알려진 이 통신 방식은 물 내리는 패턴과 변기의 물 양에 따라 음향적 특성이 달라진다.[30] 수감자들은 하수관이나 수도관을 통해 이진 신호를 보낼 수도 있다.[32] 변기 통신은 독방에 있는 수감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33] 변기는 도청 대상이 되기도 한다.[34]5. 위생과 공중 보건
오늘날에도 개발도상국의 10억 명은 집에 화장실이 없어 노상 배변을 하고 있다.[35] 이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6에서 203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화장실(위생 시설)을 제공하는 목표와 연결된다.[36][37]
화장실은 위생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분뇨의 운송, 처리, 폐기 또는 재이용도 필요하다.[2] 효과적인 위생 및 수처리를 통해 분뇨가 수로, 지하수, 음용수 공급원을 오염시키는 것을 막으면 콜레라 등 질병을 크게 예방할 수 있다.[2]
5. 1. 위생 시설 부족 문제
오늘날에도 개발도상국의 10억 명은 집에 화장실이 없어 노상 배변을 하고 있다.[35] 203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화장실(위생 시설)을 제공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6의 목표 중 하나이다.[36][37]화장실은 위생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운송, 처리, 폐기 또는 재이용과 같은 다른 요소도 필요하다.[2] 효과적인 위생 및 수처리를 통해 분뇨가 수로, 지하수 및 음용수 공급원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면 콜레라를 포함한 질병을 크게 예방할 수 있다. 콜레라는 매년 약 30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5. 2. 질병 예방
오늘날에도 개발도상국의 10억 명은 집에 화장실이 없어 노상 배변을 하고 있다.[35] 203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화장실(위생 시설)을 제공하는 것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6의 목표 중 하나이다.[36][37]화장실은 위생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이지만, 운송, 처리, 폐기 또는 분뇨 재이용과 같은 다른 요소도 필요하다.[2] 매년 약 30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콜레라를 포함한 질병은 효과적인 위생 및 수처리가 분뇨가 수로, 지하수, 음용수 공급원을 오염시키는 것을 막을 때 크게 예방할 수 있다.
6. 한국의 변기 시장 현황
한국의 변기 시장은 최근 변화를 겪고 있다. 과거에는 위생 설비 업체가 변기 구매와 설치를 담당하여 일반 소비자는 도매업체나 도매상에서 구매하기 어려웠다.[1]
그러나 최근 시공이 간편한 양변기가 보편화되면서 DIY 문화 확산, 홈센터 등 소매점 판매 증가, 인터넷 설치 정보 공유 등으로 소비자가 직접 구매, 설치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1]
6. 1. 위생 설비 시장의 특징
일반적으로 변기 설치에는 급수 배수 공사가 수반되므로, 한국에서는 위생 설비 업체가 구매 및 공사를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매업체나 도매상에서는 위생 설비 업체나 상하수도 설비 업체 이외의 일반인에게는 잘 판매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매립 등 시공이 어려운 한국식 변기에 비해 시공이 비교적 용이해진 양식 변기가 주류가 되고, DIY나 일요일 목수에 의해 시공되는 경우도 증가함에 따라 홈센터 등에서도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소매점이나 통신 판매를 통해 직접 구매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했다. 또한 설치 노하우도 인터넷에서 널리 소개됨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설치하는 것도 용이해졌다.[1]7. 주의사항
블루렛 등의 방향 세정제는 변기 오염 방지 효과가 있지만, 최근 변기 표면 처리 기술 발달로 오염물이 잘 붙지 않는다. 방향 세정제의 화학 성분은 탱크 내부 부품을 손상시킬 수 있어 제조사에서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93][94]
수세식 화장실 절수를 위해 변기 저수조에 페트병이나 벽돌 등을 넣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며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제조사에서는 권장하지 않는다.[95]
7. 1. 방향 세정제 사용
블루렛 등의 방향 세정제는 약제를 통해 변기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일반적인 도자기 재질 변기에는 유효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변기 표면 처리 기술이 발달하여 오염물이 잘 붙지 않게 되었고, 방향 세정제의 화학 성분이 탱크 내부의 수지 및 고무 제품을 변색시키거나 손상시킬 수 있어 제조사에서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93][94]7. 2. 저수조 절수
수세식 화장실의 절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이펀 방식의 양변기에 페트병이나 벽돌 등을 넣어 저수조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을 줄이는 경우가 있지만, 제조사는 “이는 잘못된 방법이며 오히려 고장의 원인이 된다”며 하지 말 것을 요청하고 있다.[95] 참고로, 저수조를 사용하는 양변기는 저수조와 변기가 일체형으로 설계되어 있어, 저수조 최대 수량으로 어떤 배설물이라도 깨끗하게 씻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8. 제조사
한국의 주요 변기 제조사로는 계림요업, 대림통상 등이 있다.
8. 1. 현재 제조사
- TOTO
- LIXIL(INAX)
- 재니스공업
- 네폰
- 다이와화성
- 파나소닉
8. 2. 과거 제조사
- 북륙요업
- 나고야제토소
- 일본도업
- 도영
(변경 사항 없음: 주어진 결과물이 이미 지시사항을 완벽하게 준수하고 있습니다.)
9. 용어
"변기"라는 단어는 원래 완곡어법이었지만, 더 이상 그렇게 이해되지 않는다. 오래된 완곡어법이 표준 용어가 되면서 점차 새로운 완곡어법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완곡어법 트레드밀의 전형적인 사례이다.[70] 단어 선택은 지역적 차이나 사회적 상황, 형식의 정도(말투) 또는 사회 계급에 따라 달라진다.
- 크래퍼(Crapper): 이미 변기의 속어로 사용되었지만, 토마스 크래퍼(Thomas Crapper)가 영국에서 수세식 변기를 대중화하고 변기 개선에 대한 여러 특허를 보유하면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70]
- 더 잭스(The Jacks): 아일랜드 속어로 변기를 의미하며, 오래된 영어 용어인 "jacques"와 "jake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73][74]
- 루(Loo): 어원은 불분명하지만,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설이 있다.
-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의 소설 율리시스에 처음 등장하며, 앨런 S. C. 로스(Alan S. C. Ross)는 워털루 지역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75][76]
- 1950년대 영국 상류층 언어의 특징 중 하나였다.[77]
- 프랑스어 "l'eau프랑스어"("물"), "gare à l'eau프랑스어"("물 조심해", 스코틀랜드어의 "gardy loo"로 이어짐), "lieu프랑스어"("장소"), "lieu d'aisance프랑스어"("편안한 장소"), "lieu à l'anglaise프랑스어"("영어식 장소")의 변형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75][78][79]
- 영국 호텔에서 변기를 100호실에 배치하는 경향,[80] 선원들이 사용하는 방언에서 항해 용어 "바람받이"를 변형한 것, 또는 17세기 설교가 루이 부르달루(Louis Bourdaloue)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81]
9. 1. 어원
'''화장(Toilet)'''은 원래 프랑스어 차용어(toilette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1540년에 처음 기록되었다. 이 단어는 원래 머리를 빗을 때 어깨에 걸치는 작은 천을 의미했다.[67] 17세기 후반, 이 단어는 은유적으로 화장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위생 관리와 신체 관리, 그리고 화장 용품을 의미하게 되었다.[67] 화장대에서 보내는 시간 또한 "화장"으로 알려졌고, 친한 친구나 상인들이 "화장 방문"을 오기도 했다.[67]

"화장실"이라는 용어가 위생을 위한 특별한 방을 의미하게 된 것은 1819년 이후의 일이다. 이 단어는 프랑스어 ''cabinet de toilet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 "파우더룸"과 마찬가지로, "화장실"은 공중화장실 표지판이나 열차에서처럼 소변과 배변을 위한 방의 완곡어로 사용되었다. 이후, 이러한 방에 있는 배관 설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변기, 헛간, 화장실을 대체했다. 20세기 동안 이 두 가지 용도(설비와 방)가 단어의 다른 의미들을 완전히 대체했다.[67]
9. 2. 현대적 사용
"변기"라는 단어는 원래 완곡어법이었지만, 더 이상 그렇게 이해되지 않는다. 오래된 완곡어법이 표준 용어가 되면서 점차 새로운 완곡어법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완곡어법 트레드밀의 전형적인 사례이다.[70] 단어 선택은 지역적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황과 형식의 정도(말투) 또는 사회 계급에도 의존한다. 미국 제조업체들은 이 단어와 계급적 속성에 대해 불편함을 드러낸다. 가장 큰 회사인 아메리칸 스탠다드는 제품을 "변기"로 판매하지만, 더 비싼 주택에 설치되는 콜러의 고가 제품은 다른 의미를 지닌 "변기" 또는 "화장실"로 판매된다. 혼란스럽게도, TOTO와 같은 일본에서 수입된 제품은 더 높은 비용과 품질을 자랑하지만 "변기"라고 불린다. TOTO(東洋陶器, 동양도기의 약자)는 일본 만화에서 변기 또는 변기처럼 생긴 다른 것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일본의 화장실 참조).9. 3. 지역별 용어
"변기"라는 단어는 원래 완곡어법이었지만, 더 이상 그렇게 이해되지 않는다. 오래된 완곡어법이 표준 용어가 되면서 점차 새로운 완곡어법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완곡어법 트레드밀의 전형적인 사례이다.[70] 단어 선택은 지역적 차이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황과 형식의 정도(말투) 또는 사회 계급에도 의존한다.미국 영어에서는 "bathroom"과 "restroom"을, 캐나다 영어에서는 "bathroom"과 "washroom"을, 영국 영어에서는 "WC"("water closet"의 약자), "lavatory" 및 그 약자인 "lav"를 사용한다.[71][72]
9. 4. 완곡어법
"크래퍼(Crapper)"는 이미 변기의 속어로 사용되었지만, 영국에서 수세식 변기를 대중화하고 변기 개선에 대한 여러 특허를 보유한 토마스 크래퍼(Thomas Crapper)의 업적으로 인해 널리 쓰이게 되었다.[70]"더 잭스(The Jacks)"는 아일랜드 속어로 변기를 의미한다.[73] 이는 오래된 영어 용어인 "jacques"와 "jake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74]
"루(Loo)"의 어원은 불분명하다. 옥스포드 영어 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은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의 소설 율리시스에서 1922년에 등장하는 "얼마입니까? 워털루. 수세식 변기."를 언급하며, 이 단어가 워털루 지역, 즉 나폴레옹(Napoleon)의 1815년 패배 장소에서 유래했다는 앨런 S. C. 로스(Alan S. C. Ross)의 주장을 따른다.[75][76] 1950년대에는 "루"라는 단어의 사용이 "U와 비U 영어(U and non-U English)"에 등장하는 바와 같이 영국 상류층 언어의 특징 중 하나로 여겨졌다.[77] "루"는 프랑스어 "l'eau프랑스어"("물"), "gare à l'eau프랑스어"("물 조심해", 윗층 창문에서 거리로 변기(chamber pot)를 비울 때 사용했으며 이는 스코틀랜드어의 "gardy loo"로 이어진다.), "lieu프랑스어"("장소"), "lieu d'aisance프랑스어"("편안한 장소", 변기를 완곡하게 표현할 때 사용), "lieu à l'anglaise프랑스어"("영어식 장소", 1770년경부터 여행자들을 위해 설치된 영국식 변기를 지칭하는 데 사용)의 변형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75][78][79] 다른 어원설로는, 영국 호텔에서 변기를 100호실에 배치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주장(따라서 "loo"),[80] 선원들이 사용하는 방언에서 항해 용어 "바람받이"를 변형한 것, 또는 17세기 설교가 루이 부르달루(Louis Bourdaloue)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 그의 긴 설교로 인해 파리의 생폴생루이(Saint-Paul-Saint-Louis) 교구민들은 변기를 가지고 다녔고, 그의 성이 변기 자체에 적용되었다는 것이다.[81]
10.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Progress on Drinking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2017 Update and SDG Baselines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2017
[2]
서적
Compendium of Sanit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http://www.eawag.ch/[...]
Swiss Federal Institute of Aquatic Science and Technology (Eawag)
2014
[3]
서적
A Collection of Contemporary Toilet Designs
http://www.susana.or[...]
EOOS and WEDC, Loughborough University, UK
2014
[4]
서적
Ladies and gents – Public toilets and gender.
https://books.google[...]
Temple University Press
2009
[5]
웹사이트
World Toilet Day 19 November
http://www.un.org/en[...]
2017-11-14
[6]
웹사이트
How Much Water Does Your Toilet Use?
https://www.savingwa[...]
2024-10-24
[7]
뉴스
Tucson lawmaker wants tax credits for water-conserving toilet
https://archive.toda[...]
Cronkite News Service
2007-08-10
[8]
웹사이트
Some Squat Toilets in Asia Can Be Scary -- Here's How to Survive Them!
https://www.tripsavv[...]
2024-10-24
[9]
서적
Compendium of Sanitation Systems and Technologies
http://www.sandec.ch[...]
Swiss Federal Institute of Aquatic Science and Technology (Eawag)
2014
[10]
웹사이트
Single Ventilated Improved Pit – Akvopedia
https://akvopedia.or[...]
2020-05-21
[11]
웹사이트
What are Vacuum Toilets?
https://www.wisegeek[...]
2023-07-22
[12]
웹사이트
Aircraft Toilets/Toilets of the World
https://toilet-guru.[...]
[13]
웹사이트
Vacuum Toilet SSWM – Find tools for sustainable sanitation and water management!
https://sswm.info/wa[...]
[14]
웹사이트
How does the toilet in a commercial airliner work?
https://science.hows[...]
2000-04-01
[15]
웹사이트
EVAC Bus Vacuum Toilet
https://www.evac-tra[...]
[16]
웹사이트
Sample Designs: Floating UDD Toilets
https://web.archive.[...]
Asian Development Bank
[17]
뉴스
Article, Govt: Bt900bn needed (in Thailand), The Nation October 31, 2011
https://archive.toda[...]
The Nation
2012-09-06
[18]
뉴스
Floating toilets to clean up Cambodia's act
http://www.globalpos[...]
Global Post
2010-04-19
[19]
서적
Environmental History of Water: Global Views on Community Water Supply and ...
https://web.archive.[...]
IWA
2012-11-14
[20]
간행물
Influence of voiding posture on urodynamic parameters in men: a literature review (in Dutch)
https://web.archive.[...]
Nederlands Tijdschrift voor urologie
2014-07-02
[21]
뉴스
Zu viel Moralismus macht den Körper schmutzig.
FAZ
2010-04-24
[22]
웹사이트
Qadaahul Haajah (Relieving Oneself)
https://archive.toda[...]
MSA West Compendium of Muslim Texts
2009-08-19
[23]
뉴스
Eight surprisingly rude gestures to avoid when travelling
https://web.archive.[...]
News.com.au
2015-10-26
[24]
서적
Contemporary Biology: Concepts and Implicatio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25]
서적
Contemporary Biology: Concepts and Implication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6
[26]
서적
Made in Naples. How Naples civilised Europe (And still does it)
Addictions-Magenes Editoriale
2013
[27]
웹사이트
A hose: the strange device next to every Finnish toilet
https://en.biginfinl[...]
2014-07-08
[28]
서적
The Encyclopedia of American Prison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4-06-30
[29]
서적
Dead Run: The Untold Story of Dennis Stockton and America's Only Mass Escape from Death Row
https://books.google[...]
Times Books
1999
[30]
서적
Graffiti Palace
https://books.google[...]
Farrar, Straus and Giroux
2018-03-13
[31]
서적
Elements of Speech Communicatio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5
[32]
서적
Games Prisoners Play: The Tragicomic Worlds of Polish Pris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06-05
[33]
서적
Security, With Care: Restorative Justice and Healthy Societies
https://books.google[...]
Fernwood Publishing
2020-05-21
[34]
뉴스
Inmates' toilet talk can be trouble
https://www.heraldne[...]
Pittsburgh Post-Gazette
2007-07-06
[35]
웹사이트
World Toilet
http://worldtoilet.o[...]
2016-03-07
[36]
웹사이트
Goal 6: Clean water and sanitation
http://www.undp.org/[...]
2015-09-28
[37]
웹사이트
Work of the Statistical Commission pertaining to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RES/71/313)
https://undocs.org/H[...]
2022-11-06
[38]
서적
Sanitation, Latrines and Intestinal Parasites in Past Popul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03
[39]
뉴스
Scotland and the indoor toilet
https://www.bbc.com/[...]
BBC News
2013-04-19
[40]
문서
Teresi et al. 2002
[41]
서적
Evolution of Sanitation and Wastewater Technologies Through the Centuries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 Publishing
[42]
웹사이트
1 Chapter 2 Sanitation and wastewater technologies in Harappa/Indus valley civilization (ca. 2600–1900 BC)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5-04-09
[43]
웹사이트
Old toilet find offers civilsation start clues
https://www.stuff.co[...]
2022-11-06
[44]
웹사이트
Time capsule – Life & Style – Vietnam News {{!}} Politics, Business, Economy, Society, Life, Sports – VietNam News
https://vietnamnews.[...]
2022-11-06
[45]
웹사이트
Asia's First Toilet Discovered In Southern Vietnam
https://www.asiansci[...]
2022-11-06
[46]
학술지
Sanitation and healthcare in ancient Sri Lanka
http://dlib.pdn.ac.l[...]
2004-12-14
[47]
서적
A History of Medicine in Sri Lanka From the Earliest Times to 1948
University of Michigan
[48]
서적
Abhayagiri Vihara at Anuradhapura
Central Cultural Fund, Ministry of Cultural and Religious Affairs, University of Virginia
[49]
논문
Some Historical Aspects of Urinals and Urine Receptacles
[50]
논문
The Evolution of Toilets and Its Current State
Middle East Technical University
[51]
웹사이트
Middle Ages Hygiene
[52]
웹사이트
Port Royal Chamberpots Introduction
Texas A&M University
1996-12-01
[5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IV: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Crusader Stat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4]
웹사이트
Unexpected Viking toilet discovery leads to controversy
https://arstechnica.[...]
2017-06-22
[55]
서적
Mission and Method: The Early Nineteenth-Century French Public Health Move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A Social History of Housing, 1815–1985
Methuen
[57]
서적
A Social History of Housing, 1815–1985
Methuen
[58]
서적
The Victorian House
HarperCollins
[59]
뉴스
Brutal sex killer claims having to slop out cell breaches his human rights
http://www.birmingha[...]
birminghammail
2014-10-26
[60]
웹사이트
Slopping out ended in Cork Prison {{!}} Irish Penal Reform Trust (IPRT)
http://www.iprt.ie/c[...]
[61]
웹사이트
Heritage
https://adamsez.com/[...]
[62]
웹사이트
History – TWYFORD BATHROOMS
https://www.twyfordb[...]
[63]
웹사이트
Fordington, Biography, Rev Henry Moule, 1801–1880
http://freepages.gen[...]
[64]
잡지
'Toylet' Games in Japan's Urinals
https://www.wired.co[...]
2011-01-06
[65]
웹사이트
Gives Space Station Crew 'Go' to Drink Recycled Water
http://www.nasa.gov/[...]
[66]
문서
See Egerton op cit
[67]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National Gallery Catalogues
[69]
서적
The Rape of the Lock
[70]
서적
On Learning the English Tongue
https://books.google[...]
Faber & Faber
[71]
서적
Colonial Visions of ‘Third World’ Toilets: A Nineteenth-Century Discourse That Haunts Contemporary Tourism
http://tupress.templ[...]
Temple University Press
[72]
학술지
Crap on the map, or postcolonial waste
[73]
웹사이트
BBC h2g2
https://www.bbc.co.u[...]
2013-06-25
[74]
웹사이트
Toilet Inspector
http://www.toiletins[...]
2013-06-25
[75]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76]
간행물
Blackwood's Magazine
1974-10
[77]
학술지
Linguistic Class-Indicators in Present-Day English
[78]
서적
The dirt on clean : an unsanitized history
https://www.worldcat[...]
[79]
사전
OEtymD
[80]
웹사이트
Why do they call it the loo?
http://kottke.org/05[...]
2015-08-01
[81]
웹사이트
Chamber Pots
http://www.muzeumnoc[...]
2016-07-17
[82]
문서
便器は存在しないが、便宜上「壁式小便器」と呼ばれたりする。タイルやモルタルの壁のみがあり(仕切板が存在する場合もある)、その壁に尿が当たって下の溝に流れる形態である。
[83]
문서
使用の際の体の向きは横にドアのある場合を除き、日本の和式のドアを背後にする構造は世界的には異例なもので、大多数は洋式と同様、ドアに顔を向けてしゃがむ。
[84]
문서
ただ、男性でも、飛び散りによる便器周辺の汚れをなくすためなどの理由で、座って排尿する者も増えているが、男性が座り小便をする場合は、陰茎が便器の内部に接触しないように注意する必要がある。
[85]
뉴스
男性も「座っておしっこ」33% TOTOのネット調査 - 47NEWS
https://web.archive.[...]
[86]
웹사이트
Decreto ministeriale del 5 luglio 1975
http://www.ilsole24o[...]
Il Sole 24 Ore
2017-09-19
[87]
법률
Decreto-Lei n.º 650/75 de 18 de Novembro
https://dre.pt/appli[...]
1975-11-18
[88]
웹사이트
和式と洋式が合体? 大手メーカーもわからない謎の「2WAY便器」を求めて。 | Narinari.com
https://www.narinari[...]
Narinari.com
2010-04-19
[89]
뉴스
巨漢力士って自分でお尻拭けるの?気になるけどなかなか聞けない力士のトイレ事情
https://news.nicovid[...]
2018-11-18
[90]
문서
ブルーノ・タウトは『タウトが撮ったニッポン』(武蔵野美術大学出版局)の中で「日本式のしゃがむトイレは優れている」と書いている。
[91]
문서
もともとは一般家庭用と同じく陶製であったが、黄害対策として循環式に改造するに当たり、洗口が流し水で詰まらぬようステンレス製に移行した。
[92]
문서
考案者の島秀雄にちなんで「S式便器」と称した。
[93]
웹사이트
便器・タンク | お手入れ・お掃除
https://jp.toto.com/[...]
TOTO (企業)
[94]
웹사이트
【トイレ空間】ロータンクの中に入れる、または、ロータンクフタの上に置くような芳香洗浄剤を使用してもよいのですか。
https://faq.lixil.co[...]
LIXIL
[95]
뉴스
トイレの水量「大」「小」、どれだけ違う?
https://www.excite.c[...]
2011-09-20
[96]
서적
집과 건축
예림당
2017-08-20
[97]
웹인용
변기 막혔을 때 뚫는 법 총집합
https://m.blog.naver[...]
2014-11-01
[98]
웹인용
샴푸로 막힌 변기 뚫기
https://www.msn.com/[...]
조선일보
2018-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