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뵈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뵈주는 프랑스 북부 노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7세기 성 알데군디스에 의해 수도원이 세워지면서 유래되었다. 고대에는 Malbodium으로 불렸으며, 에노 백국, 부르고뉴 공작, 합스부르크 왕가를 거쳐 1678년 네이메헌 조약에 따라 프랑스에 귀속되었다. 17세기 보방의 지휘 아래 성채가 건설되었고,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을 겪으며 중요한 격전지가 되었다. 산업 혁명 시기에는 삼브르 강 운하를 통한 석탄 운송으로 발전했으며,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철강 산업이 발달했으며, 벨기에의 빌보르데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주 - 릴
릴은 프랑스 북부의 도시로, 플랑드르 지역의 중심지로서 중세 시대 직물 산업으로 번성하고 부르고뉴 공국, 합스부르크가를 거쳐 프랑스에 병합되었으며, 섬유 산업을 기반으로 산업화가 진행된 후 유럽 교통의 요충지이자 문화 중심지로 발전하여 2004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되었다. - 노르주 - 베르그
베르그는 프랑스 북부의 도시로, 중세 시대 한자 동맹의 무역 중심지였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루와 역사적 성벽 등 볼거리를 제공하고 영화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 노르주의 코뮌 - 캉브레
캉브레는 프랑스 노르주에 위치한 도시이자 캉브레 군의 주청 소재지로, 로마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직물 산업과 음악의 중심지로 번성했고, 역사적 전쟁과 조약의 무대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문화 유산과 축제를 통해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고, 유럽 교통의 요충지이다. - 노르주의 코뮌 - 발랑시엔
발랑시엔은 프랑스 노르주에 위치한 도시로, 중세 시대 네우스트리아와 아우스트라시아의 중립 도시였으며, 레이스와 철강 산업으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자동차 산업 중심으로 경제 구조를 전환하고 유럽 철도청 본부가 위치한 역사와 문화, 경제가 공존하는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모뵈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일반 정보 | |
이름 | 모뵈주 |
프랑스어 표기 | Maubeuge |
네덜란드어 표기 | Mabuse, Malbode |
피카르디어 표기 | Maubeuche |
행정 | |
국가 | 프랑스 |
레지옹 | 오드프랑스 |
데파르트망 | 노르주 |
아롱디스망 | 아베스네쉬르엘프 |
캉통 | 모뵈주 |
코뮌 지위 | 코뮌 |
INSEE 코드 | 59392 |
우편 번호 | 59600 |
시장 | 아르노 데카니 |
임기 | 2020–2026 |
인터코뮌 | CA 모뵈주 발 드 상브르 |
지리 | |
좌표 | 50.2775°N 3.9734°E |
면적 | 18.85 km² |
인구 | |
전체 | 프랑스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참조 |
인구 조사 년도 | 프랑스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참조 |
인구 관련 각주 | 프랑스 메타데이터 위키데이터 참조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모뵈주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870년 전쟁 이후 건설된 모뵈주 요새는 18마일 둘레의 중요한 참호 캠프 중심 역할을 했다. 산업 혁명과 함께 삼브르 강 운하를 통한 석탄 운송이 발전했고, 1837년 이후 고로와 압연기가 설치되었다. 1853년 파리-샤를루아 간 철도 개통으로 로렌과 발랑시엔의 철광석이 유입되며 삼브르 강 유역 경제가 더욱 강화되었다.[13]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4년 독일군에 점령되었고,[13]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40년 5월에는 독일군의 소이탄 공격으로 구시가지의 90%가 파괴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7세기 성 알데고가 모뵈주 수도원을 설립하면서 도시가 시작되었으며, 유물은 교회에 보존되어 있다. 'Malbodium'이라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고대 명칭은 고대 프랑크어 'Malboden'에서 파생되었으며, 'Boden의 재판소'를 의미한다.[3] 모뵈주의 이름은 중세의 옛 명칭 Malbodium(말보디움)에서 유래했으며,[13] 이는 661년경 모뵈주에 수도원을 세운 성 알데고에서 유래한다.[14]이후 에노 백국, 부르고뉴 공작,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받았다.[13]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일부였던 이 도시는 1678년 네이메헌 조약에서 프랑스 왕국에 최종적으로 양도되기 전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3] 1679년, 루이 14세는 보방에게 명하여 성채를 건설하게 했다. 이 사업을 위해 주변 지역과 이탈리아에서 8,000명이 모였고, 8년 만에 성벽과 왕래 가능한 2개의 문이 완성되었다.
17세기의 모뵈주는 평온한 시대를 보냈지만,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으로 그 평온은 깨졌다. 1793년, 프리드리히 요시아스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가 지휘하는 오스트리아군이 모뵈주를 공격했으나, 바티니 전투의 승리로 구원받았으며, 이 전투는 도시 내 기념비로 기념된다. 1813년 나폴레옹군이 라이프치히에서 패퇴하자, 대동맹군이 프랑스로 침공했고, 작센-바이마르 공작군의 공격을 받은 모뵈주 성채는 1814년에 포위전에서 승리했다. 백일천하 때, 나폴레옹군은 모뵈주 근교에서 워털루 전투에 대비하여 진을 치고 있었다. 워털루 후, 모뵈주는 프로이센군에게 점령되었고, 이후 3년간 프로이센군과 러시아군이 주둔했다. 1814년에는 포위에 실패했지만, 격렬한 저항 끝에 백일천하에 항복해야 했다.
2. 2. 근세
1678년 네이메헌 조약으로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일부였던 모뵈주가 프랑스 왕국에 최종 양도되었다.[3] 프랑스 루이 14세의 지시에 따라 보방이 ''pré carré'' 계획의 일환으로 모뵈주를 요새화했다.[3] 1679년, 루이 14세는 보방에게 명하여 성채를 건설하게 했다. 이 사업을 위해 주변 지역과 이탈리아에서 노동자 8000명이 모였고, 8년 만에 성벽과 왕래 가능한 2개의 문이 완성되었다.2. 3. 근대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으로 17세기의 평온한 시대는 깨졌다.[13] 1793년, 프리드리히 요시아스 폰 작센코부르크잘펠트가 지휘하는 오스트리아군이 모뵈주를 공격했다. 1813년 나폴레옹군이 라이프치히에서 패퇴하자, 대동맹군이 프랑스로 침공했고, 작센-바이마르 공작군의 공격을 받은 모뵈주 성채는 1814년에 포위전에서 승리했다. 백일천하 때, 나폴레옹군은 모뵈주 근교에서 워털루 전투에 대비하여 진을 치고 있었다. 워털루 전투 후, 모뵈주는 프로이센군에게 점령되었고, 이후 3년간 프로이센군과 러시아군이 주둔했다.[13]산업 혁명이 시작되자, 샤를루아에서 채굴되는 석탄을 운반하는 삼브르 강 운하 연안은 발전했다. 1837년 이후, 고로와 압연기가 강 근처에 설치되었다. 1853년, 파리-샤를루아 간의 철도 노선이 개통되면서 로렌과 발랑시엔에서 채굴되는 철광석으로 인해 삼브르 강 유역의 경제가 강화되었다.[13]
2. 4. 현대
모뵈주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에 의해 포위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에서도 큰 피해를 입었는데, 1940년 5월 폭격으로 도시 중심부의 90%가 파괴되었다.[4] 1944년 9월 초에는 미국 제1 보병 사단이 벨기에로 진격하면서 모뵈주 외곽에서 다시 전투가 벌어졌다.[4][5]
전쟁 후 도시는 재건되었으며, 새로운 건물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1970년에 완공된 새로운 시청이다.[6]

3. 지리
모뵈주는 에노주 콩테의 남동부에 위치한다.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기후(Cfb)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0.6°C, 연평균 강수량은 880.8mm이다.[20]
3. 1. 위치
발랑시엔 남동쪽, 샤를루아, 리에주 북동쪽에 있다. 삼브르강이 흐른다. 벨기에 국경은 도시 북쪽 약 7km 지점에 있다. 보리나주 탄전과 가깝다. 가장 가까운 대도시는 벨기에 몬스이다. 파리에서 북북동쪽으로 231km 떨어져 있다.[13]3. 2. 기후
모뵈주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온대 기후(Cfb)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0.6°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880.8mm이다. 1981년부터 2010년까지의 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7월이 평균 18.5°C로 가장 덥고, 1월이 평균 3.2°C로 가장 춥다. 역대 최고 기온은 2019년 7월 25일에 기록된 37.5°C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1985년 1월 17일에 기록된 -17.5°C이다.[20]
4. 인구
18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모뵈주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산업 혁명 시기에는 급격한 인구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20세기 후반부터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5. 경제
모뵈주에는 상업 중재 위원회, 공립 대학, 상업 및 산업 학교가 있다.
5. 1. 산업
모뵈주에는 주물 공장, 대장간, 고로, 공작 기계, 도자기 제조업체가 있다.5. 2. 교통
모뵈주역을 중심으로 철도 교통이 발달했다. 모뵈주 역은 벨기에 국경과 가까워 북쪽의 몽스와 동쪽의 샤를루아로 가는 두 개의 벨기에 노선이 있었으나, 수년간 여객 운송 서비스는 중단되었다. 하지만 2018년 12월부터 샤를루아를 경유하여 나뮈르까지 제한적인 운행이 재개되었다.[10] 남서쪽으로는 기차가 자주 운행된다.인근 엘레메스에는 비행장이 있지만, 여객이나 화물의 상업 항공 운송 시설은 없고 주로 레크리에이션용으로 사용된다.
그 외에도 시내 버스와 삼브르 강 운하를 이용한 수상 교통도 이루어진다.
6. 문화
1903년 투르 드 프랑스 초대 우승자인 모리스 가린은 모뵈주 지역 사이클 클럽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11] 1892년 모뵈주-이르송-모뵈주 200km 레이스에서 5위를 차지했으며, 2003년 가린의 우승 1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조성되었다.
모뵈주의 자매 도시는 다음과 같다.
6. 1. 투르 드 프랑스
모리스 가린은 1903년 투르 드 프랑스 초대 우승자로, 1892년 모뵈주 지역 사이클 클럽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했으며, 200km의 모뵈주-이르송-모뵈주 레이스에서 5위를 차지했다.[11] 2003년, 가린의 우승 100주년을 기념하여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조성되었다.6. 2. 자매 도시
7. 출신 유명인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2020-12-02
[2]
웹사이트
INSEE commune file
https://www.insee.fr[...]
[3]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between France and Spain, signed at Nimeguen, 17 September 1678
http://opil.ouplaw.c[...]
2018-12-31
[4]
웹사이트
The First! The Story of the 1st Infantry Division: WWII G.I. Stories Booklet (Lone Sentry)
http://www.lonesentr[...]
[5]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town of Maubeuge
http://www.ville-mau[...]
[6]
웹사이트
Hôtel de ville de Maubeuge
https://www.pss-arch[...]
PSS Architecture
2024-12-01
[7]
웹사이트
Fiche Climatologique Statistiques 1981-2010 et records
https://donneespubli[...]
Météo-France
2022-09-07
[8]
간행물
Maubeuge
[9]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10]
press release
NMBS lanciert nieuwe klassieke treinverbinding tussen Waalse steden en Parijs
https://www.hgbtf.ne[...]
2018-06-29
[11]
뉴스
Profile of Maurice Garin
http://www.lepays.ne[...]
Journal L'Alsace-Le Pays
2001-02-20
[12]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2009 de la commune Maubeuge sur le site de l'INSEE
http://www.insee.fr/[...]
[13]
서적
콤팩트 외국 지명사전
삼성당
[14]
문서
Une autre alternative, formulée plus récemment, évoque le ruisseau de la Pisselotte, qui se jette dans la Sambre, dont le premier nom aurait été ''Maubiguel''.
[15]
웹사이트
Évolution et structure de la population (de 1968 à 2007)
http://www.statistiq[...]
2010-07-30
[16]
웹사이트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au 1er janvier 2006
http://www.insee.fr/[...]
2010-07-30
[17]
웹사이트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au 1er janvier 2009
http://www.insee.fr/[...]
2012-01-07
[18]
간행물
Maubeuge
[19]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20]
웹인용
Fiche Climatologique Statistiques 1981-2010 et records
https://donneespubli[...]
Météo-France
2022-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