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슬리마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슬리마니는 오스만 제국 지배 하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남슬라브족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시작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슬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960년대 유고슬라비아에서 '무슬림인' 명칭이 민족으로 인정되었으나,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에는 '보슈냐크인'으로 정체성을 규정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현재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산자크 지역을 중심으로 보슈냐크인으로, 그 외 지역에서는 무슬림인으로 자신을 규정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이슬람교 - 유라비아
유라비아는 유럽이 아랍 국가와 협력하여 미국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이슬람화될 것이라는 음모론으로, 극우 세력의 이념적 기반이 되었으며 반이슬람 정서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비판과 함께 학계에서는 이슬람 혐오 음모론으로 평가받는다. - 슬라브 민족 - 카슈브인
카슈브인은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포모제인을 기원으로 하는 서슬라브계 소수민족으로, 독일인의 동방 식민 운동에도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폴란드와 독일 등의 지배를 거쳐 현재 폴란드 내 5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폴란드 정부의 보호 아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 슬라브 민족 - 유고슬라브인
유고슬라브인(Yugoslavs)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건국 이념에 따라 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목표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포괄하기 위해 만들어진 민족 범주이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해방을 위해 탄생한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임시 정부에 의해 통치되었으며, 6개의 연방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가 페타르 2세 국왕 폐위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선포되면서 해체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반관료제 혁명
반관료제 혁명은 1980년대 후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하여 세르비아 자치주인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축소하고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일련의 사건이며,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직의 권력 균형을 변화시키고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무슬리마니 | |
---|---|
개요 | |
![]() | |
인구 | 약 51,000명 |
관련 민족 | 기타 주요 이슬람교를 믿는 남슬라브족 보스니아인 크로아티아 무슬림 세르비아 무슬림 고라니인 토르베시 포마크 |
분포 | |
세르비아 | 13,011명 (2022년)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12,101명 (2013년) |
슬로베니아 | 10,467명 (2002년) |
몬테네그로 | 10,162명 (2023년) |
크로아티아 | 3,902명 (2021년) |
북마케도니아 | 1,187명 (2021년) |
언어 | |
사용 언어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마케도니아어 고라 방언 |
종교 | |
종교 | 수니 이슬람 |
2. 역사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유고슬라비아 해체,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으로서의 무슬림' 정체성은 여러 변화를 겪었다.
오스만 제국 시기, 많은 남슬라브족 주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19세기 초 남슬라브족 사이에서 민족주의 이념이 나타났지만,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민족 정체성은 생소했다. 오스만 제국은 여러 개혁을 통해 비무슬림 신민에게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고 자율적인 밀레트 공동체를 강화했다. 그러나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크로아티아 민족주의는 보스니아 빌라예트 영토를 두고 경쟁했으며, 보스니아 무슬림의 선택에 따라 영토 획득이 결정될 수 있었다. 당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구는 주로 종교에 따라 자신을 식별했고, "보스니아인"이라는 용어는 민족적 의미가 아니라 지역적 의미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에서 보스니아 무슬림은 민족 집단이 아닌 종교 집단으로 취급되었다. 1960년대 많은 보스니아 무슬림 공산주의자 지식인들은 무슬림을 별개의 민족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1968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보스니아인' 대신 "무슬림"을 민족적 의미로 열거했다. 이는 '무슬림'이라는 민족 명칭 사용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과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반대하기도 했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대부분의 무슬림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또는 산자크 지역에 거주하며 자신을 "보슈냐크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외부에서는 여전히 자신을 "무슬림인"으로 규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2. 1.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의 지배 아래에서 많은 남슬라브족 주민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했다. 19세기 초 제1차 세르비아 봉기, 제2차 세르비아 봉기, 일리리아 운동과 같이 남슬라브족 사이에서 민족주의 이념이 나타났지만, 당시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민족 정체성은 생소한 개념이었다.[7]근대 민족 국가의 등장은 민족적, 종교적으로 다양한 오스만 제국이 근대화되도록 강요했고, 1839년 귈하네 칙령과 1856년 오스만 개혁 칙령과 같은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개혁으로 비무슬림 신민은 동등한 지위를 얻었고 자율적인 밀레트 공동체가 강화되었다.[7]
남슬라브 민족주의 사이에는 경쟁 관계가 있었다.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이끌었던 부크 카라지치는 종교에 관계없이 모든 슈토카비아 방언 사용자를 세르비아인으로 간주했다. 요십 유라이 스트로스마이어는 남슬라브 통일을 옹호한 반면, 안테 스타르체비치는 보스니아 무슬림을 크로아티아인으로 간주하며 크로아티아 국가 재건을 추구했다. 크로아티아와 세르비아 민족주의는 모두 보스니아 빌라예트 영토를 중요하게 여겼고, 보스니아 무슬림이 누구를 선호하느냐에 따라 영토 획득이 결정될 수 있었다.[9] 당시 보스니아 빌라예트 인구의 42.5%가 보스니아 무슬림이었고, 정교회 신자는 41.7%, 가톨릭 신자는 14.5%였다. [9]
당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소수의 지식인을 제외하고는 인구가 민족 범주에 따라 자신을 식별하지 않았다. 주로 종교에 따라 자신을 식별했는데, 무슬림을 '튀르크', 정교회 신자를 '흐리스차니' 또는 그리스인, 가톨릭 신자를 '크르스차니' 또는 라틴인이라고 불렀다. 보스니아 빌라예트는 개혁에 저항했으며, 1831년 후세인 그라다셰비치의 보스니아 봉기가 일어났다. 오메르 파샤 라타스가 1850년에 보스니아를 술탄의 권위로 복귀시킨 후에야 개혁이 도입되었다. 이 개혁은 울라마의 영향력 상실, 샤리아의 제한적 사용, 공교육 시스템 도입, 저널리즘 시작, 현대 정치 제도 설립, 1865년 비무슬림도 참여하는 지방 의회 설립을 의미했다.[10]
보스니아 아야인의 반란과 1860년대 지방 정체성 형성 시도는 보스니아 민족 정체성의 첫 징후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파적 경계를 넘어선 보스니아 민족 정체성은 드물었고, 당시 강력한 보스니아 정체성은 종교적 측면이 강한 지역적 소속감을 반영했다. 기독교인은 크로아티아 또는 세르비아 민족과 더 동일시했다. 무슬림의 경우, 정체성은 지역 특권 방어와 관련되었지만 오스만 제국에 대한 충성심은 의심하지 않았다. 당시 "보스니아인"이라는 용어는 민족적 의미가 아니라 지역적 의미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가 1878년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점령했을 때도, 민족 정체성은 여전히 보스니아 무슬림에게 생소한 개념이었다.[10]
2. 2.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보스니아 무슬림은 민족 집단이 아닌 종교 집단으로 취급되었다.[11] 알렉산다르 란코비치를 비롯한 세르비아 공산당원들은 보스니아 민족 인정을 반대했다.[11] 그러나 공산당 내 무슬림 당원들은 티토가 자신들의 입장을 지지하도록 계속 노력했다.[11][7][8]1960년대, 많은 보스니아 무슬림 공산주의자 지식인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무슬림이 민족으로 인정받아야 하는 별개의 토착 슬라브 민족이라고 주장했다. 1964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연맹 보스니아 지부 제4차 회의에서는 보스니아 무슬림의 자기 결정권 보장을 약속했다. 1968년 보스니아 중앙 위원회 회의에서는 보스니아 무슬림을 별개의 민족으로 인정할 것을 촉구했지만, '보스니아인'이라는 명칭은 채택되지 않았다.[9]
타협안으로 유고슬라비아 헌법이 수정되어 "무슬림"을 민족적 의미로 열거했지만, '보스니아인'이라는 이름은 인정하지 않았다. '무슬림'이라는 민족 명칭 사용은 초기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특히 그 동기와 이유, 그리고 보스니아 민족의 다른 측면을 무시한다는 점 때문이었다.[10] 란코비치가 실각한 후, 티토는 무슬림과 그들의 민족 정체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11]
1968년,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이 움직임에 대한 항의가 있었고, 도브리차 코시치와 같은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도 반대했다.[11]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의 마케도니아 지부 역시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을 마케도니아인으로 간주했기 때문에 이 변화에 반대했다.[11]
1971년, 후에 보슈냐크인이 될 "무슬림인"의 민족 인정에 따른 헌법 개정을 위해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회담에서 Hamdija Pozderac|함디야 포즈데라츠sh는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 그들은 우리의 보스니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정했지만, 이슬람교도로서의 정체성을 옹호해 왔다. 그 명칭은 잘못되었지만, 우리는 이것을 받아들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새로운 과정의 시작으로 삼을 것이다.
이 합의에 따라 1968년에 헌법은 개정되어 '보스니아인'이 아닌 '무슬림인'이라는 명칭으로 새롭게 민족으로 인정되었다. 이는 보스니아인을 지역적 민족이 아닌 종교에 따른 구분으로 간주하고, 그들의 보스니아성을 무시하는 것이었다.
"무슬림인"은 '대문자 M을 사용한 무슬림'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는 소문자 무슬림(무슬리만)이 이슬람교도를 나타내는 일반 명사인 반면, "대문자 M을 사용한 무슬림"은 특정 민족을 나타내는 호칭이기 때문이었다.
2. 3.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1990년대의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200만 명 정도의 무슬림인들은 대부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또는 산자크 지역에 거주하며 자신을 "보슈냐크인"으로 규정하고 있다(복수형은 "''Bošnjaci''", 단수형은 "''Bošnjak''").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는 달리 보슈냐크인이라는 호칭은 인정되지 않았다. 1960년대 논의 과정에서 많은 보슈냐크인 공산주의 지식인들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이슬람교도는 하나의 슬라브계 민족으로 인식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보슈냐크라는 명칭은 부정되었다.1971년 티토와의 회담에서 보슈냐크인 정치인이자 대통령인 함디야 포즈데라츠|Hamdija Pozderacsh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quote
그들은 우리의 보스니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정했지만, 이슬람교도로서의 정체성을 옹호해 왔다. 그 명칭은 잘못되었지만, 우리는 이것을 받아들일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새로운 과정의 시작으로 삼을 것이다.
```
이 합의에 따라 1968년 헌법이 개정되어 보슈냐크인이라는 명칭이 아닌 "무슬림인"이라는 명칭으로 새롭게 민족으로 인정되었다. 유고슬라비아의 무슬림인 정책은 보슈냐크인을 지역적 민족이 아닌 종교에 의한 구분으로 삼고, 그들에게 그들의 보스니아성을 무시하고 인정하지 않는 것이었다.
"무슬림인"을 가리켜 "머리글자가 대문자인 무슬림"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머리글자가 소문자인 무슬림(무슬리만)은 이슬람교도를 나타내는 일반 명사인 데 반해, "머리글자가 대문자인 무슬림"은 특정 민족을 나타내는 호칭이기 때문이다.
한편, 특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외부에선 현재에도 자신을 "무슬림인"으로 규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선거법 및 헌법에서는 1991년 통계 조사 이후 "보슈냐크인"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3. 인구
국가 | "민족으로서의 무슬림" 인구 | 보슈냐크인 인구 | 기타 |
---|---|---|---|
세르비아 (2011년)[14] | 22,301명 | 145,278명 | 소수의 세르비아계 무슬림 (종교적으로 이슬람 신자인 세르비아인) |
몬테네그로 (2011년)[15] | 20,537명 (3.3%) | 53,605명 (8.6%) | 175명 (0.03%)이 "종교별 무슬림"으로 몬테네그로 무슬림으로 응답. 많은 무슬림은 스스로를 이슬람 신앙을 가진 몬테네그로인으로 여김. 몬테네그로 무슬림 국가 위원회는 그들의 모국어가 몬테네그로어라고 주장. |
슬로베니아 (2002년)[16] | 9,328명 | 21,542명 (슬로베니아의 보스니아인) + 8,062명 (보스니아인) | 2,804명이 슬로베니아 무슬림으로 응답. |
북마케도니아 (2021년)[17] | 1,187명 (0.13%) | 16,042명 (0.87%) | 4,178명의 토르베시와 455명의 마케도니아 무슬림. 1990년 이전에 대부분의 토르베시가 "민족별 무슬림"으로 신고. |
크로아티아 (2011년)[18][19][20][21] | 6,704명 | 27,959명 (보스니아 무슬림) | 알바니아 무슬림 9,594명, 크로아티아 무슬림 9,647명, 무슬림 로마 5,039명. 크로아티아의 보스니아인은 크로아티아의 이슬람을 실천하는 가장 큰 소수 민족. |
4. 한국의 관점
Bošnjaci|보슈냐치bs는 '민족으로서의 무슬림'이라는 뜻으로, 이들은 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믿는 남슬라브족이다. 한국 사회에서는 이들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한 편이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보스니아 내전 당시 보슈냐크인들이 겪었던 고통과 인종 청소 문제에 대해 깊은 공감과 연대의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비극을 통해 인권과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보슈냐크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한국 사회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국제 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보슈냐크인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들의 역사와 문화를 존중하고, 이슬람 문화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포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2022 Serbian census
https://publikacije.[...]
[2]
웹사이트
Popis 2013 BiH
http://www.popis.gov[...]
2017-08-19
[3]
PDF
verska, jezikovna in narodna sestava (2002) od statistični urad republike Slovenije
https://www.stat.si/[...]
[4]
웹사이트
Stanovništvo Crne Gore prema nacionalnoj odnosno etničkoj pripadnosti, vjeri, maternjem jeziku i jeziku kojim se uobičajeno govori
https://monstat.org/[...]
2024-10-15
[5]
간행물
Croatian Census 2021
2023-04-08
[6]
웹사이트
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2021 - first dataset
https://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of North Macedonia
2022-11-17
[7]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9-09-28
[8]
논문
Historical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Bosniak Nation
https://www.research[...]
2019-09-28
[9]
서적
Kostic, Roland 2007. Ambivalent Peace: External Peacebuilding, Threatened Identity and Reconcilia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Report No. 78, Department of Peace and Conflict Research and the Programme for Holocaust and Genocide Studies, Uppsala University, Sweden, p.65
https://books.google[...]
Ambivalent Peace
[10]
서적
Historija Bošnjaka
BZK Preporod
1996
[11]
서적
Genocide on the Drina River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Election law of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refworld.[...]
[1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ccbh.ba/p[...]
The [[Constitutional Court of Bosnia and Herzegovina]]
[14]
PDF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media.popis20[...]
[15]
웹사이트
MONTENEGRO STATISTICAL OFFICE, RELEASE, No: 83, 12 July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11, p. 6
http://monstat.org/u[...]
2018-05-18
[16]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and ethnic affiliation, Slovenia, 2002 Census
https://www.stat.si/[...]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lovenia
2018-05-18
[17]
웹사이트
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2021 - first dataset
https://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of North Macedonia
2022-11-17
[18]
간행물
Population by ethnicity
http://web.dzs.hr/Hr[...]
[19]
간행물
10. Stanovništvo prema narodnosti - detaljna klasifikacija, po županijama
http://web.dzs.hr/hr[...]
[20]
간행물
1. Population by ethnicity – detailed classification
http://web.dzs.hr/En[...]
[21]
간행물
4. Population by ethnicity and religion
http://web.dzs.hr/En[...]
2012-12-17
[22]
서적
Historija Bošnjaka
BZK Preporod
1996
[23]
서적
Historija Bošnjaka
BZK Preporod
1996
[24]
웹사이트
The New Constitu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ejil.org/[...]
[25]
웹사이트
Population by nationality
http://webrzs.statse[...]
Statistics Office of Republic of Serbia
[26]
PDF
Државен завод за статистика:Попис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домаќинствата и становите во 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2002: Дефинитивни податоци
http://www.stat.gov.[...]
Statistics Office of Republic of Macedonia
[27]
웹사이트
7. Prebivalstvo po narodni pripadnosti, Slovenija, popisi 1953, 1961, 1971, 1981, 1991 in 2002
http://www.stat.si/p[...]
Statistics Office of Republic of Sloven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