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미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미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지혜와 지식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아스 신족과 바니르 신족 간의 전쟁 이후, 미미르는 바니르 신족에게 인질로 보내졌으나, 그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참수당했다. 오딘은 미미르의 머리를 부패하지 않도록 보존하고 마법의 힘으로 되살려 중요한 조언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신 에다》에서는 미미르가 미미르의 샘물을 마시고 지혜를 얻었으며, 그 대가로 오딘의 눈을 요구했다는 이야기가 등장한다. 미미르는 서리 거인으로 여겨지기도 하며, 어원은 '생각하다'라는 의미의 인도유럽조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 에다》, 《신 에다》, 《헤임스크링글라》 등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되며, 현대 대중문화, 특히 2018년 비디오 게임 《갓 오브 워》에도 등장한다.

2. 신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오딘의 상담자 역할을 했다고 하는 현명한 신이다. 거인족이며 오딘의 숙부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윙글링 일족의 사가》에 따르면, 아스-반 전쟁이 끝나고 두 신족이 휴전할 때 아스 측에서 회니르와 함께 바나헤임에 인질로 보내졌다. 반 측은 회니르를 수령으로 정했지만, 그가 기대만큼의 인재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미미르의 머리를 잘라 아스 측에 돌려보냈다.[15]

그 뒤 오딘은 미미르의 머리가 부패하지 않도록 약초를 바르고[16] 마력으로 되살려내어,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이 머리에 상담을 했다고 전해진다.[15] 라그나로크가 도래했을 때에도 오딘은 가장 먼저 이 머리에 조언을 청했다.[17][18]

신 에다》 15장 <길피의 속임수>에 따르면, 미미르가 현명한 이유는 그가 지키는 미미르의 샘 물을 걀라르호른으로 마셨기 때문이며, 오딘이 물을 마시는 대가로 그의 안구를 바칠 것을 요구했다고 한다.[19]

미미르는 서리 거인으로 생각되나, 연구자나 시를 쓴 사람에 의하면 물과 관련된 여러 자연현상의 상징, 즉 '물의 거인'으로 여겨지며, 미미르의 샘에서 머리만 내밀고 있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20]

시구르드 노르달은 오딘이 목매달아 죽은 사람에게 질문하면, 그들이 생전에 특별히 현명하지 않았음에도 다양한 소식을 이야기했다는 전설과 아이슬란드에는 갓 죽은 남성이나 아이의 머리가 여러 소식을 알고 있었다는 전설을 연결지어, 현재 알려진 '미미르의 머리' 이야기가 되었다고 추측한다.[20]

2. 1. 어원

미미르(Mímir)와 밈(Mim)이라는 이름은 역사 언어학자들에게 어려운 문제였다. 하지만,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어원은 미미르가 '생각하다, 기억하다, 숙고하다, 걱정하다'를 의미하는 재귀인도유럽조어 동사 *''(s)mer-'*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산스크리트어의 ''smárati'', 아베스타어의 ''hi-šmaraiti'', 고대 그리스어의 ''mermaírō'', 고트어의 ''maúrnan''과 비교).[1]

학자들은 미미르와 밈이라는 이름이 현대 영어 단어 'memory'(기억) 및 그와 관련된 개념과 궁극적으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한다.[1] 예를 들어, 학자 루돌프 지멕(Rudolf Simek)은 이 이름을 '기억하는 자, 현명한 자'라는 의미로 해석한다.[2]

2. 2. 《고 에다》에서의 등장

《볼루스파》에서는 미미르가 두 번 언급된다. 28절에서는 오딘이 미미르의 샘에 눈을 바친 것을 언급하며, 미미르가 매일 아침 "죽은 자의 아버지(오딘)의 내기"에서 꿀술을 마신다고 한다.[3] 46절에서는 라그나로크에 대한 언급으로, "운명이 불타는" 동안 미미의 "아들들"이 놀고 있으며,[4]헤임달걀라르호른을 불고, 미미르의 잘린 머리가 오딘에게 조언을 한다고 묘사한다. 《시그르드리파말》 14절에서도 미미르의 말하는, 목이 잘린 머리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푤스빈스말》의 20절과 24절은 위그드라실을 '미마메이드르'라고 언급한다.

2. 3. 《신 에다》에서의 등장

신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15장에서는 미미르가 자신의 이름을 딴 우물의 물을 마시고 큰 지혜를 얻는다고 한다. 그는 이 우물에서 물을 마시기 위해 걀라르호른을 사용하는데, 이 뿔피리는 헤임달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사용하는 뿔피리와 이름이 같다. 이 우물은 이그드라실의 세 뿌리 중 하나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요툰헤임서리 요툰의 영역에 있다고 한다. 또한 미미르가 매우 현명한 이유는 그가 지키는 미미르의 샘 물을 걀라르호른으로 마셨기 때문이며, 오딘이 물을 마시는 대가로 그의 안구를 담보로 요구했다고 한다.[19]

미미르는 서리 거인으로 생각되지만, 연구자 혹은 시를 쓴 사람에 의하면 미미르는 물과 관련된 여러 자연현상의 상징이며, '물의 거인'이라고도 불린다. 그는 자신이 지키는 미미르의 샘에서 머리만 내밀고 있었다고 해석되기도 한다.[20]

시구르드 노르달은 오딘이 목매달아 죽은 자에게 질문을 하면, 그들이 생전에 특별히 현명하지 않았음에도 다양한 소식을 이야기했다는 전설과 아이슬란드에는 죽은 지 얼마 안 된 남성이나 아이의 머리가 다양한 소식을 알고 있다는 전설을 언급한다. 그는 이러한 전설들이 미미르의 참수와 결부되어 현재 알려진 "미미르의 목" 이야기가 되었다고 추측한다.[20]

《산문 에다》의 〈길피의 속임수〉 51장에서는, 라그나로크가 시작되자 헤임달이 일어나 걀라르호른을 불어 모든 신들을 깨우고 의회를 연다고 한다. 오딘은 자신과 추종자들을 위해 조언을 구하고자 미미르의 우물로 간다. 이때 물푸레나무 이그드라실이 흔들리고, 하늘과 땅의 그 무엇도 두려움이 없는 것이 없다고 묘사된다.[5]

《산문 에다》의 《시어의 언어》에서는 미미르의 이름이 다양한 케닝에 나타난다. "미미르의 친구"(오딘을 칭함), "재앙의 미미르"(요툰에 대한 케닝)[6], 그리고 요툰의 이름 목록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7]

2. 4. 《헤임스크링글라》에서의 등장

미미르는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임스크링글라》에 수록된 사가인 《잉글링가 사가》의 4장과 7장에서 언급된다. 4장에서 스노리는 아르-바니르 전쟁에 대한 신화화된 설명을 제시한다. 스노리에 따르면 양측은 전쟁에 지쳐 휴전을 맺고 인질을 교환하기로 합의했다. 바나헤임르는 아스가르드뇨르드와 그의 아들 프레이를 보냈고, 아사랜드는 호니르를 보냈다. 또한, 아르 신족은 위대한 지혜를 가진 사람으로 묘사되는 미미르를 바나헤임르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으로 묘사되는 크바시르와 교환했다.[8]

스노리는 호니르가 바나헤임르에 도착하자마자 족장이 되었고 미미르가 그에게 종종 좋은 조언을 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호니르가 미미르 없이 회의와 팅에 참석했을 때 그는 항상 "다른 사람들이 결정하게 하시오."라고 대답했다.[8] 그 후, 바니르 신족은 아르 신족에게 속았다고 의심하여 미미르를 붙잡아 참수하고 그의 머리를 아스가르드로 보냈다. 오딘은 미미르의 머리를 가져다가 썩지 않도록 약초로 처리하고 주문을 걸어 비밀을 밝힐 수 있는 능력을 부여했다.[8] 미미르의 머리는 7장에서 오딘과 관련하여 다시 언급되며, 오딘은 미미르의 머리를 곁에 두고 다른 세계의 정보를 밝혔다고 묘사된다.[9]

3. 여러 해석

북유럽신화에서 오딘의 상담자 역할을 했다고 알려진 현명한 신이자 거인족이며, 오딘의 숙부로 여겨진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윙글링 일족의 사가》에 따르면, 아스-반 전쟁이 끝난 후 휴전할 때, 아스 측에서 회니르와 함께 바나헤임에 인질로 보내졌다. 반은 회니르를 수령으로 삼았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미미르의 머리를 잘라 아스 측에 돌려보냈다.

오딘은 미미르의 머리가 부패하지 않도록 약초를 바르고 마력으로 되살려 중요한 일이 있을 때마다 상담했다고 전해진다. 라그나로크가 도래했을 때도 오딘은 먼저 이 머리에 조언을 청했다.

신 에다》 15장 <길피의 속임수>에 따르면, 미미르가 현명한 이유는 그가 지키는 미미르의 샘 물을 걀라르호른으로 마셨기 때문이며, 오딘에게 물을 마시는 대가로 그의 눈을 요구했다고 한다.

미미르는 서리 거인으로 생각되지만, 연구자나 시인에 따라 물과 관련된 자연 현상의 상징, 즉 '물의 거인'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미미르의 샘에서 머리만 내밀고 있었다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시귀르뒤르 노르달은 오딘이 목매달아 죽은 사람에게 질문하면 생전에 특별히 현명하지 않았음에도 다양한 소식을 이야기했다는 전설과, 아이슬란드에는 막 죽은 남성이나 아이의 머리가 여러 소식을 알고 있었다는 전설이 있다는 점에서 미미르의 잘린 머리와 연결지어 현재 알려진 '미미르의 머리'에 관한 이야기가 되었다고 추측한다.

《하바말》 140절에 따르면, 오딘은 어머니 베스틀라의 이름 없는 형제로부터 아홉 개의 마법 노래를 배운다. 일부 학자들은 이 형제가 미미르일 수 있으며, 미미르가 오딘의 외삼촌임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것은 또한 미미르의 아버지가 볼쏜임을 의미한다.[10]

빅토르 뤼드베르크는 미미르의 아내가 《피올스빈스말》에 언급된 신마라라고 주장했다. 뤼드베르크에 따르면, "신마라" (힘줄-미미르)는 "미미르-니드하드"의 "왕비가 뵐룬드의 햄스트링을 절단하라고 명령"하는 것을 가리킨다.[11]

4. 《데인인의 사적》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저술한 역사서 『데인인의 사적』에는 숲의 신(사티로스)[21]미밍[22][23]이 등장한다.[24] 야마무로 시즈카는 이 미밍을 미미르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25] 미밍은 발드르를 유일하게 쓰러뜨릴 수 있는 검을 지키고 있었다. 또한 손에 넣은 자에게 부를 가져다주는 팔찌[26]도 소유하고 있었다. 어느 날, 발드르를 쓰러뜨리기로 결심한 호드가 젖형제인 난나의 아버지 게바르스의 가르침을 받아 그 검을 찾아 미밍을 찾아갔다. 미밍은 호델스에게 붙잡혀 검과 팔찌를 빼앗겼다.[24]

5. 대중문화 속 미미르

산타 모니카 스튜디오의 2018년 액션 어드벤처 게임 갓 오브 워와 2022년 후속작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에 등장한다.[12] 두 게임 모두에서 스코틀랜드 배우 앨러스테어 던컨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13]

참조

[1] 서적 Lincoln 1991
[2] 서적 Simek 2007
[3] 서적 Larrington 1999
[4] 서적 Larrington 1999
[5] 서적 Byock 2006
[6] 서적 Faulkes 1995
[7] 서적 Faulkes 1995
[8] 서적 Hollander 2007
[9] 서적 Hollander 2007
[10] 서적 Rydberg 1886
[11] 서적 Rydberg 2003
[12] 웹사이트 How God of War Ragnarök's characters compare to actual Norse myth https://www.polygon.[...] 2022-11-07
[13] 웹사이트 God of War Ragnarok Cast: Every Character and Voice Actor https://www.denofgee[...] 2022-11-08
[1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5] 서적 『北欧の神話』
[16] 서적 菅原
[17] 서적 『北欧の神話』
[18]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19]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0]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21] 서적 菅原
[22]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23] 서적 『北欧神話』(菅原)
[24]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25] 서적 『北欧の神話』
[26] 서적 『デンマーク人の事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