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제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제집』은 히에로니무스의 불가타 성경 번역 이후 성경 주석 전통에서 비롯된 중세 신학 저작으로, 피터 롬바르드가 교부들의 주석을 수집하여 저술했다. 12세기 체계적인 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4권으로 구성되어 삼위일체, 창조, 말씀의 성육신, 성례전을 다룬다. 중세 대학교의 표준 교재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 오컴의 윌리엄 등 스콜라 철학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16세기까지 성경 다음으로 많이 주석된 기독교 문헌이며, 마르틴 루터와 존 칼뱅도 이 책을 참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기독교 - 제2차 십자군
    제2차 십자군은 1147년부터 1149년까지 에데사 백국의 함락에 대응하여 결성되었으나, 군사적으로 실패하고 이슬람 세력의 결집을 초래하여 십자군 국가의 세력 약화를 가져왔다.
  • 12세기 기독교 - 보름스 협약
    보름스 협약은 1122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5세와 교황 갈리스토 2세가 서임권 투쟁을 종식시키기 위해 체결한 협정으로, 황제가 주교 및 수도원장 서임 권한을 일부 포기하고 선거 참여 및 분쟁 시 영향력 행사 권한을 갖는 대신 제1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비준되어 교황과 황제 관계에 중요한 선례를 남겼다.
명제집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제목 (라틴어)Sententiae in quatuor IV libris distinctae; Sententiarum
제목 (한국어 번역)4권으로 나뉜 명제집; 명제집
저자피터 롬바르두스
국가프랑스
언어라틴어
주제기독교 신학
장르참고 문헌
주석
발간일기원후 1158년경
서지 정보
14세기 필사본 명제집의 시작 부분 ([[필라델피아 자유 도서관]], Lewis E 170, fol. 1r)
14세기 필사본 명제집의 시작 부분 (필라델피아 자유 도서관, Lewis E 170, fol. 1r)

2. 역사적 배경

『명제집』은 12세기 중세 유럽의 지적, 신학적 환경 속에서 탄생했다. 이 시기는 스콜라 철학이 발전하고 대학이 설립되면서 학문적 탐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때였다. 명제집 장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격언 모음집인 아퀴타니아의 프로스페르의 ''Sententia''와 같은 저작에서 비롯되었으며,[19] 이시도르의 초기 조직적인 기독교 신학 저술 중 하나인 ''Senteniae'' 시대에 확립되었다.[1]

피터 롬바르드는 교부들의 주석을 수집했는데, 이는 텍스트를 수정, 설명 또는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종교 및 법률 텍스트의 난외 주석이었다. 점차적으로 이 주석은 별도의 저작으로 편집되었다. 롬바르드의 ''명제집''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선례는 12세기 주석 모음집인 ''주석집''(Glossa Ordinaria)이었다.[2]

롬바르드는 다마스쿠스의 요한의 ''지식의 원천''이 1150년에 라틴어로 번역되었을 때 이 책을 접하고, 기존의 주석들을 하나의 일관된 전체로 묶어 한 단계 더 나아갔다.[3][19] 멜룬의 로버트의 ''명제집''(Sententiae)과 생 빅토르의 휴의 ''기독교 신앙의 성사론''(De sacramentis christianae fidei)과 같은 다른 동시대 신학자들의 주석 편집 작업도 진행 중이었다.[4][5] 1134년, 롬바르드는 당시 그의 저작을 마무리하던 휴와 함께 공부하기 위해 파리로 갔다.[19] 이들의 저작은 12세기 종교 학자들의 중요한 발전이었으며, 체계적인 신학을 일관된 관행으로 취급했다.[6]

롬바르드의 두 가지 주요 과제는 자료의 순서를 고안하고 출처 간의 차이점을 조화시키는 것이었다. 피에르 아벨라르의 ''그렇다와 그렇지 않다la''(Sic et Non)는 롬바르드가 알고 사용했던 권위를 조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19]

2. 1. 초기 신학 주석 전통

『명제집』은 히에로니무스불가타 성경 번역 이후, 성경 본문에 대한 주석(주해)을 작성하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초기 주석들은 문법, 통사 구조, 교리적 난점에 대한 설명을 주로 다루었으며, 성경 자체의 행간이나 여백에 기록되는 형태였다.[1] 아우구스티누스의 격언 모음집인 아퀴타니아의 프로스페르의 ''Sententia''와 이시도르의 초기 조직적인 기독교 신학 저술 중 하나인 ''Senteniae'' 시대에 명제집 장르가 확립되었다.

2. 2. 롬바르두스의 집필 과정

롬바르두스는 기존의 주석 전통을 넘어, 성경과 교부들의 저술 등 다양한 출전에서 발췌한 내용들을 모아 하나의 일관된 체계를 갖춘 저작을 만들고자 했다. 1154년경 초판을 완성하고, 1156~1157년 파리에서 학생들에게 강의하였다.[10] 이후 대폭 수정하여 1158년경 결정판을 완성했다.[10] 피에르 아벨라르의 『그렇고 그렇지 않다(라틴어: Sic et Non)』에서 영감을 받아, 상반되는 권위 있는 문헌들을 조화시키는 방법론을 사용했다.

롬바르두스는 먼저, 당시의 교육 과정에서 체계적인 신학이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아 온 자료들의 분류를 고안해야 했다. 다음으로, 모아 온 자료들 간의 교리상의 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롬바르두스는 『명제집』 안에서 성경이나 교부의 저서에서 채취한 내용을 정리하여, 수많은 장으로 세분했다.

롬바르두스의 이전 저작인 ''마그나 주석''(Magna glossatura)은 큰 성공을 거두어 표준 참고서가 되었으며,[11] 이는 롬바르두스가 ''명제집''을 저술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명제집''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에 크게 의존했으며, 1,000번 이상 인용되었다.[11]

3. 구성

롬바르두스는 성경교부들의 저술에서 자료를 가져와 네 권의 책으로 정리하고, 이를 다시 여러 장으로 세분화했다.[14] 1223년에서 1227년 사이에 알렉산데르 드 알레는 네 권의 책에 있는 많은 장들을 더 적은 수의 "구분"으로 묶었다.[14] 이러한 형태로, 이 책은 중세 성기와 후기(13, 14, 15세기)에 신학 교과서로 널리 채택되었다.

『명제집』은 히에로니무스가 라틴어로 번역한 성경(불가타)을 사용하여 강의를 한 교사들의 주석집(성경에 대한 설명·해석)을 선구자로 한다. 롬바르두스는 다양한 출전(성전,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외 교부 등)에서 기술을 모아, 전체적으로 앞뒤가 일관된 하나의 책으로 묶었다. 이를 위해 롬바르두스는 두 가지 일에 종사했다. 먼저, 당시 교육 과정에서 체계적인 신학이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모아 온 기술의 분류를 고안해야 했다. 다음으로, 모아 온 기술 안에서의 교리상의 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 피에르 아벨라르의 『그렇고 그렇지 않다(라틴어: Sic et Non)』는 후자의 일에 시사를 주었다.

『명제집』은 중세 신학과 철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데, 신학적·철학적 논의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토마스 아퀴나스, 오컴의 윌리엄, 보나벤투라, 요하네스 둔스 스코투스와 같은 스콜라 철학의 위대한 사상가들은 모두 『명제집』 주석서를 썼다. 그러나 이들은 엄밀히 말해 "주석서"라고 할 수 없는데, 『명제집』은 다양한 출전의 기술을 모은 것이고, 롬바르두스는 많은 질문을 해결하지 않은 채 남겨 두었으며, 후대 학자들은 독자적인 해답을 제시할 기회를 얻었기 때문이다.

3. 1. 4권의 구성

Sententiarum libri quatuor|명제집 4권la성경과 교부들의 저술에서 가져온 자료를 바탕으로 네 권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14]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내용
1권삼위일체의 신비
2권창조
3권말씀의 성육신
4권성례전



알렉산데르 드 알레는 1223년에서 1227년 사이에 네 권의 책에 있는 여러 장들을 더 적은 수의 "구분"으로 묶었다.[14] 이러한 형태로, 이 책은 중세 성기 및 후기(13, 14, 15세기)에 신학 교과서로 널리 채택되었다.

3. 2. 구분과 주석

알렉산데르 드 알레는 1223년에서 1227년 사이에 네 권의 책에 있는 많은 장들을 더 적은 수의 "구분"으로 묶었다.[14] 이러한 형태로, 이 책은 중세 성기 및 후기(13, 14, 15세기)에 신학 교과서로 널리 채택되었다. 모든 신학 석사 과정생들은 ''명제집''에 대한 주석을 작성해야 했으며, 이는 시험 제도의 일부였다. 롬바르두스의 저작에 대한 강의가 끝나면, 학생들은 신학부에서 학사 자격을 신청할 수 있었다.

4. 영향과 유산

《명제집》은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 이후 중세 대학교의 표준 교재가 되었으며,[18][19] 스테판 랭턴의 주석은 그 형식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0] 16세기까지 성경을 제외하고 기독교 문헌 중 이보다 더 자주 주석된 작품은 없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작에 크게 의존했으며, 1,000번 이상 인용되었다.[11]

1170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샹파뉴의 기욤에게 피터 롬바르드의 "악한 교리"(pravae doctrinae)를 부인하라고 지시했다.[15] 롬바르드가 그리스도의 인간성은 아무것도 아니고 그의 유일한 정체성은 신성이라는 기독론적 무(無)주의를 옹호한다고 비난했다.[16] 그러나 교황의 입장은 추기경들 사이에서 보편적으로 지지받지 못했다.[17]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이 16세기 무렵에 이르러서야 『명제집』의 중요성을 능가하게 되었다. 심지어 마르틴 루터와 존 칼뱅도 이 책을 인용하거나 주석을 달았다.

데이비드 루스콤은 『명제집』을 "세계의 위대한 책들 중 가장 덜 읽히는 책"이라고 평가했다.[21]

4. 1. 주요 주석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할스의 알렉산데르, 토마스 아퀴나스, 보나벤투라, 잉헨의 마르실리우스, 오컴의 윌리엄, 페트루스 아우레올루스, 로버트 홀콧, 둔스 스코투스, 가브리엘 비엘 등 서유럽의 주요 중세 사상가들이 『명제집』에 주석을 달았다.[18][19] 스테판 랭턴의 『명제집』 주석은 그 형식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0] 16세기까지 성경을 제외하고 기독교 문헌 중 이보다 더 자주 주석된 작품은 없었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은 16세기에 이르러서야 『명제집』의 중요성을 능가하게 되었다. 마르틴 루터도 『명제집』에 대한 주석을 썼고, 존 칼뱅은 『기독교 강요』에서 100번 이상 인용했다.

4. 2. 종교개혁 시기

마르틴 루터는 『명제집』에 대한 주석을 썼고, 존 칼뱅은 그의 저서 『기독교 강요』에서 100번 이상 인용했다.[21]

4. 3. 현대의 평가

데이비드 루스콤은 『명제집』을 "세계의 위대한 책들 중 가장 덜 읽히는 책"이라고 평가했다.[21] 1947년, 프리드리히 슈테그뮐러는 『명제집』 주석에 대한 2권짜리 목록을 엮었고,[22] 2001년까지 롬바르드 주석가 수는 1,600명에 달했다.[23] 이러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명제집』은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 이후 중세 대학교의 표준 교재가 되었으며,[18][19] 16세기까지 성경을 제외하고 기독교 문헌 중 이보다 더 자주 주석된 작품은 없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할스의 알렉산데르, 토마스 아퀴나스, 보나벤투라, 잉헨의 마르실리우스, 오컴의 윌리엄 등 서유럽의 모든 주요 중세 사상가들이 이 책에 의존했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이 16세기 무렵에 이르러서야 『명제집』의 중요성을 능가하게 되었으며, 심지어 젊은 마르틴 루터조차 『명제집』에 대한 주석을 썼고, 존 칼뱅은 그의 『기독교 강요』에서 100번 이상 인용할 정도로 중세 신학과 철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남아있다.

5. 논란

1170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피터 롬바르드가 그리스도의 인간성은 아무것도 아니고 그의 유일한 정체성은 신성이라는 기독론적 무(無)주의 사상을 옹호한다고 비난했다.[16] 이 논쟁은 『명제집』 3권의 위격의 결합에 대한 논의에서 비롯되었다.[15]

6. 관련 학파 및 인물

피에르 아벨라르의 『그렇고 그렇지 않다(라틴어: Sic et Non)』는 롬바르두스가 『명제집』에서 모은 기술 간의 교리상 차이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시해 주었다. 롬바르두스는 성경 및 교부들의 저서에서 발췌한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여러 장으로 나누었다. 1223년에서 1227년 사이, 헤일스의 알렉산데르는 이 장들을 몇 개의 그룹으로 묶어 더 적은 수의 "구분"을 만들었다. 스테판 랭턴의 주석 또한 이러한 형식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20] 이러한 형식은 『명제집』이 중세 대학에서 표준 교재로 사용되는데 기여했다.[18][19]

『명제집』은 16세기까지 성경을 제외하고 기독교 문헌 중 가장 많이 주석된 작품이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할스의 알렉산데르, 토마스 아퀴나스, 보나벤투라, 잉헨의 마르실리우스, 오컴의 윌리엄, 페트루스 아우레올루스, 로버트 홀콧, 둔스 스코투스, 가브리엘 비엘 등 서유럽의 모든 주요 중세 사상가들이 이 책에 의존했다. 이들은 모두 『명제집』에 대한 주석서를 작성했는데, 이는 신학 교사들에게 필수적인 작업이었고 시험 제도의 일부였다. 『명제집』 강의를 수강한 학생은 신학부 강사(라틴어: baccalaureus) 지위에 지원할 수 있었다.

『명제집』은 중세 신학과 철학 논의의 전체적인 틀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큰 중요성을 갖는다. 스콜라 철학의 주요 인물들은 『명제집』 주석을 통해 독자적인 해답을 제시하며 학문 발전에 기여했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이 16세기에 『명제집』의 중요성을 능가하기 전까지, 마르틴 루터는 『명제집』 주석을 썼고, 존 칼뱅은 『기독교 강요』에서 100번 이상 『명제집』을 인용했다.

6. 1. 선구자

6. 2. 주요 철학자

7. 현대어 번역


  • 피터 롬바드, ''명제집,'' 1–4권 (줄리오 실라노 번역), 토론토: 교황청 중세 연구소, 2007–2010.

:* 1권: 삼위일체의 신비

:* 2권: 창조에 관하여

:* 3권: 말씀의 성육신에 관하여

:* 4권: 징표의 교리에 관하여

참조

[1] 서적 An Encyclopedist of the Dark Ages: Isidore of Seville https://www.google.c[...] Columbia University 1912
[2] 간행물 Patrology/Patristics Brill 2018
[3] 간행물 The Church Fathers and the Sentences of Peter Lombard Irena Backus 1997
[4] 간행물 Introduction Raymond M. Martin 1947
[5] 서적 Le mouvement théologique du XIIe siècle. Sa préparation lointaine avant et autour de Pierre Lombard. Ses rapports avec les initiatives des canonistes. Études, recherches et documents Éditions de Tempel; Brussels: L' Édition universelle; Paris: Desclée de Brouwer 1948
[6] 서적 Peter Lombard Brill 1993
[7] 서적 Sic et non: A Critical Edi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7
[8] 서적 Glossed Books of the Bible and the Origins of the Paris Booktrade Brewer 1984
[9] 서적 History of the Vulgate in England from Alcuin to Roger Bac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3
[10] 서적 Book of Sentences Editiones Collegii S. Bonaventurae Ad Claras Aquas 1971
[11] 간행물 Saint Augustin et le Livre des Sentences de Pierre Lombard Archives de philosophie 1930
[12] 간행물 Das Prognosticon futuri saeculi Julians von Toledo als Quellenwerk der Sentenzen des Petrus Lombardus Divus Thomas 1953
[13] 간행물 Pierre Lombard https://archive.org/[...] Dictionnaire de théologie catholique 1931
[14] 간행물 THE DISTINCTIONS OF LOMBARD’S BOOK OF SENTENCES AND ALEXANDER OF HALES Franciscan Studies 1965
[15] 서적 Enchiridion symbolorum definitionum et declarationum de rebus fidei et morum https://archive.org/[...] Herder 1967
[16] 서적 Nihili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7] 서적 Theology and Philosophy in the Twelfth Century Brill 1982
[18] 서적 Scholasticism https://archive.org/[...] Archibald Constable 1908
[19] 서적 Peter Lomba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0] 간행물 The First Sentence Commentary of Early Scholasticism https://archive.org/[...] The New Scholasticism 1939
[21] 서적 The School of Peter Abelard: The Influence of Abelard's Thought in the Early Scholastic Period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9
[22] 서적 Repertorium commentariorum in Sententias Petri Lombardi F. Schöningh 1947
[23] 간행물 Lombardus Electronicus: A Biographical Database of Medieval Commentators on Peter Lombard’s Sentences Brill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