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경총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경총요는 송나라 인종의 후원으로 편찬된 군사 서적으로, 군사 지식 보급과 서하와의 전쟁 대응을 위해 제작되었다. 증공량, 양위덕, 정도 등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되었으며, 전집 22권과 후집 21권으로 구성되어 군사 이론과 규칙, 전쟁 사례, 항해술, 해군 기술, 화약 무기 등을 다루고 있다. 원본은 금나라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으나, 이후 여러 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명나라 시대에 가장 오래된 판본이 현재까지 전해진다. 무경총요는 중국의 대표적인 군사 저술로, 송나라 이전의 군사 사상과 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기사 - 봉화시
봉화시는 6세기부터 사용된 소이 무기로, 화약과 불을 이용하여 적에게 피해를 입혔으며, 16세기 이후에는 로켓 형태로 발전하여 해전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무기사 - 캐넌
캐넌은 '커다란 관'을 뜻하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 대구경 활강포에서 직사 화포를 거쳐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한 화약 무기이다. - 중국의 과학과 기술 - 중국상용항공공사
중국상용항공공사는 중국 정부의 항공 산업 육성 정책에 따라 설립된 국영 항공기 제조업체로, ARJ21, C919, C929 등 다양한 상업용 항공기를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로부터 투자 금지 제재를 받은 바 있다. - 중국의 과학과 기술 - 중국 진도 계급
중국 진도 계급은 지진의 강도를 평가하는 척도로, I부터 XII까지 12단계로 구분하여 인간의 감각, 건물 피해, 기타 피해, 지진 가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 군사 편람 - 군주론
16세기 초 이탈리아 정치 상황을 배경으로 마키아벨리가 집필한 『군주론』은 군주국의 유형, 통치술, 군주의 자질 등을 분석하고 권력 유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며 정치 사상사에 큰 영향을 미친 정치철학 논저이다. - 군사 편람 - 손빈병법
《손빈병법》은 1972년 발굴된 한나라 시대의 죽간에 기록된 병법서로, 손빈의 병법과 전쟁 전략, 전술, 지휘관의 자질 등을 담고 있다.
무경총요 | |
---|---|
개요 | |
![]() | |
제목 | 무경총요 |
원제 | 武經總要 |
로마자 표기 | Wugyeong Chongyo |
병음 | Wǔjīng Zǒngyào |
웨이드-자일스 | Wu3-ching1 Tsung3-yao4 |
민난어 | Bú-keng Chóng-iàu |
의미 | 가장 중요한 군사 기술 모음 |
상세 정보 | |
유형 | 군사 서적 |
언어 | 한문 |
창작 시기 | 1044년 |
저자 | 증공량, 정도, 양위덕 |
역사적 맥락 | |
시대 | 송나라 |
중요성 | 북송 군대의 군사 지식 표준화 |
내용 | |
범위 | 군사 이론 군사 기술 군사 행정 |
구성 | 20권 |
주목할 만한 내용 | 다양한 공성 무기 및 공성전 무기 화약 무기 조리법 |
영향 | |
영향 | 화약 무기 기술 확산 후대 군사 학자들에게 영향 |
기타 | |
온라인 자료 | 고토방쿠 - 무경총요 |
2. 역사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는 송 인종(재위 1022~1063)의 후원 아래 편찬되었다.[1] 인종은 많은 관리들이 군사 고전에 익숙하지 않다는 것을 우려했고, 부분적으로는 서하의 탕구트족과의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를 편찬하게 되었다.[1]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의 일부는 이전의 자료에서 복사되었다. 역사가 랄프 D. 소여(Ralph D. Sawyer)는 이를 "본질적으로 잘라 붙인 작업"이라고 부르며, 초기 고전 군사 문헌에서 많은 구절을 가져왔지만 원 저자는 밝히지 않았는데, 당시에는 일반적인 관행이었다고 말한다. 송나라 시대에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는 익명의 저자들이 쓴 行軍續志|행군속지중국어와 百戰奇法|백전기파중국어라는 두 권의 책에 덧붙여졌다.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는 24사(二十四史) 중 하나인 宋史|송사중국어(1345년)의 전기 부분에 나열된 347편의 군사 논문 중 하나였다.[2] 송대의 이 347편의 서로 다른 군사 논문 중에서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 1004년 서동(徐洞)의 虎符經|호천경중국어, 그리고 후대의 永樂大典|영락대전중국어에서 발견된 유사한 저작의 단편들만이 남아 있다.[2]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 원본은 궁중 도서관에 보관되었고, 여러 권의 필사본이 다른 곳에 배포되었는데, 1069년 신종이 왕소(王邵)에게 준 사본도 포함된다.
2. 1. 편찬 배경
북송 인종은 많은 관리들이 군사 고전에 익숙하지 않다는 것을 우려했고, 부분적으로는 서하의 탕구트족과의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 『무경총요』를 편찬하게 하였다.[1]1040년부터 1044년까지 증공량, 천문학자 양위덕, 학자 정도를 포함한 학자들이 팀을 이루어 알려진 모든 군사 지식을 수집하고[2] 더 넓은 정부 관료들에게 보급하기 위해 『무경총요』를 편찬했다.[1] 인종이 직접 서문을 쓴 『무경총요』는 5년 후 출판되었다. 총 편집자인 증공량이 군 장군이 아니라 정부 관리였다는 점은, 『무경총요』가 다른 정부 관리들을 위해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1]

2. 2. 편찬 과정
북송의 인종 시기 문신인 증공량과 정도가 인종의 명을 받들어 1040년(강정 원년)부터 1044년(경력 4년)까지 5년에 걸쳐 완성하였다.[1]1126년 금 왕조가 북송의 수도 개봉(開封)을 함락시켰을 때 원본이 소실되었고, 1231년에 남송에서 몇몇 부본(副本)을 토대로 다시 《무경총요》를 간행하였다.[2]
『무경총요』(武經總要)는 인종(재위 1022~1063)의 후원으로 편찬되었다. 인종은 많은 관리들이 군사 고전에 익숙하지 않다는 것을 우려했고, 부분적으로는 서하(西夏)의 탕구트과의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서 『무경총요』를 편찬하게 되었다.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학자들은 팀을 이루어 알려진 모든 군사 지식을 수집하고 더 넓은 정부 관료들에게 보급하기 위해 『무경총요』를 편찬했다. 총 편집자 증공량(曾公亮)은 천문학자 양위덕과 학자 정도의 도움을 받았다. 5년 후, 인종이 직접 서문을 쓴 『무경총요』가 출판되었다. 총 편집자인 증공량이 군 장군이 아니라 정부 관리였다는 점은 『무경총요』가 다른 정부 관리들을 위해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금송 전쟁 중 침입한 여진족이 1126년 북송의 수도 개봉을 함락시켰을 때 『무경총요』 원본은 분실되었다. 비밀스러운 성격 때문에 몇몇 사본만이 남았는데, 적에게 넘어갈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정부의 소수 관리만이 열람이 허용되었다. 남아 있던 『무경총요』 사본은 1231년 남송에서 새로 출판된 판으로 만들어졌다.
2. 3. 소실과 재간행
1126년 금나라가 북송의 수도 개봉을 함락하면서 원본이 소실되었고, 1231년 남송에서 몇몇 부본(副本)을 토대로 다시 간행되었다.금송 전쟁 중 여진족이 1126년 북송의 수도 개봉을 함락했을 때 원본은 분실되었다. 비밀스러운 성격 때문에 정부의 소수 관리만이 열람이 허용되어 몇몇 사본만이 남았다. 남아 있던 『무경총요』 사본은 1231년 남송에서 새로 출판되었다. 명나라(1368~1644) 시대에는 1439년에 1231년 판 『무경총요』의 단편들을 싣고 일부 자료를 생략, 다른 두 권의 책과 결합한 책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에는 이진(李進)의 서문이 포함되어 있다. 1510년에 『무경총요』 전체가 재인쇄되었고, 이 판본이 현재 가장 오래된 현존 사본이다. 역사학자 조셉 니덤은 1510년 판이 1231년 판의 윤곽본에서 직접 새긴 판각으로 인쇄되었기 때문에 다른 자료와 결합하지 않고 원본에 가장 충실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판이라고 주장한다.
1510년 『무경총요』가 인쇄된 후, 가정제(재위 1522~1566) 판본, 만력제(재위 1573~1619)의 취안저우 판본, 당신운(唐錫雲)이 저술한 진링의 만력제(재위 1573~1619) 판본(군경각(存經閣)이 보관) 등 다른 명나라 사본들이 만들어졌다. 청나라(1644~1911) 시대에도 18세기에 두 번, 1934년 상해 판본으로 다시 인쇄되었다.
2. 4. 속무경총요
『속무경총요』(續武經總要)는 명 말기에 쓰여진 『무경총요』의 후속편이다. 주로 군대 편제와 군사 배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 당시 병부상서(兵部尚書)였던 번경문(樊景文, 1587~1644)이 이 책을 썼는데, 그는 당시 유통되던 『무경총요』 재판본이 시대에 뒤떨어졌고 송 이후의 기술적, 전략적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속무경총요』의 유일한 현존 사본은 복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3. 내용
《무경총요》는 전집과 후집, 총 43권 2869쪽으로 구성된 방대한 군사 서적이다. 전집은 22권으로, 군사 제도, 조직, 장수 선발, 병사 운용, 진법, 지리 활용 등 군사 이론과 규칙을 다룬다. 후집은 21권으로, 전반부는 과거와 당시의 전쟁 사례를, 후반부는 음양과 점술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무경총요》에는 연막탄, 화전, 수류탄 등 다양한 화약 무기와 투석기로 발사하거나 성벽에서 떨어뜨리는 방화 투사체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는 저질 질산염 화약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1][2]
3. 1. 전집(前集)
《무경총요》는 전집(前集)과 후집(後集)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집은 총 22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집에서는 군사 제도, 군사 조직, 장수 선발 및 병사 운용법, 진법, 산천 지리를 활용한 전술 등 군사 이론과 규칙을 다룬다.전집의 내용은 제1권부터 제6권까지 제도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나머지 권(제7권~제22권)에 대한 내용은 원문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
3. 1. 1. 제도
武經總要|무경총요중국어는 다음과 같은 군사 제도를 다루고 있다.권 | 내용 |
---|---|
제1권 | 장수 선발, 장직, 군제, 병량, 선봉, 선능 |
제2권 | 무예 강론, 교례, 교기, 기례, 진퇴 상법 훈련, 평원병 훈련, 보병 훈련, 기병 훈련, 교법, 교조 십육사, 일열법, 노법 훈련, 궁술 훈련 |
제3권 | 전투 서술 상, 전투 서술 중, 전투 서술 하, 부대 선발, 군쟁, 소수로 다수를 공격함, 생포 |
제4권 | 수레 사용, 기병 사용, 기병, 적장 간파, 적의 형세 살피기 |
제5권 | 군행 순서, 행군 진형법, 소란 금지, 험로 통과, 협로 통과, 군량 운반, 척후, 정찰기, 정찰마, 급보, 봉화, 봉화 사용, 군례, 군서, 혼란 해소 |
제6권 | 야영법, 영법, 제가군영 구설, 야영 지점 선택법, 영 외 잡제법, 경비법, 야전 대비법, 호칭법, 숙영법, 교대법, 순찰법, 누각법, 방독법, 수원 탐색법, 환자 관리법, 군마 관리법 |
3. 1. 2. 기타
3. 2. 후집(後集)
후집(後集)은 21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반부에서는 옛날과 당대의 군사 및 전쟁 사례를 소개하고 있고, 후반부에서는 음양, 점술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3. 3. 주요 내용
《무경총요》는 전집과 후집으로 나뉘어 총 43권, 2869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집은 22권으로 군사 제도, 군사 조직, 장수 선발과 병력 운용, 진법, 산천 지리 등 군사 이론과 규칙을 다룬다. 후집은 21권으로 전반부는 고금의 전쟁 사례를, 후반부는 음양 점복에 대해 설명한다.《무경총요》에는 화약 무기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기록되어 있다. 방화 투사체, 연막탄, 화살, 수류탄 등이 그것이다. 이 책에는 저질 질산염 화약을 함유한 방화 투사체도 기록되어 있는데,[1] 이는 투석기로 발사하거나 포위군에게 성벽에서 떨어뜨렸다.[2] 화약은 화살()에 부착되어 방화용으로 사용되었다.
3. 3. 1. 항해술
3세기, 중국 기술자 마준은 남쪽을 가리키는 수레(south-pointing chariot)를 발명했다. 이것은 차동기어를 이용하여 긴 나무막대기 끝에 있는 선인 모형을 고정시킨 바퀴 달린 차량으로, 선인의 팔은 항상 남쪽 주요 방위를 가리켰다. 《무경총요(Wujing Zongyao)》의 저자들은 남쪽을 가리키는 수레의 설계가 전해지지 않았다고 잘못 생각했지만(송나라 시대에 재발명되어 주행계와 결합되었기 때문), '남쪽을 가리키는 물고기'(열잔류 나침반(compass))라는 새로운 항해 장치를 설명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물고기 모양으로 자른 가열된 철(또는 바람직하게는 강철) 물체를 물이 담긴 그릇에 매달아 놓은 것이었다.
《무경총요》 제1권 제15장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후에 송나라 시대에 나침반은 해상 항해에 사용되었다.[1] 《무경총요》가 쓰여진 후 수십 년 후, 과학자이자 정치가인 신과(沈括)(Shen Kuo) (1031~1095년)는 그의 저서 《몽계필담(Dream Pool Essays)》(1088년)에서 최초의 진정한 자화 나침반 바늘에 대해 썼다. 자철석(lodestone)에 의해 자화된 더 효율적인 나침반으로 열잔류 나침반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후대의 해양 저술가인 주유는 그의 1119년 저서 《평주야담(Pingzhou Table Talks)》에서 자기 나침반을 해상 항해 수단으로 기록했다.[2]
3. 3. 2. 해군 기술
3세기, 중국 기술자 마준은 차동기어를 이용하여 남쪽을 가리키는 수레(south-pointing chariot)를 발명했다. 이것은 긴 나무막대기 끝에 있는 선인 모형을 고정시킨 바퀴 달린 차량으로, 선인의 팔은 항상 남쪽 주요 방위를 가리켰다.[1] 《무경총요》의 저자들은 남쪽을 가리키는 수레의 설계가 전해지지 않았다고 잘못 생각했지만(송나라 시대에 재발명되어 주행계와 결합되었기 때문), 새로운 항해 장치인 '남쪽을 가리키는 물고기'(열잔류 나침반(compass))를 설명했다. 이는 물고기 모양으로 자른 가열된 철(또는 강철) 물체를 물이 담긴 그릇에 매달아 놓은 것이었다.[1]《무경총요》 제1권 제15장에는 남쪽을 가리키는 물고기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1]
송나라 시대에 나침반은 해상 항해에 사용되었다. 《무경총요》가 쓰여진 후 수십 년 뒤, 과학자이자 정치가인 신과(沈括)(Shen Kuo) (1031~1095년)는 저서 《몽계필담(Dream Pool Essays)》(1088년)에서 최초의 진정한 자화 나침반 바늘에 대해 썼다. 자철석(lodestone)에 의해 자화된 더 효율적인 나침반으로 열잔류 나침반은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후 해양 저술가인 주유는 1119년 저서 《평주야담(Pingzhou Table Talks)》에서 자기 나침반을 해상 항해 수단으로 기록했다.
《무경총요》에 묘사된 군함 그림들은 후대의 군사 교본과 백과사전, 예를 들어 1628년경의 《우배지》 해군 부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저술들은 원래 《무경총요》에서 가져온 함선 그림을 포함하고 있다. 《무경총요》의 그림들은 18세기까지 일본 해군 관련 저술에도 계속 등장하는데, 니시카와 조켄(西川如見)의 1708년 저서 《개이통상고》(海夷通商考)와 가나자와 가네미쓰(金沢兼光)의 1766년 저서 《화한선용집》(和漢船用集) 모두 《무경총요》의 그림을 사용하였다.
《무경총요》는 중국 군함을 누선(樓船), 전선(斗艦 또는 戰艦), 맹충선(蒙衝), 주격선(走舸), 유정(遊艇), 해호선(海鷹)의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이 분류 체계는 수 세기 동안 후대의 해군 저술에 다시 등장한다.

3. 3. 3. 화약 무기


《무경총요》에는 화약 무기, 예컨대 방화 투사체, 연막탄, 화살, 수류탄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저질 질산염 화약을 함유한 방화 투사체가 기록되어 있는데,[1] 이는 투석기로 발사하거나 포위군에게 성벽에서 떨어뜨렸다.[2]
이러한 방화물의 예로는 "제비꼬리" 방화물()과 비행 방화물()이 있다. 제비꼬리 방화물은 짚을 묶어 기름이나 기름에 적신 것이었다. 포위된 도시를 방어하는 중국군은 방화물에 불을 붙여 침입군의 목조 구조물에 떨어뜨려 불을 지폈다. 비행 방화물은 외형적으로 제비꼬리 방화물과 비슷했지만, 도시 성벽에 설치된 수차 레버를 사용하여 내렸다.[2] 이 책에는 전투와 사정거리 측정에 사용된 '점화구'도 설명되어 있다.
화약은 화살()에 부착되어 방화용으로 사용되었다. 《무경총요》에는 화살이 활이나 석궁에서 발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화살에 사용된 화약은 저질산염 화약일 가능성이 높았으며, 화약의 양은 활의 종류에 따라 달랐다. 이 책에서는 화약의 힘이 화살을 발사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하지만, 석궁의 탄성이 충분할 때만 가능하다고 한다.
《무경총요》에서는 여러 종류의 방화 폭탄과 수류탄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들은 폭발력은 없지만 방화 무기로는 효과적인 저질산염 화약을 사용했다. ''huoqiu''(; 문자 그대로 "불공")는 화약으로 채워져 투석기를 사용하여 발사되었다. 충격을 받으면 ''huoqiu''는 침입군 사이에 불을 질렀다. 천둥 소리 폭탄 또는 ''pili pao''와 같은 중국 폭탄은 ''huoqiu''보다 더 많은 비율의 화약을 사용했다. 폭탄용 화약 혼합물은 팽창하는 가스를 가두는 단단한 용기에 담겨 더 강력한 폭발을 가능하게 했다. 천둥 소리 폭탄은 대나무로 만든 용기에 만들어졌다.
《무경총요》 및 기타 군사 문헌에서 폭탄과 수류탄의 구분은 모호하다. 당시 중국인들은 일반적으로 발사 방식에 따라 화약 무기를 분류하지 않았다. 몇 안 되는 예외 중 하나는 수류탄과 유사한 ''shoupao'' 또는 수제 폭탄이다.
3. 3. 4. 이중 피스톤 화염방사기

猛火油射|맹화유사중국어는 놋쇠로 만든 탱크와 네 개의 다리로 지탱되는 구조였다. 탱크 상단에는 수평 실린더에 연결된 네 개의 수직 관이 있었고, 모두 탱크와 연결되었다. 실린더 머리 부분에는 직경 1½인치의 둥근 구멍 두 개가, 꼬리 끝에는 작은 구멍이 있었다. 탱크 옆에는 기름을 채우는 구멍과 덮개가 있었다. 실린더 안에는 비단 솜으로 채워지고 삼 폐물로 감싸진 피스톤 막대가 있었다. 꼬리 부분의 수평 손잡이(펌프 손잡이)를 밀면 피스톤이 관의 입구를 막았다.
사용 전에는 주걱과 거르개를 사용하여 탱크에 3근 이상의 기름을 채우고, 화약을 점화실에 넣었다. 가열된 인두를 점화실에 대고 피스톤 막대를 실린더 안으로 밀어 넣은 후, 뒤쪽 사람이 피스톤 막대를 최대한 세게 앞뒤로 움직이면 기름이 점화실을 통해 뿜어져 나와 불꽃을 일으켰다.
장비 유지 보수에는 그릇, 주걱, 거르개, 인두, 집게, 납땜인두 등이 사용되었다. 탱크나 관이 새면 녹색 밀랍으로 수리했다. 놋쇠 조롱박 모양 용기를 큰 관 안에 고정하고, 피스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도 제작되었다. 이런 화염방사기는 성벽이나 외곽에 배치되어 적 공격을 막는 데 사용되었다.
4. 평가
《무경총요》는 중국에서 으뜸가는 방대한 분량의 관찬(官撰) 군사 저술이다. 송 왕조 이전의 군사 사상이나 송 시대의 군사 제도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꼽히며, 당시의 무기 제조에 대한 내용도 많아 과학 기술사 연구에도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고 있다.[2]
4. 1. 한국에의 영향
조선 명종 2년(1547년) 명에 사신으로 다녀오던 동부승지 정응두가 《강목전편》(綱目前編), 《속강목발명광의》(續綱目發明廣義) 등과 함께 사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명종은 이를 대제학에게 보여 인출하게 하였다고 한다.[2]5. 판본
- 명나라 홍치·정덕 연간에 남송의 소정본(紹定本)을 모본으로 간행한 중각본이 있다.
- 1504년 (홍치 17년) 이찬(李贊)의 각본(刻本)이 있다.
- 명나라 금릉서림(金陵書林)의 당복춘(唐福春) 각본이 있다.
- 《사고전서》(四庫全書)본이 있다.
- 《병서집성》(兵書集成)에 영인된 명나라 당복춘 각본이 있다.
- 금송 전쟁 중 여진족이 1126년 북송의 수도 개봉을 함락했을 때 원본은 분실되었다.[2]
- 1231년 남송에서 새로 출판된 판이 만들어졌다.[2]
- 명나라 시대인 1439년에 1231년 판의 단편들을 특징으로 일부 자료를 생략하고 다른 두 권의 책과 결합한 책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에는 이진(李進)의 서문이 포함되어 있다.
- 1510년에 재인쇄된 판본이 현재 가장 오래된 현존 사본이다.
- 조셉 니덤은 1510년 판이 1231년 판의 윤각본에서 직접 새긴 판각으로 인쇄되었기 때문에 원본에 가장 충실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판이라고 주장한다.[2]
- 1510년 이후, 가정제(재위 1522~1566) 판본, 만력제(재위 1573~1619)의 취안저우 판본, 진링의 만력제 판본(군경각(存經閣) 보관) 등 다른 명나라 사본들이 만들어졌다.[2]
- 청나라 시대에는 18세기와 1934년 상해 판본으로 다시 인쇄되었다.[2]
- 명나라 말기에 쓰여진 『무경총요』의 속편인 『속무경총요』(續武經總要)가 있다. 이 책은 번경문(樊景文)이 썼으며, 복단대학교 도서관이 유일한 현존 사본을 소장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武経総要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09-16
[2]
문서
명종실록
1547-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