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라바 커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라바 커피는 르완다 마라바 지역에서 생산되는 스페셜티 커피이다. 1999년 220명의 커피 재배자들이 협동조합을 결성하여 커피 품질을 개선하고, 2000년대 초 미국 및 유럽 시장에 진출했다. 르완다의 컵 오브 엑설런스 대회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며 품질을 인정받았으며, 2006년에는 연간 80톤의 커피를 수출했다. 마라바 커피는 다양한 브랜드의 커피 및 커피 맥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영국과 미국 등지에서 유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커피 상표명 - 털리스 커피
    털리스 커피는 1992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스타벅스와 경쟁했으나 미국 사업은 종료되었고, 1997년 일본에 진출하여 25세 이상 고객층을 타겟으로 일본 3대 커피 체인 중 하나로 성장했다.
  • 커피 상표명 - 시애틀스 베스트 커피
    시애틀스 베스트 커피는 1969년 '웻 위스커'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여러 인수합병을 거쳐 성장, 현재는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커피 음료와 식사 메뉴를 제공하는 커피 회사이다.
마라바 커피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라바 커피
마라바 커피
종류뜨겁거나 차가운 음료 (보통 뜨거운 음료)
원산지후예 지역
소개21세기
색상검정색, 짙은 갈색, 밝은 갈색, 베이지색

2. 역사

마라바 원두는 품질에 따라 손으로 분류된다.


르완다는 식민지 시대부터 커피를 재배해 왔지만, 1999년까지 낮은 등급으로 분류되어 국제 시장에서 판매가 어려웠다.[1] 농부들은 커피 체리를 제때 세척하고 규격에 맞게 준비할 방법이 없었고, 낮은 가격으로 인해 가난을 벗어나지 못했다.[2]

1999년, 마라바 지역(구 부타레 주)의 커피 재배자 220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협회를 결성했다.[3] 이들은 협회 이름을 ''아바후자무감비''(Abahuzamugambi)라고 지었는데, 이는 키냐르완다어로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뜻한다. 이들 중 다수는 1994년 대량 학살로 가족을 잃었거나, 살인에 연루되어 가차차 재판을 받아야 하는 남편이 수감된 농부들이었다.[3] 농부들은 협동조합을 통해 중개상 없이 키갈리의 수출업자에게 직접 판매하여 수익을 늘리고, 그 수익으로 도구, 비료, 종자를 구매하여 수확량을 늘리고자 했다.[4]

2000년, 마라바 시장은 부타레에 있는 르완다 국립 대학교(UNR)에 개발 원조를 요청했고, 이듬해 UNR은 르완다 농업 연계 강화 파트너십(PEARL) 설립을 지원했다.[4] 미국 국제 개발처(USAID), 미시간 주립 대학교, 텍사스 A&M 대학교 등 여러 단체가 PEARL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PEARL은 2001년 2월 ''아바후자무감비''와 협력하여 커피 품질을 개선하기 시작했다.[4]

커피 콩의 끈적한 외부 코팅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 시설이 필요했는데, 이는 수확 후 12시간 이내에 제거하지 않으면 커피 풍미를 손상시킬 수 있었다.[5] 2001년 7월, UNR 등의 지원으로 첫 세척 시설이 건설되었고,[4] 2002년에는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후예산에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을 설치했다.[4]

2002년 수확부터는 새로운 인증 시스템이 도입되어 ''아바후자무감비'' 회원 중 절반이 인증을 획득,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 구매자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4]

PEARL은 르완다에 스페셜티 커피 전문가를 초청하여 마라바 커피의 마케팅을 도왔고, 루이지애나에 본사를 둔 Community Coffee라는 판매업체와 연결시켜주었다.[6] 2002년 6월, Community의 대표자가 마라바를 방문했을 때 르완다 대통령 폴 카가메도 이 자리에 참석했다.[7] Community는 마라바 원두 18000kg을 1kg당 평균 이상인 3USD에 구매했다.[7] 이는 미국 로스터와 아프리카 커피 협동조합 간의 최초의 직접 계약이었다.[1]

코믹 릴리프는 1994년 르완다 집단 학살 희생자 미망인 협회인 ''Association des Veuves du Genocide''(AVEGA)에 기부했고, 마라바 소규모 농부들 중 많은 수가 AVEGA의 회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고 자금과 지원을 제공했다. 공정무역 라벨링 기구(FLO) 관계자들과 함께 2002년 마라바를 방문하여 인증을 부여했고, 마라바 커피는 르완다 협동조합 중 최초로 공정 무역 지위를 획득했다.[9] Union Coffee Roasters(UCR)는 2002년 수확량 전부를 구매했다.[4][10]

UCR은 2003년 초 Sainsbury's 슈퍼마켓을 통해 마라바 커피를 유통했으며,[11] 같은 해 ''Abahuzamugambi'' 협동조합은 3.5만달러의 순이익을 올렸다. 이 중 70%는 농부들에게 1kg당 0.75달러로 분배되었는데, 이는 르완다의 다른 커피 재배자들에게 지급되는 금액의 세 배 이상이었다.[13] 나머지 30%는 협동조합에 재투자되었다.[4]

2003년, PEARL은 운영이 자립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재정 지원을 줄였다. 협동조합은 농부들에게 대출을 제공하여 생활 수준을 개선하고, 가축 투자, 의료 보험, 교육 등을 지원했다. 3월에는 협동조합 은행이 개설되어 농부들이 자금을 현지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15]

마라바의 키지 품질 실험실


2004년 말, 민타임 브루잉(Meantime Brewing)은 마라바 원두로 만든 커피 맥주를 출시했다.[16] 이 맥주는 알코올 도수 4%에 커피와 같은 카페인 함량을 가졌으며, 바닐라와 초콜릿 향이 특징이었다.[16] 2006년까지 영국에서 판매되는 두 개의 Fairtrade 맥주 중 하나였으나,[17] 이후 커피 비율 감소와 알코올 함량 증가로 Fairtrade 지위를 잃었다.[18] 2006년 비어 월드컵에서 커피 맛 맥주 부문 금메달을 수상했다.[19]

협동조합은 성장하면서 카부예(2004년),[20] 소부(2005년),[21] 키빙고(2007년)에 추가 세척 시설을 건설했다.[22]

2006년, 카린 잠틴 스웨덴 국제 개발 협력부 장관이 마라바를 방문하여 스웨덴과의 협력 확대 및 스웨덴 시장 진출을 모색했다.[23] 같은 해 7월, PEARL의 조정으로 원격 정보 센터가 개설되어 USAID 등이 자금과 자원을 제공했다.[24] USAID는 SPREAD 프로그램을 통해 마라바를 포함한 르완다 커피 산업과 협력하여 농부들의 협동조합 접근성을 개선하고, 커피의 특정 맛 특성을 파악하는 데 힘썼다.[25] 2011년, 프랑스 경제학자 티에리 쿨레는 SPREAD 프로그램이 마라바 커피의 원산지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고 기록했다.[26]

2008년, 르완다는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컵 오브 엑설런스 대회를 개최했다. 국가 패널이 여러 프리미엄 커피를 맛보고 선정했으며, 이 커피는 키지의 마라바 연구소에서 열린 테이스팅 행사에서 국제 커피 전문가 패널이 점수를 매겼다.[27] 심사위원들은 24개 농장의 커피에 컵 오브 엑설런스 상을 수여했으며, 이 중 3곳은 마라바 커피 협동조합원이었다.[28] 컵 오브 엑설런스 행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르완다에서 개최되었으며, 2018년에도 다시 개최되었고, 매번 ''아바후자무감비 바 카와''(Abahuzamugambi ba Kawa) 농장이 우승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9][30][31][32][33][34][35]

마라바 커피는 2012년에 창립 10주년을 기념했다. 당시 협동조합의 재배 농가 수는 1,400곳이었고, 자산 총액은 2.5억르완다 프랑(40만달러)이었다.[36]

2013년부터 협동조합은 확장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15년까지 1550ha의 새로운 커피 재배지를 추가했으며, 같은 해에 첫 수확을 했다. 이 프로그램은 협동조합의 농장 면적을 최대 2100ha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마라바는 시장에 양질의 커피 양이 늘어나면서 다른 재배 농가들과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확장 프로그램의 지도자들은 구매자들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품질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38]

2. 1. 기원

르완다인들은 식민지 시대부터 커피를 재배해 왔지만, 1999년까지 이 제품은 C등급 이하로 분류되어 국제 시장에서 판매할 수 없었다.[1] 농부들은 커피 체리를 적시에 세척하고 규격에 맞게 준비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구매자들은 킬로그램당 0.33USD를 지불했는데, 이 가격은 농부들을 가난하게 만들었다.[2]

1999년, 220명의 커피 재배자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라바 지역(구 부타레 주)에 협회를 결성했다. 이 농부들 중 많은 수가 1994년 대량 학살로 가족을 잃었고, 다른 농부들은 살인에 연루되어 전통적인 가차차 재판에서 재판을 받아야 하는 남편이 수감되어 있었다.[3] 그들은 이 협회를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뜻하는 키냐르완다어 단어인 '아바후잠감비(''Abahuzamugambi'')'라고 명명했다. 농부들은 협회를 결성하여 중개 운송 회사를 거치지 않고 키갈리의 수출업자에게 직접 판매함으로써 수익을 증가시키기를 희망했다. 그들은 수익을 분배하고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도구, 비료 및 종자를 구입하는 데 사용했다.[4]

2000년, 마라바 시장은 인근 부타레에 위치한 르완다 국립 대학교(UNR)에 개발 원조를 요청했고, 다음 해에 UNR은 르완다 농업 연계 강화 파트너십(PEARL)을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미국 국제 개발처(USAID), 미시간 주립 대학교, 텍사스 A&M 대학교 및 UNR, 국립 농업 연구소(ISAR), 키갈리 과학 기술 경영 연구소(KIST)를 포함한 다양한 르완다 기관들이 PEARL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PEARL은 2001년 2월에 '아바후잠감비'와 협력하여 미국 특수 커피 시장에서 요구하는 기준에 맞춰 커피 품질을 개선하기 시작했다.[4]

마라바의 커피 농부들은 먼저 커피 콩의 껍질 아래에 있는 끈적끈적한 설탕이 풍부한 외부 코팅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 시설이 필요했다. 이 설탕을 수확 후 12시간 이내에 제거하지 않으면 발효될 수 있으며, 커피의 풍미가 손상된다.[5] 그들은 2001년 7월에 주요 도로 근처의 챠룸보 구역에 UNR, '르완다 산업 문화 사무소'(OCIR-Café), ACDI/VOCA, '르완다 농업 과학 연구소'(ISAR)의 자금 지원을 받아 첫 번째 시설을 건설했다. 개장은 수확철 말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 해 수확량 중 200kg만 세척에 적합했다. 그러나 결과는 상당히 좋았고, 2002년에는 더 많은 커피를 가공할 수 있도록 시설이 업그레이드되었다. 후예산에서 업그레이드된 시설로 생수를 가져오기 위해 ACDI/VOCA는 2002년 3월에 개통된 파이프라인 자금 지원을 도왔다.[4]

2002년 수확을 위해 새로운 인증 시스템이 도입되어 시설로 가져온 콩이 적절한 품질을 갖도록 했다. '아바후잠감비' 회원 중 약 절반이 인증을 획득했으며, 이를 통해 협동조합은 유럽과 북미의 특수 시장에서 진지한 구매자를 찾을 수 있었다.[4]

2. 2. 국제적 인정

PEARL은 르완다에 스페셜티 커피 전문가를 초청하여 마라바 커피의 마케팅을 도왔고, 루이지애나에 본사를 둔 Community Coffee라는 판매업체와 연결시켜주었다.[6] 2002년 6월, Community의 대표자가 마라바를 방문했을 때 르완다 대통령 폴 카가메도 이 자리에 참석했다.[7] Community는 마라바 원두 18000kg을 1kg당 평균 이상인 3USD에 구매했다.[7] 이는 미국 로스터와 아프리카 커피 협동조합 간의 최초의 직접 계약이었다.[1]

코믹 릴리프는 1994년 르완다 집단 학살 희생자 미망인 협회인 ''Association des Veuves du Genocide''(AVEGA)에 기부했고, 마라바 소규모 농부들 중 많은 수가 AVEGA의 회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고 자금과 지원을 제공했다. 공정무역 라벨링 기구(FLO) 관계자들과 함께 2002년 마라바를 방문하여 인증을 부여했고, 마라바 커피는 르완다 협동조합 중 최초로 공정 무역 지위를 획득했다.[9] Union Coffee Roasters(UCR)는 2002년 수확량 전부를 구매했다.[4][10]

UCR은 2003년 초 Sainsbury's 슈퍼마켓을 통해 마라바 커피를 유통했으며,[11] 2003년, ''Abahuzamugambi'' 협동조합은 35000USD의 순이익을 올렸다. 이 중 70%는 농부들에게 1kg당 0.75달러로 분배되었는데, 이는 르완다의 다른 커피 재배자들에게 지급되는 금액의 세 배 이상이었다.[13] 나머지 30%는 협동조합에 재투자되어 탄산 칼슘을 구매하는 데 사용되었다.[4]

2. 3. 독립 및 발전

르완다는 식민지 시대부터 커피를 재배해 왔지만, 1999년까지는 낮은 등급으로 분류되어 국제 시장에서 판매가 어려웠다.[1] 농부들은 커피 체리를 제때 세척하고 규격에 맞게 준비할 방법이 없었고, 낮은 가격으로 인해 가난을 벗어나지 못했다.[2]

1999년, 마라바 지역(구 부타레 주)의 커피 재배자 220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협회를 결성했다.[3] 이들은 협회 이름을 ''아바후자무감비''(Abahuzamugambi)라고 지었는데, 이는 키냐르완다어로 '목표 달성을 위해 함께 일하는 사람들'을 뜻한다. 이들 중 다수는 1994년 대량 학살로 가족을 잃었거나, 살인에 연루되어 가차차 재판을 받아야 하는 남편이 수감된 농부들이었다.[3] 농부들은 협동조합을 통해 중개상 없이 키갈리의 수출업자에게 직접 판매하여 수익을 늘리고, 그 수익으로 도구, 비료, 종자를 구매하여 수확량을 늘리고자 했다.[4]

2000년, 마라바 시장은 부타레에 있는 르완다 국립 대학교(UNR)에 개발 원조를 요청했고, 이듬해 UNR은 르완다 농업 연계 강화 파트너십(PEARL) 설립을 지원했다.[4] 미국 국제 개발처(USAID), 미시간 주립 대학교, 텍사스 A&M 대학교 등 여러 단체가 PEARL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PEARL은 2001년 2월 ''아바후자무감비''와 협력하여 커피 품질을 개선하기 시작했다.[4]

커피 콩의 끈적한 외부 코팅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 시설이 필요했는데, 이는 수확 후 12시간 이내에 제거하지 않으면 커피 풍미를 손상시킬 수 있었다.[5] 2001년 7월, UNR 등의 지원으로 첫 세척 시설이 건설되었고,[4] 2002년에는 시설을 업그레이드하고 후예산에서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을 설치했다.[4]

2002년 수확부터는 새로운 인증 시스템이 도입되어 ''아바후자무감비'' 회원 중 절반이 인증을 획득,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 구매자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4] 2003년, PEARL은 운영이 자립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재정 지원을 줄였다. 협동조합은 농부들에게 대출을 제공하여 생활 수준을 개선하고, 가축 투자, 의료 보험, 교육 등을 지원했다. 3월에는 협동조합 은행이 개설되어 농부들이 자금을 현지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15]

2004년 말, 민타임 브루잉(Meantime Brewing)은 마라바 원두로 만든 커피 맥주를 출시했다.[16] 이 맥주는 알코올 도수 4%에 커피와 같은 카페인 함량을 가졌으며, 바닐라와 초콜릿 향이 특징이었다.[16] 2006년까지 영국에서 판매되는 두 개의 Fairtrade 맥주 중 하나였으나,[17] 이후 커피 비율 감소와 알코올 함량 증가로 Fairtrade 지위를 잃었다.[18] 2006년 비어 월드컵에서 커피 맛 맥주 부문 금메달을 수상했다.[19]

협동조합은 성장하면서 카부예(2004년),[20] 소부(2005년),[21] 키빙고(2007년)에 추가 세척 시설을 건설했다.[22]

2006년, 카린 잠틴 스웨덴 국제 개발 협력부 장관이 마라바를 방문하여 스웨덴과의 협력 확대 및 스웨덴 시장 진출을 모색했다.[23] 같은 해 7월, PEARL의 조정으로 원격 정보 센터가 개설되어 USAID 등이 자금과 자원을 제공했다.[24] USAID는 SPREAD 프로그램을 통해 마라바를 포함한 르완다 커피 산업과 협력하여 농부들의 협동조합 접근성을 개선하고, 커피의 특정 맛 특성을 파악하는 데 힘썼다.[25] 2011년, 프랑스 경제학자 티에리 쿨레는 SPREAD 프로그램이 마라바 커피의 원산지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고 기록했다.[26]

2. 4. 최근

2008년, 르완다는 아프리카 국가 중 최초로 컵 오브 엑설런스 대회를 개최했다. 국가 패널이 여러 프리미엄 커피를 맛보고 선정했으며, 이 커피는 키지(Kizi)의 마라바 연구소에서 열린 테이스팅 행사에서 국제 커피 전문가 패널이 점수를 매겼다.[27] 심사위원들은 24개 농장의 커피에 컵 오브 엑설런스 상을 수여했으며, 이 중 3곳은 마라바 커피 협동조합원이었다.[28] 컵 오브 엑설런스 행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르완다에서 개최되었으며, 2018년에도 다시 개최되었고, 매번 ''아바후자무감비 바 카와''(Abahuzamugambi ba Kawa) 농장이 우승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29][30][31][32][33][34][35]

마라바 커피는 2012년에 창립 10주년을 기념했다. 당시 협동조합의 재배 농가 수는 1,400곳이었고, 자산 총액은 2.5억르완다 프랑(40만달러)이었다.[36]

2013년부터 협동조합은 확장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2015년까지 1550ha의 새로운 커피 재배지를 추가했으며, 같은 해에 첫 수확을 했다. 이 프로그램은 협동조합의 농장 면적을 최대 2100ha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했다. 마라바는 시장에 양질의 커피 양이 늘어나면서 다른 재배 농가들과의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확장 프로그램의 지도자들은 구매자들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품질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38]

3. 지리 및 기후

르완다 마라바 위치


마라바 커피는 르완다 남부에서 재배되며, 부타레에서 약 12km, 수도 키갈리에서 15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 프로젝트는 부타레주의 마라바 구에서 시작되었지만, 2006년 지방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이 지역은 현재 남부주의 후예 구에 속해 있다.[39] 이 지역은 서부 지구대와 산악 지대인 늉궤 숲에 인접해 있어 매우 언덕이 많으며, 비옥한 화산 토양을 특징으로 한다.[40] 커피는 해발 1700m~2100m 고도에서 재배되며, 종종 가파른 경사면에서 계단식 농법을 이용한다. 이 지역은 연평균 115cm의 강수량을 보인다.[41] 강수량의 대부분은 3월부터 5월까지의 우기에 집중되며,[42] 이 시기가 주요 커피 수확기이다. 높은 고도로 인해 기온이 약간 낮아져 평균 약 20 °C를 유지한다. 계절적 변화는 거의 없다.

4. 생산 과정

마라바 커피 나무는 아라비카 커피 나무의 부르봉 아종으로, 고지대의 비옥한 화산성 토양에서 재배된다. 대부분의 열매는 3월부터 5월의 우기에 수확되어 마라바 지역에 있는 세척장으로 옮겨진다. 커피 원두는 여러 단계로 품질별로 구분되어 건조된다. 농가는 제공한 커피 원두의 수확량과 품질에 따라 대가를 받는다.

커피 원두는 다양한 로스팅 회사에 판매된다. 최고 품질의 원두는 영국의 유니온 커피 로스터스(Union Coffee Roasters)에 판매되어 페어트레이드 인증 커피가 되거나, 미국의 커뮤니티 커피(Community Coffee)에 판매된다. 르완다 스페셜티 커피 로스터스도 마라바 지역에서 커피 원두를 구매하여 르완다 국내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마라바 커피 원두는 양조되어 맥주가 되기도 한다.

1999년에 설립된 아바후잠감비 협동조합은 약 2,000개의 소규모 농가가 커피 나무를 재배하도록 돕고있다. 2000년 이후, 협동조합은 르완다 국립 대학교(NUR)와 PEARL(연쇄를 통해 르완다의 농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합)의 지원을 받고 있다. 아바후잠감비 협동조합은 커피의 질을 향상시키고 특정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돕고있다.

2003년부터 PEARL은 협동조합이 자립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재정 지원을 줄였다. 협동조합은 재배자들에게 생활 수준을 개선하고 가축 투자, 저렴한 의료 보험 및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대출을 제공했다. 2003년 3월에는 마을에 협동조합 은행이 개설되어 농부들이 부타레까지 멀리 가지 않고도 현지에서 자금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15]

2004년 말, 런던에 본사를 둔 민타임 브루잉(Meantime Brewing)은 마라바에서 재배된 원두로 커피 맥주를 제공하기 시작했다.[16] 이 음료는 알코올성 아이스 카푸치노 또는 소화제로 사용된다. 수석 양조가는 전 세계의 커피를 맛보았지만, 마라바 커피의 바닐라와 초콜릿 향이 남아메리카의 견과류와 쓴맛 커피보다 더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최초의 맥주는 알코올 도수 4%에 커피와 같은 카페인 함량을 가졌으며 "실키하고 벨벳 같은 특성"을 가졌다고 묘사되었다. 이 맥주는 Sainsbury's의 대형 지점과 일부 펍 및 클럽에서 판매되었다. 이 음료는 2006년까지 영국 시장에서 판매되는 두 개의 Fairtrade 맥주 중 하나였으며, 커피 비율 감소와 알코올 함량 증가(현재 6%)로 인해 Fairtrade 지위를 잃었다. 여전히 마라바 원두로 만들어지고 있다.[18] 출시 당시 민타임 커피 포터는 영국 제도에서 유일하게 판매되는 커피 맥주였으며, 2006년 비어 월드컵에서 커피 맛 맥주 부문 금메달을 수상했다.[19]

협동조합이 성장함에 따라 이 지역에 추가적인 세척 시설을 건설했다. 카부예에 위치한 첫 번째 시설은 2004년에 개장했고,[20] 소부에 위치한 세 번째 시설은 2005년에 가동되었으며,[21] 키빙고에 위치한 네 번째 시설은 2007년에 가동되었다.[22]

2006년, 스웨덴의 국제 개발 협력부 장관이자 외무부 차관인 카린 잠틴은 스웨덴과 르완다 간의 협력을 확대하고 마라바 커피를 스웨덴 특산품 시장에 알리기 위해 마라바를 방문했다.[23] 2006년 7월, PEARL의 조정하에 마라바에 원격 정보 센터가 개설되었다. USAID, NUR 및 워싱턴 주립 대학교 (WSU) 확장 디지털 격차 해소 센터 (CBDD)는 자금과 자원을 제공했다. 세 명의 WSU 학생들은 6주 동안 르완다에서 센터 설립과 현지 직원 교육을 지원했다.[24] USAID는 2006년에 시작된 농촌 기업 및 농업 개발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파트너십(SPREAD) 프로그램을 통해 마라바를 포함한 르완다의 커피 산업과 지속적으로 협력했다. 이는 농부들을 위한 협동조합 접근성을 개선하고 르완다의 다양한 지역의 커피의 특정 맛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OCIR-Café와 함께 진행된 다년간의 협력이었다.[25] 2011년 아프리카 제품의 지리적 표시에 관한 보고서에서 프랑스 경제학자 티에리 쿨레는 SPREAD 프로그램이 특히 마라바 커피를 포함하여 르완다 커피의 원산지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고 기록했다.[26]

4. 1. 수확 및 세척

르완다의 커피 주 수확 시기는 3월부터 5월 말까지의 우기이다.[5][42] 이 시기에 농부들은 손으로 체리를 따고, 전통 바구니에 담아 세척장으로 운반한다.[5] 세척장에서는 짙은 붉은색의 좋은 체리를 골라내고, 나머지는 재배자에게 돌려준다. 기술자들은 재배자에게 킬로그램당 0.1달러를 지급하며, 이 돈은 격주마다 농부의 은행 계좌로 지급된다.[5]

보관 탱크


기술자들은 콩을 즉시 세척 공정하는데, 이는 지체하면 콩의 발효와 커피 맛 손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43] 콩은 깊은 탱크에 넣어지고, 좋은 체리는 바닥으로 가라앉아 껍질 제거 기계를 통과한다. 떠다니는 체리는 따로 처리하여 협동조합이 국내 시장에 저렴하게 판매한다. 콩은 껍질과 설탕 코팅을 제거하는 기계와 여과기를 거쳐 A등급과 B등급으로 분리된다. 두 등급은 1% 경사의 수로를 통해 보내져 품질에 따라 추가로 분리되며, 약 15개의 탱크에 나뉘어 담긴다. 콩은 침수 상태로 유지되며, 좋은 콩은 이틀, 덜 좋은 콩은 15~20시간 동안 침수되어 소량의 발효가 일어난다.[43]

건조대에 씻은 콩을 건조하는 모습


기술자들은 콩을 여러 번 세척하고 그늘진 건조대에 널어 말린다.[43] 협동조합 직원은 콩을 정기적으로 뒤집으며 불량 콩을 제거한다. 햇볕에 최대 2주 동안 건조하는 과정이 뒤따르며, 이 과정에서 콩의 수분 함량은 40%에서 12%로 줄어든다.[43]

이후 기술자들은 콩을 키지 기술 센터로 옮겨 파치먼트 껍질을 제거한다.[44] 직원들은 콩을 실험실로 가져가 숙련된 여성들이 손으로 분류하는 최종 품질 관리 공정을 거친다.[45] 콩은 품질에 따라 포장 및 라벨링되어 판매를 기다린다.

4. 2. 건조 및 선별



기술자들은 콩을 여러 번 세척하여 껍질과 코팅의 잔여물을 제거하고 그늘진 건조대에 널어 말린다.[43] 협동조합 직원은 기술자들이 불량 콩을 발견하여 제거하는 동안 콩을 정기적으로 뒤집는다. 이후 햇볕에 최대 2주 동안 건조하는데,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하여 빠르게 덮을 수 있도록 준비한다. 이 과정에서도 콩을 지속적으로 뒤집는다. 이 마지막 건조 과정은 콩의 수분 함량을 40%에서 12%로 줄인다.[43]

그 후, 기술자들은 콩을 근처 키지 기술 센터로 옮긴다. 언덕 옆 창고에 보관된 특정 기계가 콩에서 파치먼트 껍질을 제거한다.[44] 직원들은 콩을 인접한 실험실로 가져가 최종 품질 관리 공정인 손 분류를 수행하는데, 이는 숙련된 여러 여성들이 담당한다.[45] 콩은 품질에 따라 포장 및 라벨링되어 판매를 기다리기 위해 구내 창고에 보관된다.

5. 제품 및 고객

PEARL은 르완다에 스페셜티 커피 전문가를 초청하여 마라바 커피의 마케팅을 도왔고, 루이지애나에 본사를 둔 Community Coffee라는 판매업체와 연결시켜주었다.[6] 2002년 6월, Community의 대표자가 마라바를 방문했을 때 르완다 대통령 폴 카가메도 참석했다.[7] Community는 마라바 원두 18,000 킬로그램(40,000 파운드)을 킬로그램당 평균 이상인 3USD에 구매하여 로스팅한 후, 회사의 고급 커피 중 하나로 블렌딩했다.[7] 이는 미국 로스터와 아프리카 커피 협동조합 간의 최초의 직접 계약이었다.[1]

코믹 릴리프는 1994년 르완다 집단 학살 희생자 미망인 협회인 ''Association des Veuves du Genocide''(AVEGA)에 기부했고, 마라바 소규모 농부들 중 많은 수가 AVEGA의 회원이기도 하다는 것을 알고 자금과 지원을 제공했다. 공정무역 라벨링 기구(FLO)는 2002년 마라바를 방문하여 인증을 부여했고, 마라바 커피는 르완다 협동조합 중 최초로 공정 무역 지위를 획득했다.[9] Union Coffee Roasters(UCR)는 이 커피에 대해 "깊고 달콤한 초콜릿 향에 더해진 반짝이는 감귤 향"이 있다고 묘사했으며, 2002년 수확량의 나머지 전부를 구매했다.[4][10]

UCR은 2003년 초 Sainsbury's 슈퍼마켓을 통해 마라바 커피를 유통했으며,[11] 2003년, ''Abahuzamugambi'' 협동조합은 35000USD의 순이익을 올렸다. 이 중 70%는 농부들에게 킬로그램당 0.75USD로 분배되었는데, 이는 르완다의 다른 커피 재배자들에게 지급되는 금액의 세 배 이상이었으며, 이전에는 감당할 수 없었던 의료 및 교육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기에 충분했다.[13] 나머지 30%는 협동조합에 재투자되어 탄산 칼슘을 구매하는 데 사용되었다.[4] 이는 강우 시 미네랄 유출로 인한 토양 성도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농업용 석회의 일종이다.[14] 2006년 기준으로, 마라바는 연간 80 숏톤(73,000kg)의 수출용 커피를 생산하며, 이 중 40톤은 영국 내 로스터와 판매업체에, 40톤은 미국으로 수출된다.[13]

마라바 커피는 다음과 같은 제품에 사용된다.

제품명생산자판매처설명
마라바 버번 커피유니온 커피세인즈버리(Sainsbury's) 및 기타 영국 기반 매장[13]
"뉴올리언스 재즈" 블렌드, 호텔 블렌드커뮤니티 커피(Community Coffee)마라바 커피와 다른 커피를 블렌딩. 2006년 기준 싱글 오리진 브랜드 출시 고려.[13]
카페 드 마라바르완다 로스터스토탈 주유소와 인터컨티넨탈 호텔을 포함한 르완다의 고급 상점
미인타임 커피런던의 미인타임 브루어리맥주
(미정)인텔리젠시아2005년에 여러 블렌드에 사용, 향후 싱글 오리진 브랜드로 출시 계획.[13]



마라바 커피 나무는 아라비카 커피 나무의 부르봉 아종으로, 고지대의 비옥한 화산성 토양에서 재배된다. 대부분의 열매는 3월부터 5월의 우기에 수확되어 마라바 지역에 있는 세척장으로 옮겨진다. 커피 원두는 건조되고, 여러 단계로 품질별로 구분된다. 농가는 제공한 커피 원두의 수확량과 품질에 따라 대가를 받는다.

최고 품질의 원두는 영국의 유니온 커피 로스터스(Union Coffee Roasters)에 판매되어 페어트레이드 인증 커피가 되거나, 미국의 Community Coffee영어에 판매된다. 르완다 스페셜티 커피 로스터스도 마라바 지역에서 커피 원두를 구매하여 르완다 국내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다. 마라바 커피 원두는 양조되어 맥주가 되기도 한다.

1999년에 설립된 아바후잠감비 협동조합 아래에서 약 2000개의 소규모 농가가 커피 나무를 재배하고 있다. 2000년 이후, 협동조합은 르완다 국립 대학교(NUR)와 PEARL(연쇄를 통해 르완다의 농업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합)의 지원을 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York Coffee Exchange Overview http://www.coffeeres[...] 2006-09-21
[2] 웹사이트 Coffee, Fairtrade & Rwanda http://www.vso.org.u[...] 2015-03-25
[3] 뉴스 Rwandan cooperative shows reconciliation needed to draw refugees home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06-09-21
[4] 웹사이트 The Maraba Bourbon Coffee Story... http://www.iia.msu.e[...] Partnership to Enhance Agriculture in Rwanda (PEARL) 2006-09-21
[5] 웹사이트 Coffee, Fairtrade & Rwanda http://www.vso.org.u[...] 2015-03-25
[6] 뉴스 Cup of Good Hope https://web.archive.[...] The Greater Baton Rouge Business Report 2006-09-21
[7] 웹사이트 President Kagame commends Maraba coffee farmers http://www.gov.rw/go[...] Government of Rwanda official website 2006-09-21
[8] 뉴스 Rwanda's genocide could have been prevented. The UN let people die and now it watches as the survivors die http://observer.guar[...] The Observer 2006-09-21
[9] 웹사이트 Project Past and Future – Quality and Fairtrade http://www.unionroas[...] Union Coffee Roasters 2006-09-21
[10] 웹사이트 Our World – Abahuzamugambi Bakawa Co-operative http://www.unionroas[...] Union Coffee Roasters 2006-09-27
[11] 웹사이트 Rwandan coffee hits Sainsbury's http://webarchive.na[...] Developments, the DFID International Development Magazine 2006-09-21
[12] 웹사이트 Project Past and Future – Return to Rwanda http://www.unionroas[...] Union Coffee Roasters 2006-09-21
[13] 웹사이트 Maraba Coffee – Some facts http://coffeemachine[...] coffeemachinereviewer.com website 2006-09-19
[14] 웹사이트 Significance of Lime Application in Coffee Plantations http://www.ineedcoff[...] INeedCoffee 2006-09-21
[15] 웹사이트 Project Past and Future – Hope for a better future http://www.unionroas[...] Union Coffee Roasters 2006-09-21
[16] 뉴스 Rwandan coffee used to make beer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9-21
[17] 웹사이트 Fairtrade certified products: Beer and Ale http://www.fairtrade[...] The Fairtrade Foundation 2006-09-21
[18] 웹사이트 Gold Medal Coffee Beer http://www.meantimeb[...] Meantime Brewing 2006-09-21
[19] 웹사이트 2006 Brewers Association World Beer Cup Winners http://www.worldbeer[...] Brewers Association 2014-09-21
[20] 웹사이트 Abahuzamugambi ba kawa Kabuye: Overview https://dev.cupofexc[...] Cup of Excellence 2020-08-13
[21] 웹사이트 Maraba Sovu, Rwanda https://unionroasted[...] 2020-08-13
[22] 웹사이트 '87.69' https://dev.cupofexc[...] Cup of Excellence 2020-08-13
[23] 뉴스 Swedish Minister Praises Maraba Coffee Growers https://web.archive.[...] The New Times (Rwanda) 2006-09-21
[24] 뉴스 Maraba Coffee Growers Get US$15,000 Tele-Center http://business.high[...] Africa News Service 2006-09-21
[25] 웹사이트 SPREAD https://partnerships[...] USAID 2020-08-13
[26] 서적 Extending the Protec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Case Studi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7] 뉴스 'Cup of Excellence' competition kicks off in Maraba https://www.newtimes[...] 2008-08-26
[28] 웹사이트 Rwanda 2008 https://allianceforc[...] 2020-04-02
[29] 웹사이트 Rwanda 2010 https://allianceforc[...] 2020-04-03
[30] 웹사이트 Rwanda 2011 https://allianceforc[...] 2020-10-13
[31] 웹사이트 Rwanda 2012 https://allianceforc[...] 2020-04-03
[32] 웹사이트 Rwanda 2013 https://allianceforc[...] 2020-04-03
[33] 웹사이트 Rwanda 2014 https://allianceforc[...] 2020-04-03
[34] 웹사이트 Rwanda 2015 https://allianceforc[...] 2020-04-03
[35] 웹사이트 Rwanda 2018 https://allianceforc[...] 2020-04-03
[36] 웹사이트 How coffee transformed the lives of Huye farmers https://www.newtimes[...] 2013-01-01
[37] 웹사이트 XE Currency Table: RWF - Rwandan Franc https://www.xe.com/c[...]
[38] 뉴스 Maraba coffee farmers buoyed by new drive to boost output https://www.newtimes[...] 2015-01-27
[39] 웹사이트 Provinces of Rwanda http://www.statoids.[...] Statoids.com 2006-09-21
[40] Image label on the back of the coffee packet MarabaCoffeeLabel.jpg
[41] 웹사이트 Rwanda Climate http://www.nationsen[...] Nation's Encyclopedia 2006-09-21
[42] 웹사이트 Rwanda map and information page http://worldatlas.co[...] WorldAtlas.com 2006-09-21
[43] 웹사이트 Coffee, Fairtrade & Rwanda http://www.vso.org.u[...] 2015-03-25
[44] 웹사이트 Coffee, Fairtrade & Rwanda http://www.vso.org.u[...] 2015-03-25
[45] 웹사이트 Coffee, Fairtrade & Rwanda http://www.vso.org.u[...] 2015-03-25
[46] 웹사이트 Provinces of Rwanda http://www.statoids.[...] Statoids.com
[47] Image label on the back of the coffee packet MarabaCoffeeLabel.jpg
[48] 웹사이트 Rwanda Climate http://www.nationsen[...] ネイションズ・エンサイクロペディア
[49] 웹사이트 Rwanda map and information page http://worldatlas.co[...] WorldAtlas.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