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몐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몐어족은 몽어파(먀오어파)와 몐어파(야오어파)로 나뉘며, 중국 남부 지역에서 기원하여 동남아시아로 이동한 언어족이다. 몽어와 몐어는 음운 체계의 차이를 보이며, 단음절어, 분석적 언어, 높은 성조, SVO 어순 등의 특징을 가진다. 이 언어족은 중국어와 어휘적 유사성을 보이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몽몐어족의 명칭은 사용 지역에 따라 다양하며, 중국어로는 묘(Miáo)와 요(Yáo)로 불린다. 또한 몽몐어족 언어와 중국어 방언의 혼합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몐어족 - 몽어파
몽어파는 중국에서 먀오어, 서구권에서 몽으로 불리며 다양한 언어와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부 몽어군, 북부 먀오어군, 동부 먀오어군 등으로 분류되며 여러 문자로 기록되지만 표준 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 몽몐어족 - 서어 (서족)
서어는 '산 사람들'이라는 뜻의 'Ho Le' 화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루오푸 방언과 롄화 방언으로 나뉘며 소멸 위기에 놓여 있고, 중국어의 영향으로 계통 분류에 어려움을 겪지만 흐몽어군 또는 지옹나이어와의 관련성이 논의되며, 고대 한어에서 유래된 차용어를 다수 포함하고 중국 정부는 서어 사용자를 사족으로 분류한다.
몽몐어족 | |
---|---|
개요 | |
이름 | 몽-미엔어족 |
다른 이름 | 먀오-야오어족 양쯔어족 |
분포 지역 | 중국, 동남아시아 |
![]() |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어 | 원시 몽-미엔어 |
하위 어파 | 몽어파 (먀오어파) 미엔어파 (야오어파) |
언어 코드 | |
ISO 639-5 | hmx |
GlottoCode | hmon1336 |
GlottoCode 명칭 | 몽-미엔어 |
2. 분류
몽어파(먀오어파)와 몐어파(야오어파)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명확하게 구분된다. 가장 큰 차이점은 음운 체계의 발달 차이 때문이다. 몽어파는 원시어에 등장하는 많은 초기 자음들을 유지했지만, 활음과 막힘소리 종지를 잃어 음절 말의 구별은 크게 줄었다. 반면 몐어파는 음절 말을 대부분 보존했지만, 초기 자음의 수는 줄였다.[2]
초기 언어 분류에서는 몽몐어족을 중국-티베트어족으로 분류했으며, 많은 중국 분류에서도 여전히 그렇게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서구 언어학자들의 현재의 일반적인 의견은 몽몐어족이 독자적인 어족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몽몐어와 중국어 사이의 어휘적 및 형태론적 유사성은 접촉에 의한 영향으로 설명된다.[2]
미국의 학자 폴 K. 베네딕트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이론을 몽몐어족에 확장 적용했지만, 이 가설은 몽몐어족에 대해서는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고사카(2002)는 특히 먀오어-다이어족 계통을 주장했다.[4]
2. 1. 몽어파 (먀오어파)
- 묘어(향서방언, 黔동방언, 사천건운남방언)
- 부누어 (부누방언, 노격로토어, 누무토어)
2. 2. 몐어파 (야오어파)
야오어는 면 방언(Mien d.), 금문 방언, 표민방언(Biao-jiao d.), 조민방언(Zaomin d.)을 포함한다.3. 특징
몽몐어족 언어들은 대체로 단음절어이며 통사적으로 분석적이다. 이들은 세계에서 가장 성조가 발달한 언어 중 일부이다. 롱모어와 종디 몽어는 최대 12개의 독립된 성조를 가지고 있다.[10] 음운론적으로는 무성 유성과 연구개음의 존재가 주목할 만하다.
어순은 SVO이지만, 소유격과 수사를 명사 앞에 사용하는 우측 분기는 중국어와 타이-카다이어족, 그리고 대부분의 몽-크메르어족 언어처럼 엄격하지 않다. 조사가 매우 부족하며, 영어와 같은 언어에서 조사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은 연쇄 동사 구문이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in"이나 "at"과 같은 전치사가 사용되는 곳에 "가까이 있다"로 번역되는 구문이 사용된다.[11]
성조와 조사의 부족 외에도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특징은 수사 명사가 풍부하고, 다른 언어에서 명사를 수식하기 위해 정관사나 지시사를 사용하는 곳에 수사 명사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4. 기원
몽몐어족의 가장 유력한 기원지는 중국 남부의 양쯔강과 메콩강 사이 지역이지만,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중국 중부에서 한족의 확장의 일부로 또는 한족에 의한 원래 고향에서의 추방으로 인해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다.[5] 몽몐어족 사용자의 중국 남부에서 동남아시아로의 이동은 17세기(1600~1700년)에 일어났다. 고대 DNA 증거는 몽몐어족 사용자의 조상들이 양쯔강 유역의 타이카다이어족 및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원어 집단과는 유전적으로 다른 집단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6] 최근 Y-DNA 계통 발생학적 증거는 몽몐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현재 몬크메르어족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먼 관계에 있는 집단의 후손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7]
원시 몽몐어의 연대는 사가르, 블렌치, 산체스-마자스가 여러 증거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약 2500 BP(기원전 500년)로 추정했고, 음운학적으로 기반을 둔 계통 발생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실험적 알고리즘인 자동 유사성 판단 프로그램(ASJP)에 의해 약 4243 BP(기원전 2250년)로 추정되었다.[8]
5. 명칭
중국어 명칭은 '묘(Miáo)'와 '요(Yáo)'이다.[9]
베트남어에서 몽어의 명칭은 'H'Mông'이고, 몐어의 명칭은 'Dao'(즉, Yao)이지만 'Miền'도 사용된다.
'Meo', 'Hmu', 'Mong', 'Hmao', 'Hmong'은 묘어에 대한 지역 명칭이지만, 미국의 라오스 난민 대부분이 자신을 'Hmong/Mong'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최근 수십 년 동안 영어권에서는 다른 명칭보다 이 명칭이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 단어를 선호하는 일부 학자들을 제외하고는 'Hmong/Mong'이라는 용어는 묘어 화자의 대다수가 거주하는 중국 내 특정 몽/묘어 사용 공동체 내에서만 사용된다. 중국어로는 한때 경멸적인 용어였음에도 불구하고 '묘(Miáo)'(중국어: 苗; 성조는 중국어 방언에 따라 다름)라는 단어는 현재 모든 민족 구성원이 언어와 민족언어 집단을 지칭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9]
반면에 중국어 명칭 요(Yáo)는 다민족 집단이지 민족언어 집단이 아닌 요족을 가리킨다. 여기에는 몐어, 크라이-다이어족, 이어족 그리고 묘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포함되는데, 요족이 사용하는 묘어는 '묘(Miáo)'가 아닌 'Bùnǔ'라고 불린다. 이러한 이유로, 모호하지 않다는 점에서 'mien'이라는 민족명이 더 선호될 수 있다.
6. 혼합어
묘족과 야오족이 사용하는 일부 중국어 계열 언어들은 묘어-먀오어 기층을 가지고 있거나 혼합어로 제안되어 왔다. 여기에는 사어, 라바어, 링링 방언, 마오자 방언, 바둥 야오어, 예허니어를 포함한 여러 저지대 야오어, 쑤저우 투화어 및 다양한 핑화어 방언 등이 포함된다.[1]
참조
[1]
논문
The East Asian linguistic phylum: A reconstruction based on language and genes
https://web.archive.[...]
[2]
논문
What is Sino-Tibetan? Snapshot of a Field and a Language Family in Flux: Sino-Tibetan: a Snapshot
[3]
간행물
On the Thai evidence for Austro-Tai
http://www.sealang.n[...]
Center for South and Southeast Asian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4]
논문
On the affiliation of Miao-Yao and Kadai: Can we posit the Miao-Dai family
http://sealang.net/s[...]
[5]
간행물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http://www.rogerblen[...]
Université de Genève
[6]
논문
Y chromosomes of prehistoric people along the Yangtze River
[7]
논문
Human Migration through Bottlenecks from Southeast Asia into East Asia during Last Glacial Maximum Revealed by Y Chromosomes
[8]
웹사이트
Automated Dating of the World's Language Families based on Lexical Similarity
http://wwwstaff.eva.[...]
2013-12-30
[9]
서적
The Hmong of China: Context, Agency, and imaginary
Brill
[10]
서적
The Languag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An Introduction
[11]
서적
The Languag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12]
논문
Y chromosomes of prehistoric people along the Yangtze Ri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