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라케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라케타는 볼리비아, 칠레, 페루 등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즐겨 먹는 빵이다. 칠레에서는 '판 프란세스' 또는 '판 바티도'로 불리며,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볼리비아에서는 '마라케타 파세냐'로 불리며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칠레에서는 국민 음식으로 여겨진다. 페루에서는 '마라케타 타크네냐'가 있으며, '판 프란세스'와는 다른 종류의 빵을 지칭하기도 한다. 마라케타는 밀가루, 물, 소금으로 만들어지며, 지방 함량이 적고 발효 과정이 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레의 빵 - 아유야
아유야에 대한 정보는 현재 제공되지 않아, 위키백과 개요를 작성할 내용이 없다. - 롤빵 - 판데살
판데살은 필리핀의 대표적인 아침 식사 빵으로, 스페인어에서 유래했으나 단맛이 강하며, 식민지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어려움 속에서 다양한 변형이 등장했으며, 현재는 필리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즐겨 먹고 영양을 강화한 종류도 있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발전할 가능성도 모색되고 있다. - 롤빵 - 미케타
미케타는 롬바르드어에서 유래된 이탈리아 빵으로, 오스트리아 빵의 영향을 받아 밀라노 지역에서 높은 습도에 맞춰 변형되어 껍질이 딱딱하고 속이 비어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다. - 볼리비아 요리 - 파타콘
파타콘은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서 덜 익은 플랜테인을 납작하게 눌러 튀긴 요리로, 국가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소금이나 소스와 함께 먹거나 다른 음식과 곁들여 먹는다. - 볼리비아 요리 - 땅콩 수프
땅콩 수프는 땅콩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조리되며, "은카텐콴"이라고 불리는 아칸식 수프를 포함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변형으로 즐겨 먹는 음식이다.
마라케타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종류 | 마라케타, 밀빵 |
국가 | 칠레, 볼리비아 |
이름 | |
다른 이름 | 마라케타 판 데 바타야 판 바티도 판 프란세스 |
영양 정보 (100g 기준) | |
열량 | 267 kcal |
요리 정보 | |
주재료 | 밀가루, 소금, 물, 빵 효모 |
2. 이름
마라케타는 볼리비아, 칠레, 페루에서 주로 불리는 이름이다. 볼리비아에서는 '판 데 바타야'라고도 불린다. 칠레 남부에서는 "프랑스 빵"이라는 뜻의 '판 프란세스'로, 발파라이소 지방에서는 "거품을 낸 빵"이라는 뜻의 '판 바티도'로 불린다.[1] 페루에서 '판 프란세스'로 불리는 빵은 마라케타와 다른 빵이다.[1]
많은 고고학자들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 탈카우아노와 같은 칠레 주요 항구에서 많은 유럽 이민자들이 왔을 때 발파라이소에서 마라케타가 시작되었다는 것에 동의한다. 마라케타는 두 명의 프랑스 제빵사 형제가 만든 빵으로부터 처음 시작되었다. 형제의 성이 "마라케트"(Marraquette)였기에 빵의 이름이 마라케타가 되었다. 짧은 시간만에 곧 이 빵은 칠레인들에게 매우 유명한 음식이 되었다. 이 빵의 다른 이름인 "판 프랑스"는 제빵사 형제의 국적에서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마라케타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3. 역사
4. 지역별 종류
국가 지역 명칭 볼리비아 라파스 마라케타 파세냐(marraqueta paceñaes)[1] 볼리비아 판 데 바타야(pan de batallaes) 볼리비아, 칠레 남부, 페루 판 프란세스(pan francéses) 칠레 발파라이소 판 바티도(pan batidoes) 페루 타크나 마라케타 타크네냐(marraqueta tacneñaes)
페루에서 "판 프란세스"는 마라케타와 다른 빵을 지칭한다.
4. 1. 볼리비아
볼리비아의 마라케타는 주로 라 파스[1]와 엘 알토 대도시 지역에서 소비된다. 이 빵은 새벽 0시에서 동틀 무렵 사이에 일반적인 오븐에서 구워지며, 아침에 판매자들이 신선하고 바삭하게 팔기 위해 준비한다.
라 파스의 마라케타는 ''마라케타 파세냐''라고도 불리며, 2006년에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6]
4. 2. 칠레
발파라이소 지방에서는 "거품을 낸 빵"이라는 뜻의 "판 바티도(pan batido)"라고 불리며, 남부 칠레에서는 "프랑스 빵"이라는 뜻의 "판 프란세스(pan francés)"로 불린다.[10][11]
많은 고고학자들은 탈카우아노와 같은 칠레 주요 항구에 많은 유럽 이민자들이 왔던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마라케타가 시작되었다는 것에 동의한다.[1] 마라케타는 두 명의 프랑스 제빵사 형제가 만든 빵으로부터 처음 시작되었다. 형제의 성이 "마라케트"(Marraquette)였기에 빵의 이름이 마라케타가 되었다. 짧은 시간만에 곧 이 빵은 칠레인들에게 매우 유명한 음식이 되었다.[1] 이 빵의 다른 이름인 "판 프랑스"는 제빵사 형제의 국적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칠레에서 마라케타는 모든 식사에 먹는 주요 음식이다.[7] 마라케타는 칠레에서 가장 널리 소비되는 빵으로 토스트,[8] 샌드위치, 그리고 '파스텔 데 카르네'(미트 로프)와 같은 특정 요리의 바인더로 사용된다. 이는 칠레의 국민 음식이자 칠레의 국가 정체성에 중요한 것으로 널리 여겨진다.[7][1] 이 빵은 종종 아침 식사로 으깬 아보카도를 얹어 먹는다.[7] 껍질은 빵의 필수 요소로 간주되며, 샌드위치로 사용할 때는 속 반죽('미가')을 파내 버리고 껍질만 채워 넣는 경우가 많다.[7][9]
칠레 마라케타는 두 개의 롤을 서로 붙여 놓고 거의 깊게 잘라 네 개의 롤을 형성한 다음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7] 칠레 마라케타 빵은 손으로 네 조각으로 나눌 수 있다.[12] 지방이 들어 있지 않으며, 발효 과정이 다른 빵보다 더 오래 걸린다. 네 개의 빵 덩어리의 특이한 형태는 매우 쉽게 나눌 수 있게 해준다.[12]
많은 역사가들은 '마라케타'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칠레, 발파라이소에서 유래했다고 동의하는데, 당시 발파라이소와 탈카우아노와 같은 주요 칠레 항구는 수천 명의 유럽 이민자를 맞이했다.[1] 이야기에 따르면 이 빵은 발파라이소의 '테란-마라케트'라는 성을 가진 두 명의 프랑스인 제빵사 형제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빵은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칠레인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를 얻었다고 한다.[1] 이 이야기는 '마라케타'와 '판 프랑세스'라는 이름 모두를 설명한다. 발파라이소 자체에서는 다소 혼란스럽게도 마라케타는 네 개의 작은 롤을 의미하며, 이 중 절반은 '판 바티도'라고 불리는데, 이는 발파라이소 항구의 시볼렛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전국 슈퍼마켓 체인에서는 무시된다). 마라케타의 한 단위를 무엇으로 간주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합의는 없으며, 일부 제빵사는 빵의 네 조각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제빵사는 한 단위를 절반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네 조각을 두 개의 마라케타라고 말한다).
빵의 기원에 대한 또 다른 이론은 프랑스 자연주의자이자 식물학자인 클로드 게이가 제시했는데, 그는 '마라케타'가 19세기에 칠레에서 처음 먹었다고 제안했다.[13]
4. 3. 페루
페루에서 "판 프란세스"로 불리는 빵은 마라케타와 다르다. 페루 타크나 지역의 마라케타는 "마라케타 타크네냐(marraqueta tacneñaes)"로 부른다.
5. 만들기
칠레식 마라케타는 밀가루, 물, 소금으로 만들어지며 이스트나 베이킹파우더와 같은 팽창제나 발효를 촉진하는 재료가 들어가기도 한다. 다른 빵들에 비해서 지방이 적으며 지방이 없는 마라케타도 많다. 가공하는 과정 또한 다른 빵보다 오래 걸린다.
참조
[1]
웹사이트
Panes del Mundo. Tradicional Marraqueta
http://www.magazined[...]
Magazine del Pan
2008-02-22
[2]
서적
Three generations of Bolovian cuisine
https://www.worldcat[...]
Lowell House
1996
[3]
서적
Professional Bread Baking Techniques
https://books.google[...]
[4]
웹사이트
La marraqueta es catalogada como el tercer mejor pan del mundo por Taste Atlas
https://www.elmostra[...]
2024-05-13
[5]
웹사이트
40 Best Bread Rolls in the World
https://www.tasteatl[...]
2024-05-15
[6]
웹사이트
La marraqueta paceña tiene sus secretos, un experto dice cuáles son
https://eldeber.com.[...]
2023-07-13
[7]
뉴스
In Chile, 'Marraqueta' Is The Daily Bread
https://www.npr.org/[...]
2023-01-10
[8]
뉴스
Once: A guide to Chile’s oddly-named evening snack
http://www.thisischi[...]
www.thisischile.cl
2012-02-06
[9]
웹사이트
Marraqueta {{!}} Traditional Bread From Chile
https://www.tasteatl[...]
2023-01-10
[10]
서적
The Best Ever Bread Book
Dorling Kindersley Limited
2021-10-07
[11]
서적
Speaking chileno. A guide to chilean slang
RIL editores
[12]
웹사이트
Learn How to Make Delicious Traditional Chilean Bread
https://www.thespruc[...]
2023-01-10
[13]
서적
Historia física y política de Chile según documentos adquiridos en esta república durante doce años de residencia en ella y publicada bajo los auspicios del supremo gobierno
https://books.google[...]
2023-01-10
[14]
뉴스
El pan que le ha quitado protagonismo al 'clásico' francés y cuáles son los nuevos productos con granos andinos
https://www.infobae.[...]
2023-10-16
[15]
뉴스
チリ料理図鑑 第十号「チリならではのパン大集合」 - 南米ニュース
http://nambei.jp/201[...]
2017-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