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포반인은 18세기에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되어 몰도바와 다뉴브 삼각주 지역에 정착한 종교 집단이다. 이들은 러시아 정교회 개혁 이전의 전통을 고수하며 고대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두 손가락으로 십자 성호를 긋는 등의 관습을 유지했다.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의 박해로 인해 이주를 강요받았으며, 현재는 우크라이나 빌코베를 중심으로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데사주 - 포딜스크
포딜스크는 우크라이나 오데사주의 도시로, 비르줄라에서 코토프스크를 거쳐 201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 오데사주 - 초르노모르스크
초르노모르스크는 우크라이나 흑해 연안의 도시로, 항만 건설과 함께 발전했으며 탈공산화 정책에 따라 개명되었고, 초르노모르스크 항은 유라시아 랜드 브릿지의 중요한 화물 노선이다. - 루마니아의 민족 - 루마니아인
루마니아인은 동유럽에 거주하며 루마니아어를 사용하고 루마니아의 주된 민족이며, 다키아인과 로마인의 혼혈에서 기원하여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 것이 특징이다. - 루마니아의 민족 - 튀르키예인
튀르키예인은 튀르키예 공화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튀르키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 민족으로, 중앙아시아 유목민족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지역의 인구와 혼혈을 이루며 아나톨리아에 정착, 튀르키예 공화국 건국을 통해 정체성이 강화되었으나, 비튀르크계 민족과의 관계는 민족 문제로 남아있다. - 슬라브족 - 루신인
카르파티아 산맥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루신인은 역사적으로 루테니아인, 카르파토-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키예프 루스에서 유래한 "루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주를 포함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에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인과의 관계 및 루신어의 언어적 지위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슬라브족 - 벨라루스인
벨라루스에 주로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벨라루스인은 역사적으로 백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인접 국가와 미국, 캐나다 등지에 거주하고,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키예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을 거치며 형성된 역사를 가지고, 슬라브 문화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가지고 있다.
리포반인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리포바네 (러시아어: Липоване) 리포베니 (루마니아어: Lipoveni) 리포바니 (우크라이나어: Липовани) 리포반치 (불가리아어: Липованци) |
위치 |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몰도바 불가리아 |
종교 | 정교회의 구교도 |
언어 | 러시아어 루마니아어 우크라이나어 불가리아어 |
관련 민족 | 러시아인 |
![]() | |
![]() | |
인구 | |
루마니아 | 23,487명 |
불가리아 | 700–800명 |
2. 명칭
리포반이라는 이름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이들이 거주하는 들판 경계 지역의 피나무(리파/Липаru)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언어학자 빅토르 바스첸코/Виктор Васченкоet는 이를 민간 어원으로 간주한다.[2]
리포반인은 18세기에 주류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된 이단으로 러시아에서 이주해왔다.[3] 그들은 몰도바의 프루트 강과 다뉴브 삼각주에 정착했다.[3] 그들은 니콘 총대주교 통치 기간 동안 이루어진 러시아 정교회 개혁 이전의 강력한 종교적 전통을 유지해왔다.[3] 1652년 총대주교가 예배 방식을 변경했을 때, 일부 신자들은 "옛 방식"으로 예배를 계속했다.[3] 그런 의미에서 그들은 고대 러시아어를 계속 사용하고, 세 손가락 대신 두 손가락으로 십자 성호를 그었으며, 수염을 길게 유지했다.[3]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는 그들을 박해했고, 그 결과 자살 방화 (스스로 불태우는 사람들: сожигатели, sozhigateli)[3]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이주를 강요받았다.
다른 가설에 따르면, 1672년부터 1742년까지 살았던 "필리프"라는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이름은 전설에 따르면 현재의 루마니아로 이주한 분리주의자 집단을 이끌었던 니키타 푸스토스뱌트(1683년 사망)의 아들의 본명이라고 한다. 그의 추종자들은 '필리포프치'라고 불렸고, 이것이 '리포브치'를 거쳐 최종적으로 '리포반'이 되었다는 것이다.[2]
모스크바의 성 필립에게 헌정된 휴일 이름인 "필리포프카"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존재한다.
3. 역사
리포반인은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분파로 여겨졌지만, 최근 관계가 개선되었다.
3. 1. 분리 배경
리포반인은 18세기에 주류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된 이단으로 러시아에서 이주해왔다.[3] 이들은 몰도바의 프루트 강과 다뉴브 삼각주에 정착했다.[3] 리포반인은 니콘 총대주교 통치 기간 동안 이루어진 러시아 정교회 개혁 이전의 강력한 종교적 전통을 유지해왔다.[3]
1652년 총대주교가 예배 방식을 변경했을 때, 일부 신자들은 "옛 방식"으로 예배를 계속했다.[3] 이들은 고대 러시아어를 계속 사용하고, 세 손가락 대신 두 손가락으로 십자 성호를 그었으며, 수염을 길게 유지했다.[3]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는 그들을 박해했고, 그 결과 자살 방화와 같이 스스로 불태우는 사람들(сожигатели, sozhigateli)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이주를 강요받았다.[3]
리포반인은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분파로 여겨졌지만, 최근 관계가 개선되었다.
3. 2. 이주와 정착
리포반인은 18세기에 주류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된 이단으로 러시아에서 이주해왔다.[3] 그들은 몰도바의 프루트 강과 다뉴브 삼각주에 정착했다.[3] 이들은 니콘 총대주교 통치 기간 동안 이루어진 러시아 정교회 개혁 이전의 강력한 종교적 전통을 유지해왔다.[3] 1652년 총대주교가 예배 방식을 변경했을 때, 일부 신자들은 "옛 방식"으로 예배를 계속했다.[3] 그런 의미에서 그들은 고대 러시아어를 계속 사용하고, 세 손가락 대신 두 손가락으로 십자 성호를 그었으며, 수염을 길게 유지했다.[3]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는 그들을 박해했고, 그 결과 자살 방화와 같이 스스로 불태우는 사람들(сожигатели, sozhigateli)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이주를 강요받았다.[3]
리포반인은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분파로 여겨졌지만, 최근 관계가 개선되었다.
3. 3. 박해와 저항
리포반인은 18세기에 주류 러시아 정교회에서 분리된 이단으로 러시아에서 이주해왔다.[3] 그들은 몰도바의 프루트 강과 다뉴브 삼각주에 정착했다.[3] 리포반인은 니콘 총대주교 통치 기간 동안 이루어진 러시아 정교회 개혁 이전의 강력한 종교적 전통을 유지해왔다.[3] 1652년 총대주교가 예배 방식을 변경했을 때, 일부 신자들은 "옛 방식"으로 예배를 계속했다.[3]
이들은 고대 러시아어를 계속 사용하고, 세 손가락 대신 두 손가락으로 십자 성호를 그었으며, 수염을 길게 유지했다.[3]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는 그들을 박해했고, 그 결과 자살 방화(스스로 불태우는 사람들: сожигатели, sozhigateli)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이주를 강요받았다.[3]
리포반인은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분파로 여겨졌지만, 최근 관계가 개선되었다.
4. 신앙과 관습
4. 1. 주요 특징
5. 분포
우크라이나 리포반 공동체의 주요 중심지는 빌코베 마을이며, 이곳에는 자체 교회인 성 니콜라스 교회가 있다.[4][5] 리포반인들은 집을 짓기 위해 참호에서 진흙을 파내고 일련의 운하를 만들어 마른 땅의 작은 섬을 만든다.[4][5] 집 벽은 갈대와 진흙으로 만들어졌으며, 지붕 이엉을 얹는 것이 일반적이다.[4][5]
5. 1. 빌코베의 리포반인
우크라이나 리포반 공동체의 주요 중심지는 빌코베 마을이며, 이곳에는 자체 교회인 성 니콜라스 교회가 있다.[4][5] 리포반인들은 집을 짓기 위해 참호에서 진흙을 파내고 일련의 운하를 만들어 마른 땅의 작은 섬을 만든다.[4][5] 집 벽은 갈대와 진흙으로 만들어졌으며, 지붕 이엉을 얹는 것이 일반적이다.[4][5]6. 한국과의 관계
7. 참고 항목
참조
[1]
논문
The ethno-cultural belongingness of Aromanians, Vlachs, Catholics, and Lipovans/Old Believers in Romania and Bulgaria (1990–2012)
https://www.revistad[...]
[2]
서적
Romanoslavica
http://www.unibuc.ro[...]
University of Bucharest
[3]
서적
The Copycat Effect: How the Media and Popular Culture Trigger the Mayhem in Tomorrow's Headlines
Paraview Pocket Books
[4]
뉴스
Water world
http://travel.indepe[...]
The Independent
2005-06-18
[5]
웹사이트
The Danube
http://www.kented.or[...]
[6]
뉴스
NHK BSP番組:ぐるっと黒海4000キロ「アジアと欧州の交差点を行く」前編の中程(2014年作成、2020年11月18日再放送)
https://www2.nhk.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