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니아인은 동유럽에 거주하며 루마니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루마니아의 주된 민족이다. 루마니아인의 기원은 다키아인과 로마인의 혼혈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발칸 반도에서 이주해왔다는 설 등이 존재한다. 고대에는 다키아인들이 거주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로마의 지배를 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블라흐인으로 불렸으며, 제1 불가리아 제국, 비잔틴 제국 등의 영향을 받았다. 근대에 들어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독립을 쟁취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토를 확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토를 잃었으나, 공산 정권 수립 이후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가 1989년 혁명을 통해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되었다. 루마니아어는 로망스어에 속하며,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 것이 특징이다. 루마니아인과 가까운 민족으로는 아르마니아인, 메글레노-로마니아인, 이스트로-로마니아인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 - 루마니아의 대통령
루마니아 대통령은 국가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5년 임기의 대통령은 총리 지명, 장관 임명, 법률안 재가 등의 권한을 가지며, 헌법 심각 위반 시 탄핵 절차를 거쳐 국민투표로 결정된다. - 루마니아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 로망스족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어져 온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며 다양한 민족 집단의 융합체로 이루어진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민을 가리킨다. - 로망스족 - 몰도바인
몰도바인은 몰다비아 공국 주민을 지칭하던 용어에서 러시아 제국 시기 민족적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 다양한 정치적 요인에 의해 정체성이 변화되어 왔고, 현재 몰도바 공화국에서는 루마니아와의 관계 및 민족적 일체성 여부에 대한 논쟁이 주요 정치적 쟁점이다.
루마니아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고유 명칭 | 로마니아인 |
로마자 표기 | români |
총 인구 | 약 2280만 ~ 2480만 명 (해외 거주 루마니아 시민 포함) |
주요 거주 지역 | '루마니아': 19,053,815명 (2022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 '몰도바': 192,800명 (2014년 몰도바 인구 조사, 추가로 2,068,058명의 몰도바인) |
유럽 지역 거주 현황 | |
'이탈리아' | 1,206,938명 (루마니아 출신 이주민, 모든 민족 포함) |
'독일' | 866,000명 (2022년, 루마니아 출신 이주민, 모든 민족 포함, 루마니아 독일인 포함) |
'스페인' | 535,935명 (2022년, 루마니아 출생) |
'영국' | 329,000명 (2022년, 루마니아 출생 거주자) |
'프랑스' | 200,000~500,000명 (2022년,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우크라이나' | 150,989명 (추가로 258,619명의 몰도바인) |
'오스트리아' | 131,788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트란실바니아 작센인 포함) |
'벨기에' | 92,746명 (루마니아 출신 이주민, 모든 민족 포함) |
'그리스' | 46,523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네덜란드' | 39,654명 (루마니아 출신 이주민, 모든 민족 포함) |
'포르투갈' | 39,000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헝가리' | 36,506명 |
'덴마크' | 34,960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스웨덴' | 32,294명 (루마니아 출생, 모든 민족 포함) |
'아일랜드' | 29,186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키프로스' | 24,376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세르비아' | 23,044명 (추가로 21,013명의 티모크 블라크인) |
'스위스' | 21,593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노르웨이' | 18,877명 (루마니아 출신 이주민, 모든 민족 포함) |
'체코' | 14,684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튀르키예' | 14,411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룩셈부르크' | 5,209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폴란드' | 약 5,000명 |
'슬로바키아' | 4,941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핀란드' | 4,902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러시아' | 3,201명 |
'몰타' | 2,000명 |
'아이슬란드' | 1,463명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불가리아' | 891명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00명 |
북아메리카 지역 거주 현황 | |
'미국' | 518,653 ~ 1,400,000명 (혼혈, 루마니아 독일인, 루마니아 유대인 포함) |
'캐나다' | 204,625 ~ 400,000명 (혼혈 포함) |
'멕시코' | 569명 |
남아메리카 지역 거주 현황 | |
'브라질' | 200,000명 (루마니아 출신 이주민 및 루마니아 시민, 모든 민족 포함) |
'베네수엘라' | 10,000명 (루마니아 출신 이주민, 모든 민족 포함) |
'아르헨티나' | 10,000명 (루마니아계, 루마니아 유대인 및 루마니아 로마인 포함) |
'콜롬비아' | 350명 |
'우루과이' | 200명 |
'페루' | 174명 |
오세아니아 지역 거주 현황 | |
'오스트레일리아' | 20,998명 (루마니아 출신 1, 2세대 이주민, 모든 민족 포함) |
'뉴질랜드' | 3,100명 |
아시아 지역 거주 현황 | |
'이스라엘' | 100,823명 (대부분 루마니아 유대인) |
'일본' | 2,708명 |
'대한민국' | 661명 |
'카자흐스탄' | 421명 |
'베트남' | 100명 |
아프리카 지역 거주 현황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2,828명 |
'이집트' | 420명 |
언어 및 종교 | |
언어 | '루마니아어' |
종교 | 주로 '동방 정교회'(루마니아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 그리스 가톨릭교, 개신교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다른 '동 로망스어' 사용자 (주로 몰도바인, 아로마니아인, 메글레노 루마니아인, 이스트로 루마니아인) |
문화 | |
문화 | '루마니아 문화' |
의상 | '루마니아 의상' |
유머 | '루마니아 유머' |
역사 | '역사' |
민속 | '특징' '등장인물' |
음식 | '루마니아 요리' |
요리 종류 | '요리' '샐러드' '치즈' '디저트' '음료' |
축제 | '루마니아의 축제' |
음악 축제 | '음악 축제' |
종교 |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그리스 가톨릭교회' '이슬람교' |
미술 | '건축' '화가' '조각가' |
문학 | '역사' '주요 작품' '시인' '작가' |
대중 예술 | '지역별 음악' '작곡가' '극장' '배우' |
미디어 | '루마니아의 미디어' |
문화재 | '국가 목록' '성' '수도원' |
기관 | '루마니아 문화원' '박물관' |
2. 역사
루마니아인은 동유럽에 거주함에도 불구하고 라틴어 계통의 루마니아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 기원에 대해 여러 설이 있으며, 역사의 수수께끼라고 하는 역사가도 있다. 루마니아 역사가들에 따르면, 현재 루마니아에 거주하던 다키아인과 다키아(현재 트란실바니아 지방)를 정복하여 속주로 삼았던 로마인이 혼혈하여 9세기까지 루마니아인과 루마니아어가 형성되었다고 하며, 이를 "다키아-로마인 연속설" 또는 "다키아-로마인 원주민설"이라고 부른다.[152]
또한 시기에 대해서도 여러 설이 있지만, 루마니아인들은 발칸 반도에서 이주해왔다는 설이 있으며, 이 설을 주장한 독일의 학자 레슬러의 이름을 따서 "레슬러설"이라고 불린다.[152]
그러나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루마니아와 헝가리 사이에 대립이 있으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18세기에 쓰여진 「로마 제국 쇠망사」 시대부터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52]
== 고대 ==
오늘날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영토에는 고대 게타이와 다키아 부족이 거주했다. 기원전 82/61년부터 기원전 45/44년까지 통치한 부레비스타 왕은 다뉴브 강, 티사 강, 드니스터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을 포함하는 다키아 왕국의 부족들을 성공적으로 통합한 최초의 왕이었다. 기원후 87년부터 106년까지 통치한 데케발루스 왕은 106년 로마 제국에 정복되기 전 다키아 왕국의 마지막 왕이었다.[64] 데케발루스의 군대와 트라야누스의 군대 사이에 두 차례의 전쟁이 있은 후였다. 두 차례의 전쟁 이전에 데케발루스는 기원후 86년에서 88년 사이 도미티아누스 통치 기간 동안 로마의 침략을 물리쳤다.[65]
로마 행정부는 기원후 271년에서 275년 사이, 황제 아우렐리아누스 통치 기간 동안 고트족과 다키아의 카르피 부족의 압력으로 다키아에서 철수했다. 이후 로마 속주인 ''다키아 아우렐리아나''는 이전의 모에시아 수페리오르 내부에 조직되었다.[66] 그것은 다키아 리펜시스(군사 속주로, 586년 아바르족의 침략으로 황폐화됨)[67]와 다키아 메디테라네아(민정 속주로, 602년 아바르족의 침략으로 황폐화됨)로 재편성되었다.
다키아의 교구(약 337년~602년)는 후기 로마 제국의 교구로, 오늘날 발칸 반도 지역에 있었다. 다키아의 교구는 5개의 속주로 구성되었으며, 가장 북쪽에 있는 속주는 다키아 리펜시스(다키아 아우렐리아나의 다뉴브 강 부분, 오늘날 루마니아에 있는 다키아 리펜시스의 도시 중 하나는 수키다바임)와 모에시아 프리마(오늘날 세르비아에 있음, 루마니아와 세르비아 국경 근처)였다. 이 교구의 영토는 5세기 중반 훈족에 의해 황폐화되었고, 결국 6세기 말과 7세기 초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 의해 정복당했다.
스키타이 미노르(약 290년~약 680년)는 다뉴브 강과 흑해 사이의 땅, 오늘날 루마니아와 불가리아 사이에 나뉘어 있는 도브루자에 해당하는 로마 속주였다.[68][69] 이 속주의 수도는 토미스(오늘날 콘스탄차)였다.[68] 라테르쿨루스 베로넨시스와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스키타이는 트라키아의 교구에 속했다. 스키타이 미노르의 토착민은 다키아인이었고, 그들의 물질 문화는 고고학적으로 6세기까지 나타난다.[68] 로마 요새는 대부분 테트라르키 또는 콘스탄티누스 왕조 시대의 것이다. 이 속주는 약 679년~681년경, 이 지역이 불가르족에 의해 함락되었을 때 존재를 멈추었는데, 황제 콘스탄티누스 4세는 681년에 이를 인정해야 했다.
루마니아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는데, 루마니아 역사가들에 따르면, 현재 루마니아에 거주하던 다키아인과 다키아(현재 트란실바니아 지방)를 정복하여 속주로 삼았던 로마인이 혼혈하여 9세기까지 루마니아인과 루마니아어가 형성되었다고 하며, 이를 "다키아-로마인 연속설" 또는 "다키아-로마인 원주민설"이라고 부른다.[152] 또한 시기에 대해서도 여러 설이 있지만, 루마니아인들은 발칸반도에서 이주해왔다는 설이 있으며, 이 설을 주장한 독일의 학자 레슬러의 이름을 따서 "레슬러설"이라고 불린다.[152] 그러나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루마니아와 헝가리 사이에 대립이 있으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18세기에 쓰여진 「로마 제국 쇠망사」 시대부터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52]
== 중세 ==
중세 시대에 루마니아인들은 주로 블라흐인(Vlachs)으로 알려져 있었다.[70][71] 이는 게르만족이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던 '발하(Walha)'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블라흐인들은 발칸 반도 전역, 트란실바니아,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어 폴란드, 모라비아, 볼히니아, 크로아티아까지 퍼져 살았다.[72] 크로아티아의 모를라흐인들은 사라졌지만, 가톨릭과 정교 블라흐인들은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의 정체성을 받아들였다.[72]
587년, 하이무스 산맥 근처에서 블라흐인 노새 운반꾼이 "''Torna, torna, fratre!''"라고 외친 기록이 있으며,[73] 8세기에는 그리스 아토스 산의 문서에서 린코스 강의 블라흐인들이 언급된다.[74] 13세기 초 헝가리 서적 헝가리 행적(Gesta Hungarorum)에는 아르파드 왕의 마자르족이 블라흐인 겔루 등과 전쟁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75] 헝가리 행적(Gesta Hungarorum)은 또한 카르파티아 분지에 거주하는 블라흐인과 로마인의 목자들을 언급한다.[75] 그러나 이 문서는 사건 발생 후 약 300년 뒤에 쓰여져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980년, 그리스 세르비아의 총독 니쿨리차는 헬라스 테마의 블라흐인 지도자 지위를 받았다.[78] 케카우메노스의 전략론(Strategikon of Kekaumenos)에는 바실리우스 2세가 네쿨리차에게 블라흐인 아르콘의 지위를 부여했다는 기록이 있다.[79]
790년대 아바르 카간국 붕괴 후, 제1 불가리아 제국(First Bulgarian Empire)이 티사 강까지 이르는 땅을 점령하며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80] 제1 불가리아 제국(First Bulgarian Empire)은 불가리아인, 슬라브족, 블라흐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불가리아 엘리트의 슬라브화는 9세기에 시작되었다. 불가리아 제국 사람들은 트란실바니아 남부와 중부에서 소금을 채굴하여 제국 전역에서 거래했다.[80]
10세기 아랍 역사가 알-무카다시는 투르크 근처에 블라흐인(''Waladj'')이 있다고 기록했고,[81] 이븐 알-나딤은 ''피흐리스트 서지(Kitāb al-Fihrist)''에서 블라흐인(''Blagha'')을 언급했다.[82]
조지 케드레노스(George Kedrenos), 케카우메노스(Kekaumenos), 요한 스킬리체스(John Skylitzes), 안나 콤네나(Anna Komnene), 요한 킨나모스(John Kinnamos), 니케타스 코니아테스(Niketas Choniates) 등 비잔틴 역사가들도 블라흐인에 대해 기록했다.[93] 요한 스킬리체스(John Skylitzes)는 976년경 블라흐인들이 발칸에서 비잔틴 대상의 안내자 및 경호원 역할을 했으며, 프레스파와 카스토리아 사이에서 불가리아 반란군 다윗을 죽였다고 기록했다.[93] 케카우메노스(Kekaumenos)는 라리사의 영주 니쿨리차스 델피나스가 1066년 테살리아에서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의 반란에 참여했다고 기록했다. 11세기 학자 케카우메노스(Kekaumenos)는 블라흐인의 고향이 "도나우 근처와 [...] 사바 강 근처"라고 썼으며,[83] 블라흐인을 다키아인과 베시족과 관련시켰다.[84][85]
안나 콤네나(Anna Komnene)는 1091년 레부누니온 전투 전날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가 "5,000명의 용감한 산악인들"의 지원을 받았다고 기록했는데, 이들은 블라흐인으로 추정된다.[86] 안나 콤네나(Anna Komnene)는 또한 1094년 쿠만족의 원정 때 알렉시오스 1세가 블라흐인 귀족 푸딜로스를 통해 정보를 얻었다고 기록했다.[86]
니케타스 코니아테스(Niketas Choniates)는 1164년 안드로니쿠스 1세 콤네노스가 할리치로 도망치다 블라흐인들에게 붙잡혔다고 기록했다.[87][88][89] 요한 킨나모스(John Kinnamos)는 1166년 헝가리에 대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원정에서 레온 바타체스 장군이 "이탈리아에 있는 고대 식민지라고 불리는 많은 수의 블라흐인들"을 지휘했다고 기록했다.[90][91][92]
9세기와 10세기 유목민 페체네그족은 동남유럽과 크리미아 반도의 대초원 대부분을 정복했다. 키예프 루스에 대한 페체네그 전쟁으로 인해 10세기와 11세기에 도나우 강 북쪽의 슬라브족과 블라흐인 중 일부가 드네스트르 강 북쪽으로 이동했다.[94]
제2 불가리아 제국(Second Bulgarian Empire)은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으로 구성된 아센 왕조가 1185년에 건국하여 1396년까지 지속되었다. 아센 왕조의 초기 통치자들은 자신을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의 황제"라고 불렀고, 후기 통치자들은 "불가리아인과 로마인의 차르"라고 칭했다. 제2 불가리아 제국(Second Bulgarian Empire)은 '블라흐인과 불가리아인의 제국'으로도 불렸다.[95]
13세기 초 왕실 헌장은 트란실바니아 남부의 "블라흐인의 땅"을 언급하며, 이는 자치 루마니아 공동체의 존재를 나타낸다.[97] 1230년대 교황 서한은 루마니아 무텐티아에서 정교회 고위 성직자들의 활동을 언급한다.[97] 1247년 헝가리의 벨라 4세가 올테니아와 무텐티아의 성 요한 기사단(Knights Hospitallers)에 토지를 하사한 것은 현지 블라흐인 통치자들이 왕의 권위에 복종했음을 보여준다.[97]
13세기 후반 헝가리 연대기 작가 케자의 시몬은 블라흐인들이 판노니아에 남아 있던 목자와 농부였다고 기록했다.[98] 1308년의 ''동유럽 묘사''는 블라흐인들이 "한때 로마인의 목자"였다고 기록했다.
중세 시대에는 그레이트 블라키아(Great Vlachia)와 같이 '블라흐'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다른 지역들이 있었다. 그레이트 블라키아(Great Vlachia)는 12세기-15세기 에피루스 데스포타트의 테살리아와 서부 핀두스 산맥 사이에 위치했으며, 13세기 이후 자치 또는 반자치적인 지역이었다. 벤자민 투델라(Benjamin of Tudela)(1166년)는 테살리아 지역을 "블라키아"라고 불렀다.[99] 니케타스 코니아테스(Niketas Choniates)는 "그레이트 블라키아"를 메테오라(Meteora) 근처의 지역으로 구분한다. "블라키아"와 그 변종들은 14세기에 테살리아에 대한 사용이 줄어들었고, 15세기부터는 왈라키아를 가리키게 되었다. 화이트 왈라키아(White Wallachia)(도나우 강과 발칸 산맥 사이), 모라비아 왈라키아(Moravian Wallachia)(체코 공화국 남동부) 등의 이름은 블라흐인에서 유래했다.
14세기에는 몰다비아와 왈라키아의 도나우 공국(Danubian Principalities)이 등장하여 오스만 제국과 싸웠다. 후기 중세 시대(late Middle Ages) 동안, 몰다비아의 보그단, 슈테판 대공, 늙은 미르체아, 용감한 미하이, 꼽추 블라드와 같은 루마니아 군주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전쟁을 벌이고 십자군을 이끌었으며, 때로는 폴란드 왕국이나 헝가리 왕국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
== 근대 ==
발칸반도 전체가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으나, 몰다비아와 왈라키아(도브루자와 불가리아까지 확장)는 다른 유럽의 오스만 영토와 달리 완전히 정복되지 않고 자치령이 되었다.[100] 루마니아어 사용 인구가 많은 트란실바니아는 1687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봉신국이었다가 이후 합스부르크 영토가 되었다.[100] 1600년에는 왈라키아 공후 미하이 용감한 자(Michael the Brave)의 지휘 아래 세 공국이 몇 달 동안 통합되기도 하였다.[100]
1541년까지 트란실바니아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으나, 이후 헝가리 귀족이 통치하는 자치 공국이 되었다가 1699년 합스부르크 영토의 일부가 되었다.[101] 18세기 말 오스트리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부코비나 지역을 할양받았고, 1812년 러시아는 부쿠레슈티 조약을 통해 몰다비아의 동쪽 절반인 베사라비아를 점령했다.[101]
1848년 유럽 전역의 낭만주의와 자유주의 혁명의 맥락에서, 트란실바니아 대공국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루마니아어 사용 지역에서 처음으로 전개된 사건이었다. 트란실바니아 색슨인과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들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원을 받아) 1848년 헝가리 혁명의 목표에 성공적으로 대항했으며, 당시 루마니아-색슨 공동 진영을 이끈 두 명의 주목할 만한 역사적 인물은 아브람 이안쿠(Avram Iancu)와 슈테판 루트비히 로트(Stephan Ludwig Roth)였다.
오스만과 러시아의 외세 지배로부터 독립을 목표로 한 1821년과 1848년 왈라키아 혁명, 1848년 몰다비아 혁명은 모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동부와 남부 루마니아 지역에 자유주의 이념을 확산하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59년 몰다비아와 왈라키아는 같은 통치자 즉, 알렉산더 존 쿠자(''돔니토르''로 재위)를 선출하여 사실상 통합되었고, 1859년부터 1881년까지 루마니아 연합 공국이 되었다.
1870년대에 연합 루마니아 공국(당시 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 돔니토르 카롤 1세가 이끌었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독립 전쟁을 치렀고, 루마니아의 독립은 1878년 베를린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비교적 새로 설립된 루마니아 왕국이 처음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동맹을 맺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공격받는 경우에만 전쟁을 벌여야 했기 때문에 루마니아는 중앙 연합국 편에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것을 거부했다. 1916년 루마니아는 트리플 안탕트 편에 참전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트란실바니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는 일련의 국제 평화 조약을 통해 루마니아에 할양되었고, 그 결과 페르디난드 1세(Ferdinand I) 국왕 치하에서 훨씬 더 강력한 왕국이 되었다. 1920년 현재 루마니아 왕국 지역에만 1,500만 명이 넘는 루마니아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의 인구를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였다.[102]
전간기 동안 카롤 2세(Carol II)와 미하이 1세(Michael I) 두 명의 군주가 루마니아 왕위에 올랐다. 이 짧은 기간은 때때로 정치적 불안정과 절대 군주제 또는 군사 독재와 같은 다른 전체주의 정권에 대한 입헌 군주제 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특징지어졌다.
== 현대 ==
제2차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 왕국은 동쪽과 서쪽 모두에서 영토를 잃었다. 북부 트란실바니아는 제2차 비엔나 중재를 통해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 지역은 소련에 점령되어 각각 몰도바 SSR과 우크라이나 SSR에 편입되었다. 동쪽 영토 손실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독소 불가침 조약에 의해 용이해졌다.
전쟁이 끝난 후, 루마니아 왕국은 서쪽에서 잃었던 영토를 되찾았지만,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는 돌려받지 못했다. 이 지역들은 강제로 소비에트 연방(USSR)에 편입되었다. 이후 소련은 공산 정권을 수립했고, 국왕 미하엘 1세는 퇴위하여 망명 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이후 스위스에 정착했다. 페트루 그로자는 정부 수반으로서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RSR)에 남았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1965년 루마니아 공산당(PCR)의 수장이 되었고, 1980년대 그의 엄격한 통치는 1989년 루마니아 혁명으로 끝났다.
1989년 혁명의 혼란 속에서 반체제 공산주의자 이온 일리에스쿠가 대통령으로 권력을 잡았다 (주로 FSN의 지지를 받았다). 일리에스쿠는 1996년까지 국가원수로 재임했으나, CDR의 지지를 받은 에밀 콘스탄티네스쿠에게 1996년 총선거에서 패배했다. 이 선거는 공산주의 이후 루마니아에서 처음으로 평화적인 권력 이양을 보여준 선거였다. 콘스탄티네스쿠가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대통령으로 한 임기를 마친 후, 일리에스쿠는 2000년 말 4년 임기로 재선되었다. 2004년에는 PNL-PD 후보이자 정의와 진실 동맹(DA)의 후보인 트라얀 버세스쿠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5년 후, 버세스쿠는 (이번에는 PDL의 단독 지지를 받아)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재선되었다.
2014년에는 PNL-PDL 후보 (더 큰 기독교 자유 동맹 또는 약칭 ACL의 일부; 루마니아 독일인 민주 포럼, 약칭 FDGR/DFDR의 지지도 받음) 클라우스 요하니스가 2014년 대통령 선거 2차 투표에서 전 총리이자 PSD의 지지를 받은 빅토르 폰타를 제치고 깜짝 승리를 거두었다. 따라서 요하니스는 국가의 소수 민족 출신으로는 최초의 루마니아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루마니아-독일계 출신으로 트란실바니아 작센인이다). 2019년, PNL의 지지를 받은 요하니스는 2019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 2차 투표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대통령으로 재선되었다 (2차 투표에서는 PMP와 USR 그리고 양 투표에서 FDGR/DFDR의 지지도 받았다).
한편, 루마니아의 주요 외교 정책 성과는 2004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과 3년 후인 2007년 유럽 연합 가입을 통해 서유럽과 미국과의 연대였다. 루마니아의 현재 국가 목표는 솅겐 지역, 유로존 그리고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가입하는 것이다.
2. 1. 고대
오늘날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영토에는 고대 게타이와 다키아 부족이 거주했다. 기원전 82/61년부터 기원전 45/44년까지 통치한 부레비스타 왕은 다뉴브 강, 티사 강, 드니스터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을 포함하는 다키아 왕국의 부족들을 성공적으로 통합한 최초의 왕이었다. 기원후 87년부터 106년까지 통치한 데케발루스 왕은 106년 로마 제국에 정복되기 전 다키아 왕국의 마지막 왕이었다.[64] 데케발루스의 군대와 트라야누스의 군대 사이에 두 차례의 전쟁이 있은 후였다. 두 차례의 전쟁 이전에 데케발루스는 기원후 86년에서 88년 사이 도미티아누스 통치 기간 동안 로마의 침략을 물리쳤다.[65]로마 행정부는 기원후 271년에서 275년 사이, 황제 아우렐리아누스 통치 기간 동안 고트족과 다키아의 카르피 부족의 압력으로 다키아에서 철수했다. 이후 로마 속주인 ''다키아 아우렐리아나''는 이전의 모에시아 수페리오르 내부에 조직되었다.[66] 그것은 다키아 리펜시스(군사 속주로, 586년 아바르족의 침략으로 황폐화됨)[67]와 다키아 메디테라네아(민정 속주로, 602년 아바르족의 침략으로 황폐화됨)로 재편성되었다.
다키아의 교구(약 337년~602년)는 후기 로마 제국의 교구로, 오늘날 발칸 반도 지역에 있었다. 다키아의 교구는 5개의 속주로 구성되었으며, 가장 북쪽에 있는 속주는 다키아 리펜시스(다키아 아우렐리아나의 다뉴브 강 부분, 오늘날 루마니아에 있는 다키아 리펜시스의 도시 중 하나는 수키다바임)와 모에시아 프리마(오늘날 세르비아에 있음, 루마니아와 세르비아 국경 근처)였다. 이 교구의 영토는 5세기 중반 훈족에 의해 황폐화되었고, 결국 6세기 말과 7세기 초 아바르족과 슬라브족에 의해 정복당했다.
스키타이 미노르(약 290년~약 680년)는 다뉴브 강과 흑해 사이의 땅, 오늘날 루마니아와 불가리아 사이에 나뉘어 있는 도브루자에 해당하는 로마 속주였다.[68][69] 이 속주의 수도는 토미스(오늘날 콘스탄차)였다.[68] 라테르쿨루스 베로넨시스와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 따르면, 스키타이는 트라키아의 교구에 속했다. 스키타이 미노르의 토착민은 다키아인이었고, 그들의 물질 문화는 고고학적으로 6세기까지 나타난다.[68] 로마 요새는 대부분 테트라르키 또는 콘스탄티누스 왕조 시대의 것이다. 이 속주는 약 679년~681년경, 이 지역이 불가르족에 의해 함락되었을 때 존재를 멈추었는데, 황제 콘스탄티누스 4세는 681년에 이를 인정해야 했다.
루마니아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이 있는데, 루마니아 역사가들에 따르면, 현재 루마니아에 거주하던 다키아인과 다키아(현재 트란실바니아 지방)를 정복하여 속주로 삼았던 로마인이 혼혈하여 9세기까지 루마니아인과 루마니아어가 형성되었다고 하며, 이를 "다키아-로마인 연속설" 또는 "다키아-로마인 원주민설"이라고 부른다.[152] 또한 시기에 대해서도 여러 설이 있지만, 루마니아인들은 발칸반도에서 이주해왔다는 설이 있으며, 이 설을 주장한 독일의 학자 레슬러의 이름을 따서 "레슬러설"이라고 불린다.[152] 그러나 트란실바니아 지방의 영유권을 둘러싸고 루마니아와 헝가리 사이에 대립이 있으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18세기에 쓰여진 「로마제국 쇠망사」 시대부터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152]
2. 2. 중세
중세 시대에 루마니아인들은 주로 블라흐인(Vlachs)으로 알려져 있었다.[70][71] 이는 게르만족이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던 '발하(Walha)'에서 유래한 용어이다. 블라흐인들은 발칸 반도 전역, 트란실바니아,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어 폴란드, 모라비아, 볼히니아, 크로아티아까지 퍼져 살았다.[72] 크로아티아의 모를라흐인들은 사라졌지만, 가톨릭과 정교 블라흐인들은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의 정체성을 받아들였다.[72]587년, 하이무스 산맥 근처에서 블라흐인 노새 운반꾼이 "''Torna, torna, fratre!''"라고 외친 기록이 있으며,[73] 8세기에는 그리스 아토스 산의 문서에서 린코스 강의 블라흐인들이 언급된다.[74] 13세기 초 헝가리 서적 헝가리 행적(Gesta Hungarorum)에는 아르파드 왕의 마자르족이 블라흐인 겔루 등과 전쟁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75] 헝가리 행적(Gesta Hungarorum)은 또한 카르파티아 분지에 거주하는 블라흐인과 로마인의 목자들을 언급한다.[75] 그러나 이 문서는 사건 발생 후 약 300년 뒤에 쓰여져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980년, 그리스 세르비아의 총독 니쿨리차는 헬라스 테마의 블라흐인 지도자 지위를 받았다.[78] 케카우메노스의 전략론(Strategikon of Kekaumenos)에는 바실리우스 2세가 네쿨리차에게 블라흐인 아르콘의 지위를 부여했다는 기록이 있다.[79]
790년대 아바르 카간국 붕괴 후, 제1 불가리아 제국(First Bulgarian Empire)이 티사 강까지 이르는 땅을 점령하며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80] 제1 불가리아 제국(First Bulgarian Empire)은 불가리아인, 슬라브족, 블라흐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불가리아 엘리트의 슬라브화는 9세기에 시작되었다. 불가리아 제국 사람들은 트란실바니아 남부와 중부에서 소금을 채굴하여 제국 전역에서 거래했다.[80]
10세기 아랍 역사가 알-무카다시는 투르크 근처에 블라흐인(''Waladj'')이 있다고 기록했고,[81] 이븐 알-나딤은 ''피흐리스트 서지(Kitāb al-Fihrist)''에서 블라흐인(''Blagha'')을 언급했다.[82]
조지 케드레노스(George Kedrenos), 케카우메노스(Kekaumenos), 요한 스킬리체스(John Skylitzes), 안나 콤네나(Anna Komnene), 요한 킨나모스(John Kinnamos), 니케타스 코니아테스(Niketas Choniates) 등 비잔틴 역사가들도 블라흐인에 대해 기록했다.[93] 요한 스킬리체스(John Skylitzes)는 976년경 블라흐인들이 발칸에서 비잔틴 대상의 안내자 및 경호원 역할을 했으며, 프레스파와 카스토리아 사이에서 불가리아 반란군 다윗을 죽였다고 기록했다.[93] 케카우메노스(Kekaumenos)는 라리사의 영주 니쿨리차스 델피나스가 1066년 테살리아에서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의 반란에 참여했다고 기록했다. 11세기 학자 케카우메노스(Kekaumenos)는 블라흐인의 고향이 "도나우 근처와 [...] 사바 강 근처"라고 썼으며,[83] 블라흐인을 다키아인과 베시족과 관련시켰다.[84][85]
안나 콤네나(Anna Komnene)는 1091년 레부누니온 전투 전날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가 "5,000명의 용감한 산악인들"의 지원을 받았다고 기록했는데, 이들은 블라흐인으로 추정된다.[86] 안나 콤네나(Anna Komnene)는 또한 1094년 쿠만족의 원정 때 알렉시오스 1세가 블라흐인 귀족 푸딜로스를 통해 정보를 얻었다고 기록했다.[86]
니케타스 코니아테스(Niketas Choniates)는 1164년 안드로니쿠스 1세 콤네노스가 할리치로 도망치다 블라흐인들에게 붙잡혔다고 기록했다.[87][88][89] 요한 킨나모스(John Kinnamos)는 1166년 헝가리에 대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원정에서 레온 바타체스 장군이 "이탈리아에 있는 고대 식민지라고 불리는 많은 수의 블라흐인들"을 지휘했다고 기록했다.[90][91][92]
9세기와 10세기 유목민 페체네그족은 동남유럽과 크리미아 반도의 대초원 대부분을 정복했다. 키예프 루스에 대한 페체네그 전쟁으로 인해 10세기와 11세기에 도나우 강 북쪽의 슬라브족과 블라흐인 중 일부가 드네스트르 강 북쪽으로 이동했다.[94]
제2 불가리아 제국(Second Bulgarian Empire)은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으로 구성된 아센 왕조가 1185년에 건국하여 1396년까지 지속되었다. 아센 왕조의 초기 통치자들은 자신을 "불가리아인과 블라흐인의 황제"라고 불렀고, 후기 통치자들은 "불가리아인과 로마인의 차르"라고 칭했다. 제2 불가리아 제국(Second Bulgarian Empire)은 '블라흐인과 불가리아인의 제국'으로도 불렸다.[95]
13세기 초 왕실 헌장은 트란실바니아 남부의 "블라흐인의 땅"을 언급하며, 이는 자치 루마니아 공동체의 존재를 나타낸다.[97] 1230년대 교황 서한은 루마니아 무텐티아에서 정교회 고위 성직자들의 활동을 언급한다.[97] 1247년 헝가리의 벨라 4세가 올테니아와 무텐티아의 성 요한 기사단(Knights Hospitallers)에 토지를 하사한 것은 현지 블라흐인 통치자들이 왕의 권위에 복종했음을 보여준다.[97]
13세기 후반 헝가리 연대기 작가 케자의 시몬은 블라흐인들이 판노니아에 남아 있던 목자와 농부였다고 기록했다.[98] 1308년의 ''동유럽 묘사''는 블라흐인들이 "한때 로마인의 목자"였다고 기록했다.
중세 시대에는 그레이트 블라키아(Great Vlachia)와 같이 '블라흐'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다른 지역들이 있었다. 그레이트 블라키아(Great Vlachia)는 12세기-15세기 에피루스 데스포타트의 테살리아와 서부 핀두스 산맥 사이에 위치했으며, 13세기 이후 자치 또는 반자치적인 지역이었다. 벤자민 투델라(Benjamin of Tudela)(1166년)는 테살리아 지역을 "블라키아"라고 불렀다.[99] 니케타스 코니아테스(Niketas Choniates)는 "그레이트 블라키아"를 메테오라(Meteora) 근처의 지역으로 구분한다. "블라키아"와 그 변종들은 14세기에 테살리아에 대한 사용이 줄어들었고, 15세기부터는 왈라키아를 가리키게 되었다. 화이트 왈라키아(White Wallachia)(도나우 강과 발칸 산맥 사이), 모라비아 왈라키아(Moravian Wallachia)(체코 공화국 남동부) 등의 이름은 블라흐인에서 유래했다.
14세기에는 몰다비아와 왈라키아의 도나우 공국(Danubian Principalities)이 등장하여 오스만 제국과 싸웠다. 후기 중세 시대(late Middle Ages) 동안, 몰다비아의 보그단, 슈테판 대공, 늙은 미르체아, 용감한 미하이, 꼽추 블라드와 같은 루마니아 군주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전쟁을 벌이고 십자군을 이끌었으며, 때로는 폴란드 왕국이나 헝가리 왕국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
2. 3. 근대
발칸반도 전체가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으나, 몰다비아와 왈라키아(도브루자와 불가리아까지 확장)는 다른 유럽의 오스만 영토와 달리 완전히 정복되지 않고 자치령이 되었다.[100] 루마니아어 사용 인구가 많은 트란실바니아는 1687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봉신국이었다가 이후 합스부르크 영토가 되었다.[100] 1600년에는 왈라키아 공후 미하이 용감한 자(Michael the Brave)의 지휘 아래 세 공국이 몇 달 동안 통합되기도 하였다.[100]
1541년까지 트란실바니아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으나, 이후 헝가리 귀족이 통치하는 자치 공국이 되었다가 1699년 합스부르크 영토의 일부가 되었다.[101] 18세기 말 오스트리아 제국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부코비나 지역을 할양받았고, 1812년 러시아는 부쿠레슈티 조약을 통해 몰다비아의 동쪽 절반인 베사라비아를 점령했다.[101]
1848년 유럽 전역의 낭만주의와 자유주의 혁명의 맥락에서, 트란실바니아 대공국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루마니아어 사용 지역에서 처음으로 전개된 사건이었다. 트란실바니아 색슨인과 트란실바니아 루마니아인들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지원을 받아) 1848년 헝가리 혁명의 목표에 성공적으로 대항했으며, 당시 루마니아-색슨 공동 진영을 이끈 두 명의 주목할 만한 역사적 인물은 아브람 이안쿠(Avram Iancu)와 슈테판 루트비히 로트(Stephan Ludwig Roth)였다.
오스만과 러시아의 외세 지배로부터 독립을 목표로 한 1821년과 1848년 왈라키아 혁명, 1848년 몰다비아 혁명은 모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동부와 남부 루마니아 지역에 자유주의 이념을 확산하는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1859년 몰다비아와 왈라키아는 같은 통치자 즉, 알렉산더 존 쿠자(''돔니토르''로 재위)를 선출하여 사실상 통합되었고, 1859년부터 1881년까지 루마니아 연합 공국이 되었다.
1870년대에 연합 루마니아 공국(당시 호엔촐레른-지그마링겐 돔니토르 카롤 1세가 이끌었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독립 전쟁을 치렀고, 루마니아의 독립은 1878년 베를린 조약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비교적 새로 설립된 루마니아 왕국이 처음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동맹을 맺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공격받는 경우에만 전쟁을 벌여야 했기 때문에 루마니아는 중앙 연합국 편에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는 것을 거부했다. 1916년 루마니아는 트리플 안탕트 편에 참전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트란실바니아, 베사라비아, 부코비나는 일련의 국제 평화 조약을 통해 루마니아에 할양되었고, 그 결과 페르디난드 1세(Ferdinand I) 국왕 치하에서 훨씬 더 강력한 왕국이 되었다. 1920년 현재 루마니아 왕국 지역에만 1,500만 명이 넘는 루마니아인이 거주하는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스웨덴, 덴마크, 네덜란드의 인구를 합친 것보다 많은 수치였다.[102]
전간기 동안 카롤 2세(Carol II)와 미하이 1세(Michael I) 두 명의 군주가 루마니아 왕위에 올랐다. 이 짧은 기간은 때때로 정치적 불안정과 절대 군주제 또는 군사 독재와 같은 다른 전체주의 정권에 대한 입헌 군주제 유지를 위한 노력으로 특징지어졌다.
2. 4. 현대
제2차 세계 대전 중, 루마니아 왕국은 동쪽과 서쪽 모두에서 영토를 잃었다. 북부 트란실바니아는 제2차 비엔나 중재를 통해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 지역은 소련에 점령되어 각각 몰도바 SSR과 우크라이나 SSR에 편입되었다. 동쪽 영토 손실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독소 불가침 조약에 의해 용이해졌다.전쟁이 끝난 후, 루마니아 왕국은 서쪽에서 잃었던 영토를 되찾았지만,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는 돌려받지 못했다. 이 지역들은 강제로 소비에트 연방(USSR)에 편입되었다. 이후 소련은 공산 정권을 수립했고, 국왕 미하엘 1세는 퇴위하여 망명 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이후 스위스에 정착했다. 페트루 그로자는 정부 수반으로서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RSR)에 남았다.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는 1965년 루마니아 공산당(PCR)의 수장이 되었고, 1980년대 그의 엄격한 통치는 1989년 루마니아 혁명으로 끝났다.
1989년 혁명의 혼란 속에서 반체제 공산주의자 이온 일리에스쿠가 대통령으로 권력을 잡았다 (주로 FSN의 지지를 받았다). 일리에스쿠는 1996년까지 국가원수로 재임했으나, CDR의 지지를 받은 에밀 콘스탄티네스쿠에게 1996년 총선거에서 패배했다. 이 선거는 공산주의 이후 루마니아에서 처음으로 평화적인 권력 이양을 보여준 선거였다. 콘스탄티네스쿠가 1996년부터 2000년까지 대통령으로 한 임기를 마친 후, 일리에스쿠는 2000년 말 4년 임기로 재선되었다. 2004년에는 PNL-PD 후보이자 정의와 진실 동맹(DA)의 후보인 트라얀 버세스쿠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5년 후, 버세스쿠는 (이번에는 PDL의 단독 지지를 받아)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근소한 차이로 재선되었다.
2014년에는 PNL-PDL 후보 (더 큰 기독교 자유 동맹 또는 약칭 ACL의 일부; 루마니아 독일인 민주 포럼, 약칭 FDGR/DFDR의 지지도 받음) 클라우스 요하니스가 2014년 대통령 선거 2차 투표에서 전 총리이자 PSD의 지지를 받은 빅토르 폰타를 제치고 깜짝 승리를 거두었다. 따라서 요하니스는 국가의 소수 민족 출신으로는 최초의 루마니아 대통령이 되었다 (그는 루마니아-독일계 출신으로 트란실바니아 작센인이다). 2019년, PNL의 지지를 받은 요하니스는 2019년 루마니아 대통령 선거 2차 투표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대통령으로 재선되었다 (2차 투표에서는 PMP와 USR 그리고 양 투표에서 FDGR/DFDR의 지지도 받았다).
한편, 루마니아의 주요 외교 정책 성과는 2004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과 3년 후인 2007년 유럽 연합 가입을 통해 서유럽과 미국과의 연대였다. 루마니아의 현재 국가 목표는 솅겐 지역, 유로존 그리고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가입하는 것이다.
3. 언어
루마니아인은 루마니아어를 사용한다.[103] 루마니아어는 로망스어이며, 그 기원은 이 지역에 대한 로마의 식민지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본 어휘는 라틴어 기원이지만,[102] 다키아어 기원의 단어들도 있으며, 루마니아어의 기층으로 여겨진다. 루마니아어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로망스어이며 아르마니아어, 메글레노루마니아어, 이스트로루마니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103]
중세 시대 동안 루마니아어는 다른 로망스어와 고립되어 있었고, 인근 슬라브어족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슬라브어의 루마니아어에 대한 영향 참조). 이후 독일어, 헝가리어, 튀르키예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103] 현대에 들어서는 대부분의 신조어가 차용된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했지만, 영어에서 차용하는 단어가 점점 늘고 있다.
몰도바어는 공식적인 형태에서는 루마니아어와 사실상 동일하지만, 구어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사실상 독립적이지만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서는 몰도바어를 쓰는 공식 문자로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2013년부터 루마니아에서는 루마니아어의 날이 8월 31일에 공식적으로 기념되고 있다.[104] 몰도바에서는 2023년부터 같은 날 공식적으로 기념되고 있다.[105] 2017년 기준으로 에스놀로그 추산에 따르면 전 세계 루마니아어 사용자 수는 약 2,415만 명이다.[106]
4. 종교
루마니아인의 거의 90%가 자신을 종교인으로 여기며,[127] 대다수는 동방 정교회 신자로서 루마니아 정교회에 속한다.[128][129] 루마니아인들은 동방 정교회 신자 중 세 번째로 큰 민족 언어 집단을 형성한다.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의 루마니아인 중 91.5%가 루마니아 정교회 신자라고 밝혔다.[130]
그러나 실제 교회 출석률은 훨씬 낮으며, 2006년 유로바로미터 여론 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인의 23%만이 주 1회 이상 교회에 출석한다고 밝혔다.[131] 열린사회재단이 실시한 여론 조사에서는 루마니아인의 33%만이 한 달에 한 번 이상 교회에 출석한다고 밝혔다.[132]
루마니아 가톨릭 신자들은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부코비나, 부쿠레슈티, 그리고 몰도바 일부 지역에 거주한다. 2011년 루마니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의 루마니아인 중 2.5%가 가톨릭 신자라고 밝혔다.[130] 루마니아의 루마니아인 중 약 1.6%는 오순절교 신자이다. 더 적은 비율의 사람들이 프로테스탄트, 유대교, 이슬람교 신자이거나 불가지론자, 무신론자이거나 전통 종교를 실천한다.
역사가들은 루마니아인의 조상들이 로마 시대에 다신교를 받아들였고, 나중에 기독교를 받아들였다고 추측하며, 아마도 기독교는 서기 4세기에 콘스탄티누스 대제 황제가 로마 제국의 공식 종교로 선포했을 때 받아들였을 것으로 본다.[133] "하느님"(''Dumnezeu'' < Domine Deusla), "교회"(bisericăro < basilicala) 등 기독교와 관련된 기본적인 루마니아어 단어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1054년 로마 가톨릭-동방 정교회 분열 이후, 짧은 기간 동안 쿠마니아 로마 가톨릭 교구가 존재했지만, 왈라키아와 몰도바 모두에서 국가 종교는 동방 정교회였다. 17세기까지, 예배의 공식 언어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중세 불가리아어)였고, 그 후 점차 루마니아어로 바뀌었다. 루마니아어는 로망스어족에 속하지만, 슬라브어에서 온 차용어가 매우 많고, 튀르크어 등에서 온 차용어도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문화는 비잔티움 문화를 받아들였다.
5. 문화
루마니아는 라틴계의 후손이지만, 슬라브족의 문화가 섞여있는 특이한 라틴계의 문화를 지니고 있다. 루마니아인들은 예술, 문화, 과학, 기술 및 공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기여해 왔다.
항공 역사에서 트라얀 부이아와 아우렐 블라이쿠는 초기 항공기 설계 중 일부를 제작하고 시험했으며, 앙리 코안다는 유체역학의 코안다 효과를 발견했다. 빅토르 바베슈는 50종이 넘는 세균과 그의 이름을 딴 질병인 바베스증의 치료법을 발견했으며, 생물학자 니콜라에 파울레스쿠는 인슐린을 최초로 확인한 과학자 중 한 명이었다. 또 다른 생물학자 에밀 팔라데는 세포생물학에 대한 공헌으로 노벨상을 받았다. 조르제 콘스탄티네스쿠는 음향 이론을 만들었으며, 수학자 슈테판 오도블레자는 "사이버네틱스의 이념적 아버지"로 여겨진다. 라자르 에델레아누는 암페타민을 최초로 합성한 화학자였으며, 정제하는 현대적인 방법도 발명했다.
예술과 문화에서는 조르제 에네스쿠 (음악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예후디 메뉴힌 경의 교수), 콘스탄틴 브랭쿠시 (조각가), 외젠 이오네스코 (극작가), 미르체아 엘리아데 (종교사학자이자 소설가), 에밀 치오란 (수필가, 스타일 부문 프랑스 연구소 상 수상자) 및 안젤라 게오르기우 (소프라노)와 같은 저명한 인물들이 있었다. 최근에는 크리스티 푸이우와 크리스티앙 문기우와 같은 영화 제작자들이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으며, 패션 디자이너 이오아나 치올라쿠도 마찬가지다.
스포츠에서 루마니아인들은 축구(게오르게 하지), 체조(나디아 코마네치, 라비니아 밀로쇼비치 등), 테니스(일리에 너스타세, 이온 티리아크, 시모나 할렙), 조정(이반 파차이친) 및 핸드볼(남자 월드컵 4회 우승)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었다.
드라큘라 백작은 루마니아의 세계적인 아이콘이다. 이 캐릭터는 아일랜드 소설가 브램 스토커가 크론슈타트(브라쇼브)의 좌절한 독일 상인들이 후기 중세 시대에 퍼뜨린 일부 이야기와 역사적인 루마니아 인물인 블라드 체페슈에 대한 일부 흡혈귀 민속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루마니아어는 로망스어족에 속하지만, 어휘에 슬라브어에서 온 차용어가 매우 많고, 튀르크어 등에서 온 차용어도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문화는 비잔티움 문화를 받아들였고, 대부분 정교회: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다는 점이 루마니아인의 특징이다.
6. 루마니아인과 관련된 민족
루마니아에 대부분 거주하며, 우크라이나, 러시아, 헝가리, 불가리아 등지에도 일부 거주한다. 루마니아인과 가장 가까운 민족은 아르마니아인(마케도-로마니아인), 메글레노-로마니아인, 이스트로-로마니아인이다.[134] 이스트로-로마니아인은 루마니아인과 가장 가까운 민족으로, 약 1000년 전 마라무레슈, 트란실바니아를 떠나 크로아티아 이스트리아에 정착했다.[134] 이들은 이스트로-로마니아어를 사용한다.[134] 아르마니아인과 메글레노-로마니아인은 다뉴브강 남쪽(주로 그리스,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에 거주하는 로망스어족 민족으로, 7세기에서 9세기에 루마니아인과 분리되었으며, 아르마니아어와 메글레노-로마니아어를 사용한다.
루마니아어는 로망스어족에 속하지만, 슬라브어 차용어가 많고, 튀르크어 등에서 온 차용어도 있다. 비잔티움 문화의 영향으로 대부분 루마니아 정교회를 믿는다.
7. 한반도와의 관계
7. 1. 남한과의 관계
7.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6–8 Million Romanians live outside Romania's borders
http://www.ziuaveche[...]
2013-12-13
[2]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1 - provisional results
https://insse.ro/cms[...]
[3]
웹사이트
// Recensămîntul populației și al locuințelor 2014
https://statistica.g[...]
2013-08-02
[4]
기타
[5]
웹사이트
Romeni in Italia - statistiche e distribuzione per regione
https://www.tuttital[...]
[6]
웹사이트
Statistischer Bericht - Mikrozensus - Bevölkerung nach Migrationshintergrund - Erstergebnisse 2022
https://www.destatis[...]
2023-04-20
[7]
웹사이트
Población por comunidades y provincias, país de nacimiento, edad (Grupos quinquenales) y sexo
https://www.ine.es/j[...]
[8]
웹사이트
Población por comunidades y provincias, país de nacimiento, edad (Grupos quinquenales) y sexo
https://www.ine.es/p[...]
[9]
웹사이트
Población extranjera por Nacionalidad, comunidades, Sexo y Año. Datos provisionales 2020.
https://www.ine.es/j[...]
INE
[10]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United Kingdom by country of birth and nationality, July 2020 to June 2021
https://www.ons.gov.[...]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11]
웹사이트
According to the Secretary of State Romanian, Florin Cârciu: In France alone we have 500,000 Romanians, more than what the French State declares today.
https://adevarul.ro/[...]
2022-05-19
[12]
웹사이트
Câţi români muncesc în străinătate şi unde sunt cei mai mulţi
http://www.economica[...]
2013-11-30
[13]
웹사이트
As per the 2001 Ukrainian National Census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Anzahl der Ausländer in Österreich nach den zehn wichtigsten Staatsangehörigkeiten am 1. Januar 2021
https://de.statista.[...]
[15]
웹사이트
Migratie in cijfers en in rechten 2018
https://www.myria.be[...]
2016-03-18
[16]
보도자료
Announcement of the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 Population of Greece according to the 2011 Population – Housing Census
http://www.statistic[...]
2013-08-23
[17]
웹사이트
Bevolking; generatie, geslacht, leeftijd en herkomstgroepering, 1 januari
http://statline.cbs.[...]
[18]
웹사이트
Câţi români au părăsit România pentru a trăi în străinătate
https://www.viata-li[...]
2015-09-25
[19]
서적
Mikrocenzus 2016 – 12. Nemzetiségi adatok
http://www.ksh.hu/do[...]
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
[20]
웹사이트
Immigrants and Descentants, 1 January 2020
https://www.statbank[...]
[21]
웹사이트
Utrikes födda samt födda i Sverige med en eller två utrikes födda föräldrar efter födelseland/ursprungsland, 31 december 2017, totalt
http://www.statistik[...]
Statistics Sweden / Befolkning efter födelseland, ålder, kön och år
[22]
웹사이트
Census 2016 Summary Results – Part 1
http://www.cso.ie/en[...]
2016
[23]
웹사이트
Cyprus 2011 census
http://www.cystat.go[...]
[24]
웹사이트
Становништво према националној припадности
https://data.stat.go[...]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5]
웹사이트
Permanent and non permanent resident population by canton, sex, citizenship, country of birth and age, 2014–2015
https://www.bfs.admi[...]
2016-08-26
[26]
웹사이트
Immigrants and Norwegian-born to immigrant parents, 1 January 2022
http://www.ssb.no/en[...]
[27]
웹사이트
Foreigners in the Czechia by citizenship
https://www.czso.cz/[...]
2018-12-31
[28]
웹사이트
Foreigners by category of residence, sex, and citizenship as at 31 December 2016
https://www.czso.cz/[...]
[29]
웹사이트
Pentru ce facem moschee la București: În căutarea românilor ortodocși din Turcia
http://www.ziare.com[...]
2015-07-20
[30]
웹사이트
Population by nationalities in detail 2011 - 2019
https://statistiques[...]
2023-09
[31]
웹사이트
Comunitatea românească din Polonia
https://varsovia.mae[...]
[32]
웹사이트
HARTA românilor plecați în străinătate. Topul țărilor UE în care românii reprezintă cea mai mare comunitate
http://www.gandul.in[...]
2015-12-21
[33]
웹사이트
Statistics Finland's PX-Web databases
http://pxnet2.stat.f[...]
2023-09
[34]
웹사이트
2010 Russia Census
http://www.perepis-2[...]
Russian Federation Statistics Office
[35]
웹사이트
Comunitatea româneacă din Islanda
https://copenhaga.ma[...]
2019-03-09
[36]
웹사이트
2011 Bulgarian Census
https://web.archive.[...]
2014-11-13
[37]
웹사이트
Bosnia și Herțegovina − Comunitatea românească
https://www.mae.ro/b[...]
2021-01-31
[38]
웹사이트
Total ancestry categories tallied for people with one or more ancestry categories reported, 2014 American Community Survey 1-Year Estimates
https://archive.toda[...]
2014-00-00
[39]
웹사이트
U.S. Census Bureau, 2009 American Community Survey
https://www.census.g[...]
2011-12-23
[40]
웹사이트
Romanian-American Community
https://web.archive.[...]
Romanian-American Network Inc.
2008-09-15
[41]
웹사이트
2000 Census
https://www.census.g[...]
2017-08-02
[42]
웹사이트
Romanian Communities Allocation in United States: Study of Romanian-American population (2002)
https://web.archive.[...]
Romanian-American Network, Inc.
2005-10-14
[43]
웹사이트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Data tables
http://www12.statcan[...]
2013-05-08
[44]
웹사이트
2011 National Household Survey: Data tables
http://www12.statcan[...]
2013-05-08
[45]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0
https://www.inegi.or[...]
INEGI
2023-03-16
[46]
뉴스
200.000 de români trăiesc "visul brazilian"
http://www.romaniali[...]
2008-02-16
[47]
웹사이트
AMERICA LATINĂ « DRP – Departamentul pentru Romanii de Pretutindeni
https://archive.toda[...]
2012-08-17
[48]
뉴스
The Week of the Romanian Diaspora in Argentina – The immigration of the Romanians to Argentina
http://www.imperialt[...]
2016-12-06
[49]
서적
The People of Australia
https://web.archive.[...]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Immigration and Border Protection
2014-00-00
[50]
웹사이트
Australia and New Zealand
https://archive.toda[...]
Roman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51]
웹사이트
Romania - International emigrant stock 2019
https://countryecono[...]
2022-06-28
[52]
뉴스
Câți români sunt în Japonia? Invazia dansatoarelor românce
http://www.hotnews.r[...]
2011-03-11
[53]
웹사이트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위치. 전자민원, 준법 운동, 여성포럼, 인권 광장
https://www.immigrat[...]
2024-00-00
[54]
웹사이트
Ethnic composition, religion and language skills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
https://web.archive.[...]
2011-00-00
[55]
웹사이트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http://stat.gov.kz/f[...]
[56]
뉴스
Câți români au părăsit România pentru a trăi în străinătate
http://www.viata-lib[...]
2015-09-25
[57]
서적
Romanians and Hungarians from the 9th to the 14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manian Cultural Foundation
1996-00-00
[58]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00-00
[59]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00-00
[60]
웹사이트
Vlach - History, Language & Cultur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60]
웹사이트
Dacia, summar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61]
뉴스
Recensământ 2022. România are 19.053.815 locuitori. Țara noastră a pierdut peste un milion de locuitori față de acum 10 ani
https://www.digi24.r[...]
2022-12-30
[62]
서적
Ethnic Groups Worldwide: A Ready Reference Handbook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8-00-00
[63]
웹사이트
Moldova's national identity
https://web.archive.[...]
U.S. Library of Congress
1989-00-00
[64]
서적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Twenty-First Century Books
2007-00-00
[65]
서적
The Emperor Domitian
Routledge
1992-00-00
[66]
논문
The emperor Aurelian formed two provinces of Moesia Superior and Inferior.
1984-00-00
[67]
논문
When founded as a colony by Trajan, Ratiaria was within Moesia Superior: when Aurelian withdrew from the old Dacia north of the Danube and established a new province of the same name on the south (Dacia Ripensis), Ratiaria became the capital.
1988-00-00
[6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1991-00-00
[69]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Late Anti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0-00
[70]
서적
Peoples of Europe
https://archive.org/[...]
Marshall Cavendish Corporation
2002-00-00
[71]
보고서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Hungary – Romania (Rumania) Boundary
http://archive.law.f[...]
US Office of the Geographer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1965-04-15
[72]
웹사이트
The Slavonian Census of 1698. Part I: Structure and Meaning,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http://www.demog.ber[...]
University of California
[73]
서적
Limba română: origini și dezvoltare
https://books.google[...]
Humanitas
[74]
서적
O istorie a Bizanțului
Editura Meronia
[75]
웹사이트
Gesta Hungarorum
http://discovery.ucl[...]
[76]
서적
Romanitatea românilor: Istoria unei idei
[77]
서적
Magyar historiográfia I.: Történetírás a középkori Magyarországon
[78]
서적
Aksum: an African civilisation of late antiquity
[79]
서적
Originea medievală a focarelor de conflict din Peninsula Balcanică
https://biblioteca-d[...]
Editura Corint
[80]
서적
History of Transylvania
https://mek.oszk.hu/[...]
Akadémiai Kiadó
[81]
간행물
La mention des Roumains (Walah) chez Al-Maqdisi
[82]
서적
al-Fihrist
Columbia University Press
[83]
서적
Cecaumeno: Consejos de un aristócrata bizantino
[84]
뉴스
Οι Βλάχοι: Η καταγωγή, η γλώσσα, και η μακραίωνη ιστορία τους
https://www.protothe[...]
2018-02-25
[85]
웹사이트
Ο λίβελος του Κεκαυμένου κατά των Βλάχων... / Μια απάντηση του Γιώργη Έξαρχου
https://faretra.info[...]
[86]
웹사이트
The Alexiad
https://sourcebooks.[...]
[87]
서적
Annals of Niketas Choniates
https://archive.org/[...]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88]
간행물
[89]
서적
Vlachs during the Comnenian period
[90]
간행물
Epitoma
[91]
간행물
Les "Blachoi" de Kinnamos et Choniatès et la présence militaire byzantine au nord du Danube sous les Comnènes
http://opac.regesta-[...]
[92]
간행물
The Vlachs in the military actions during the Comnen
[93]
서적
Háborúk és hadviselés az Árpádok korában
Szukits Könyvkiadó
[94]
서적
The course of the Russian history
Myslʹ
[95]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Vlach
http://www.britannic[...]
[96]
서적
Myths and Realities in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Kennikat Press
[97]
서적
Romanians and Romania: A Brief History
[98]
서적
Gesta Hunnorum et Hungarorum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9-01
[99]
서적
Tabula Imperii Bizantini, 1 Hellas und Thessalia
https://archive.org/[...]
DAW
[100]
서적
The Roumanian Question: The Roumanians and their Lands
http://www.wdl.org/e[...]
Pittsburgh Printing Company
[101]
백과사전
Treaty of Bucharest/Russo-Turkish history [1812]
https://www.britanni[...]
[102]
서적
The Roumanian Question: The Roumanians and their Lands
http://www.wdl.org/e[...]
Pittsburgh Printing Company
[103]
간행물
Türk Dili
http://turkoloji.cu.[...]
[104]
뉴스
31 august - Ziua Limbii Române
https://www.agerpres[...]
2020-08-31
[105]
뉴스
Depunere de flori, program pentru copii și spectacol muzical: Agenda completă a evenimentelor dedicate Zilei Limbii Române
https://tv8.md/2023/[...]
2023-08-31
[106]
웹사이트
Romanian language
http://www.ethnologu[...]
2020-05-25
[107]
웹사이트
'Explanatory Dictionary of the Romanian Language'', 1998; ''New Explanatory Dictionary of the Romanian Language'', 2002
http://dexonline.ro/[...]
Dexonline.ro
2010-09-25
[108]
논문
Divided National Identity in Moldova
2017
[109]
논문
The Wallachians in the ''Nibelungenlied'' and their Connection with the Eastern Romance Population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s://www.jstor.or[...]
2021-03-06
[110]
간행물
Italian Authors and the Romanian Identity in the 16th Century
Bucarest
2000
[111]
웹사이트
Magyar Történelmi Tár – 4. sorozat 4. kötet – 1903
http://real-j.mtak.h[...]
2021-02-24
[112]
웹사이트
Magyar Történelmi Tár, 1855, p. 22-23
https://babel.hathit[...]
Maria Holban, Călători străini în Țările Române, Editura Științifică, București, 1968, Vol. 1, p. 322-323
2022-03-19
[113]
간행물
Voyage fait par moy, Pierre Lescalopier l'an 1574 de Venise a Constantinople
Paul Cernovodeanu
1960
[114]
간행물
Călători străini despre Țările Române
Gábor Almási, Constructing the Wallach "Other" in the Late Renaissance in Balázs Trencsény, Márton Zászkaliczky (edts), Whose Love of Which Country, Brill, Leiden, Boston 2010, p.127
2023-04-05
[115]
간행물
De Regno Dalmatiae et Croatiae
https://books.google[...]
2023-04-11
[116]
웹사이트
On the Significance of Certain Names: Romanian/Wallachian and Romania/Wallachia
http://dspace.bcuclu[...]
2018-06-18
[117]
서적
Istoria Limbii Române. Vol I (1986)
https://www.academia[...]
Editura Științifică și Enciclopedică, București
1986
[118]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Springer
2008
[119]
간행물
Pre-National Identities in the Balkans in: Entangled Histories of the Balkans - Volume One
[120]
간행물
Pro- und antiwestliche Strömungen im rumänischen literarischen Diskurs – ein Überblick
https://books.google[...]
Gabriella Schubert and Holm Sundhaussen
2023-08-02
[1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the term 'daco-roman'
https://dexonline.ro[...]
2023-02-09
[122]
웹사이트
Definition of the term 'dacoromân'
https://dexonline.ro[...]
2023-02-09
[123]
서적
Citizenship and Nationhood
Harvard University Press
1994
[124]
웹사이트
2000 U.S. Census, ancestry responses
http://factfinder.ce[...]
2014-11-13
[125]
웹사이트
Migration Information Source
https://www.migratio[...]
2021-08-04
[126]
뉴스
Život u sjeni konstitutivnih naroda – Rumunji u BiH
http://www.prometej.[...]
2023-04-03
[127]
뉴스
IRES: Aproape 9 din 10 români se consideră religioși, dar doar 10% țin post
http://www.evz.ro/ir[...]
2015-04-12
[128]
웹사이트
Religious Belief and National Belonging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www.pewforum.[...]
2020-11-21
[129]
웹사이트
Orthodox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https://www.pewforum[...]
2020-11-21
[130]
웹사이트
Populaţia rezidentă după etnie şi religie (Etnii, Religii, Județe, Medii de rezidență)
https://www.recensam[...]
2024-12-06
[131]
웹사이트
National Report: Romania – Autumn 2006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Eurobarometer
2006
[132]
웹사이트
Barometrul de Opinie Publică
http://www.fundatia.[...]
2016-01-08
[133]
서적
Constantine and the Conversion of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reprint 2003) [Macmillan: Teach Yourself History, 1948, Medieval Academy of America: Reprint for Teaching, 1978]
2023-04-27
[134]
웹사이트
Istro-Romanians in Croatia
http://www.istro-rom[...]
2014-11-13
[135]
웹사이트
Romanian Y-DNA haplogroups
https://docs.google.[...]
2024-03-27
[136]
논문
Bulgarians vs the Other European Populations: A Mitochondrial DNA Perspective
https://link.springe[...]
2012
[137]
논문
Ancient human mitochondrial genomes from Bronze Age Bulgaria: new insights into the genetic history of Thracians
2019-12
[138]
논문
[139]
논문
Y-chromosome analysis in individuals bearing the Basarab name of the first dynasty of Wallachian kings
2012
[140]
서적
Human Y-chromosomal variation in European populations
Tartu University Press
2004
[141]
논문
Genetic Heritage of the Balto-Slavic Speaking Populations: A Synthesis of Autosomal,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ata
[142]
논문
Paleo-Balkan and Slavic Contributions to the Genetic Pool of Moldavians: Insights from the Y Chromosome
2013-01-16
[143]
웹사이트
I2a1b (I-M423) Y-DNA Genetic AncestralJourney
https://www.academia[...]
2014-08-13
[144]
논문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Similarity between Genes and Geography in Worldwide Human Populations
2012-08-23
[145]
논문
The phylogenetic and geographic structure of Y-chromosome haplogroup R1a
[146]
논문
Separating the post-Glacial coancestry of European and Asian Y chromosomes within haplogroup R1a
2010-04-01
[147]
논문
A major Y-chromosome haplogroup R1b Holocene era founder effect in Central and Western Europe
[148]
논문
Tracing Past Human Male Movements in Northern/Eastern Africa and Western Eurasia: New Clues from Y-Chromosomal Haplogroups E-M78 and J-M12
[149]
논문
The Carpathian range represents a weak genetic barrier in South-East Europe
2014
[150]
논문
Genetic affinities among the historical provinces of Romania and Central Europe as revealed by an mtDNA analysis
[151]
웹사이트
Population: demographic situation, languages and religions - Eurydice
https://eurydice.eac[...]
[152]
서적
동유럽의 민족과 문화
[153]
웹인용
Romanian
http://www.ethnologu[...]
2014-11-13
[154]
웹인용
Union Latine
http://unilat.org/DP[...]
2014-11-13
[155]
null
[156]
웹인용
6-8 Million Romanians live outside Romania's borders
http://www.ziuaveche[...]
2014-11-13
[157]
웹인용
Rezultate definitive ale Recensământului Populaţiei şi al Locuinţelor – 2011 (caracteristici demografice ale populaţiei)
http://www.recensama[...]
Romanian Institution of Statistic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