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카 제3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리카 제3군단은 기원전 49년 또는 48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와의 전쟁을 위해 창설한 로마 군단이다. 카이사르 사후 안토니우스 휘하에서 여러 전투에 참전했으며, 악티움 해전 패배 후 항복했다. 제정 시대에는 시리아 속주에 배치되어 파르티아 원정, 다키아 전쟁, 유대인 반란 진압 등에 참여했다. 218년에는 엘라가발루스를 황제로 추대하는 데 기여했으나, 엘라가발루스의 월권 행위로 인해 해체되었다가 알렉산데르 세베루스에 의해 재건되었다. 323년에도 시리아에 주둔하고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40년대 설립 - 마케도니카 제5군단
마케도니카 제5군단은 옥타비아누스에 의해 창설되어 악티움 해전 참전 후 '마케도니카'라는 코그노멘을 얻고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하며 로마 제국 역사상 가장 오랜 기간 존속한 군단 중 하나이다. - 기원전 40년대 설립 - 게르마니카 제1군단
게르마니카 제1군단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창설되어 히스파니아와 게르마니아에서 활약하며 명예를 얻고 잃었지만, 바타비아 반란에서 패배하여 해체된 후 제7군단 게미나로 재편성된 로마 군단이다. - 로마 군단 - 미네르비아 제1군단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창설한 로마 제국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활동하고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내전기에 여러 황제를 지지하다 353년경 프랑크족 침공 이후 기록에서 사라졌다. - 로마 군단 -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시작해 브리튼을 거쳐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아퀸쿰에 주둔하며 여러 전쟁에 파견되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고, 금석문 자료를 통해 활동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갈리카 제3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 | |
명칭 | 갈리카 제3군단 |
로마자 명칭 | Legio III Gallica |
다른 명칭 | Legio Tertia Gallica |
존속 기간 | 기원전 48년 또는 49년부터 4세기까지 |
국가 | 로마 공화정 (말기) 및 로마 제정 |
종류 | 로마 군단 |
2. 공화정 시기
기원전 49년 또는 기원전 4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와의 내전에 대비하기 위해 갈리카 제3군단을 창설하였다. 군단의 병사들은 갈리아 트란스피나와 갈리아 키살피나 출신이었다.[12] 카이사르 사후, 제3군단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군대에 합류하여 문다, 필리피 전투 등에 참전했다. 이들은 풀비아, 루키우스 안토니우스가 옥타비아누스에게 대항하기 위해 징집한 병력에 포함되었으나, 기원전 41년 겨울 페루시아에서 항복했다.[12]
기원전 49년이나 기원전 48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와의 내전에 투입하기 위해 갈리아 트란스피나와 갈리아 키살피나 출신으로 군단병들을 구성하여 창설하였다. 카이사르 사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군대에 합류하여 문다 전투, 필리피 전투 등에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풀비아, 루키우스 안토니우스가 아우구스투스에게 대항하기 위해 징집한 병력에 포함되었으나, 기원전 41년 겨울 페루시아 전투에서 항복했다.[12] 이후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전쟁에 참전했고, 악티움 해전 이후 안토니우스의 내전에서 안토니우스가 자살한 후, 시리아 속주로 이동 배치되었다.[2]
이후 제3군단은 카이사르의 지휘 아래 파르살루스 전투에 종군했으며, 카이사르 암살 후 제2차 삼두 정치 시기에는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지휘 하에 들어가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다. 그 후 악티움 해전에 참전했으나 안토니우스가 패배하여 제3군단은 항복했다.
3. 제정 시기
3. 1. 헤로데 대왕 휘하에서 그리고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전쟁에서 복무
갈리카 제3군단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지휘 아래 안토니우스의 파르티아 전쟁에 참전하여 기원전 36년에 복무했다.[12] 안토니우스 내전 기간 악티움 해전에 참전했으나 안토니우스가 패배하여 제3군단은 항복했다. 안토니우스가 자결하자 군단은 동방으로 파견되어 시리아 속주에 배치되었다.[2]
3. 2. 코르불로 휘하에서 원정과 다뉴브로 파견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가 아르메니아 지배권을 두고 파르티아와 벌인 전쟁(58년-63년)에서 페라타 제6군단과 함께 코르불로 군대의 핵심 병력이 되었다.[13] 이 군사 원정은 58년부터 68년까지 지속되었다. 코르불로의 성공은 네로 황제의 분노를 유발했고, 마침내 코르불로는 자결을 해야만 했다. 68년, 갈리카 제3군단은 다뉴브강 유역의 모이시아로 이동했다.[14]
3. 3. 네 황제의 해(69년)
네 명의 황제의 해 때, 갈리카 제3군단과 다뉴브 방면의 병력은 처음에는 오토를 지지했으나, 이후 베스파시아누스 편에 섰다.[12] 군단은 마르쿠스 안토니누스 프리무스가 지휘하는 게미나 제7군단에 합류하여 이탈리아 북부에서 비텔리우스를 지지하는 병력에 맞서 진격했다. 제2차 베드리아쿰 전투에서 결정적인 전투가 벌어졌고, 비텔리우스 군대는 패배했다. 갈리카 제3군단은 시리아 주둔 동안 떠오르는 태양에 경의를 표하는 관습을 받아들였고, 베드리아쿰에서 동이 트자 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경의를 표했다. 비텔리우스 군대는 이들이 동쪽에서 오는 지원군을 맞이한다고 생각하여 사기가 꺾였다.[12]
베드리아쿰 전투 후, 군단은 프리무스와 함께 베스파시아누스의 가족과 지지자들을 구출하기 위해 로마로 진격했다. 무키아누스가 동방에서 도착했을 때 군단은 카푸아에 주둔하고 있었다. 무키아누스는 로마의 통제권을 확보하기 위한 행동의 하나로, 군단을 시리아로 돌려보냈다.[15]
3. 4. 시리아에서
71년, 갈리카 제3군단은 시리아로 돌아와 로마군이 점령한 라파나이아에 주둔지를 세웠다.[12] 이들이 시리아에 있는 동안, 부대 소속 벡실라티온이 트라야누스와 도미티아누스의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을 가능성이 있다.[12] 또한 갈리카 군단 자체가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전쟁에도 참전한 것으로 보인다.[16] 132년, 유대인들의 반란 진압을 위해 소집되었다. 로마에서 발견된 비문은 하드리아누스 황제 통치 말기까지 군단이 시리아에 주둔했음을 보여준다.[17] 이들은 가이우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지휘 하에 루키우스 베루스 시기 파르티아 원정에 참여했다.[18]
다섯 황제의 해에 갈리카 제3군단을 포함한 시리아 군단들은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를 지지했다. 그러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내전에서 승리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파르티아 제국을 상대로 군사 원정을 벌였으며, 이 원정에 참전했던 시리아 군단들 중 하나가 갈리카 군단이었다. 카라칼라 황제 시기, 군단은 나흐르 엘칼브 기념비에 비문을 남겼다.[12]
3. 5. 엘라가발루스 황제 옹립과 군단 해체
마크리누스 황제 치세에 제3군단은 로마군의 중심적인 존재였다. 그러나 카라칼라의 고모 율리아 마에사가 군단 주둔지인 시리아로 유배되자, 제3군단을 매수하여 그녀의 증손자인 엘라가발루스를 옹립했다.[10] 엘라가발루스 황제 초기까지 제3군단은 로마군 중에서도 정예 부대였다.[10] 그러나 이후 군단은 엘라가발루스에게 반기를 들고 원로원 의원 베루스를 황제로 추대했지만 실패했고, 베루스는 처형되었다.[10] 결국 제3군단 갈리카는 해체되었고, 군단병들은 제3군단 아우구스타로 편입되어 속주 아프리카에 주둔하게 되었다.[10]
3. 6. 군단 재건과 이후
323년에는 여전히 시리아에 주둔하고 있었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고, 그 이후 군단의 기록은 분명하지 않다.
4. 확인된 인원
이름 | 계급 | 기간 | 속주 | 출처 |
---|---|---|---|---|
루키우스 아르토리우스 카스투스 | 켄투리오 | 150년과 250년 사이 | 시리아 | [19] |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65년-69년 | 모이시아 | [19] |
가이우스 딜리우스 아포니아누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69년-70년 | 모이시아 | [19] |
루키우스 아우렐리우스 갈루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21년-123년 | 시리아 | [19] |
가이우스 야볼레누스 칼비누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38년경 | 시리아 | [19] |
마르쿠스 세르빌리우스 파비아누스 막시무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50년경–153년경 | 시리아 | [19] |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162년경–166년경 | 시리아 | [19] |
베루스 | 레가투스 레기오니스 | 218년 - 219년 | 시리아 | [20] |
아리우스 바루스 | 프리미필루스 | 69년 | 모이시아 | [19] |
마르쿠스 스타티우스 프리스쿠스 | 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 130년대 | 시리아 | [19] |
섹스투스 아피우스 Sex. f. 세베루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68년과 76년 사이 | 시리아 | [19] |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카이킬리우스 세쿤두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80년대 | 시리아 | [19] |
가이우스 브루티우스 프라이센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36년경 | 시리아 | [19] |
마르쿠스 메시우스 루스티키아누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35년경-140 | 시리아 | [20] |
루키우스 풀라이에누스 가르길리우스 안티쿠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45년경 | 시리아 | [19] |
참조
[1]
서적
The Roman Legions
1957
[2]
웹사이트
Legio III Gallic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8-02
[3]
서적
Roman Legions
[4]
서적
Roman Legions
[5]
서적
69 A.D. The Year of Four Emper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6]
서적
Roman Legions
[7]
CIL
[8]
서적
Marcus Aurelius
Routledge
1987
[9]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10]
간행물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11]
서적
The Roman Legions
1957
[12]
웹인용
Legio III Gallica - Livius
https://www.livius.o[...]
2020-08-02
[13]
서적
Roman Legions
[14]
서적
Roman Legions
[15]
서적
69 A.D. The Year of Four Emper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6]
서적
Roman Legions
[17]
CIL
[18]
서적
Marcus Aurelius
Routledge
1987
[19]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20]
간행물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