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프와 리프트라시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는 북유럽 신화에서 라그나로크 이후 살아남아 새로운 인류의 조상이 되는 인물들이다. 문헌에 따라 성별이 다르게 묘사되며, 《고 에다》의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과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에 등장한다. 라그나로크 동안 호드미미르의 숲에 숨어 아침 이슬을 먹고 살아남으며, 파괴 이후 부활한 세계에서 새로운 세상을 연다. 학계에서는 이들의 생존을 세계수 위그드라실과의 연관성, 인류 발생의 반복, 게르만 신화 속 나무와 인간의 관계 등과 연결하여 해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드 신화의 인물 - 니플룽
니플룽은 게르만 신화 및 영웅 서사시에서 다양한 문헌에 따라 부르군트 왕가, 난쟁이, 프랑크 왕조 등 여러 존재를 지칭하는 가문 또는 종족의 이름으로, 《니벨룽겐의 노래》와 《니벨룽의 반지》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 노르드 신화의 인물 - 시그리드 스토라다
시그리드 스토라다는 12세기 사가에 등장하는 인물로, 스웨덴 국왕 에리크 6세와 결혼했으나 헤어졌으며, 노르웨이와 덴마크의 왕들과의 관계를 통해 스볼드 전투에 영향을 미쳤고, 일부 역사학자들은 폴란드 공주 시비엥토스와바와 동일 인물로 추정되기도 한다. - 전설 속 조상 - 하이크
하이크는 아르메니아 민족의 시조로, 폭군 벨과의 싸움에서 승리하여 아르메니아인들의 자유를 지킨 전설적인 영웅으로, 그의 이름은 아르메니아와 아르메니아인을 뜻하는 말의 어원으로 여겨지며 아르메니아 문화와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전설 속 조상 - 이스마엘
이스마엘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아브라함과 하갈의 아들이며, 이복동생 이삭이 태어나기 전 사랑받았으나 이후 광야에서 활 쏘는 자가 되었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지며 특히 이슬람에서는 예언자이자 아랍 민족의 조상으로 존경받는다.
|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 |
|---|---|
| 신화 정보 | |
| 이름 |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
| 로마자 표기 | Lipeuwa Lipeuteurashireu |
| 다른 이름 | 라이프와 라이프트라스 |
| 신화 체계 | 노르드 신화 |
| 역할 | 인류의 조상 |
| 거주지 | 호트미미르의 숲 |
| 생존 방법 | 이슬 |
| 인물 정보 | |
| 리프 (Líf) | '생명, 삶'의 여성형 명사 |
| 리프트라시르 (Lífþrasir) | '리프를 사랑하는 자', 곧 '삶을 사랑하는 자', '삶의 열정' |
| 이야기 | |
| 생존 | 라그나로크 이후 호트미미르의 숲에서 생존 |
| 자손 번성 | 새로운 인류의 조상이 됨 |
| 신화적 의미 | 파괴 후의 재생, 삶의 지속, 희망의 상징 |
2. 어원 및 성별
자료에 따라 리프와 리프트라시르의 성별이 다르게 나타난다.[11]
2. 1. 성별에 대한 논란
자료에 따라 두 사람의 성별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북유럽 로망 게르만 신화』에서는 '''리프'''를 남성, '''리프트라시르'''를 여성으로 묘사하고 있지만[11], 271페이지에서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라는 남녀'''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반면, 일부 웹사이트에서는 성별을 명시적으로 반대로 기술하기도 하며https://mystery-hunter.net/?p=1025,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리프트라시르'''가 líf와 þrasir에서 유래한 고대 노르드어 남성 이름이라고 기재하는 등 성별 해석이 혼란스러운 측면이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원어의 원본 묘사에서 두 사람의 성별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3. 주요 등장 자료
리프와 리프트라시르는 고대 노르드 문헌에 등장한다. 《고 에다》와 《산문 에다》에서 언급된다.
3. 1. 《고 에다》
《고 에다》에 수록된 시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오딘은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에게 핌불베트르에서 살아남을 인간에 대해 질문한다. 바프스루드니르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가 호드미미르의 숲(en)에 숨어 아침 이슬을 먹고 살 것이며, 그들로부터 새로운 세대가 솟아날 것이라고 답한다.[3]『고 에다』의 『바프스루드니르의 말』 제45절에서는 라그나로크로 인해 세계가 붕괴하고 핀불의 겨울이 닥쳐오는 동안, 두 사람이 아침 이슬을 마시며 살아남았다고 전한다.
3. 2. 《신 에다》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53장에서 하이는 간글레리(변장한 길피 왕)에게 리프와 리프트라시르라는 두 사람이 "수르트의 불" 동안 호드미미스 홀트에 숨어 있을 것이며, "이 사람들로부터 세상이 채워질 정도로 엄청난 자손이 태어날 것이다"라고 말하며, 앞서 언급한 《바프스루드니르말》의 연이 인용된다고 설명한다.[4]4. 라그나로크와 그 이후
라그나로크 이후, 대지가 바다에서 다시 솟아오르고 파괴와 붕괴로부터 되살아난 세계에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외에도 오딘의 아들 비다르를 비롯한 새로운 세계를 다스리는 신들도 살아남았다.[9][12] 이들은 '''죽은 자의 나라'''에서 돌아온 발드르와 만난다고 전해진다.[10]
4. 1. 라그나로크에서의 생존
《고 에다》에 수록된 시 《바프스루드니르말》에서 오딘은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에게 세상의 종말을 알리는 겨울인 핀불의 겨울가 닥쳤을 때 인류 중 누가 살아남을 것인지 질문한다. 바프스루드니르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가 그들이며, 그 둘은 호드미미스홀트 숲 속에 숨어 아침 이슬을 먹고 살 것이며, "그들로부터 새로운 세대가 솟아날 것이다"라고 답한다.[3]《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제53장에서는 하이가 간글레리(변장한 길피 왕)에게 리프와 리프트라시르라는 두 사람이 "수르트의 불" 동안 호드미미스홀트에 숨어 있을 것이며, "이 사람들로부터 세상이 채워질 정도로 엄청난 자손이 태어날 것이다"라고 말한다. 앞서 언급한 《바프스루드니르말》의 연이 인용된다.[4]
『고 에다』의 『바프스루드니르의 말』 제45절 및 『스노리 에다』 제1부 『길피의 속임수』 제53장에 따르면, 라그나로크로 인해 세계가 붕괴하고, 핀불의 겨울이 닥쳐와 수르트가 뿜어낸 불꽃이 온 세상을 뒤덮는 동안, 두 사람은 호드미미르의 숲(en)에 숨겨져 있었다. 두 사람은 아침 이슬을 마시며 살아남았다.
4. 2. 라그나로크 이후의 세계
대지가 바다에서 모습을 드러내고, 파괴와 붕괴로부터 되살아난 세계에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 외에도 오딘의 아들 비다르를 비롯한 새로운 세계에 군림하는 신들도 살아남았다.[9][12] 이들은 '''죽은 자의 나라'''에서 귀환한 발드르와 만난다고 전해진다.[10]5. 학계의 해석
캐롤린 래링턴은 라그나로크에서 세계수 위그드라실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명확하게 언급된 곳은 없다는 점에 주목하며, 무녀의 예언에서 미미르와 위그드라실 사이의 연관성을 지적하고, "호드미미르가 미미르의 또 다른 이름이며, 두 생존자가 위그드라실에 숨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이론화한다.[5]
루돌프 시메크는 리프와 리프트라시르의 생존이 "에다 종말론의 순환적 본성에서 이해할 수 있는 인류 발생의 중복 사례"라고 이론화한다. 시메크는 호드미미스의 숲을 "두 사람이 숨어 있는 숲이나 숲으로 문자 그대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세계수 위그드라실의 또 다른 이름으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라그나로크 이후에도 나무 줄기(아스크, 엠블라)에서 인류가 창조되는 것이 반복된다."라고 말한다. 시메크는 게르만어파 지역에서 나무에서 시작된 인류의 개념이 오래되었다고 말한다. 또한 바이에른의 한 전설에서 나무 안에 사는 양치기의 전설적인 유사점을 지적하는데, 이 양치기의 후손들은 역병으로 인해 땅에 생명체가 사라진 후 그곳을 다시 채운다(F. R. 슈뢰더의 재해석을 인용). 시메크는 외르바르-오드르의 인물에서 고대 노르드 유사점을 지적하며, "나무 인간으로 살다가 젊어지는 인물(''외르바르-오드의 사가'' 24–27)"이라고 말한다.[6]
참조
[1]
서적
líf
[2]
서적
Lífþrasir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8]
서적
[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0]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1]
서적
北欧のロマンゲルマン神話
[1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3]
서적
ペルシア神話
[14]
서적
líf
[15]
서적
Lífþrasi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