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시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시 제도는 필리핀 최남서단에 위치한 섬으로, 필리핀과 말레이시아 사이의 국제 조약 경계선에 인접해 있다. 1946년 필리핀 독립 당시 미국의 주권 하에 있으면서 영국의 행정 관할을 받는 특수한 역사를 거쳤으며, 1947년 필리핀에 행정권이 이양되었다. 주요 산업은 어업과 말레이시아와의 교역이며, 2017년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수자원 및 위생 문제, 의료 접근성 부족, 불법 어업 및 밀수, 밀입국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라완주의 섬 - 스프래틀리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는 남중국해에 위치하여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중요한 해상 교통로에 위치해 여러 국가 간 영유권 분쟁이 지속되는 지역으로, 인공섬 건설과 군사화로 갈등이 심화되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관심과 외교적 노력이 필요한 곳이다. - 팔라완주의 섬 - 팔라완섬
팔라완섬은 필리핀의 섬으로 "필리핀 최후의 프론티어"라 불리는 때묻지 않은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생태 관광지이며, 푸에르토 프린세사 지하 강 국립 공원과 투바타하 암초 해양 공원이 세계 유산으로 등록되어 있고, 말레이계 민족과 중국 상인들의 교역 중심지로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으며, 최근에는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의 최전선에 위치하여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 필리핀의 섬 - 탈 화산
필리핀 루손섬 바탕가스주에 있는 탈 화산은 유라시아판과 필리핀 이동대 간의 섭입 작용으로 형성된 활화산으로, 거대한 칼데라 내에 탈 호수와 화산섬이 있으며 잦은 화산 활동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 필리핀의 섬 - 네그로스섬
네그로스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있는 섬으로,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크며, 서쪽에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가, 동쪽에는 네그로스오리엔탈주가 위치하고, 설탕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망시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망시 제도 |
원어 이름 | Mangsee Islands (영어), マンシ諸島 (일본어) |
위치 | 발라바크 해협 |
군도 | 발라바크 군도 |
해역 | 남중국해 술루 해 |
소속 국가 | 필리핀 |
면적 | 알 수 없음 |
해안선 길이 | 알 수 없음 |
최고 고도 | 알 수 없음 |
행정 구역 | |
국가 | 필리핀 |
지방 | 미마로파 |
주 | 팔라완 주 |
자치체 | 발라바크 |
바랑가이 | 망시 |
인구 정보 | |
인구 (2020년) | 8,822명 |
인구 밀도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
망시 바랑가이 정보 | |
유형 | 바랑가이 |
면적 | 0.4 km² |
2. 역사
타위타위주의 터틀 제도와 함께 망시 제도는 1946년 독립 당시 필리핀 행정부의 관할 하에 있지 않았던 지역이라는 역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3] 1930년 미국(당시 해외 영토인 필리핀 제도를 관할)과 영국(당시 보호령인 북보르네오 주) 간에 체결된 국제 조약에 따라 두 강대국은 해당 영토 간의 국제 경계에 합의했다.[3] 해당 조약에서 영국은 터틀 제도뿐만 아니라 망시 제도가 필리핀 제도에 속하며 미국의 주권 하에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4] 그러나 부속 국제 조약에 따라, 해당 섬은 필리핀 제도에 속하더라도 북보르네오 주의 영국령 북보르네오 회사의 행정 관할 하에 남기로 합의되었다.[4] 이 부속 조약은 영국령 북보르네오 회사가 미국 정부가 영국에 해당 섬의 행정 관할을 미국으로 이전해 달라는 통지를 할 때까지 계속해서 해당 섬을 관리하도록 규정했지만, 미국은 그러한 통지를 한 적이 없었다.[5]
1946년 7월 4일, 필리핀 공화국이 수립되어 1930년 조약에 따라 미국을 승계했다.[6] 1946년 7월 15일, 영국은 북보르네오 주를 합병했고, 영국의 입장에서 북보르네오 주였던 지역에 대한 주권을 갖게 되었다.[6] 1946년 9월 19일, 필리핀 공화국은 영국에 터틀 제도와 망시 제도의 행정 관할을 인수하겠다는 통지를 했다.[5] 부속 국제 협정에 따라 행정권 이양은 1947년 10월 16일에 발효되었다.[5][7]
미서 전쟁에서 스페인에 승리한 미국은 1898년의 파리 조약에 의해 필리핀 제도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영국은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주권을 인정했지만, 두 군도를 북보르네오 회사가 관리해 온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이 섬들의 권익을 포기할 것을 미국에 타진했다. 1907년 미영 간의 협정에 의해, 국제 경계 조약의 체결 혹은 어느 한쪽 정부의 통지가 있을 때까지 섬들을 계속 북보르네오 회사의 관리 하에 두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1946년 7월 4일에 미령에서 독립한 필리핀 정부는, 그 몇 달 후에 영국 정부에게 섬들의 권리 양도를 요청했다. 섬들이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북보르네오의 관리 하에 남는 것이 양측 모두에게 최선이라고 영국은 주장했지만, 필리핀 측의 의견은 변하지 않았다. 양국의 합의에 따라, 1946년 10월 16일에 양 군도는 필리핀에 양도되었다.
망시 제도는 술루 해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남동쪽 약 170km에 위치한 터틀 제도와 함께 필리핀 독립 이전까지 미국의 주권 하에 있으면서 영국의 관리 하에 놓였던 특이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47년 시드니 모닝 헤럴드 기사에 따르면, 망시 제도와 터틀 제도는 1903년에 술루 왕국의 술탄으로부터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에 임대되었으며, 이후 1939년까지 그 상속인에게 매년 75파운드가 지급되었다.
1947년의 신문 기사에서는, 망시 제도에 해삼 어업을 하는 30명 정도의 바자우 인구가 있었다고 한다.
망시 섬의 개척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하에서 필리핀에 계엄령이 선포되자, 사마족 사람들의 근거지였던 술루 제도에서는 모로 민족 해방 전선의 활동이 활발해져 정부군과의 충돌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정정 불안 속에서, 탄두바스 섬 우구스 마타타 마을의 주민들이 대량으로 유출되어 바라바크 읍, 특히 망시 섬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2017년 말 태풍 빈타(平成29년 태풍 제27호)가 바라바크를 강타하여 망시 제도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섬 내 사망자는 40명, 가옥 600채가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2019년 현재도 복구가 진행 중이다.
2. 1. 필리핀-영국 간 관할권 분쟁
타위타위주의 터틀 제도와 함께 망시 제도는 1946년 독립 당시 필리핀 행정부의 관할 하에 있지 않았던 지역이라는 역사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3] 1930년 미국(당시 해외 영토인 필리핀 제도를 관할)과 영국(당시 보호령인 북보르네오 주) 간에 체결된 국제 조약에 따라 두 강대국은 해당 영토 간의 국제 경계에 합의했다.[3] 해당 조약에서 영국은 터틀 제도뿐만 아니라 망시 제도가 필리핀 제도에 속하며 미국의 주권 하에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4] 그러나 부속 국제 조약에 따라, 해당 섬은 필리핀 제도에 속하더라도 북보르네오 주의 영국령 북보르네오 회사의 행정 관할 하에 남기로 합의되었다.[4] 이 부속 조약은 영국령 북보르네오 회사가 미국 정부가 영국에 해당 섬의 행정 관할을 미국으로 이전해 달라는 통지를 할 때까지 계속해서 해당 섬을 관리하도록 규정했지만, 미국은 그러한 통지를 한 적이 없었다.[5]1946년 7월 4일, 필리핀 공화국이 수립되어 1930년 조약에 따라 미국을 승계했다.[6] 1946년 7월 15일, 영국은 북보르네오 주를 합병했고, 영국의 입장에서 북보르네오 주였던 지역에 대한 주권을 갖게 되었다.[6] 1946년 9월 19일, 필리핀 공화국은 영국에 터틀 제도와 망시 제도의 행정 관할을 인수하겠다는 통지를 했다.[5] 부속 국제 협정에 따라 행정권 이양은 1947년 10월 16일에 발효되었다.[5][7]
미서 전쟁에서 스페인에 승리한 미국은 1898년의 파리 조약에 의해 필리핀 제도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영국은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주권을 인정했지만, 두 군도를 북보르네오 회사가 관리해 온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이 섬들의 권익을 포기할 것을 미국에 타진했다. 1907년 미영 간의 협정에 의해, 국제 경계 조약의 체결 혹은 어느 한쪽 정부의 통지가 있을 때까지 섬들을 계속 북보르네오 회사의 관리 하에 두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1946년 7월 4일에 미령에서 독립한 필리핀 정부는, 그 몇 달 후에 영국 정부에게 섬들의 권리 양도를 요청했다. 섬들이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북보르네오의 관리 하에 남는 것이 양측 모두에게 최선이라고 영국은 주장했지만, 필리핀 측의 의견은 변하지 않았다. 양국의 합의에 따라, 1946년 10월 16일에 양 군도는 필리핀에 양도되었다.
2. 2. 필리핀으로의 행정권 이양
타위타위주의 터틀 제도와 함께 망시 제도는 1946년 독립 당시 필리핀 행정부의 관할 하에 있지 않았던 지역이다.[3] 1930년 미국 (당시 해외 영토인 필리핀 제도를 관할)과 영국 (당시 보호령인 북보르네오 주) 간에 체결된 국제 조약에 따라 두 강대국은 해당 영토 간의 국제 경계에 합의했다.[3] 해당 조약에서 영국은 터틀 제도뿐만 아니라 망시 제도가 필리핀 제도에 속하며 미국의 주권 하에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4] 그러나 동시에 체결된 부속 국제 조약에 따라 두 강대국은 해당 섬이 필리핀 제도에 속하더라도 북보르네오 주의 영국령 북보르네오 회사의 행정 관할 하에 남기로 합의했다.[4] 이 부속 조약은 영국령 북보르네오 회사가 미국 정부가 영국에 해당 섬의 행정 관할을 미국으로 이전해 달라는 통지를 할 때까지 계속해서 해당 섬을 관리하도록 규정했다. 미국은 그러한 통지를 한 적이 없었다.[5]1946년 7월 4일, 필리핀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필리핀 공화국은 1930년 조약에 따라 미국을 승계했다. 1946년 7월 15일, 영국은 북보르네오 주를 합병했고, 영국의 입장에서 북보르네오 주였던 지역에 대한 주권을 갖게 되었다.[6] 1946년 9월 19일, 필리핀 공화국은 영국에 터틀 제도와 망시 제도의 행정 관할을 인수하겠다는 통지를 했다.[5] 부속 국제 협정에 따라 행정권 이양은 1947년 10월 16일에 발효되었다.[5][7]
미서 전쟁에서 스페인에 승리한 미국은 1898년의 파리 조약에 의해 필리핀 제도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영국은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주권을 인정했지만, 두 군도를 북보르네오 회사가 관리해 온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이 섬들의 권익을 포기할 것을 미국에 타진했다. 1907년 미영 간의 협정에 의해, 국제 경계 조약의 체결 혹은 어느 한쪽 정부의 통지가 있을 때까지 섬들을 계속 북보르네오 회사의 관리 하에 두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1946년 7월 4일에 미령에서 독립한 필리핀 정부는, 그 몇 달 후에 영국 정부에게 섬들의 권리 양도를 요청했다. 섬들이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북보르네오의 관리 하에 남는 것이 양측 모두에게 최선이라고 영국은 주장했지만, 필리핀 측의 의견은 변하지 않았다. 양국의 합의에 따라, 1946년 10월 16일에 양 군도는 필리핀에 양도되었다.
2. 3. 마르코스 정권과 모로 민족 해방 전선
망시 제도는 술루 해 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남동쪽 약 170km에 위치한 터틀 제도와 함께 필리핀 독립 이전까지 미국의 주권 하에 있으면서 영국의 관리 하에 놓였던 특이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47년 시드니 모닝 헤럴드 기사에 따르면, 망시 제도와 터틀 제도는 1903년에 술루 왕국의 술탄으로부터 영국 북보르네오 회사에 임대되었으며, 이후 1939년까지 그 상속인에게 매년 75파운드가 지급되었다.미서 전쟁에서 스페인에 승리한 미국은 1898년 파리 조약에 의해 필리핀 제도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영국은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주권을 인정했지만, 두 군도를 북보르네오 회사가 관리해 온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이 섬들의 권익을 포기할 것을 미국에 타진했다. 1907년 미영 간의 협정에 의해, 국제 경계 조약의 체결 혹은 어느 한쪽 정부의 통지가 있을 때까지 섬들을 계속 북보르네오 회사의 관리 하에 두는 것으로 합의되었다.
1946년 7월 4일에 미령에서 독립한 필리핀 정부는, 그 몇 달 후에 영국 정부에게 섬들의 권리 양도를 요청했다. 섬들이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북보르네오의 관리 하에 남는 것이 양측 모두에게 최선이라고 영국은 주장했지만, 필리핀 측의 의견은 변하지 않았다. 양국의 합의에 따라, 1946년 10월 16일에 양 군도는 필리핀에 양도되었다. 1947년의 신문 기사에서는, 망시 제도에 해삼 어업을 하는 30명 정도의 바자우 인구가 있었다고 한다.
망시 섬의 개척은 1970년대에 시작되었다.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하에서 필리핀에 계엄령이 선포되자, 사마족 사람들의 근거지였던 술루 제도에서는 모로 민족 해방 전선의 활동이 활발해져 정부군과의 충돌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정정 불안 속에서, 탄두바스 섬 우구스 마타타 마을의 주민들이 대량으로 유출되어 바라바크 읍, 특히 망시 섬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2. 4. 태풍 피해와 복구
2017년 말에 태풍 빈타(平成29년 태풍 제27호)가 바라바크를 강타하여 망시 제도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섬 내 사망자는 40명, 가옥 600채가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2019년 현재도 복구가 진행 중이다.3. 지리 및 사회
망시 제도는 필리핀 최남서단,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를 구분하는 국제 조약 경계선 가장자리에 있는 술루해에 위치해 있다.[8] 남망시 섬은 두 섬 중 더 크지만 23제곱헥타르에 불과하다.[8] 인구는 약 9,000명으로, 대부분 사마족 무슬림이며, 섬은 매우 인구 밀도가 높다.[8] 남망시는 1975년에 설립된 초등학교와 같은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인구가 거주하는 곳이다.
둘레 약 3km의 남만시 섬의 거주 구역은 섬의 북서부에서 남동부에 걸쳐 퍼져 있으며, 섬 주민은 해안가에 지은 말뚝집에 흩어져 생활하고 있다. 섬의 중심부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각각 1개씩 있다. 2000년 시점에서 섬 내에는 4곳의 모스크가 있으며, 매년 20명 정도가 메카로 순례를 하고 있다.
망시는 행정적으로 속한 팔라완 최남단 마을인 발라박보다 말레이시아의 사바에 더 가깝다. 섬의 수자원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8]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콜레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사바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 진료소는 있지만 상주 의사는 없으며, 응급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말레이시아의 방기 섬이나 쿠닷 등으로 가야 한다.
전력은 과거에는 자가 발전으로 충당되었지만, 2020년에 국영 전력 사업자에 의해 디젤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또한, 통신 서비스는 2012년 시점에서는 말레이시아 회사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의 통신에는 국제 요금이 적용되었지만, 2021년에 초등학교와 중학교, 마을(바랑가이)사무소 3곳에 VSAT 시스템을 이용한 Wi-Fi 스폿이 건설되었다.
섬 내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보이는 감염증이 확산되었다. 수질 오염은 오랜 과제였지만, 팔라완 주 정부의 투자로 2022년에 해수 처리장이 완공되어, 담수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1년 현재도 해결되지 않았다.
섬의 고립성 때문에 정부의 관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유일하게 섬에 주둔하는 해병대가 법 질서를 지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필리핀 정부는 다이너마이트 어업과 시안화물을 사용한 어업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불법 어업과 말레이시아와의 밀수는 마을의 관리인에게도 묵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8년에는 섬의 바랑가이 차기 수장이 정부 마약 단속국의 수사관과의 총격전 끝에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말레이시아 간의 밀수, 어업은 망시의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망시 제도는 밀수뿐만 아니라 밀입국의 기점도 되고 있으며, 2011년에는, 북망시 섬을 이용하여 말레이시아로의 밀입국을 시도한 그룹을 정부 당국이 저지하는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3. 1. 지리적 특징
망시 제도는 필리핀 최남서단,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를 구분하는 국제 조약 경계선 가장자리에 있는 술루해에 위치해 있다.[8] 남망시 섬은 두 섬 중 더 크지만 23제곱헥타르에 불과하다.[8]망시는 행정적으로 속한 팔라완 최남단 마을인 발라박보다 말레이시아의 사바에 더 가깝다. 섬의 수자원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8]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콜레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사바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
말레이시아 간의 밀수, 어업은 망시의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3. 2. 인구 및 주민 구성
망시 제도는 필리핀 최남서단,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를 구분하는 국제 조약 경계선 가장자리에 있는 술루해에 위치해 있다.[8] 남망시 섬은 두 섬 중 더 크지만 23제곱헥타르에 불과하다.[8] 인구는 약 9,000명으로, 대부분 사마족 무슬림이며, 섬은 매우 인구 밀도가 높다.[8]둘레 약 3km의 남만시 섬의 거주 구역은 섬의 북서부에서 남동부에 걸쳐 퍼져 있으며, 섬 주민은 해안가에 지은 말뚝집에 흩어져 생활하고 있다. 섬의 중심부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각각 1개씩 있다. 2000년 시점에서 섬 내에는 4곳의 모스크가 있으며, 매년 20명 정도가 메카로 순례를 하고 있다.
섬의 수자원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8]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콜레라로 인한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다.[8]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사바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 진료소는 있지만 상주 의사는 없으며, 응급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말레이시아의 방기 섬이나 쿠닷 등으로 가야 한다.
전력은 과거에는 자가 발전으로 충당되었지만, 2020년에 국영 전력 사업자에 의해 디젤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또한, 통신 서비스는 2012년 시점에서는 말레이시아 회사에 의해 운영되었으며, 필리핀의 다른 지역과의 통신에는 국제 요금이 적용되었지만, 2021년에 초등학교와 중학교, 마을(바랑가이)사무소 3곳에 VSAT 시스템을 이용한 Wi-Fi 스폿이 건설되었다.
섬 내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보이는 감염증이 확산되었다. 수질 오염은 오랜 과제였지만, 팔라완 주 정부의 투자로 2022년에 해수 처리장이 완공되어, 담수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1년 현재도 해결되지 않았다.
섬의 고립성 때문에 정부의 관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유일하게 섬에 주둔하는 해병대가 법 질서를 지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필리핀 정부는 다이너마이트 어업과 시안화물을 사용한 어업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불법 어업과 말레이시아와의 밀수는 마을의 관리인에게도 묵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8년에는 섬의 바랑가이 차기 수장이 정부 마약 단속국의 수사관과의 총격전 끝에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말레이시아 간의 밀수, 어업은 망시의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3. 3. 사회 문제
망시 제도에서는 수자원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콜레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말레이시아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섬 내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보이는 감염증이 확산되었다. 수질 오염은 오랜 과제였지만, 팔라완 주 정부의 투자로 2022년에 해수 처리장이 완공되어, 담수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1년 현재도 해결되지 않았다.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콜레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8]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사바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 진료소는 있지만 상주 의사는 없으며, 응급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말레이시아의 방기 섬이나 쿠닷 등으로 가야 한다. 섬 내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보이는 감염증이 확산되었다.
말레이시아 간의 밀수, 어업은 망시의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필리핀 정부는 다이너마이트 어업과 시안화물을 사용한 어업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불법 어업과 말레이시아와의 밀수는 마을의 관리인에게도 묵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8년에는 섬의 바랑가이 차기 수장이 정부 마약 단속국의 수사관과의 총격전 끝에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망시 제도는 필리핀 최남서단,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를 구분하는 국제 조약 경계선 가장자리에 있는 술루해에 위치해 있다.
3. 3. 1. 수자원 및 위생 문제
망시 제도에서는 수자원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콜레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말레이시아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섬 내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보이는 감염증이 확산되었다. 수질 오염은 오랜 과제였지만, 팔라완 주 정부의 투자로 2022년에 해수 처리장이 완공되어, 담수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1년 현재도 해결되지 않았다.
3. 3. 2. 의료 접근성 문제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콜레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8]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사바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 진료소는 있지만 상주 의사는 없으며, 응급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말레이시아의 방기 섬이나 쿠닷 등으로 가야 한다. 섬 내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보이는 감염증이 확산되었다.3. 3. 3. 불법 어업 및 밀수
말레이시아 간의 밀수, 어업은 망시의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 1970년대 이래, 난사 군도 주변에서 행해지는 해삼 잠수 어업이나 폭약을 사용한 자리돔 어업, 근해에서의 끌낚시 어업, 가두리 양식 어업 등의 어업이 망시 제도의 주요 산업을 차지하고 있었다. 1990년대 후반의 해삼 잠수 어업은 난사 군도 주변에서 1~2개월에 걸쳐 행해지는 대규모 어업으로, 잠수기를 이용하여 수심 30~50m의 깊이에서 채취되었다. 얻어진 해삼이나 물고기는 섬 내에서 건해삼이나 건어물로 가공되어, 전자는 푸에르토프린세사나 마닐라를 거쳐 해외로, 후자는 민다나오섬의 삼보앙가 등으로 출하되었다.1990년대 말에는, 아시아 통화 위기에 의한 필리핀 페소의 하락과 해삼 자원의 감소로 인해 폭약 어업이나 해삼 어업은 쇠퇴하고, 군도 주변에서의 전복 어업이나 바닷가재 어업 등을 조합한 다각 경영으로 전환하는 등, 어업 활동은 외부 환경에 맞춰 탄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쿠다 등 말레이시아 상인과의 교역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 되고 있다. 식료품이나 팜유, 설탕, 프로판 가스, 석유 등 일용품의 대부분을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섬의 상점에는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품이 진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을 필리핀의 다른 지역으로 이출하는 이른바 밀무역도 활발하다. 다만, 아시아 통화 위기를 계기로 말레이시아 쌀 대신 필리핀 쌀이 유통되게 되는 등, 상품 유통은 항상 시세에 좌우된다. 또한 섬은, 주변 해역에서 조업하는 대형 어선에 대한 물자 공급 거점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망시 제도는 밀수뿐만 아니라 밀입국의 기점도 되고 있으며, 2011년에는, 북망시 섬을 이용하여 말레이시아로의 밀입국을 시도한 그룹을 정부 당국이 저지하는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3. 3. 4. 밀입국 문제
망시 제도는 필리핀 최남서단,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를 구분하는 국제 조약 경계선 가장자리에 있는 술루해에 위치해 있다. 남망시 섬은 두 섬 중 더 크지만 23제곱헥타르에 불과하다.[8] 인구는 약 9,000명으로, 대부분 사마족 무슬림이며, 섬은 매우 인구 밀도가 높다. 남망시는 1975년에 설립된 초등학교와 같은 정부 기관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인구가 거주하는 곳이다. 망시는 행정적으로 속한 팔라완 최남단 마을인 발라박보다 말레이시아의 사바에 더 가깝다. 섬의 수자원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 2000년, 망시는 약 2주 만에 약 200명의 사망자를 낸 전염병으로 타격을 입었는데, 이는 콜레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2012년 기준으로, 바랑가이에는 아직 상주하는 의사가 없었다.[8]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섬 주민의 대부분은 사바의 인근 방기 섬에서 치료를 받는다.[9] 말레이시아 간의 밀수, 어업은 망시의 중요한 경제 활동이다.4. 경제
1970년대 이래, 난사 군도 주변에서 행해지는 해삼 잠수 어업이나 폭약을 사용한 자리돔 어업, 근해에서의 끌낚시 어업, 가두리 양식 어업 등이 망시 제도의 주요 산업을 차지하고 있었다. 1990년대 후반의 해삼 잠수 어업은 난사 군도 주변에서 1~2개월에 걸쳐 행해지는 대규모 어업으로, 잠수기를 이용하여 수심 30~50m의 깊이에서 채취되었다. 얻어진 해삼이나 물고기는 섬 내에서 건해삼이나 건어물로 가공되어, 전자는 푸에르토 프린세사나 마닐라를 거쳐 해외로, 후자는 민다나오 섬의 삼보앙가 등으로 출하되었다.
1990년대 말에는, 아시아 통화 위기에 의한 필리핀 페소의 하락과 해삼 자원의 감소로 인해 폭약 어업이나 해삼 어업은 쇠퇴하고, 군도 주변에서의 전복 어업이나 바닷가재 어업 등을 조합한 다각 경영으로 전환하는 등, 어업 활동은 외부 환경에 맞춰 탄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쿠다 등 말레이시아 상인과의 교역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 되고 있다. 식료품이나 팜유, 설탕, 프로판 가스, 석유 등 일용품의 대부분을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섬의 상점에는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품이 진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을 필리핀의 다른 지역으로 이출하는 이른바 밀무역도 활발하다. 다만, 아시아 통화 위기를 계기로 말레이시아 쌀 대신 필리핀 쌀이 유통되게 되는 등, 상품 유통은 항상 시세에 좌우된다. 또한 섬은, 주변 해역에서 조업하는 대형 어선에 대한 물자 공급 거점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망시 제도는 밀수뿐만 아니라 밀입국의 기점도 되고 있으며, 2011년에는, 북망시 섬을 이용하여 말레이시아로의 밀입국을 시도한 그룹을 정부 당국이 저지하는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4. 1. 전통적인 어업 활동
1970년대 이래, 난사 군도 주변에서 행해지는 해삼 잠수 어업이나 폭약을 사용한 자리돔 어업, 근해에서의 끌낚시 어업, 가두리 양식 어업 등이 망시 제도의 주요 산업을 차지하고 있었다. 1990년대 후반의 해삼 잠수 어업은 난사 군도 주변에서 1~2개월에 걸쳐 행해지는 대규모 어업으로, 잠수기를 이용하여 수심 30~50m의 깊이에서 채취되었다. 얻어진 해삼이나 물고기는 섬 내에서 건해삼이나 건어물로 가공되어, 전자는 푸에르토 프린세사나 마닐라를 거쳐 해외로, 후자는 민다나오 섬의 삼보앙가 등으로 출하되었다.1990년대 말에는, 아시아 통화 위기에 의한 필리핀 페소의 하락과 해삼 자원의 감소로 인해 폭약 어업이나 해삼 어업은 쇠퇴하고, 군도 주변에서의 전복 어업이나 바닷가재 어업 등을 조합한 다각 경영으로 전환하는 등, 어업 활동은 외부 환경에 맞춰 탄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쿠다 등 말레이시아 상인과의 교역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 되고 있다. 식료품이나 팜유, 설탕, 프로판 가스, 석유 등 일용품의 대부분을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섬의 상점에는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품이 진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을 필리핀의 다른 지역으로 이출하는 이른바 밀무역도 활발하다. 다만, 아시아 통화 위기를 계기로 말레이시아 쌀 대신 필리핀 쌀이 유통되게 되는 등, 상품 유통은 항상 시세에 좌우된다. 또한 섬은, 주변 해역에서 조업하는 대형 어선에 대한 물자 공급 거점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4. 2. 어업 방식의 변화
1970년대 이래, 난사 군도 주변에서 행해지는 해삼 잠수 어업이나 폭약을 사용한 자리돔 어업, 근해에서의 끌낚시 어업, 가두리 양식 어업 등이 망시 제도의 주요 산업을 차지하고 있었다. 1990년대 후반의 해삼 잠수 어업은 난사 군도 주변에서 1~2개월에 걸쳐 행해지는 대규모 어업으로, 잠수기를 이용하여 수심 30~50m의 깊이에서 채취되었다. 얻어진 해삼이나 물고기는 섬 내에서 건해삼이나 건어물로 가공되어, 전자는 푸에르토 프린세사나 마닐라를 거쳐 해외로, 후자는 민다나오 섬의 삼보앙가 등으로 출하되었다.1990년대 말에는, 아시아 통화 위기에 의한 필리핀 페소의 하락과 해삼 자원의 감소로 인해 폭약 어업이나 해삼 어업은 쇠퇴하고, 군도 주변에서의 전복 어업이나 바닷가재 어업 등을 조합한 다각 경영으로 전환하는 등, 어업 활동은 외부 환경에 맞춰 탄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쿠다 등 말레이시아 상인과의 교역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 되고 있다. 식료품이나 팜유, 설탕, 프로판 가스, 석유 등 일용품의 대부분을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섬의 상점에는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품이 진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을 필리핀의 다른 지역으로 이출하는 이른바 밀무역도 활발하다. 다만, 아시아 통화 위기를 계기로 말레이시아 쌀 대신 필리핀 쌀이 유통되게 되는 등, 상품 유통은 항상 시세에 좌우된다. 또한 섬은, 주변 해역에서 조업하는 대형 어선에 대한 물자 공급 거점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망시 제도는 밀수뿐만 아니라 밀입국의 기점도 되고 있으며, 2011년에는, 북망시 섬을 이용하여 말레이시아로의 밀입국을 시도한 그룹을 정부 당국이 저지하는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4. 3. 말레이시아와의 교역
1970년대 이래, 난사 군도 주변에서 행해지는 해삼 잠수 어업이나 폭약을 사용한 자리돔 어업, 근해에서의 끌낚시 어업, 가두리 양식 어업 등이 망시 제도의 주요 산업이었다. 1990년대 후반의 해삼 잠수 어업은 난사 군도 주변에서 1~2개월에 걸쳐 행해지는 대규모 어업으로, 잠수기를 이용하여 수심 30~50m의 깊이에서 채취되었다. 얻어진 해삼이나 물고기는 섬 내에서 건해삼이나 건어물로 가공되어, 전자는 푸에르토 프린세사나 마닐라를 거쳐 해외로, 후자는 민다나오 섬의 삼보앙가 등으로 출하되었다.1990년대 말에는, 아시아 통화 위기에 의한 필리핀 페소의 하락과 해삼 자원의 감소로 인해 폭약 어업이나 해삼 어업은 쇠퇴하고, 군도 주변에서의 전복 어업이나 바닷가재 어업 등을 조합한 다각 경영으로 전환하는 등, 어업 활동은 외부 환경에 맞춰 탄력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쿠다 등 말레이시아 상인과의 교역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 되고 있다. 식료품이나 팜유, 설탕, 프로판 가스, 석유 등 일용품의 대부분을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섬의 상점에는 말레이시아로부터의 수입품이 진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품을 필리핀의 다른 지역으로 이출하는 이른바 밀무역도 활발하다. 다만, 아시아 통화 위기를 계기로 말레이시아 쌀 대신 필리핀 쌀이 유통되게 되는 등, 상품 유통은 항상 시세에 좌우된다. 또한 섬은, 주변 해역에서 조업하는 대형 어선에 대한 물자 공급 거점으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망시 제도는 밀수뿐만 아니라 밀입국의 기점도 되고 있으며, 2011년에는 북망시 섬을 이용하여 말레이시아로의 밀입국을 시도한 그룹을 정부 당국이 저지하는 사건도 발생하고 있다.
4. 4. 대형 어선 물자 공급 거점
1990년대 말, 망시 제도는 주변 해역에서 조업하는 대형 어선에 대한 물자 공급 거점으로서 기능하였다.5. 접근성
망시 제도로 가는 정기적인 교통 수단은 없다. 섬의 중심부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각각 1개씩 있으며, 2000년에는 섬 내에 4곳의 모스크가 있었다. 매년 20명 정도가 메카로 순례를 떠난다. 진료소는 있지만 상주 의사는 없어, 응급 서비스를 받으려면 말레이시아 방기 섬이나 쿠닷으로 가야 한다.
전력은 과거 자가 발전으로 충당했지만, 2020년에 디젤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2012년에는 말레이시아 회사가 통신 서비스를 운영하여 필리핀 다른 지역과의 통신에 국제 요금이 적용되었으나, 2021년에 초등학교, 중학교, 바랑가이사무소에 VSAT 시스템을 이용한 Wi-Fi 스폿이 설치되었다.
섬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어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추정되는 감염병이 확산되었다. 2022년에 팔라완 주 정부 투자로 해수 처리장이 완공되어 담수를 얻을 수 있게 되었지만, 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1년 현재도 해결되지 않았다.
섬의 고립성 때문에 정부 관리가 충분하지 않아 필리핀 해병대가 법 질서를 유지한다. 필리핀 정부는 다이너마이트 어업과 시안화물을 사용한 어업을 금지하지만, 불법 어업과 말레이시아와의 밀수는 묵인되고 있다. 2018년에는 섬의 바랑가이 차기 수장이 정부 마약 단속국 수사관과의 총격전 끝에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6. 현대적 발전
둘레 약 3km의 남만시 섬의 거주 구역은 섬의 북서부에서 남동부에 걸쳐 퍼져 있으며, 섬 주민은 해안가에 지은 말뚝집에 흩어져 생활하고 있다. 섬의 중심부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각각 1개씩 있다. 2000년 시점에서 섬 내에는 4곳의 모스크가 있으며, 매년 20명 정도가 메카로 순례를 하고 있다. 진료소는 있지만 상주 의사는 없으며, 응급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말레이시아의 방기 섬이나 쿠닷 등으로 가야 한다.
과거에는 자가 발전으로 전력을 충당하였다. 2020년에 국영 전력 사업자에 의해 디젤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2012년 시점에서는 말레이시아 회사가 통신 서비스를 운영하여 필리핀 다른 지역과의 통신에 국제 요금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2021년에 초등학교, 중학교, 마을(바랑가이)사무소 3곳에 VSAT 시스템을 이용한 Wi-Fi 스폿이 건설되었다.
섬 내에서는 곳곳에서 용수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폐기물 처리장이 없기 때문에 지하수가 오염되어, 2000년에는 콜레라로 보이는 감염증이 확산되었다. 수질 오염은 오랜 과제였지만, 팔라완 주 정부의 투자로 2022년에 해수 처리장이 완공되어, 담수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폐기물 처리 문제는 2021년 현재도 해결되지 않았다.
섬의 고립성 때문에 정부의 관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유일하게 섬에 주둔하는 해병대가 법 질서를 지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필리핀 정부는 다이너마이트 어업과 시안화물을 사용한 어업을 금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불법 어업과 말레이시아와의 밀수는 마을의 관리인에게도 묵인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8년에는 섬의 바랑가이 차기 수장이 정부 마약 단속국의 수사관과의 총격전 끝에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6. 1. 전력 공급
과거에는 자가 발전으로 전력을 충당하였다. 2020년에 국영 전력 사업자에 의해 디젤 발전소가 건설되었다.6. 2. 통신 서비스
2012년 시점에서는 말레이시아 회사가 통신 서비스를 운영하여 필리핀 다른 지역과의 통신에 국제 요금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2021년에 초등학교, 중학교, 마을(바랑가이)사무소 3곳에 VSAT 시스템을 이용한 Wi-Fi 스폿이 건설되었다.참조
[1]
웹사이트
Official City/Municipal 2013 Election Results
http://www.comelec.g[...]
Commission on Elections (COMELEC)
2013-07-01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Region 4B
http://psa.gov.ph/co[...]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6-05-19
[3]
문서
Conven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done at Washington on 2 January 1930
https://www.loc.gov/[...]
[4]
문서
Exchange of Note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done at Washington on 2 January 1930
https://www.loc.gov/[...]
[5]
간행물
Exchange of Notes betwee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regarding the transfer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Turtle and Mangsee Islands to the Philippine Republic; Cmd 8320
https://treaties.fco[...]
[6]
문서
The North Borneo Cession Order in Council 1946
[7]
뉴스
New Flag Over Pacific Paradise
https://news.google.[...]
The Sydney Morning Herald
1947-12-06
[8]
뉴스
Controlled chaos on Palawan islet
Philippine Inquirer
2012-01-18
[9]
웹사이트
Taking the boat to Sabah for treatment
http://www.dailyexpr[...]
Daily Express
2015-0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