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귀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링귀니는 '혀'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된 파스타의 한 종류로, 납작한 형태의 면을 가지고 있다. 1700년대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처음 기록되었으며, 세몰리나 밀가루 또는 듀럼 밀가루로 만들어진다. 조리 시에는 소금을 넣고 끓는 물에 삶아 알 덴테 상태로 만들며, 소스가 잘 묻어나는 특징 때문에 해산물 요리에 주로 사용된다. 스파게티와 링귀니는 모두 긴 면 파스타에 속하며, 모양, 재료, 조리법 등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국수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 밀국수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파스타 - 스트란고치
- 파스타 - 마카로니
듀럼밀로 만든 튜브 형태의 파스타인 마카로니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전 세계에서 활용되고 특히 마카로니 앤 치즈나 마카로니 샐러드 등으로 즐겨 먹는다. - 이탈리아 요리 - 피자
피자는 튀르키예 피데에서 유래하여 납작한 빵에 토핑을 얹어 구운 요리로,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토마토와 치즈를 사용하여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으며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전했다. - 이탈리아 요리 - 젤라토
젤라토는 이탈리아 전통 수제 방식으로 만든 아이스크림으로, 낮은 공기 함량과 유지방 함량으로 인해 일반 아이스크림보다 밀도가 높고 칼로리가 낮으며, 16세기 이탈리아에서 기원하여 여러 인물의 기여와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고, 이탈리아에서는 수제 젤라토가 여전히 인기 있다.
링귀니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파스타 |
기원 | 이탈리아 |
지역 | 리구리아주 |
주재료 | 밀가루, 달걀 |
변형 | 링귀네티네 |
어원 | 작은 혀 |
영양 정보 | |
열량 | 제공량에 따라 다름 |
기타 | |
폭 | 약 4 mm |
관련 기념일 | https://www.kxnet.com/news/national-day-calendar-national-linguine-day/ (9월 15일) |
2. 어원
링귀니는 '혀'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lingua''에서 유래되었다. 라틴어와 가장 가까운 현대 언어는 이탈리아어이며, 이탈리아어 단어 ''linguine''(여성형 ''linguina''의 복수형)는 '작은 혀'를 의미한다. 링귀니보다 더 얇은 형태는 ''linguettine''이라고 한다.[11] 링귀니는 모양으로 이름을 설명하는 파스타 종류 중 하나이다(좁고 납작한 파스타).[1]
링귀네는 납작한 형태의 스파게티의 한 종류로, 1700년대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경제학자이자 작가인 줄리오 지아케로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12] 지아케로는 1700년대 제노바 경제에 관한 책에서 링귀네를 강낭콩, 감자, 제노바 특산물인 바질 페스토와 함께 제공했다고 기록하며,[12] 이것이 당시 리구리아 가문의 전형적인 축제 요리였다고 주장한다.[13]
링귀니 생산은 세몰리나 밀가루 또는 듀럼 밀가루와 물을 섞어 반죽을 만드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 반죽을 얇게 펴서 납작한 면으로 자른다. 전통적으로 파스타 제조는 손으로 하는 노동 집약적인 과정이었지만, 현대적인 생산 방식으로 이 과정이 간소화되었다.[15]
링귀니는 탄수화물, 섬유질, 지방, 단백질, 무기질의 공급원이다.[17]
마른 링귀니는 소금을 넣고 끓는 물에 삶는다.
링귀니와 스파게티는 모두 이탈리아 요리에 사용되는 긴 면 파스타이다.[19] 펜네, 파르팔레 등 다양한 모양의 파스타가 있지만,[19] 링귀니와 스파게티는 긴 면 파스타에 속한다. 긴 면을 가진 다른 파스타로는 페투치네, 엔젤 헤어, 카펠리니 등이 있다.
3. 역사
리구리아는 이탈리아 북서부 해안 지역으로, 리구리아 해에 접해 있으며, 고대 항구인 제노바가 중심지이다. 바질 페스토는 리구리아의 전통 요리이며, ''페스토 알라 제노베세''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페스토 요리는 링귀네 위에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14]
4. 생산
밀은 통밀가루로 갈아 물과 반죽하여 통곡물 링귀니를 만들 수도 있다.[16]
5. 영양 성분
영양소 함량 열량 (kcal) 433 탄수화물 (g) 58.9 단백질 (g) 8.89 섬유질 (g) 2.2 지방 (g) 17.8 콜레스테롤 (mg) 11 칼슘 (mg) 167 철분 (mg) 1.6 나트륨 (mg) 1270
6. 조리법
링귀니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살짝 저어주고, 8~10분 또는 알 덴테가 될 때까지 삶는다.
면이 익는 동안, 원하는 소스를 다른 팬에서 준비한다. 그런 다음 링귀니는 여과기를 사용하여 물기를 뺀다. 나중에 소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므로 파스타 물 한 컵을 따로 보관한다.[18]
7. 링귀니와 스파게티
7. 1. 모양
링귀니와 스파게티의 주요 차이점은 모양이다.[19] 링귀니는 납작한 면인 반면,[19] 스파게티는 둥근 면이다.[19] 링귀니의 납작한 모양은 소스가 달라붙는 표면적을 제공하여 해산물 요리에 더 흔하게 사용된다.[20]
7. 2. 재료
링귀니와 스파게티는 전통적으로 듀럼 또는 세몰리나 밀가루로 만들어진다.[21] 감자나 쌀과 같은 다른 종류의 밀가루로도 만들 수 있지만, 전통적인 방식은 밀을 사용한다.
7. 3. 조리 방법
마른 링귀니는 소금을 넣고 끓는 물에 삶는다. 링귀니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살짝 저어주고, 8~10분 또는 알 덴테가 될 때까지 삶는다.[18] 면이 익는 동안, 원하는 소스를 다른 팬에서 준비한다. 그런 다음 링귀니는 여과기를 사용하여 물기를 뺀다. 나중에 소스의 농도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므로 파스타 물 한 컵을 따로 보관한다.[18] 링귀니 요리는 면을 알 덴테로 준비하는데, 이는 면이 약간 단단한 상태에서 뜨거운 물에서 꺼낸다는 의미이다.[22]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LINGUINE
https://www.merriam-[...]
2020-02-11
[2]
백과사전
linguini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linguina in Vocabolario - Treccani
https://www.treccani[...]
2022-06-14
[4]
웹사이트
Fresh Pasta widths and serving sizes Lasagne sheets and Asian Noodles
https://web.archive.[...]
2020-02-11
[5]
웹사이트
CNN Food Central - Resources: Pasta Shapes and Sizes
http://www.cnn.com/F[...]
2020-02-11
[6]
웹사이트
Linguine
https://pastafits.or[...]
2020-02-11
[7]
웹사이트
About Linguine
https://ifood.tv/ita[...]
2020-02-11
[8]
웹사이트
Linguine, su barillafoodservice.it. URL consultato l'11 marzo 2019.
https://www.barillaf[...]
[9]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Linguine, Spaghetti and Fettuccine
http://pastamania.co[...]
2020-02-11
[10]
웹사이트
NATIONAL DAY CALENDAR: National Linguine Day
https://www.kxnet.co[...]
2024-04-26
[11]
웹사이트
Linguine & Linguettine
https://web.archive.[...]
2020-02-11
[12]
웹사이트
Spotlight Series: All About Linguine
https://www.delallo.[...]
2024-04-13
[13]
웹사이트
A Little Linguini History
https://www.pastini.[...]
2024-04-24
[14]
서적
Taste Pasta
https://www.taste.co[...]
[15]
웹사이트
The Glorious Pasta of Italy - The Libraries Consortium - OverDrive
https://tlc.overdriv[...]
2024-04-26
[16]
뉴스
Fiber Meets Flavor in New Whole-Grain Pastas
https://www.nytimes.[...]
2024-04-24
[17]
웹사이트
FoodData Central
https://fdc.nal.usda[...]
2024-04-25
[18]
웹사이트
New Cookbook
https://www.pastagra[...]
2024-04-24
[19]
웹사이트
Popular types of pasta: Why their shape matters
https://tangent.usat[...]
2024-04-24
[20]
웹사이트
All Editions of 123 Seafood Linguine Recipes: Discover Seafood Linguine Cookbook NOW!
https://www.thriftbo[...]
2024-04-26
[21]
뉴스
From Italy, the Truth About Pasta; The Italians know that less is more: a call for a return to basics
https://www.nytimes.[...]
2024-04-26
[22]
뉴스
Hints From Heloise: The meaning of ‘al dente’
https://www.washingt[...]
2024-04-26
[23]
서적
프랑스 食の事典
株式会社白水社
[24]
웹사이트
リングイネ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4-03-17
[25]
서적
Encyclopedia of Pasta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26]
웹사이트
Chef Flay
http://www.cbsnews.c[...]
[27]
서적
파스타
랜덤하우스
2010
[28]
서적
민희, 파스타에 빠져 이탈리아를 누비다
푸른숲
20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