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는 2세기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기사 계급으로 시작하여 군단 지휘관, 속주 총독을 거쳐 원로원에 진출했으며, 다키아 총독, 모이시아 수페리오르 총독, 브리타니아 총독, 카파도키아 총독 등을 역임하며 군사적, 정치적으로 활약했다. 파르티아 전쟁에서 아르메니아를 정복하고 반란을 진압하는 등 뛰어난 능력을 보였으며,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의 반란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알린 인물로 기록되었다. 그의 가족 관계는 비문을 통해 추정되며, 손녀와 손자가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키아 총독 - 페르티낙스
    페르티낙스는 콤모두스 암살 후 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재정 개혁과 군 기강 확립 시도 중 프라이토리아니의 반발로 87일 만에 암살당한 인물이다.
  • 다키아 총독 -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는 페르가몬 출신으로 아탈로스 왕조 및 갈라티아 대족장 가문 출신인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게미나 제13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시작해 여러 속주의 관직과 군단 레가투스를 거쳐 유대 속주 총독, 집정관, 여러 지역의 총독을 역임하다 다키아 반란 당시 다키아 속주의 황제 총독으로 사망했다.
  • 카파도키아 총독 -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바수스는 페르가몬 출신으로 아탈로스 왕조 및 갈라티아 대족장 가문 출신인 로마 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게미나 제13군단의 트리부누스 밀리툼으로 시작해 여러 속주의 관직과 군단 레가투스를 거쳐 유대 속주 총독, 집정관, 여러 지역의 총독을 역임하다 다키아 반란 당시 다키아 속주의 황제 총독으로 사망했다.
  • 카파도키아 총독 -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는 2세기에 활동한 로마 제국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다키아 총독과 집정관을 거쳐 카파도키아 총독을 지냈으나, 161년 파르티아와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자결했다.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

2. 생애

전직 정무관을 지낸 프리스쿠스는 게미나 제14군단의 '레가투스 레기오니스'(군단장)을 맡았는데, 앤서니 벌리는 이때가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친구인 클라우디우스 막시무스가 판노니아 수페리오르를 관리했을 시기라고 추정했다.[22]

2. 1. 초기 경력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의 쿠르수스 호노룸은 로마에서 발견된 한 비문에 남아 있다.[20] 그의 정치 경력은 기사 계급 관료직으로 시작되었으며, 처음은 보통 1,000명으로 이뤄진 로마 보조군 부대 중 하나인 링고눔 제4 보병대의 프라이펙투스(부대장)였다. 그 다음으로는 갈리카 제3군단, 게미나 제10군단, 아디우트릭스 제1군단 등에서 트리부누스 밀리툼을 지냈다. 132년–136년간 벌어진 바르 코크바의 난에 참전 중이던 그는 도나 밀리타리아(훈장)를 수여받았다. 앤서니 벌리는 프리스쿠스가 이때의 활약을 인정받아 갈리카 제3군단에 배속되었다고 여긴다.[21] 기사 계급으로서 그의 세 번째 경력은 카파도키아 속주에 배치된 '알라'의 부대장직이었다. 그 다음으로 그는 군사 보직을 떠나, 갈리아 나르보넨시스 그리고 갈리아 아퀴타니아에서 비케시마 헤레디타티움를 관리하는 프로쿠라토르로 임명됐다.

이 시기에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는 원로원에 입성했다. 자세한 내용은 전해지지 않았으나, 몇 가지를 추측해볼 수는 있다. 하나는 그의 원로원 입단이 안토니누스 피우스 시기에 있었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그가 퀸투스 롤리우스 우르비쿠스의 후원으로 진급할 수 있었다는 점인데, 벌리는 우르비쿠스에 대해 "140년대에 그의 영향력이 의심의 여지 없이 상당하였다"라고 한 바 있다.[22] 더욱 중요한 것은, 정무관 또는 심지어는 기사 지위 상태로 원로원으로 지위가 상승하여 입문한 것 대신에, 그는 전통적인 공화정 시대의 관직인 '재무관', 호민관, 국외 담당 법무관 등을 통하여 입문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벌리는 "이 방식은 안토니누스 피우스 집권기의 보수주의를 반영한다", "프리스쿠스는 재무관으로서 원로원에 입문했을 시기에 30대가 넘었음이 틀림없고, 마침내 집정관이 되었을 쯤에는 40대가 넘었을 것이다"라고 전하였다.[22] 그는 이 즈음에 사케르도티 티탈리 사제단에 입단했다.

2. 2. 군사 및 정치 경력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는 157년과 158년 사이에 다키아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며, 이는 여러 개의 남아 있는 군사 인증서로 입증된다.[23][7] 벌리는 프리스쿠스가 다키아에서 군사적 성공을 거두어 이 지방의 여러 비문에서 확인된다고 언급했다. 그의 성공은 로마로 돌아온 후 정식 집정관으로 인정받았다. 그 다음 해 그는 테베레강의 수로와 로마의 하수도를 유지하는 책임을 맡은 관료인 '쿠라토르 알베이 티베리스 에트 클로아카룸 우르비스'(curator alvei Tiberis et cloacarum urbis)가 되었지만, 재임 기간은 짧았다. 프리스쿠스는 161년 2월에 작성된 또 다른 군사 인증서와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사망 후 새로운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루키우스 베루스에게 비미나키움에서 헌정한 비문으로 모이시아 수페리오르의 총독으로 입증되었다.[24][8] 로마 브리타니아의 북부 국경이 위협받자 숙련된 장군이 필요했고, 새로운 황제들은 그해 늦게 그를 그곳으로 재배치했다.

그는 브리타니아에 단 몇 달 동안만 있었는데, 161-166년 로마-파르티아 전쟁이라는 더 심각한 위협이 발생했다. 162년에 볼로가세스 4세는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아르메니아에서 물리쳐 로마 시리아가 위협받았다. 프리스쿠스는 카파도키아 총독이 되었다. 그의 병력은 동부 보조 병력과 라인 강과 다뉴브 강에서 이동된 여러 군단으로 구성되었으며, 파르티아 군을 신속하게 격파하고 아르탁사타 도시를 파괴했다.[25][9] 프리스쿠스는 이후 로마의 보호를 받던 소아이모스를 아르메니아 왕위에 앉히고 발라르샤파트 도시를 재건했다.[26][10] 풍자 작가 루키아노스는 한 동시대 역사가가 "프리스쿠스 장군이 외치자 적 27명이 즉사했다"고 묘사한 것을 기록했다.[27][11] 벌리는 이러한 종류의 증거에서 진실을 추출하는 것은 무모하지만, 적어도 프리스쿠스가 공격적이고 활기찬 리더십 스타일을 가진 사람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28][12]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이집트와 시리아 총독)가 그의 군단에 의해 황제로 선포되었을 때,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에게 이 사실을 알린 것은 프리스쿠스였다. 카시우스는 아우렐리우스의 아내의 요청에 따라 스스로 황제를 선포했는데, 그녀는 카시우스와 그의 군단에게 황제가 죽었다고 설득했다.[29][13] 아우렐리우스는 카시우스를 신속하게 격파하고 프리스쿠스를 시리아 총독으로 임명했다.[30][14]

3. 가족

프리스쿠스의 아내는 확인된 바 없지만, 주세페 카모데카가 공개한 금석문을 통해 추정되는 가족 관계가 있다. 카모데카는 푸피디아 클레멘티아나(Fufidia Clementiana)를 기념하는 조각상의 비문을 공개했는데, 그녀를 '클라리시마 푸엘라'(clarissima puella, 고귀한 소녀)이자 프리스쿠스의 손녀라고 묘사했다.[31][15] 이는 프리스쿠스에게 딸이 있었고, 이 딸이 166년에 정식 집정관을 지낸 루키우스 푸피디우스 폴리오와 결혼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마크리누스 황제 시기에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의 총독을 지낸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롱기누스라는 인물이 있는데, 그는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의 손자일 가능성이 있다.[32][16] 만약 롱기누스가 그의 손자라면, 프리스쿠스에게는 아들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문서
[2]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1992
[3] 논문 Consuls and Consulars under the Antonines: Prosopography and History https://www.jstor.or[...] 1976
[4] CIL
[5]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1981
[6]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7]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8] AE
[9] 서적 The Life of Marcus Aurelius
[10] 서적 Book 71.2
[11] 서적 Quomodo Historia conscribenda sit
[12]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13]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2001
[14] 서적 71.23
[15] 논문 Fufidia Clementiana, c(larissima) p(uella), e i suoi avi consolari in una nuova iscrizione da Teanum del tempo di M. Aurelio https://www.jstor.or[...] 2011
[16]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17] 문서
[18] 서적 Adoptive and Polyonymous Nomenclature in the Roman Empire Societas Scientiarum Fennica 1992
[19] 논문 Consuls and Consulars under the Antonines: Prosopography and History https://www.jstor.or[...] 1976
[20] CIL
[21]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1981
[22]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23]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24] AE
[25] 서적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전기
[26] 서적 Book 71.2
[27] 서적 Quomodo Historia conscribenda sit
[28]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29]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2001
[30] 서적 71.23
[31] 논문 Fufidia Clementiana, c(larissima) p(uella), e i suoi avi consolari in una nuova iscrizione da Teanum del tempo di M. Aurelio https://www.jstor.or[...] 2011
[32]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