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네타는 로마 신화에서 재물을 보호하는 여신인 유노의 별칭으로, "돈"과 "주조하다"의 어원이 되었다. 유노 모네타 신전은 화폐 주조소로 사용되었으며, 관련된 일화들이 전해진다. 갈리아족의 로마 침입 당시 거위가 적의 습격을 알린 일화, 아우룬키족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기원하며 신전을 건립한 이야기 등이 있다. 모네타는 중세 시대까지 돈과 주형의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존 키츠의 시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노 (신화) - 템페스트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1610년에서 1611년 사이에 쓴 희곡 템페스트는, 밀라노 공작 프로스페로가 동생의 배신으로 섬에 추방된 후 복수를 위해 폭풍을 일으켜 적들을 유인하는 이야기로, 마법, 식민주의, 페미니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셰익스피어의 대표적인 로맨스극이다. - 유노 (신화) - 타니트
타니트는 서지중해 지역에서 숭배받았던 여신으로, 전쟁, 다산, 보호를 상징하며, 바알 함몬과 함께 숭배되었고, 삼각형 위에 원이 있는 상징으로 표현된다. - 로마 신 - 아우로라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새벽의 여신 아우로라는 태양의 도래를 알리는 역할을 하며, 트로이 왕자 티토노스와의 사랑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묘사되어 새벽, 희망, 새로운 시작 등을 상징한다. - 로마 신 - 플루톤
플루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부의 제공자"라는 의미를 가진 저승의 신으로, 하데스의 완곡한 이름으로도 불리며 지하 세계의 긍정적인 측면과 풍요를 상징하고, 로마 신화의 디스 파테르와 동일시되며, 그의 이름은 명왕성, 플루토늄 등 여러 과학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 여신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모네타 |
|---|
2. 유노 모네타와 화폐 주조
유노 모네타 신전은 유노 여신의 칭호 중 하나로, 고대 로마에서 재물을 보호하는 여신으로 숭배되었으며, 그녀의 신전에서 화폐를 주조했다. 오비디우스, 마르티알리스, 유베날리스, 키케로와 같은 작가들이 "모네타"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러시아어와 이탈리아어를 포함한 여러 현대 언어에서 ''moneta''(스페인어 ''moneda'')는 "동전"을 뜻하는 단어이다.
기원전 390년, 갈리아족세노네스족이 로마를 포위했을 때, 카피톨리누스 언덕에서 유노 모네타 신전의 거위가 갈리아인의 야습을 알려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가 로마를 지켜냈다는 일화가 있다.[4]
기원전 345년, 아우룬키족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루키우스 푸리우스 카밀루스가 유노 신전 건립을 서약했고, 카피톨리누스 언덕에 있던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의 저택 터에 신전이 건설되었다. 이곳에는 공문서가 보관되었고, 신전 내에 화폐 주조소가 설치되면서 "모네타"는 "머니(Money)"라는 영어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4]
2. 1. 어원
"모네타"라는 이름은 라틴어 "monēre"(경고하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경제적 불안정에 대해 "경고"하는 재물 보호 여신으로서의 역할 때문이었다. 또는 그리스어 "moneres"(고독한, 유일무이한)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다.[4]비잔틴 백과사전 수다에 따르면, 로마인들은 피로스 및 타란토와의 전쟁 중 돈이 필요했을 때 헤라에게 기도했고, 헤라는 정의롭게 싸운다면 돈이 부족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전쟁 후 로마인들은 "경고하다" 또는 "조언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동사 moneo를 따서 헤라 모네타(조언자)를 기렸고, 신전에서 화폐를 주조하기로 결정했다.
2. 2. 히기누스의 기록
히기누스는 그의 저서 파불라에에서 모네타를 아이테르와 테르스의 딸인 티탄 여신으로 묘사하며, 유피테르와의 사이에서 아홉 뮤즈를 낳았다고 기록했다.[4] 히기누스는 모네타를 유노 또는 므네모시네와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다.[4]3. 중세 시대의 "모네타"
"모네타"는 중세 시대까지 "돈"과 "주형"의 의미를 유지했으며, 주조된 동전에 자주 등장했다. 예를 들어, "moneta nova"라는 문구는 14세기와 15세기에 저지대 국가와 라인란트의 동전에 자주 사용되었으며, "nova"는 라틴어로 "새로운"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새로운 종류나 동전의 변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3]
4. 유노 모네타 신전과 관련된 일화
유노 모네타 신전은 원래 로마의 적이었던 웨이이에 있었으나, 기원전 396년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가 웨이이를 함락시키면서 로마로 이전되었다. 신전 내에는 화폐 주조소가 설치되었으며, 이 때문에 "모네타"라는 이름은 영어 단어 "Money"의 어원이 되었다.[4] 이곳에는 공문서가 보관되었다.[4]
4. 1. 신상 이전
유노 모네타 신상을 이전할 때, 한 젊은이가 농담 삼아 "유노님, 로마에 가고 싶지 않으십니까?"라고 묻자, 다른 사람들이 "긍정되었다", "가고 싶다고 했다"라고 입을 모아 말하며 옮겨졌다고 한다. 신상은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가 유노 신의 자리로 정한 아벤티누스 언덕에 안치되었고, 신전이 세워졌다.[4]4. 2. 갈리아족의 침입
기원전 390년, 갈리아족 세노네스족이 로마를 포위했을 때, 사람들은 카피톨리누스 언덕에 모여 있었다. 어느 날 밤, 갈리아인들이 카피톨리누스 언덕을 몰래 공격하려 잠입했으나, 유노 모네타 신전에서 기르던 신성한 거위만이 적의 습격을 알렸다. 식량이 부족했지만, 로마인들은 이 거위에게 손을 대지 않았다. 이 거위 소리에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가 뛰쳐나와 적을 격퇴하고 로마를 지켜냈다.[4] 이 사건은 "모네타"라는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4]4. 3. 아우룬키족과의 전쟁
기원전 345년, 아우룬키족과의 전쟁 당시, 독재관 루키우스 푸리우스 카밀루스는 승전을 기원하며 유노 신전 건립을 서약했다[4]. 전쟁에서 승리한 후, 카피톨리누스 언덕에 있던 마르쿠스 만리우스 카피톨리누스의 저택 터에 신전이 건설되었다.5. 문화 속의 모네타
존 키츠의 시 "하이페리온의 몰락: 꿈"에서 중심 인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uda On Line, mu,1220
https://www.cs.uky.e[...]
[2]
웹사이트
Suda topostext, mu,1220
https://topostext.or[...]
[3]
논문
Moneta and Mot on Anglo-Saxon Coins
https://books.google[...]
2017-12-27
[4]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