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는 2세기에 활동한 로마 제국의 정치가이자 군인이다. 갈리아 출신으로, 무역과 상업으로 부를 축적한 세다티우스 가문 출신이다. 시칠리아 재무관, 호민관, 법무관,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의 제5군단 지휘관 등을 역임했으며, 다키아 총독과 집정관을 거쳐 카파도키아 총독을 지냈다. 161년 파르티아와의 전쟁에서 엘레게이아 전투에서 패배하고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년 출생 - 후한 상제
후한 상제는 후한의 제5대 황제로 화제와 후궁 사이에서 태어난 유륭이며, 생후 100일 만에 즉위하여 최연소 황제 기록을 세웠으나 8개월 만에 요절하여 외척 세력 득세 속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 105년 출생 - 아보노테이코스의 알렉산드로스
아보노테이코스의 알렉산드로스는 2세기경 뱀 신 글리콘 숭배 컬트를 만들어 명성을 얻고 신탁을 통해 예언과 치료를 주장한 인물이지만, 당대와 현대에 사이비 예언자 또는 사기꾼으로 평가받는다. - 160년대 사망 - 성윤
성윤은 후한 시대의 관료로, 효렴으로 천거되어 낭에 제수된 후 의랑, 대홍려, 사공, 사도를 역임했으나 면직되었고 연희 연간에 사망했다. - 160년대 사망 -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는 100년경 키르타에서 태어나 키케로에 비견될 정도로 명성을 얻은 로마 제국의 웅변가이자 문법학자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스승이었으며, 라틴어 순수주의를 옹호하고 자신만의 학파를 형성했고, 그의 저작은 서신집과 문학 작품으로 구성되어 19세기 초 재조명받아 고대 로마 시대의 교육과 문학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리아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 정보 | circa: 105년경 |
출생지 | 레모눔, 갈리아 (오늘날 프랑스 푸아티에) |
사망 | 161년 |
사망지 | 엘레게이아, 아르메니아 (오늘날 튀르키예 에르주룸주) |
거주지 | 알 수 없음 |
직업 및 역할 | |
직업 | 정치인, 장군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율리아 레기나 |
자녀 |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루스 |
경력 | |
소속 국가 | 로마 제국 |
군사 복무 | 알 수 없음 |
계급 | 알 수 없음 |
지휘 | 시칠리아의 재무관 다키아의 총독 카파도키아의 총독 |
참전 | 로마-파르티아 전쟁 (161년-166년) 엘레게이아 공방전 |
정치 경력 | |
직책 | 로마 제국의 집정관 |
임기 시작 | 153년 7월 |
임기 종료 | 153년 9월 |
공동 집정관 |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아페르 |
전임 | 섹스투스 카이킬리우스 막시무스, 마르쿠스 폰티우스 사비부스 |
후임 | 가이우스 카티우스 마르켈루스, 퀸투스 페티에디우스 갈루스 |
선거구 | 알 수 없음 |
소속 정당 | 알 수 없음 |
기타 정보 | |
별칭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알 수 없음 |
2. 혈통 및 가문
세베리아누스는 오늘날 푸아티에에 해당하는 로마령 갈리아의 레모눔 출신으로, 픽토네스족이 살던 지역이었다.[33] 그의 갈리아 혈통은 루키아노스가 언급하기도 했다.[32] 그는 '퀴리나'(Quirina) 부족 출신으로,[34] 그의 선조들은 클라우디우스 혹은 플라비우스 왕조 시기에 로마인이 되었음을 나타낸다.
세베리아누스의 전체 이름은 ''Marcus Sedatius C. f.'' [i.e. ''Gaii filius''] ''Severianus Iulius Acer Metillius Nepos Rufinus Ti. Rutilianus Censor''이며,[34] 고대 그리스어로 음역하면 ''Μ. Σηδάτιος Σεουηριανὸς''이다.[35]
세다티우스 일족은 무역과 상업으로 부를 축적한 부유한 가문이었다. 이들은 루아르강을 기반으로 성장했으며, 오스티아 항구에도 관심을 가졌다. 세베리아누스는 아들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루스 율리우스 레기누스 갈루스를 두었다.
2. 1. 혈통
세베리아누스는 오늘날 푸아티에에 해당하는 로마령 갈리아의 레모눔 출신으로, 픽토네스족이 살던 지역이었다.[33][4] 그의 갈리아 혈통은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에 의해 언급되기도 했다.[32][3] 세베리아누스는 '퀴리나' 부족 출신으로,[34][5] 그의 선조들은 클라우디우스 혹은 플라비우스 왕조 시기에 로마 시민권을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2. 2. 가문
세다티우스 일족은 무역과 상업을 통해 부를 축적한 부유한 가문이었다.[36] 이들은 루아르강 유역을 기반으로 성장했으며, 오스티아 항구에도 관심을 가졌다.[36] 세다티우스 가문의 성장은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시대 이후 로마령 갈리아 지배 계층이었던 율리우스 가문의 쇠퇴를 보여준다.[36] 세베리아누스의 아버지와 율리아 루피나의 혼인은 갈리아 지역 포도주 주조가들과 지주들 간의 결합을 보여주는 방식일 수 있다.[36]세베리아누스는 아들 마르쿠스 세다티우스 세베루스 율리우스 레기누스 갈루스를 두었으며, 그는 오스티아 지역 단체의 후원자였다.[37] 율리우스 레기누스라는 이름은 세베리아누스의 아내에게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37]
3. 어린 시절 및 초기 경력
세베리아누스가 맡은 첫 정무관 직위는 시칠리아의 재무관이었다. 재무관은 속주의 재정을 감독하고 회계를 감사하는 역할이었다.[38] 재무관 근무 후, 세베리아누스는 로마 원로원에 입성했다.[38] 하드리아누스 황제(재위: 117년-138년) 말년에 원로원 의원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140년대 오스티아의 비문에서 원로원 의원으로 처음 언급된다.[39] 그는 전통적인 공화정 시대의 정무관인 호민관을 역임했는데, 이 직위는 독립성과 실질적인 기능을 대부분 상실했음에도 여전히 명망 있는 자리였다. 그는 갈리아 지역의 카두르키(오늘날 카오르)로 추정되는 도시의 후원가였다고 기록되었다. 다음으로 그는 법무관을 지냈고, 모이시아 인페리오르의 트로에스미스에 주둔한 마케도니카 제5군단을 지휘했다. 그 뒤로 그는 로마에서 북쪽으로 아펜니노산맥을 넘어가는 주요 도로인 플라미니아 가도의 책임자인 쿠라토르로 임명되었다.
4. 다키아 총독 및 집정관
세베리아누스는 151년부터 152년까지 로마령 다키아의 총독이자 그곳에 배치된 게미나 제13군단의 지휘관이었다. 이 사실은 다키아 지역의 여러 비문에서 확인된다.[40] 사르미제게투사에서 출토된 비문 두 개는 그의 전체 이름을 전하며, 그가 이 도시의 후원자였음을 보여준다.[41] 이 비문이 새겨진 기념물들은 그의 집정관 임기가 끝난 뒤 세워졌다. 사르미제게투사는 세베리아누스를 축하하고 그가 다키아의 행정을 맡아준 것에 대한 감사함을 표하는 서신을 로마로 보냈다.[42]
153년에 세베리아누스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에 의해 그해 7월부터 9월까지 집정관으로 임명되었다. 집정관 직은 로마에서 최고의 영예였고, 후보자들은 황제가 신중히 선택했다. 그는 미래의 황제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종조부인 푸블리우스 셉티미우스 아페르와 함께 집정관 직을 수행했다.[43]
5. 카파도키아 총독
세베리아누스는 150년대 후반 카파도키아 속주 총독을 지냈다.[44] 카파도키아는 국경 속주였기 때문에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군사적 배경과 국경 속주 경험이 풍부했던 세베리아누스가 임명된 이유를 설명해준다. 역사학자 마르셀 르 글레이는 그의 승진이 아보노테이코스의 알렉산드로스의 추종자로 알려진 푸블리우스 뭄미우스 시센나 루틸리아누스의 지지 덕분이라고 주장했다.[46]
카파도키아에서 세베리아누스의 행적은 인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젤라에서 출토된 비문에서 그는 도시의 후원자(에베르게테스grc)이자 창시자(크티스테스grc)[48]로 칭송받았다.[49] 그는 또한 세바스토폴리스의 비문에도 등장한다.[50] 카파도키아 총독으로서 세베리아누스에게는 두 개의 군단이 할당되어 있었다.
5. 1. 파르티아와의 전쟁 (161년-166년)
161년 여름, 파르티아의 볼로가세스 4세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여 로마가 세운 통치자 소아이무스를 몰아내고 그의 친척 파코라스를 왕위에 앉혔다.[51] 카파도키아 총독이었던 세베리아누스는 아르메니아와 관련된 분쟁의 최전선에 서게 되었다.[22]아보노테이코스의 알렉산드로스는 세베리아누스에게 그가 파르티아를 쉽게 제압하고 영광을 얻을 수 있다고 설득했다.[24] 세베리아누스는 군단 (히스파나 제9군단으로 추정)을 이끌고 아르메니아로 향했으나, 유프라테스강 상류 인근 카파도키아 국경 지대 너머의 도시 엘레게이아에서 파르티아 장군 호스로에스의 함정에 빠졌다.[25] 세베리아누스는 호스로에스와 싸우려고 몇 차례 시도했으나, 그의 작전이 무의미하다는 것을 깨닫고 자결했다. 그의 군단은 학살당했다. 이 군사 활동은 겨우 3일 만에 끝나고 말았다.[25] 그의 카파도키아 총독직은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로 대체되었다.[25]
일부 역사학자들은 엘레게이아에서의 패배가 데이오타리아나 제22군단과 히스파나 제9군단의 실종을 설명한다고 주장하지만,[26] 이 이론을 뒷받침할 증거는 없으며, 두 군단의 운명은 여전히 논쟁거리이다.[27]
6. 여파
시리아 총독 역시 파르티아 군대에 패배했다.[57] 루키우스 베루스 공동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입양 형제이자 공동 통치자)는 파르티아에 맞서 대규모 지원군을 이끌고 직접 지휘에 나섰다.[57] 이 지원군에는 4개의 완전한 군단과 다른 군단들에서 차출된 분견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전쟁은 5년 후 로마의 승리로 끝났으며, 파르티아의 수도는 점령 및 약탈되었다.[57][58]
참조
[1]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Marcus Cornelius Fronto with Marcus Aurelius Antoninus, Lucius Verus, Antoninus Pius, and various friends
[2]
간행물
Die Fasti consulares der Regierungszeit des Antoninus Pius, eine Bestandsaufnahme seit Géza Alföldys Konsulat und Senatorenstand
Bonn
2013
[3]
문서
Alexander
[4]
AE
[5]
AE
Inscriptiones Latinae Selectae
[6]
서적
Studia Pontica III
[7]
간행물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8]
간행물
Les modes d'accès du Sénat romain au début de l'empire
Société des Antiquaires de France#Publications|BSNAF
1971
[9]
서적
The Senate of Imperial Rome
University Press
1984
[10]
CIL
[11]
간행물
Fasti Provinciae Daciae
1993
[12]
문서
From Mehadia
[13]
CIL
[14]
문서
Fasti Ostienses
[15]
간행물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Istanbul-Paris
1989
[16]
간행물
D'Abônouteichos à Sabratha, les déviations de la religion romaine au temps de Marc Aurèle
Sassari
1989
[17]
문서
Alexander
[18]
간행물
Studia Pontica
[19]
문서
[20]
서적
Wealth, Aristocracy And Royal Propaganda Under the Hellenistic Kingdom of the Mithradatids in the Central Black Sea Region of Turkey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5
[21]
문서
IGR
[22]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1981
[23]
서적
Pagans and Christians
Penguin
1986
[24]
문서
Alexander
[25]
문서
[26]
간행물
Two Legions - The same fate ? (The disappearance of the legions IX Hispana and XXII Deiotariana)
1986
[27]
웹인용
Où est passée la legio XXII Deiotariana ?
http://www.uni-koeln[...]
1989
[28]
문서
[29]
문서
[30]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Marcus Cornelius Fronto with Marcus Aurelius Antoninus, Lucius Verus, Antoninus Pius, and various friends
[31]
간행물
Die Fasti consulares der Regierungszeit des Antoninus Pius, eine Bestandsaufnahme seit Géza Alföldys Konsulat und Senatorenstand
Bonn
2013
[32]
문서
Alexander
[33]
AE
[34]
AE
Inscriptiones Latinae Selectae
[35]
서적
Studia Pontica III
[36]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37]
간행물
Les modes d'accès du Sénat romain au début de l'empire
1971
[38]
서적
The Senate of Imperial Rome
University Press
1984
[39]
CIL
CIL 14
[40]
서적
Fasti Provinciae Daciae I
1993
[41]
CIL
ILS 9487
[42]
CIL
CIL 03
[43]
CIL
Fasti Ostienses
[44]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Istanbul-Paris
1989
[45]
문서
Alexander 30
[46]
서적
D'Abônouteichos à Sabratha, les déviations de la religion romaine au temps de Marc Aurèle
1989
[47]
서적
Studia Pontica
[48]
문서
이 문구는 영예적 성격이지 글자 그대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 후원자로서 세베리아누스는 도시의 건국 신화에 포함되었고 그에 따라 칭송을 받았다.
[49]
서적
Wealth, Aristocracy And Royal Propaganda Under the Hellenistic Kingdom of the Mithradatids in the Central Black Sea Region of Turkey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5
[50]
IGR
IGR III
[51]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1981
[52]
서적
Pagans and Christians
Penguin
1986
[53]
문서
Alexander 27
[54]
문서
Historia Quomodo Conscribenda
[55]
간행물
Two Legions - The same fate ? (The disappearance of the legions IX Hispana and XXII Deiotariana)
1986
[56]
Webarchive
Où est passée la legio XXII Deiotariana ?
http://www.uni-koeln[...]
1989
[57]
HA
HA Verus
[58]
문서
Hadrian to the Antonin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