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미나 제14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미나 제14군단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57년에 창설한 로마 군단이다. 갈리아 전쟁에서 시작하여 브리타니아 침공, 게르만족과의 전투 등 여러 전역에 참여했다. 특히 부디카의 반란을 진압하며 명성을 얻었고, 도미티아누스에 대한 반란 진압, 사르마티아, 파르티아 원정 등에도 기여했다. 193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지지했으며, 이후 혼란기에 여러 황제를 지지하며 이름을 떨쳤다. 5세기 초까지 판노니아에서 주둔하다가 다뉴브 국경 붕괴와 함께 해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리타니아 - 부디카
부디카는 1세기 로마 제국 시대에 이케니족을 이끌고 로마에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며, 남편의 죽음 이후 로마의 부당한 처사에 분노하여 봉기했으나 와트링 가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하거나 질병으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브리타니아 - 아리마태아의 요셉
아리마태아의 요셉은 신약성서에 등장하는 예수의 비밀 제자이자 산헤드린 의회 의원으로, 예수의 장례를 치렀으며, 후대에 성배의 수호자나 영국에 기독교를 전파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고, 가톨릭교회 등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 로마 군단 - 미네르비아 제1군단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창설한 로마 제국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활동하고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내전기에 여러 황제를 지지하다 353년경 프랑크족 침공 이후 기록에서 사라졌다. - 로마 군단 -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시작해 브리튼을 거쳐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아퀸쿰에 주둔하며 여러 전쟁에 파견되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고, 금석문 자료를 통해 활동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 게미나 제14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부대명 | 레기오 XIV 게미나 마르티아 빅트릭스 |
| 원어 부대명 | Legio XIIII Gemina (라틴어) |
| 별칭 | 게미나 마르티아 빅트릭스, "쌍둥이 마르스의 승리" |
| 추가 별칭 | 마르티아 빅트릭스, "마르스의 승리" (아우구스투스가 추가) |
| 추가 별칭 | Pia VI Fidelis VI, "6배 충실하고 6배 충성스러움" (갈리에누스가 추가) |
| 복무 기간 | 기원전 41년부터 최소 5세기 초까지 |
| 국가 | 로마 공화국 (카이사르 휘하에서 1, 2차 창설, 제2차 삼두 정치) 로마 제국 (악티움 해전 이후 옥타비아누스 휘하에서 다른 병력 부족 군단과 합류하여 3차 창설) |
| 유형 | 로마 군단 (마리우스) (제국 수정 포함) 나중에는 코미타텐세스 부대 |
| 역할 | 중보병 (독립 작전 시 가끔 기병 지원) |
| 규모 | 창설 당시 약 3,500명 + 지원 병력, 제국 시대 독립 작전 시 약 5,000명~6,000명으로 다양함. |
| 주둔지 | 모군티아쿰 (서기 9년~43년) 빈도보나 (서기 92년~106년) 카르눈툼 (서기 106년~5세기) |
| 상징 | 염소자리 |
| 참전 전투 | |
| 주요 참전 전투 |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년~51년) 카이사르의 내전 (기원전 49년~45년) 카이사르 사후 내전 (기원전 44년) 해방자들의 내전 (기원전 44년~42년) 시칠리아 반란 (기원전 44년~36년) 페루시아 전쟁 (기원전 41년~40년) 로마 공화정 최후의 내전 (기원전 32년~30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정복 (서기 43년) 네 명의 황제의 해 (서기 69년) 바타비아인 반란 (서기 69년~70년) 사투르니누스 반란 (서기 89년) 트라야누스의 다키아 전쟁 (서기 101년~106년) 베루스 파르티아 원정 (서기 161년~166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르코만니 원정 (서기 168년~180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집권 (서기 193년~194년) 세베루스 파르티아 원정 (서기 198년) 제14군의 베실라티오는 다른 많은 원정에 참여함 |
2. 역사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 중이던 기원전 57년에 갈리아 키살피나에서 제14군단을 창설하였다.[3] 초기에는 전투와 습격 시 야영지를 경계하는 임무를 맡았다.[14] 기원전 54년, 암비오릭스의 반란 당시 아투아투카(오늘날 벨기에 통에런 근처)에서 큰 피해를 입었으나 곧바로 재건되었다. 에부로네스족이 아투아투카 학살을 일으킨 후, 제14군단은 불운한 군단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나, 아퀼리페르 루키우스 페트로시디우스의 노력으로 군단의 명예를 지켰다.[5]
이후, 게르마니쿠스 장군 휘하에서 게르만족 지도자 아르미니우스에 맞서 싸워 승리했고, 티베리우스 황제로부터 개선식을 허락받았다.[1]
43년,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모군티아쿰에 주둔하던 제14군단 게미나는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와 클라우디우스가 이끈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동원되었다.[16] 바틀링 가도 전투에서 부디카가 이끄는 대군을 격파하여 네로 황제로부터 "가장 효과적인 군단"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6]
89년,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 총독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사투르니누스가 제14군단 게미나와 제21 '라팍스' 군단의 지원을 받아 도미티아누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1] 92년 제21군단이 소멸되자, 제14군단 게미나는 판노니아로 이동하여 빈도보나(빈)에 주둔했다.[2] 사르마티아와의 전쟁과 트라야누스 다키아 전쟁(101년-106년) 이후, 카르눈툼으로 이동하여 3세기 동안 주둔했다.[3]
193년, 페르티낙스 사망 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황제로 추대받았다. 제14군단 게미나는 로마로 행군하여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를 공격하고(193년),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를 격파했으며(194년), 크테시폰(198년) 약탈로 끝난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을 것이다.[1]
발레리아누스 패배 이후 혼란 속에서, 제14군단 게미나는 레갈리아누스를 지지했다.[3] 이후 갈리에누스를 지지했고, 갈리에누스 사후에는 갈리아 황제 빅토리누스(269–271)를 지지하면서 ''VI 피아 VI 피델리스''(여섯 번 충실하고 여섯 번 충성스러움)라는 칭호를 얻었다.[3]
5세기 초에도 제14군단 게미나는 카르눈툼에 주둔했다.[14] 430년대 다뉴브 국경 붕괴와 함께 해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4]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는 트라키아 병사들의 고위급 장교 휘하의 제14('콰르토데키마니') 기동야전군(comitatensis) 부대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 부대가 제14군단 게미나일 가능성이 있다.[14]
2. 1.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치세 (기원전 57년 ~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 중이던 기원전 57년에 갈리아 키살피나에서 제14군단을 창설하였다.[3] 다른 공화정 군단과 마찬가지로 복무 기간은 16년이었다(후에 아우구스투스가 20년으로 늘렸다). 초기 몇 년 동안, 제14군단은 전투와 습격 시 야영지를 경계하는 임무를 주로 맡았다.[14]기원전 54년, 암비오릭스의 반란 당시 아투아투카(오늘날 벨기에 통에런 근처)에서 큰 피해를 입었으나 곧바로 재건되었다. 암비오릭스 휘하의 에부로네스족이 카티볼쿠스와 함께 아투아투카 학살을 일으킨 후, 몇 년 동안 제14군단은 불운한 군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4] 그러나 아퀼리페르 루키우스 페트로시디우스의 노력으로 군단의 명예를 지킬 수 있었다.[5]
2. 2. 게르마니쿠스의 치세 (14년 ~ 16년)
이 군단은 게르마니쿠스 장군 휘하에서 게르만족 지도자 아르미니우스에 맞서 싸웠다. 이 원정 10년 전, 아르미니우스는 토이토부르크 숲 전투에서 세 개의 군단을 전멸시키는 데 성공했는데, 이는 로마 군사 역사상 가장 큰 재앙 중 하나였다.[1] 이 군단은 게르마니쿠스에게 승리를 안겨주었고, 양아버지이자 친삼촌인 티베리우스 황제로부터 개선식을 올릴 수 있도록 했다.[1]2. 3. 브리타니아 침공과 부디카 반란 진압 (43년 ~ 67년)
서기 43년,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모군티아쿰에 주둔하던 게미나 제14군단은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와 클라우디우스가 이끈 로마의 브리타니아 침공에 동원된 4개 군단 중 하나였다.[16] 이 군단은 바틀링 가도(현재의 잉글랜드)의 만체터에 군단 요새를 건설했으며, 서기 58년경에는 록스터로 기지를 옮겼다.[16]제14군단은 60년 또는 61년에 부디카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바틀링 가도 전투에서 제14군단은 타키투스와 디오 카시우스의 기록에 따르면, 고작 1만 명의 군단병과 보조부대로 부디카가 이끄는 23만 명의 대군을 격파했다. 이 놀라운 승리로 인해 제14군단은 네로 황제로부터 "가장 효과적인 군단"이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이후 몇 년 동안 브리타니아에 주둔하며 반란을 일으킨 부족들을 감시했다.
67년, 제14군단은 네로 황제가 계획했던 파르티아 원정을 준비하기 위해 발칸 반도로 이동했다.[17] 그러나 이 원정은 네로의 죽음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17]
2. 4. 라인 반란과 판노니아 주둔 (89년 ~ 5세기 초)
89년,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총독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사투르니누스는 제14군단 게미나와 제21 '라팍스' 군단의 지원을 받아 도미티아누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반란은 진압되었다.[1]92년에 제21군단이 소멸되자, 제14군단 게미나는 이를 대체하기 위해 판노니아로 보내져 빈도보나(빈)에 주둔했다.[2] 사르마티아와의 전쟁과 트라야누스 다키아 전쟁(101년-106년) 이후, 군단은 카르눈툼으로 이동하여 3세기 동안 그곳에 주둔했다.[3] 제14군단의 일부 벡실라티오(소단위) 또는 하위 부대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치하에서 마우리족과의 전쟁에 참전했으며,[4] 이 군단은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했다.[5] 마르코만니와의 전쟁 동안,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는 카르눈툼에 사령부를 두었다.[6]
2. 5.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지원과 이후 혼란기 (193년 ~ 5세기 초)
193년, 페르티낙스가 사망한 후 14대 사령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판노니아 군단과 자신의 군단에게 황제로 추대받았다. 게미나 제14군단은 황제를 위해 로마로 행군하여 찬탈자 디디우스 율리아누스를 공격했으며(193년), 찬탈자 페스켄니우스 니게르(194년)의 패배에 기여했으며, 제국의 수도 크테시폰(198년) 약탈로 끝난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을 것이다.[1]
발레리아누스의 패배 이후 혼란 속에서, 게미나 제14군단은 황제 갈리에누스에 대항하여 찬탈자 레갈리아누스를 지지했다.[3] 그러나 이후 갈리아 제국의 포스투무스에 대항하여 갈리에누스를 지지했고, 갈리에누스 사후에는 갈리아 황제 빅토리누스(269–271)를 지지하면서 ''VI 피아 VI 피델리스''(여섯 번 충실하고 여섯 번 충성스러움)라는 칭호를 얻었다.[3]
2. 6. 제국의 쇠퇴와 군단의 해체 (5세기)
5세기 초에도 게미나 제14군단은 카르눈툼에 주둔하고 있었다.[14] 군단은 430년대에 다뉴브 국경이 붕괴되면서 해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4]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는 트라키아 병사들의 고위급 장교 휘하의 제14('콰르토데키마니') 기동야전군(comitatensis) 부대가 기록되어 있는데,[14] 이 부대가 게미나 제14군단일 가능성이 있다.[14] 이 군단은 로마 제국 말기의 혼란 속에서 도나우강 유역의 영토가 야만족에게 침략당하면서 기록에서 사라진 것으로 여겨진다.[14]3. 주요 인물
| 이름 | 계급 | 활동 기간 | 속주 | 출처 |
|---|---|---|---|---|
| 파비우스 프리스쿠스[8] | 군단장 | c. 70년 | 브리타니아 | 타키투스, 역사 IV.79.3 |
| 푸블리우스 클루비우스 막시무스 파울리누스[9] | 군단장 | 138년-141년 | 판노니아 | |
|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9] | 군단장 | 153년-156년 | 판노니아 | |
| 가이우스 베티우스 사비니아누스[9] | 군단장 | c. 170/171년 | 판노니아 | |
| 루키우스 라고니우스 퀸티아누스[9] | 군단장 | 177년-180년 | 판노니아 | |
| 티투스 플라비우스 세쿤두스 필리피아누스[10] | 군단장 | c. 193/194년 | 판노니아 | |
|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니그리누스 큐리아티우스 마테르누스 | 보좌 트리부누스 | 60년대 | 브리타니아 | |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푸시오 안니우스 메살라 | 라티클라비우스 트리부누스 | c. 59년 | 브리타니아 | |
| 티투스 플라미니우스 | 병사 | c. 55-69년 | 브리타니아 | |
|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 병사 | c. 55-69년 | 브리타니아 | |
| 루키우스 미니키우스 나탈리스 콰드로니우스 베루스[12] | 라티클라비우스 트리부누스 | c. 116년 | 판노니아 | , |
3. 1. 루키우스 페트로시디우스
암비오릭스의 반란 당시, 게미나 제14군단의 아퀼리페르(aquilifer)였던 루키우스 페트로시디우스는 에부로네스족에게 포위된 상황에서도 군단의 상징인 아퀼라(독수리 군기)를 끝까지 지켜내어 군단의 명예를 지켰다.[5]3. 2. 티투스 플라비우스 루푸스
티투스 플라비우스 루푸스는 게미나 제14군단 출신의 백인대장 (퇴역 군인)이었다. 그는 이탈리아, 모이시아, 다키아에서 활동했다.3. 3.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는 105년에서 119년 사이에 게미나 제14군단의 군단장과 라티클라비우스 트리부누스를 역임했다.[8]| 이름 | 계급 | 활동 기간 | 속주 |
|---|---|---|---|
|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 군단장 | 110년 - 119년 | 판노니아 |
|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 | 라티클라비우스 트리부누스 | 105년 - 110년 | 판노니아 |
3. 4. 마르쿠스 노니우스 마크리누스
마르쿠스 노니우스 마크리누스[9]는 147년에서 150년 사이에 게미나 제14군단의 군단장을 역임하였다.[9]| 이름 | 계급 | 활동 기간 | 속주 |
|---|---|---|---|
| 마르쿠스 노니우스 마크리누스[9] | 군단장 | ?147년-?150년 | 판노니아 |
3. 5. 그나이우스 페트로니우스 프로바투스 유니우스 유스투스
Cnaeus Petronius Probatus Iunius Iustusla[11]는 222년에서 235년 사이에 게미나 제14군단의 군단장을 역임하였다.[11]참조
[1]
간행물
World History Encyclopedia : Legions of Pannonia
https://www.worldhis[...]
2021-10-28
[2]
서적
Legions and Veterans: Roman Army Papers 1971–2000
[3]
간행물
World History Encyclopedia : Legions of Pannonia
https://www.worldhis[...]
2021-10-28
[4]
웹사이트
Atuatuca: provincial town in Gallia Belgica, modern Tongeren
https://web.archive.[...]
2013-05-14
[5]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http://www.forumroma[...]
Oxford: Clarendon Press
2016-04-25
[6]
서적
Rome Against Caractacus
[7]
웹사이트
Legio XIIII Gemina
https://www.livius.o[...]
[8]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Oxford: Clarendon Press
1981
[9]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Bonn: Rudolf Habelt Verlag
1977
[10]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Amsterdam: J.C. Gieben
1989
[11]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12]
서적
Fasti of Roman Britain
[13]
서적
Legions and Veterans: Roman Army Papers 1971–2000
[14]
웹인용
Atuatuca: provincial town in Gallia Belgica, modern Tongeren
https://www.livius.o[...]
2013-05-14
[15]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http://www.forumroma[...]
Oxford: Clarendon Press
2016-04-25
[16]
서적
Rome Against Caractacus
[17]
웹사이트
Legio XIIII Gemina
https://www.liviu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서기 125년 [[하드리아누스]] 황제 치하의 로마 제국 지도. [[다뉴브강]]의 [[카르눈툼]]([[페트로넬-카르눈툼|페트로넬]], [[오스트리아]])에 주둔하고 있는 게미나 제14군단이 표시되어 있음.](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