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리투아니아를 대표하여 국제 여자 농구 대회에 참가한다. 193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1997년에는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76년부터 1988년까지는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1992년 올림픽에는 불참, 1996년부터 2024년까지는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1998년, 2002년, 2006년에는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 참가했다. 2027년 유로바스켓 여자 대회는 핀란드와 공동 개최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투아니아의 여자 국가대표팀 - 리투아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리투아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리투아니아를 대표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경험은 없지만, 발트 여자컵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FIFA 랭킹은 109위이다.
  • 리투아니아의 농구 - 리투아니아 농구 연맹
    리투아니아 농구 연맹은 리투아니아의 농구를 관할하는 단체로, 리투아니아 농구 리그 운영 및 국가대표팀 경기를 주관하며, 국제 농구 연맹에 가입하여 유로바스켓 우승, 올림픽 3위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 리투아니아의 농구 - 리투아니아 농구 국가대표팀
    리투아니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유럽 선수권 대회 초기 강호였으며, 소련 붕괴 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고 유럽 선수권 대회와 FIBA 농구 월드컵에서 우승 및 3위를 차지하는 등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나, 최근에는 젊은 선수 육성과 팀 전력 강화가 과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 벨기에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벨기에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벨기에를 대표하는 팀으로, 주요 국제 대회에서 꾸준한 활약을 보이며 2023년 유로바스켓 우승, 2020년 도쿄 올림픽 7위, 2018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4위, 유로바스켓 2017년과 2021년 3위를 기록했고 엠마 미스만이 핵심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 유럽의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 스페인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스페인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63년 첫 경기를 시작으로 1993년 유로바스켓 우승 이후 유럽 강호로 부상하여 올림픽 은메달,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은메달 및 동메달, 유로바스켓 4회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며 국제 무대에서 꾸준히 활약하는 팀이다.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가리투아니아
종목농구
별칭제2의 종교, 국가의 게임
FIBA 가입 년도1936년
FIBA 지역FIBA 유럽
국가 연맹리투아니아 농구 연맹
코칭 스태프
감독리만타스 그리가스
역대 성적
올림픽 출전없음
월드컵 출전3회
월드컵 최고 성적6위 (1998년)
유럽 선수권 대회 (유로바스켓) 출전12회
유럽 선수권 대회 (유로바스켓) 메달[[파일:Gold medal europe.svg|16px]] 금메달: (1997년)
[[파일:Silver medal europe.svg|16px]] 은메달: (1938년)
유니폼
기타 정보
리투아니아어 명칭Lietuvos nacionalinė moterų krepšinio rinktinė (리투보스 나시오날리네 모테루 크렙시니오 링크티네)

2. 역사

리투아니아는 전통적인 농구 강국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자 농구 역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리투아니아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먼저 농구를 시작했으며[2], 1922년 첫 공식 여자 농구 경기가 열렸다.[3] 국가대표팀은 1938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첫 유럽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초창기부터 두각을 나타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투아니아소련에 점령당하면서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활동하도록 강요받았다.[5] 이 시기 앙겔레 룹시에네, 비다 베셀리에네 등 뛰어난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소련 팀의 성공에 기여했지만[6], 이는 국가적 아픔 속에서 이루어진 일이었다.

1991년 독립 후,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국제 무대에 복귀하여 199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다.[8][22] 이는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역사상 가장 빛나는 순간으로 기록된다. 이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본선에 세 차례 진출(1998년, 2002년, 2006년)하였으나, 아직까지 올림픽 본선 무대는 밟지 못했다.

2007년에는 리투아니아 농구를 기념하는 조각상이 빌뉴스의 지멘스 아레나 근처에 세워졌으며[16], 여기에는 엘레나 쿠빌리우나이테-가르바차우스키에네, 오나 바르트케비치우테-부타우티에네, 유라테 닥타라이테, 앙겔레 얀쿠나이테-룹시에네, 비다 슐스카이테-베셀리에네, 유르기타 슈트레이미키테-비르비키에네, 리나 담브라우스카이테, 이레나 바라나우스카이테 등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역사에 이름을 남긴 선수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최근에는 핀란드와 함께 2027년 유로바스켓 여자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어, 이를 계기로 2028년 하계 올림픽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20년대 ~ 1940년대)

리투아니아 최초의 농구 선수는 여성들이었다.


1938년 유로바스켓 (이탈리아 로마)에 참가한 리투아니아 국가대표팀


리투아니아에 농구가 처음 소개된 것은 농구라는 스포츠가 탄생한 지 약 30년이 지난 후였다. 초기에 리투아니아에서 행해진 농구는 제임스 네이스미스가 발명한 북미 방식이 아닌 독일(혹은 네덜란드) 방식의 변형된 형태였다. 당시에는 골대가 백보드 없이 기둥에 바로 고정되었고, 경기장 크기도 매우 컸다.[1] 리투아니아 스포츠의 선구자 중 한 명인 스테포나스 가르바차우카스(Steponas Garbačiauskas)는 "리투아니아 여성 운동선수들은 1919년부터 조직되기 시작했으나, 1920년에서 1921년 사이에 이르러서야 공개적으로 활동하며 농구를 시작했다"고 기록했다.[2] 이처럼 리투아니아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이 먼저 농구를 시작했지만, 공식적인 첫 경기는 1922년 4월 23일에 리투아니아 체육 연맹(Lietuvos Fizinio Lavinimo Sąjunga|LFLSlt) 팀과 카우나스 팀 간에 열린 남자 경기였다. 이 경기에서는 LFLS가 8-6으로 승리했으며, 이 날은 리투아니아 농구 역사의 시작점으로 여겨진다. 리투아니아 최초의 공식 여자 농구 경기는 그해 9월 10일에 열렸다.[3]

첫 번째 유럽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인 1938년 유로바스켓 여자가 이탈리아 로마에서 개최되었다. 리투아니아 여자 대표팀은 이 대회에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당시 팀의 감독은 이미 리투아니아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뛰어난 성적을 거둔 바 있는 펠릭사스 크리아우추나스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투아니아소련에 의해 점령되었고,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뛰도록 강요받았다. 이 시기 최고의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소련 대표팀의 일원으로서 여러 차례 우승을 경험했지만, 이러한 점령은 리투아니아와 리투아니아인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5]

2. 2. 소련 시대 (1940년대 ~ 1991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리투아니아를 점령하였고,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에서 뛰도록 강요받았다. 소련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뛰면서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데 기여했다. 소련 대표팀 소속으로 리투아니아 출신 선수들(남녀 포함)은 총 17개의 올림픽 메달(금메달 8개, 은메달 6개, 동메달 3개), 17개의 세계 선수권 메달(금메달 1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1개), 51개의 유로바스켓 메달(금메달 3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1개)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5]

이 시기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인 리투아니아 선수로는 앙겔레 룹시에네와 비다 베셀리에네가 있다. 앙겔레 룹시에네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과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여자 농구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71년과 197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을 차지했다. 비다 베셀리에네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과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에 기여했다. 이 외에도 1959년 세계 선수권 우승자 유라테 닥타라이테, 1971년 세계 선수권 우승자 라리사 빈차이테, 1983년 세계 선수권 우승자 카모밀레 시들라우스카이테 등이 리투아니아 출신으로 소련 대표팀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선수들이다.[6]

그러나 소련의 점령은 리투아니아와 리투아니아인들에게 깊은 상처와 고통스러운 기억을 남겼다. 리투아니아 선수들이 개인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국가적 비극의 시대 속에서 이루어진 일이었다. 리투아니아는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에야 다시 독자적인 국가대표팀을 구성하여 국제 무대에 나설 수 있게 되었다.

2. 3. 독립 이후 (1991년 ~ 현재)

유르기타 슈트레이미키테, 전 WNBA 선수, 1997년 팀의 리더 중 한 명.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95년 유로바스켓에서 FIBA 주관 대회에 복귀하여 5위를 차지했다.[7]

팀의 가장 큰 성공은 2년 후 1997년 유로바스켓에서 이루어졌는데, 비다스 게드빌라스 감독이 이끈 대표팀은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대회에서 우승하며 유럽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는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 기록이다.[8][22]

1년 뒤, 리투아니아는 독일에서 열린 1998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 참가했다. 유럽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했지만, 8강전에서 1994년 월드컵 우승팀인 브라질에 70-72로 아쉽게 패했다. 이후 5위 결정전에서 스페인에 59-70으로 패하며 최종 8위를 기록했다.[9]

1999년 유로바스켓에서는 6위를 차지하며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0]

2001년 유로바스켓에서는 4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페인에게 74-89로 패배하며 4위에 머물렀다. 이 대회 성적으로 중국에서 열리는 2002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출전권을 확보했다.[11]

국가대표팀의 에글레 슐치우테


크리스티나 벵그리테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은 긴타레 페트로니테


2002년 월드컵에서 리투아니아는 총 8경기를 치러 중화 타이베이, 쿠바, 유고슬라비아를 상대로 3승을 거두었으나 최종 11위를 기록했다. 이 결과 이후 리투아니아 농구 연맹(LKF)은 비다스 게드빌라스 감독과의 계약을 종료했다.[12]

2003년, LKF 집행위원회는 알기르다스 파울라우스카스를 새로운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했다. 그는 이전에 1996년까지 대표팀 코치로 활동한 바 있다.

리마 발렌티에네


2005년 유로바스켓에서 리투아니아는 다시 4강에 올랐으나, 마지막 두 경기에서 패배하며 4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하지만 이 성적으로 브라질에서 열리는 2006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출전권을 획득했다.[13]

세 번째로 출전한 2006년 월드컵에서 리투아니아는 5위 결정전에서 프랑스에 패하며 최종 6위를 기록했다. 이는 1998년 대회에서 달성했던 역대 최고 성적과 같은 순위이다.[14]

2007년 유로바스켓에서는 5위 결정전에서 체코에 54-93으로 크게 패하며 6위에 머물렀고,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최종 예선 진출 기회를 놓쳤다. 이 대회 이후 알기르다스 파울라우스카스 감독은 다시 팀을 떠났다.[15]

2009년 유로바스켓에서는 조별 예선을 통과하지 못하고 9~12위권에 머무르며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유럽 선수권 대회 이후 알기르다스 파울라우스카스가 다시 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했다.[17]

2011년 유로바스켓에서는 8강(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하며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8강전에서 프랑스에 58-66으로 패배하며 최종 7위를 기록했다.[18] 이로써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 출전 기회도 무산되었다. 리투아니아 여자 대표팀은 월드컵에 여러 차례 출전하고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까지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올림픽 본선 무대를 밟지 못했다.

2013년 유로바스켓에서는 14위에 그치며 역대 최저 성적을 기록했고, 2014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출전 자격도 얻지 못했다.[19]

리투아니아는 2015년 유로바스켓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헝가리, 루마니아 공동 개최)에 진출했다. 당시 예선에서 영국을 70-63으로 꺾었다.[20] 팀의 주요 목표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 출전권 확보였다. 조별 리그 2위로 8강에 진출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였으나, 8강전에서 벨라루스에 66-68로 석패했다. 이후 순위 결정전에서도 연패하며 최종 8위로 대회를 마감했고, 또다시 올림픽 출전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리투아니아는 핀란드와 함께 2027년 유로바스켓 여자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이를 계기로 대표팀의 전력을 강화하여 2028년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독립 이후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는 1997년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본선에도 세 차례 진출했다. 하지만 아직 올림픽 본선 진출 경험은 없다.

3. 역대 성적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주요 국제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기록했다. 소련 점령기 동안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메달을 획득했다.[5] 독립 이후 리투아니아는 FIBA 주관 대회에 참가하여 성과를 거두었다.


  • '''올림픽 농구''': 소련 시절을 제외하고 독립 국가로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총 3회 본선에 진출했으며, 1998년과 2006년에 기록한 6위가 최고 성적이다.
  • '''유로바스켓 여자''': 1938년 첫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독립 이후 참가한 1997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유럽 챔피언에 올랐다.[8]

3. 1. 올림픽

올림픽
연도결과경기
캐나다 1976년소련으로 참가
소련 1980년
미국 1984년
대한민국 1988년
스페인 1992년불참
미국 1996년진출 실패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
그리스 2004년
중국 2008년
영국 2012년
브라질 2016년
일본 2020년
프랑스 2024년


3. 2. FIBA 여자 월드컵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 점령기 동안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 참가했다. 이 시기 앙겔레 룹시에네, 비다 베셀리에네, 유라테 닥타라이테, 라리사 빈차이테, 카모밀레 시들라우스카이테 등 리투아니아 출신 선수들이 소련 대표팀의 일원으로 월드컵 우승에 기여했다.[6]

리투아니아 독립 이후,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1994년 FIBA 여자 월드컵에는 진출하지 못했으나, 1997년 유로바스켓 여자 우승팀 자격으로 1998년 독일 FIBA 여자 월드컵에 독립 국가 자격으로 처음 참가했다. 8강전에서 브라질에 70-72로 아쉽게 패배한 뒤, 순위 결정전을 거쳐 최종 6위를 기록했다.[9]

2001년 유로바스켓 여자 4위 성적을 거둬 2002년 중국 FIBA 여자 월드컵 출전권을 얻었다. 이 대회에서는 중화 타이베이, 쿠바, 유고슬라비아를 상대로 3승을 거두었으나, 총 9경기에서 3승 6패를 기록하며 11위에 머물렀다.[11][12] 이 결과에 따라 리투아니아 농구 연맹은 비다스 게드빌라스 감독과 계약을 종료했다.[12]

2005년 유로바스켓 여자 4위 자격으로 2006년 브라질 FIBA 여자 월드컵에 참가했다. 이 대회에서 리투아니아는 프랑스와의 5위 결정전에서 패배하며 최종 6위를 기록, 1998년 대회와 같은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14]

이후 리투아니아는 2010년, 2014년, 2018년, 2022년 대회 본선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연도순위경기승리패배
1953 (칠레)소련의 일부
1957 (브라질)
1959 (소련)
1964 (페루)
1967 (체코슬로바키아)
1971 (브라질)
1975 (콜롬비아)
1979 (대한민국)
1983 (브라질)
1986 (소련)
1990 (말레이시아)
1994 (오스트레일리아)진출 실패
1998 (독일)6위1167
2002 (중화인민공화국)11위936
2006 (브라질)6위1266
2010 (체코)진출 실패
2014 (터키)
2018 (스페인)
2022 (오스트레일리아)
2026 (독일)미정
합계6위241519


3. 3. 유로바스켓 여자



첫 번째 유럽 여자 농구 선수권 대회는 1938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렸다. 리투아니아 여자 대표팀은 이 대회에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팀의 감독은 리투아니아 남자 농구 국가대표팀을 이끌었던 펠릭사스 크리아우추나스였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리투아니아소련에 점령되면서, 리투아니아 선수들은 소련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리투아니아는 독립 이후 1995년 유로바스켓을 통해 FIBA 주관 대회에 복귀했으며, 이 대회에서 5위를 기록했다.[7]

가장 큰 성공은 2년 뒤인 1997년 유로바스켓에서 거두었다. 비다스 게드빌라스 감독이 이끈 대표팀은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유로바스켓 우승 기록이다.[8]

1999년 유로바스켓에서는 6위를 기록하여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지 못했다.[10] 2001년 유로바스켓에서는 4강에 진출했으나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페인에 패배하여 4위에 머물렀다.[11]

알기르다스 파울라우스카스 감독이 이끈 2005년 유로바스켓에서도 4위를 차지했으며,[13] 2007년 유로바스켓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15] 2009년 유로바스켓에서는 11위에 머물며 처음으로 조별 예선을 통과하지 못하고 부진했다.[17]

2011년 유로바스켓에서는 7위를 기록하며 다시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했지만,[18] 2013년 유로바스켓에서는 14위에 그치며 역대 최저 성적을 남겼다.[19] 2015년 유로바스켓에서는 8위를 차지하며 2016년 리우 올림픽 최종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 이후 2017년, 2019년, 2021년, 2023년 대회에서는 연속으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리투아니아는 핀란드와 함께 2027년 유로바스켓 여자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어 자동으로 본선 진출 자격을 얻어 2028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본선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FIBA 여자 유로바스켓
연도 (개최국)순위경기
1938 ( 이탈리아)준우승431
1950 ( 헝가리)소련으로 참가
1952 ( 소련)
1954 ( 유고슬라비아)
1956 ( 체코슬로바키아)
1958 ( 폴란드)
1960 ( 불가리아)
1962 ( 프랑스)
1964 ( 헝가리)
1966 ( 루마니아)
1968 ( 이탈리아)
1970 ( 네덜란드)
1972 ( 불가리아)
1974 ( 이탈리아)
1976 ( 프랑스)
1978 ( 폴란드)
1980 ( 유고슬라비아)
1981 ( 이탈리아)
1983 ( 헝가리)
1985 ( 이탈리아)
1987 ( 스페인)
1989 ( 불가리아)
1991 ( 이스라엘)
1993 ( 이탈리아)예선 탈락
1995 ( 체코)5위954
1997 ( 헝가리)우승871
1999 ( 폴란드)6위844
2001 ( 프랑스)4위853
2003 ( 그리스)예선 탈락
2005 ( 터키)4위853
2007 ( 이탈리아)6위945
2009 ( 라트비아)11위615
2011 ( 폴란드)7위954
2013 ( 프랑스)14위312
2015 ( 헝가리/ 루마니아)8위1046
2017 ( 체코)예선 탈락
2019 ( 라트비아/ 세르비아)
2021 ( 프랑스/ 스페인)
2023 ( 이스라엘/ 슬로베니아)
2025 ( 체코/ 독일/ 그리스/ 이탈리아)미정
2027 ( 핀란드/ 리투아니아)공동 개최국으로 자격 획득
총계 (독립 이후)1회 우승824438


  • '''우승''': 1회 (1997)
  • '''준우승''': 1회 (1938)

4. 주요 선수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는 오랜 역사 속에서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해왔다. 특히 소련 점령기에는 많은 리투아니아 선수들이 소련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국제 대회에 출전하여 뛰어난 성과를 거두었다. 대표적인 선수로는 앙겔레 룹시에네( Angelė Rupšienėlt )와 비다 베셀리에네( Vida Beselienėlt )가 있다. 룹시에네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과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여자 농구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1971년과 1975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우승에도 기여했다. 베셀리에네 역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과 1983년 여자 월드컵 우승 멤버였다.[6] 이 외에도 1959년 세계 선수권 우승자인 유라테 닥타라이테( Jūratė Daktaraitėlt ), 1971년 세계 선수권 우승자 라리사 빈차이테( Larisa Vinčaitėlt ), 1983년 세계 선수권 우승자 카밀레 시드라우스카이테( Ramunė Šidlauskaitėlt ) 등이 소련 대표팀 소속으로 활약한 리투아니아 선수들이다.[6]

리투아니아가 독립을 되찾은 후, 국가대표팀은 다시 국제 무대에 복귀했다. 특히 1997년 유로바스켓 우승은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 역사상 가장 빛나는 순간 중 하나로, 당시 팀의 핵심 선수 중 한 명이 유르기타 슈트레이미키테( Jurgita Štreimikytė-Virbickienėlt )였다.[8] 그녀는 이후 미국 WNBA에서도 활약했다.

2000년대 이후에도 리투아니아 여자 농구는 꾸준히 좋은 선수들을 배출했다. 에글레 슐치우테( Eglė Šulčiūtė-Gecevičienėlt ), 크리스티나 벵그리테( Kristina Vengrytėlt ), 긴타레 페트로니테( Gintarė Petronytėlt ), 리마 발렌티에네( Rima Valentienėlt ) 등은 국가대표팀의 주축으로 활약하며 FIBA 여자 농구 월드컵과 유로바스켓 여자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2007년에는 리투아니아 농구의 영광을 기리기 위해 빌뉴스의 지멘스 아레나 근처에 기념 조각상이 세워졌다.[16] 이 조각상에는 다음과 같은 여자 농구 선수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이름 (리투아니아어)비고
엘레나 쿠빌리우나이테-가르바차우스키에네 ( Elena Kubiliūnaitė-Garbačiauskienėlt )
오나 바르트케비치우테-부타우티에네 ( Ona Bartkevičiūtė-Butautienėlt )
유라테 닥타라이테 ( Jūratė Daktaraitėlt )1959년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우승 멤버
앙겔레 얀쿠나이테-룹시에네 ( Angelė Jankūnaitė-Rupšienėlt )1976, 1980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비다 슐스카이테-베셀리에네 ( Vida Šulskytė-Beselienėlt )1980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유르기타 슈트레이미키테-비르비키에네 ( Jurgita Štreimikytė-Virbickienėlt )1997년 유로바스켓 우승 멤버, WNBA 선수
리나 담브라우스카이테 ( Lina Dambrauskaitėlt )
이레나 바라나우스카이테 ( Irena Baranauskaitėlt )


참조

[1] 서적 Krepšinio kelias į Lietuvą
[2] 서적 Krepšinio kelias į Lietuvą
[3] 서적 Krepšinio kelias į Lietuvą
[4] 서적 Krepšinio kelias į Lietuvą
[5] 웹사이트 Krepšinis http://www.lse.lt/in[...] 2015-04-29
[6] 웹사이트 Istorija http://www.musukreps[...]
[7]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8]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9]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10]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11]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12]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13]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14]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15]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16] 웹사이트 Vilniuje iškilmingai atidengtas paminklas Lietuvos krepšiniui (nuotraukos, video) https://archive.toda[...] 2007-08-29
[17] 뉴스 A.Paulauskas viliojamas sugrįžti į moterų rinktinę http://www.delfi.lt/[...]
[18] 웹사이트 Ašaros Lodzėje – lietuvės liks be medalių (2 video, foto, komentarai, statistika) http://www.basketnew[...] 2011-06-30
[19] 웹사이트 Lietuvos Europos pirmenybes baigė nuskriausdamos Baltarusiją (komentaras, statistika) http://www.basketnew[...] 2013-06-17
[20] 웹사이트 Lietuvos moterų rinktinė iškovojo kelialapį į Europos čempionatą (statistika) http://www.basketnew[...] 2014-06-25
[21] 뉴스 Moterų rinktinės stovykloje - jaunos ir patyrusios krepšininkės https://krepsinionam[...] Lietuvos krepšinio federacija 2020-07-04
[22] 서적 Su Lietuvos vardu per Europą, per pasaul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