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이클 영 (사회학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클 영(1915–2002)은 영국의 사회학자, 사회 운동가, 정책 참여자, 그리고 다양한 기관 설립자였다. 그는 1945년 영국 노동당의 선거 공약 초안 작성에 기여했으며, 1958년에는 능력주의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한 《능력주의의 부상》을 저술하여 '메리토크라시'라는 용어를 대중화했다. 그는 커뮤니티 연구소를 설립하여 사회 개혁을 모색하고, 소비자 협회, 소비자 위원회, 오픈 유니버시티 등의 설립에 참여했다. 또한, 노년층 문제에 관심을 갖고 제3세대 대학과 그랜드패런츠 플러스를 설립하여 세대 간 소통과 가족 역할 확대를 지원했다. 영은 다양한 사회적 활동을 통해 영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92년 앨버트 메달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사회학자 - 랄프 다렌도르프
    랄프 다렌도르프는 사회 갈등 이론과 계급 이론을 발전시키고 정치 경력을 거쳐 영국에서 귀족 작위를 받은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작가이다.
  • 영국의 사회학자 - 바실 번스타인
    바실 번스타인은 사회 계급과 언어 사용 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교육사회학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사회학자이자 언어학자로, 사회 계급에 따른 언어적 불평등을 설명하는 '언어 코드 이론'을 제시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페루 출신의 소설가이자 정치인, 에세이스트인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는 『영웅의 시대』, 『녹색 저택』, 『대성당에서의 대화』 등의 작품을 통해 라틴 아메리카 문학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페루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자유주의적 견해를 피력하며 2010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처칠 칼리지 교수 - 월레 소잉카
    나이지리아 출신의 요루바족 작가 월레 소잉카는 극작가, 시인, 소설가, 에세이스트로서 아프리카의 정치, 문화, 사회 문제를 비판하며 저항했고, 198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최초의 아프리카인이다.
  • 20세기 사회학자 - 로베르트 미헬스
    로베르트 미헬스는 사회학자이자 정치학자로, 과두제의 철칙(Iron Law of Oligarchy) 이론을 제시했으며, 정당의 관료화와 소수 엘리트 지배의 관계를 연구했다.
  • 20세기 사회학자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로서, 종교사회학, 정치 체제 등을 연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권위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을 강조했다.
마이클 영 (사회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 접두사각하
이름마이클 영, 다팅턴의 영 남작
출생일1915년 8월 9일
출생지맨체스터, 잉글랜드
사망일2002년 1월 14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안장 장소하이가트 묘지, 런던, 잉글랜드
정당노동당 (1981년까지; 1989–2002년)
사회민주당 (1981–88년)
'계속되는' 사회민주당 (1988–89년)
배우자조안 로턴 (1945–1960년 이혼)
사샤 무어솜 (1961년 12월–1993년 사별)
도리트 울레만 (1995년)
자녀6명, 토비 영 포함
모교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수상앨버트 메달 (1992년)
직책
직책영국 상원 의원, 세속 귀족
임기 시작1978년 3월 20일
임기 종료2002년 1월 14일, 종신 귀족 작위

2. 생애

마이클 영은 맨체스터에서 태어나 8세까지 멜버른에서 자랐으며, 부모의 결혼이 파경을 맞기 직전에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1920년대에 그는 여러 학교를 다녔고, 데번주에 있는 진보적인 학교인 다팅턴 홀에 입학했다. 그는 이 학교와 이사, 부회장, 역사가로서 오랜 관계를 맺었다. 런던정경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1939년에 법정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3]

노동당의 젊은 연구원으로서 1945년 선거 공약(매니페스토) 초안을 작성하여 클레멘트 애틀리가 이끄는 노동당이 정권을 잡는 데 기여했다. 1950년에 애틀리 정부의 직책을 사임하고 1952년에 런던정경대학교에서 박사 과정을 밟으며 동런던의 주택 정책과 지방자치단체 정책을 연구했지만, 커뮤니티 정책과 노동당 의원들의 상황에 환멸을 느꼈다. 이는 커뮤니티 연구소 설립의 계기가 되었다. 커뮤니티 연구소는 사회 개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영의 중요한 수단이었다. 이 연구소의 기본적인 신념은 생활과 시설 운영에 관하여 사람들에게 더 많은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이었다.[6]

피터 윌모트와 "런던 동부의 가족과 친족"을 공동 집필했다.[7] 1958년에는 풍자 소설 "능력주의의 부상"을 집필하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책은 원래 패비안 협회를 위해 쓰였지만 출판을 거부당했다. 이 책을 통해 노동당은 기회의 평등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고, 능력주의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 같은 시기에 소비자 협회, 국가 소비자 위원회, 오픈 유니버시티에도 참여했다. 1997년 사회적 기업가 학교를 설립했다. 영이 설립한 다양한 커뮤니티 연구소와 상호 지원 센터는 토니 블레어의 정책 고문이 된 제프 멀건의 지휘 아래 영 재단으로 통합되었다.[5]

1961년부터 1966년까지 처칠 칼리지 펠로우, 1989년부터 1992년까지 버크벡 칼리지 학장을 역임했다. 1980년대 중반 국제 경고를 설립했다.[12][13]

특히 후반부에 노년층에 대한 우려를 품고 제3기 대학과 링크에이지를 설립하여 손주가 없는 노인과 조부모가 없는 젊은이들을 연결했다. 2001년 그랜드패런츠 플러스를 설립하여 아이들의 삶에서 가족의 역할 확대를 지원하는 활동을 시작했다.

1992년 알버트 메달 수상.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마이클 영은 1915년 맨체스터에서 호주 출신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음악 평론가였던 아버지 어니스트 기브슨 영과 아일랜드 출신 화가이자 배우였던 어머니 에디스 허미아 던롭 사이에서 태어났다.[3] 어린 시절 멜버른에서 성장했으며, 부모의 이혼 후 여덟 살 때 영국으로 돌아왔다.

여러 학교를 다녔고, 1920년대에 데번주에 있는 진보적인 학교인 다팅턴 홀에 입학했다. 그는 학생, 이사, 부회장, 역사가로서 이 학교와 오랫동안 관계를 맺었다. 런던 정경대학교(LSE)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BScEcon, MA), 1939년 변호사 자격 시험에 합격하여 변호사가 되었다.

1952년 LSE에서 런던 동부의 대가족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4]

2. 2. 사회 연구 및 사회 운동

영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정치경제기획(PEP) 싱크탱크 소장을 역임했고, 이후 노동당 연구소장이 되어 1945년 영국 총선 승리에 기여했다.[5] 클레멘트 애틀리(Clement Attlee)가 이끄는 노동당 정부에서 일했지만, 1950년 노동당에 대한 실망으로 탈퇴했다.

1952년, 영은 런던 동부 베스널 그린에 지역사회연구소(Institute of Community Studies)를 설립했다.[6] 이 연구소는 사회 개혁에 대한 그의 생각을 탐구하는 주요 수단이었다. 연구소의 기본 원칙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과 제도를 운영하는 데 더 많은 발언권을 부여하는 것이었다. 리제 버틀러(Lise Butler)는 이 연구소가 사회심리학과 사회학의 기존 연구를 활용하여 현대 사회에서 확대된 가족의 관련성을 강조하고, 생산적인 노동에 얽매이지 않는 사회주의 시민 의식, 연대 및 상호 지원의 모델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6] 영은 도시 노동 계급의 지원적인 친족 네트워크와 여성 간의 이상적인 관계 개념을 홍보하여 좌파가 가족을 간과했으며 진보적인 힘으로 되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목표는 협동적 사회주의의 모델로 노동 계급 가정을 강화하는 것이었다.[6]

영은 피터 윌모트(Peter Willmott)와 함께 《런던 동부의 가족과 친족》(Family and Kinship in East London)을 공동 집필하여, 밀접하게 연결된 지역 사회를 교외 주택 단지로 재배치하는 사회적 비용을 기록하고 분석했다.[7]

1958년, 영은 《능력주의의 부상》(The Rise of the Meritocracy)을 출간했다. 이 책은 "능력주의(meritocracy)" 개념이 달성할 수 없고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하며, "IQ + 노력"이 다른 모든 가치를 대체한 디스토피아적인 미래 사회를 묘사한다.[2]

2. 3. 다양한 기관 설립

마이클 영은 활기차고 기발한 인물로, 일반 시민들에게 "하향식"의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많은 새로운 조직을 설립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그는 소비자 협회와 국가 소비자 위원회 설립을 도왔으며, "정치는 생산의 정치에서 점점 더 소비의 정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러한 생각을 '도버의 깨진 흰 컵'(1960)이라는 소책자에 제시했다.[5]

1960년, 그는 교육 자문 센터[9]와 국립 원격 교육 대학을 설립했고, 피터 라슬릿과 함께 앵글리아 텔레비전에서 새벽 대학을 설립했다.[10] 이는 1964년 해럴드 윌슨이 그의 비전을 바탕으로 설립한 오픈 유니버시티의 원형이 되었다.[11][5]

1980년대 중반, 영은 레오 쿠퍼와 마틴 에널스와 함께 국제 경고를 공동 설립했다.[12][13] 그 후 1987년에는 예술을 원격 교육 방법으로 가르칠 수 없다고 주장하는 비평가들을 반박하며 오픈 예술 대학을 설립했다. 그는 또한 비영어권 사람들이 공공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 통역 사업인 랭귀지 라인을 설립했다. 그는 많은 젊은 연구자와 "사회적 기업가"의 활동을 지원했으며, 1997년에는 사회적 기업가 학교를 설립했다. 영의 활동의 여러 측면은 그의 커뮤니티 연구소와 상호 지원 센터의 합병으로 설립된 영 재단에 의해 제프 멀건의 감독하에 발전되었다.

일생 동안, 특히 후반기에 영은 노년층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1982년에 그는 피터 라슬릿과 에릭 미드윈터와 함께 제3기 대학을 공동 설립했고,[14] 손주가 없는 노년층과 조부모가 없는 젊은이들을 연결하는 링크에이지를 설립했다. 2001년에는 자녀의 삶에서 더 넓은 가족의 역할을 옹호하는 자선 단체인 그랜드패런츠 플러스를 공동 설립했다.

영이 설립하거나 설립에 기여한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

기관명설립 연도역할
커뮤니티 연구소1954소장 (1954–2002)
소비자 협회1957회장 (1957–65), 회장 (1965–93)
장애인 소비자 연구소1963회장 (1963)
남아프리카 고등교육 위원회1959창립 후원자
보츠와나 원격 교육 대학1959
레소토 원격 교육 센터1959
교육 자문 센터1959
베스널 그린 수출 유한회사1964–66
경제사회연구위원회1965회장 (1965–68)
템즈사이드 연구 개발 그룹1967–69
국가 소비자 위원회1975회장 (1975–77)
국립 원격 교육 대학1962회장 (1962–71)
오픈 유니버시티1964
국립 혁신 센터1968–74
의료 사회 연구소1970–94
국제 원격 교육 대학1971–2006
사회 감사1972
상호 지원 센터1977
통근자 연구 클럽1980
국제 경고1981
제3기 대학1982
토니 사회1982–88
보건 대학1983
시간의 사회 연구 협회1983
아르고 벤처1984–95
헬스라인1986
오픈 예술 대학1987회장 (1987–91)
선거 선택 센터1987
교육 선택 센터1988
링크에이지1988–95
사미즈다트1988–90
오픈 스쿨1989
랭귀지 라인1990
성인을 위한 중등 교육 과정 (ASECA)1991
성인 기초 교육 프로그램 (ABEP)1991
남아프리카 원격 교육 연구소 (SAIDE)1991
교육 추가1992
아동 질병 교육 전국 협회1993
타워 해멀릿 독립 뉴스 서비스 (THINK)1993–94
국립 장례 대학1994
가족 계약 협회1994
사회적 기업가 학교1997
피닉스 교육 트러스트2001


2. 4. 정치 활동

1978년 3월 20일, 영은 노동당으로부터 종신 귀족 작위(다팅턴의 영 남작)를 받았다.[15] 귀족 작위는 그가 돈이 떨어졌을 때 무료 철도 여행과 출석 수당을 제공했다.[5]

1981년, 영은 사회민주당(SDP) 창당에 참여하여, 라임하우스 선언에 이름을 올린 100명의 지지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전후 사회민주주의 철학의 국가주의적이고 노동조합 중심적인 측면에 무관심했기 때문에 새로운 진보 정당 결성에 참여하게 되었다.[16] SDP에서 그는 당 정책위원회 위원이자 싱크탱크인 토니 사회의 이사가 되었다.

데이비드 오언의 동료였던 영은 1988년 자유당과의 합병을 지지하지 않고 오언을 따라 "계속되는" SDP에 합류했다.[17] 1년 후, 오언의 말에 따르면 노동당의 "유럽 경제 공동체(EEC), 시장 경제, 트라이던트에 대한 대전환"에 따라 노동당으로 복귀했다.[18][19] 영은 노동당이 1992년 영국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 회의적이었고, 여전히 사회주의를 현대화해야 할 과제가 있다고 믿었다.[20]

3. 개인사

영은 세 번 결혼했다. 1945년 조안 로턴과 첫 결혼을 하여 두 아들과 한 딸을 얻었고, 이후 이혼했다. 1961년 소설가이자 화가이자 조각가이기도 한 사샤 무어샘과 두 번째 결혼을 하여 한 아들과 한 딸을 얻었다. 부부는 남아프리카의 타운십 등의 프로젝트에서 공동 작업을 했다. 사샤 무어샘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토비 영은 언론인이자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22] 1993년 사샤가 사망한 후, 1995년 37세의 모자 제작자 도릿 울레만과 세 번째 결혼을 하여 딸 가이아를 얻었다.[23][24][25] 가이아는 2021년 7월 2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6]

영의 아버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음악 평론가였고, 어머니는 보헤미안 출신의 화가이자 여배우였다. 영은 맨체스터에서 태어나 8세까지 멜버른에서 자랐으며, 부모의 결혼이 파경을 맞기 직전에 잉글랜드로 돌아왔다.

4. 저서

Michael Young영어은 헨리 노엘 영 경과 함께 ''전쟁이 우리를 더 가난하게 만들까?''(1943),[1] ''민간 항공''(1944),[1] ''아돌프 히틀러의 재판''(1944),[1] 테오도르 프래거와 함께 ''모두를 위한 일자리가 있다''(1945),[1] ''풍요를 위한 노동자의 계획''(1947),[1] ''사회주의 산업이란 무엇인가?''(1947),[1] ''작은 사람, 큰 세상: 사회주의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1949),[1] ''5천만 명의 실업자''(1952),[1] ''런던 동부의 확대 가족 연구''(1955),[1] 피터 윌못과 함께 런던 동부의 가족과 친족(1957)을 펴냈다.[1]

1958년에는 《능력주의의 부상》을 펴냈는데,[1] 이 책은 원래 패비안 협회를 위해 쓰였지만 출판을 거부당했다.[4] 이 책을 통해 노동당은 기회의 평등에 대한 생각을 바꾸었고, 메리토크라시(meritocracy)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4]

피터 윌못과 함께 ''런던 교외의 가족과 계급''(1960),[1] ''도버의 깨진 흰 컵: 새로운 진보당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1960),[1] 마이클 아밍스트롱과 함께 ''종합학교에 대한 새로운 시각''(1964),[1] ''교육에서의 혁신과 연구''(1967),[1] ''예측과 사회 과학''(1968),[1] ''혼시 계획: 새로운 지방 정부에서 지역 의회의 역할''(1971),[1] ''평등은 꿈인가?''(1972),[1] 피터 G. 그레고리와 함께 ''노년층을 위한 생명선 전화 서비스: 헐에서의 시범 사업에 대한 보고서''(1972),[1] 패트릭 맥기니와 함께 ''학습은 집에서 시작됩니다: 초등학교와 학부모에 대한 연구''(1973),[1] 피터 윌못과 함께 ''대칭적인 가족: 런던 지역의 일과 여가에 대한 연구''(1973)를 펴냈다.[1]

마리안 리게와 함께 ''이기적인 사회에서의 상호 원조: 협동 운동 강화에 대한 호소''(1979),[1] 마리안 리게와 함께 ''건축 조합과 소비자: 보고서''(1981),[1]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핵니에서 온 보고서: 도심 지역에 대한 연구''(1981),[1] ''다팅턴의 엘름허스트 가족: 유토피아 공동체의 창조''(1982),[1] ''인플레이션, 실업 및 사회의 재도덕화''(1982),[1] 토니 플라워 및 피터 홀과 함께 ''카우리 거리 언덕 위로: SDP 정책에 대한 타우니 회원들의 견해''(1982),[1] 마리안 리게와 함께 ''내부로부터의 혁명: 영국 산업에서의 협동조합과 협동''(1983),[1] ''사회 과학자로서의 혁신가''(1983),[1] ''합병할 것인가, 말 것인가?''(1983),[1] 마리안 리게와 함께 ''신성장 지역 개발: 근로자 협동조합과 그 환경: 일자리 창출을 위한 비교 분석: 영국, 아일랜드 공화국, 네덜란드의 근로자 협동조합 지원''(1985)을 펴냈다.[1]

''메트로놈 사회: 자연 리듬과 인간의 시간표''(1988),[1] 톰 슐러과 함께 ''사회의 리듬''(1988),[1] 매슈 오언과 함께 ''어린이 방과 후 클럽 운동: 행동 촉구''(1991),[1] 톰 슐러, 존스턴 버챌, 그웬네스 버넌과 함께 ''일 이후의 삶: 시대를 초월한 사회의 도래''(1991),[1] 제리 화이트와 함께 ''런던 통치''(1996),[1] 제프 덴치 및 케이트 가브론과 함께 ''새로운 이스트 엔드: 친족, 인종 및 갈등''(2006)을 펴냈다.[1]

5. 평가 및 영향

마이클 영은 사회학 연구, 사회 운동, 정책 참여, 기관 설립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며 영국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1958년에 출간한 풍자 소설 《능력주의의 부상》은 '능력주의(meritocracy)'라는 용어를 대중화시키고, 학력 중심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2] 이 책은 "IQ + 노력"만으로 모든 것이 결정되는 디스토피아적 미래 사회를 묘사하며, 능력주의가 결코 공정하고 바람직한 사회 체제가 아님을 역설했다.

영의 사회 연구는 1965년부터 1976년 사이에 이루어진 중등 교육 개혁에도 영향을 미쳤다. 문법 학교가 폐지되고 종합 학교가 도입되었으며, 11플러스 시험이 폐지되는 과정에 그의 연구가 중요한 근거로 작용했다.[8]

그는 또한 지역 사회 연구소를 설립하여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과 제도 운영에 더 많은 발언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신념을 실천했다.[6] 피터 윌모트와 함께 저술한 《런던 동부의 가족과 친족》은 지역 사회와 가족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며, 사회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7]

영은 생애 후반, 노년층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제3세대 대학과 링키지를 설립하여 세대 간 소통을 증진하고 노인들의 사회 참여를 독려했다. 또한, 2001년에는 그랜드패런츠 플러스를 설립하여 가족 내 조부모의 역할을 확대하고 지원하는 활동을 펼쳤다.

1992년, 영은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알버트 메달을 수상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2] 뉴스 Down with meritocracy: The man wishes Tony Blair would stop using it https://www.theguard[...] 2018-05-24
[3] 웹사이트 I'm proud that my ancestor served at Trafalgar. But not too proud to sell his stuff https://www.spectato[...] 2019-09-05
[4] PhD A study of the extended family in East London http://etheses.lse.a[...]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21-06-25
[5] 뉴스 Lord Young of Dartington https://www.theguard[...] 2016-02-24
[6] harvnb
[7] 위키
[8] 뉴스 Innovative thinker https://www.theguard[...] 2015-01-12
[9]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dvisory Centre for Education http://www.ace-ed.or[...] 2016-02-24
[10] 서적 The History of Broadcasting in the United Kingdom https://books.google[...]
[11] 웹사이트 The OU Story http://www.open.ac.u[...] The Open University 2016-02-24
[12] 웹사이트 Finding Aid for the Leo Kuper Papers, 1951-1993 http://www.oac.cdlib[...] 2019-09-05
[13] 학술지 The State and Future of Genocide Studies and Prevention: An Overview and Analysis of Some Key Issues http://scholarcommon[...] 2011
[14] 서적 500 Beacons: The U3A Story Third Age Press 2014
[15] 간행물 London Gazette 1978-03-23
[16] 서적 Young at Eighty https://books.google[...] 2016-03-02
[17] 서적 Time to Declare Penguin
[18] 뉴스 SDP peer defects to Labour Party 1989-06-14
[19] 서적 Time to Declare
[20] 뉴스 Essential ways to win over the centre 1990-04-16
[21] 서적 Burke's Peerage and Baronetage
[22] 뉴스 My father would be pleased about the launch of a British space agency https://www.spectato[...] 2018-05-24
[23] 웹사이트 PROFILE: Lord Young of Dartington; Father of the Third Age https://www.independ[...] 2011-10-23
[24] 뉴스 Growing in the midst of death https://www.irishtim[...]
[25] 서적 Burke's Peerage, Baronetage and Knightage Burke's Peerage Ltd
[26] 뉴스 Lord Young's daughter died hours after complaining of headache https://www.telegrap[...] 2021-09-03
[27] 서적 Young at Eighty https://books.google[...] 2016-03-02
[28] 웹사이트 History http://www.ridc.org.[...] 2018-06-27
[29] 웹사이트 Michael Young founder of SSE https://www.the-sse.[...] 2019-09-05
[30] 학술지 An Education Fit For The Elite http://www.swans.com[...] 2014-03-24
[31] 뉴스 (120)暴走する「能力主義」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2-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