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네그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몬테네그로어는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되어 몬테네그로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한다. 몬테네그로 문학은 9세기 두클랴 시대에 시작되었으며, 글라골 문자와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문어 시대에는 지역 구어의 문어적 실현이 나타났고, 18세기 후반부터 비공식적인 몬테네그로 문학 언어가 확립되었다. 부크 카라지치의 언어 개혁으로 과도기를 거쳐, 20세기에는 몬테네그로어의 언어적 특성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 동화되었다. 2007년 몬테네그로 헌법은 몬테네그로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했으며, 2008년 몬테네그로어 표준화 위원회가 구성되었다. 몬테네그로어는 키릴 문자와 로마자를 사용하며, 슈토카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몬테네그로어는 언어 정책과 관련하여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보크로아트어 - Lj (이중음자)
Lj는 경구개 설측 접근음(/ʎ/) 소리를 나타내는 이중음자이며, 키릴 문자 Љ(љ)로도 표현되고, 이탈리아어 'gl'이나 포르투갈어 'lh'와 유사한 발음을 가진다. - 세르보크로아트어 - Nj (이중음자)
- 몬테네그로의 언어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 몬테네그로의 언어 - 세르비아어
세르비아어는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슬라브어의 표준화된 방언으로,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발칸 반도를 중심으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세르비아 등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풍부한 문학적 유산을 가진 언어이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몬테네그로어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몬테네그로어 |
| 로마자 표기 | Crnogorski jezik / Tseurongogeuriseu jeji |
| 일반 정보 | |
| 유형 | 표준어 |
| 분류 |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슈토카비아 방언 |
| 사용 국가 | 몬테네그로 |
| 사용자 | 232,600명 (2011년) |
| 민족 | 몬테네그로인 |
| 공용어 정보 | |
| 공용어 국가 | 몬테네그로 |
| 소수 언어 인정 지역 | 말리 이조시 지방 자치체 (보이보디나, 세르비아) |
| 문자 체계 | |
| 문자 | 라틴 문자(몬테네그로 라틴 문자) / 키릴 문자(몬테네그로 키릴 문자) / 유고슬라브 브라유 점자 |
| 언어 코드 | |
| ISO 639-1 | 해당 사항 없음 |
| ISO 639-2 | cnr |
| ISO 639-3 | cnr |
| GlottoCode | mont1282 |
| GlottoCode 참조 | Montenegrin Standard |
| 언어 표준 | |
| 관리 기관 | 몬테네그로 언어 표준화 위원회 / |
| 지도 정보 | |
| 기타 | |
| UNESCO 위험도 | 취약 |
2. 역사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된 몬테네그로어는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몬테네그로에서 사용된다. 몬테네그로 문학은 9세기 두클랴 시대 해안 지역 수도원 건립과 함께 시작되어, 다양한 시기를 거치며 발전과 변화를 겪었다.
| 시대 | 주요 특징 및 사건 |
|---|---|
| 초기 역사 | 두클랴 시대: 라틴어, 그리스어 문학 흔적, 글라골 문자 사용, 스카다르 호 주변 수도원 중심 문학 활동. 제타 시대: 고대 교회 슬라브어, 키릴 문자 사용, 조라지 츠르노예비치 인쇄기 설립, 미로슬라브 복음서 필사. |
| 문어 시대 | 지역 구어의 문어적 실현, 고대 교회 슬라브어 영향 감소, 해안 지역은 라틴어와 이탈리아어 우세, 안드리야 즈마예비치, 다닐로 페트로비치 네고쉬 등 작가 활동. |
| 비공식 문학 언어 시대 | 국가 및 교회 조직 강화, 비공식 문학 언어 확립 조건 마련, 페라스트 출신 이반-안툰 네나디치, 음성학적 정자법 원칙 옹호, 문학, 상업, 과학의 세 가지 스타일 형성, 페타르 1세 페트로비치-네고쉬 편지. |
| 과도기 |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 언어 개혁, 세르비아어로 지칭, 슈토카비안 모델 동화, 요반 파블로비치와 라자르 토마노비치 논쟁, 페타르 2세 페트로비치 네고쉬, 스테판 미트로프 류비샤, 마르코 밀야노프 포포비치 작품. |
| 유고슬라비아 시대 | 알렉산다르 벨리치 영향,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템플릿 동화, 예카비아 사용 증가, 몬테네그로어 홍보 기관 발전, 1997년 몬테네그로 펜 센터 선언. |
| 현대 | 2007년 헌법에서 공식 지위 획득, 2008년 표준화 위원회 설립, 2009년 맞춤법 책 채택. |
2. 1. 초기 역사 (9세기 ~ 15세기)
몬테네그로 문학은 9세기에 두클랴 시대 해안 지역에 수많은 수도원이 세워지면서 시작되었다. 두클랴 시대에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문학의 흔적이 부분적으로 남아있지만, 슬라브어 문학에 대한 증거는 간접적으로만 존재한다. 글라골 문자는 오흐리드의 슬라브 문학 중심지의 영향을 받아 두클랴에서 사용되었지만, 일각에서는 두클랴의 슬라브 문학이 라틴 문자로 쓰였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 시기 스카다르 호 주변의 프레치스타 크라이인스카 수도원이 중요한 문학 중심지였다.[16]제타 시대는 두클랴가 세르비아에 멸망하면서 시작되어 발시치 가문과 츠르노예비치 가문의 통치 시기까지 이어진다. 오늘날 몬테네그로 지역에서 글라골 문자와 키릴 문자 사용 시기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키릴 문자가 글라골 문자를 대체하며 제타 시대에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16]
제타의 조라지 츠르노예비치는 인쇄기를 설립하여 오보드에서 시작하여 나중에 체티네로 옮겼다. 이 인쇄기에서 5개의 요람기 인쇄본이 제작되어 몬테네그로는 자국어로 요람기 인쇄본을 가진 4개의 슬라브 민족 중 하나가 되었다. 12세기 코토르에서 쓰여진 미로슬라브 복음서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제타(몬테네그로) 판을 대표한다. 이 판은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중세 제타의 지역 언어에 적용하여 보스니아어 및 세르비아어 판에 영향을 미쳤다. 제타-훔 판으로 잘못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제타에서 시작되어 훔으로 퍼져나갔다.[16]

2. 2. 문어 시대 (15세기 ~ 18세기)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되었다.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여 이 언어를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어라고 부르게 되었다.2. 3. 비공식 몬테네그로 문학 언어 시대 (18세기 후반 ~ 19세기)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되었다.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여 이 언어를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어라고 부르게 되었다.2. 4. 과도기 (19세기 ~ 제1차 세계 대전)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되었다.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여 이 언어를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어라고 부르게 되었다.2. 5. 유고슬라비아 시대 (20세기)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되었다.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여 이 언어를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어라고 부르게 되었다.몬테네그로 문학 언어의 가장 중요한 변화는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 세르비아 언어학자 알렉산다르 벨리치의 영향으로 특징지어지는 시기에 일어났다. 20세기 초 20년 동안 문학적 양식으로 보존되었던 몬테네그로의 언어적 특성은 새로운 사회 역사적 틀 속에서 공통의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언어 템플릿에 동화되었다.[16] 벨리치의 1923년 정서법은 형식적으로 이에카비아의 사용을 허용했지만, 그는 해당 판과 후속 판에서 예카비아 요타화가 방언 현상임을 강조했다. 그 결과, 몬테네그로인들은 "djed"(할아버지), "cjedilo"(여과기), "tjerati"(몰다), "sjesti"(앉다) 등과 같은 전형적이지 않은 비 요타화 형태를 사용해야 했다.[17][18]
이후 판에서 벨리치는 대명사-형용사 격변화의 소위 더 긴 어미(-ijem, -ijeh)의 규범적 지위를 폐지하고 짧은 어미만 규정했다. 이로 인해 그의 추종자들은 점차 부크의 언어 모델을 포기하게 되었다. 문학 언어에서 이에카비아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몬테네그로의 전간기에는 예카비아의 사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예카비아의 도입은 교과서와 교직원이 주로 예카비아 규범을 따르면서 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당시 몬테네그로 언론의 글에서 생생하게 드러난다.[16][1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가의 지위가 향상되면서 언어의 지위도 향상되었다. 몬테네그로는 자국의 언어를 고유의 이름으로 명명할 권리를 얻지 못했지만, 이 기간 동안 몬테네그로 언어를 홍보하는 기관이 실질적으로 발전했다. 몬테네그로 펜 센터, 마티차 크르노고르스카, 두클랴 과학 예술 아카데미, 몬테네그로 언어 및 언어학 연구소, 몬테네그로 독립 작가 협회와 같은 협회 및 단체는 몬테네그로 가치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7년 몬테네그로 펜 센터의 몬테네그로어 헌법적 지위에 관한 선언은 몬테네그로어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문서였다. 이러한 노력은 2007년의 새로운 몬테네그로 헌법으로 절정에 달했으며, 이 헌법에서 몬테네그로어는 처음으로 공식 지위를 얻었다. 2008년 몬테네그로어 표준화 위원회 설립과 2009년 몬테네그로 맞춤법 책 채택은 몬테네그로어의 표준화와 확정을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16]
2. 6. 현대 (21세기)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되었다.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여 이 언어를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어라고 부르게 되었다.3. 특징
세르비아어와 마찬가지로 키릴 문자와 로마자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 다만, 세르비아에서는 키릴 문자가 주로 쓰이는 반면, 몬테네그로어에서는 로마자가 주로 사용된다.
3. 1. 음운론

몬테네그로인들은 슈토카 방언을 사용하며, 이는 권위 다중심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상위 방언이다. 이 방언은 몬테네그로어의 기초가 된다.[29] 일부 방언은 인접 슬라브 국가, 예를 들어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 및 제타-라슈카 방언과 공유된다.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은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몬테네그로는 이 방언을 부분적으로만 표준화했다. 제타-라슈카 방언은 주로 몬테네그로 남부와 세르비아의 역사적 지역인 라슈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30] 주로 현지 민족인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무슬림들이 사용한다.[31]
몬테네그로어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슈토 방언 중 예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50] 예를 들어 "빵"은 에 방언 형태인 hleb이 아닌 예 방언 형태인 hljeb이 된다.
Cj Dj Sj Zj는 각각 Ć Đ Ś Ź|tɕ dʑ ɕ ʑsh가 된다. 예를 들어 djed "할아버지"는 đed|뎨드sh가 된다. 하지만 고유 명사 외에는 정서법상 구분하여 쓰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51]
4. 문자
몬테네그로어는 세르비아어와 마찬가지로 키릴 문자와 로마자를 모두 사용한다. 그러나 세르비아에서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몬테네그로에서는 로마자를 더 많이 사용한다.[29][30][31] 몬테네그로어 문자 체계는 다음과 같다.
| A a | B b | C c | Č č | Ć ć | D d | Dz dz | Đ đ |
|---|---|---|---|---|---|---|---|
| Dž dž | E e | F f | G g | H h | I i | J j | K k |
| L l | Lj lj | M m | N n | Nj nj | O o | P p | R r |
| S s | Š š | Ś ś | T t | U u | V v | Z z | Ž ž |
| Ź ź |
| А а | Б б | Ц ц | Ч ч | Ћ ћ | Д д | Ѕ ѕ | Ђ ђ |
|---|---|---|---|---|---|---|---|
| Џ џ | Е е | Ф ф | Г г | Х х | И и | Ј ј | К к |
| Л л | Љ љ | М м | Н н | Њ њ | О о | П п | Р р |
| С с | Ш ш | С́ с́ | Т т | У у | В в | З з | Ж ж |
| З́ з́ |
몬테네그로인들은 슈토카 방언을 사용하며, 이는 권위 다중심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상위 방언이다. 이 방언은 몬테네그로어의 기초가 된다. 일부 방언은 인접 슬라브 국가, 예를 들어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 및 제타-라슈카 방언과 공유된다.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은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몬테네그로는 이 방언을 부분적으로만 표준화했다. 제타-라슈카 방언은 주로 몬테네그로 남부와 세르비아의 역사적 지역인 라슈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주로 현지 민족인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무슬림들이 사용한다.
4. 1. 로마자 (아베체다)
세르비아어와 같이 키릴 문자와 로마자가 대등한 지위를 갖는다. 다만, 세르비아에서 키릴 문자가 많이 쓰이는 것과 달리 몬테네그로어에서는 주로 로마자를 쓴다.[52][53]
몬테네그로어의 정서법은 로마자 정서법과 키릴 문자 정서법이 있으며, 각각 "아베체다"(Abecedacnr)와 "아즈부카"(Азбукаcnr)라고 불린다.
- 아베체다: A B C Č Ć D Dž Đ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Š Ś T U V Z Ž Źcnr
- 아즈부카: А Б В Г Д Ђ Е Ж З З́ И Ј К Л Љ М Н Њ О П Р С Ć Т Ћ У Ф Х Ц Ч Џ Шcnr
두 정서법 모두 몬테네그로 헌법에 의해 동등한 지위가 보장되어 있지만, 몬테네그로 정부는 로마자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세르비아어의 알파벳에 Ścnr와 Źcnr 두 문자(키릴 문자로 각각 Ć З́cnr)가 추가되었다.
4. 2. 키릴 문자 (아즈부카)
세르비아어와 같이 키릴 문자와 로마자가 대등한 지위를 갖는다. 다만, 세르비아에서 키릴 문자가 많이 쓰이는 것과 달리 몬테네그로어에서는 주로 로마자를 쓴다.[52]| 키릴 문자 | А | Б | В | Г | Д | Ђ | Е | Ж | З | З́|즈cnr | И | Ј | К | Л | Љ | М | Н | Њ | О | П | Р | С | С́|스cnr | Т | Ћ | У | Ф | Х | Ц | Ч | Џ | Ш |
|---|---|---|---|---|---|---|---|---|---|---|---|---|---|---|---|---|---|---|---|---|---|---|---|---|---|---|---|---|---|---|---|---|
| 라틴어 | A | B | V | G | D | Đ | E | Ž | Z | Ź|즈cnr | I | J | K | L | Lj | M | N | Nj | O | P | R | S | Ś|스cnr | T | Ć | U | F | H | C | Č | Dž | Š |
몬테네그로어의 정서법에는 로마자 정서법과 키릴 문자 정서법이 있다. 각각 "아베체다"(Abecedacnr)와 "아즈부카"(Азбукаcnr)라고 불린다.
- 아즈부카: А Б В Г Д Ђ Е Ж З З́ И Ј К Л Љ М Н Њ О П Р С С́ Т Ћ У Ф Х Ц Ч Џ Шcnr
두 정서법 모두 몬테네그로 헌법에 의해 동등한 지위가 보장되어 있지만, 몬테네그로 정부는 로마자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세르비아어 알파벳에 Ś|스cnr와 Ź|즈cnr 두 문자(키릴 문자로 각각 С́ З́cnr)가 추가되었다. 이 정서법은 2009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지만, 국회의장에 이반 브라요비치(임기 2016-)가 취임한 이후 공식 문서에서의 사용이 중단되었다고 한다.[53]
5. 언어 표준화

2008년 1월, 몬테네그로 정부는 몬테네그로어를 국제 규범에 따라 표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몬테네그로어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했다. 검증을 거친 문서는 몬테네그로 학교의 교육 프로그램의 일부가 될 예정이었다.
2009년 7월, 첫 번째 몬테네그로 표준이 공식적으로 제안되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표준에서 규정된 문자에 더하여, 이중자 sj|sjsh와 zj|zjsh를 대체하기 위해 ś|śme와 ź|źme 두 문자를 추가로 도입했다.[20] 그러나 교육부는 몬테네그로어 표준화 위원회의 두 초안 대신 위원회 작업과 관련 없는 세 번째 대안을 채택했다. 위원회는 이 행위가 "소규모 그룹"에서 비롯되었으며 "방법론적, 개념적, 언어학적 오류"가 많다고 비판했다.[21] 2010년 6월 21일, 일반 교육 위원회는 첫 번째 ''몬테네그로 문법''을 채택했다.
2008년 7월, 몬테네그로 당국은 국제 코드 할당을 위한 첫 번째 서면 요청을 기술 위원회 ISO 639에 제출했으며, 2015년 9월 모든 서류가 워싱턴으로 전달되었다. 긴 절차를 거쳐 2017년 12월 8일 금요일에 요청이 승인되었고, 2017년 12월 21일부터 ISO 639-2 및 ISO 639-3 코드 '''[cnr]'''가 몬테네그로어에 할당되었다.[2][3][22]
몬테네그로어 정서법에는 로마자 정서법("아베체다", Abeceda|아베체다cnr)과 키릴 문자 정서법("아즈부카", Азбука|아즈부카cnr)이 있다.
- 아베체다: A B C Č Ć D Dž Đ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Š Ś T U V Z Ž Ź|A B C Č Ć D Dž Đ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Š Ś T U V Z Ž Źcnr
- 아즈부카: А Б В Г Д Ђ Е Ж З З́ И Ј К Л Љ М Н Њ О П Р С Ć Т Ћ У Ф Х Ц Ч Џ Ш|А Б В Г Д Ђ Е Ж З З́ И Ј К Л Љ М Н Њ О П Р С Ć Т Ћ У Ф Х Ц Ч Џ Шcnr
두 정서법 모두 몬테네그로 헌법에 의해 동등한 지위가 보장되어 있지만, 몬테네그로 정부는 로마자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세르비아어 알파벳에 Ś|Ścnr와 Ź|Źcnr 두 문자(키릴 문자로 각각 Ć З́|Ć З́cnr)가 추가되었다. 이 정서법은 2009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지만,[52] 이반 브라요비치 국회의장(임기 2016-) 취임 이후 공식 문서에서 사용이 중단되었다고 한다.[53]
6. 언어 사용 현황 및 정치적 논쟁
세르비아어와 마찬가지로 키릴 문자와 로마자가 동등한 지위를 가진다. 다만, 세르비아에서 키릴 문자가 많이 쓰이는 것과 달리 몬테네그로에서는 주로 로마자를 사용한다.
몬테네그로인들은 슈토카 방언을 사용하며, 이는 다중심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상위 방언이자 몬테네그로어의 기초가 된다.[29]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 및 제타-라슈카 방언과 같이 일부 방언은 인접 슬라브 국가와 공유된다. 동 헤르체고비나 방언은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지역에서 사용되며, 몬테네그로는 이 방언을 부분적으로만 표준화했다. 제타-라슈카 방언은 주로 몬테네그로 남부와 세르비아의 역사적 지역인 라슈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30] 주로 현지 민족인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무슬림들이 사용한다.[31]
몬테네그로어를 둘러싼 논쟁은 언어적 차원을 넘어 정치적인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몬테네그로의 독립과 정체성 확립 과정에서 몬테네그로어는 중요한 상징으로 부각되었다.
몬테네그로어 알파벳에 Ś, Ź, З 세 글자(키릴 문자로는 С́, З́, Ѕ)를 추가하자는 주장에 대해, 반대자들은 이 소리들이 언어 체계를 형성하는 음소가 아니라 변이음일 뿐이라고 주장한다.[39] 또한 몬테네그로 내에서도 이 소리를 발음하지 않는 화자들이 있으며, 몬테네그로 외 지역(특히 헤르체고비나와 보산스카 크라이나)의 세르비아어 및 크로아티아어 화자들도 이 소리를 발음한다. 더불어 이 문자들을 도입하면 기술적 어려움(예: ISO/IEC 8859-2에 문자 З가 없음, 키릴 문자 해당 문자 미제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밀로 주카노비치 총리는 2004년 10월 베오그라드 일간지 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을 몬테네그로어 화자로 밝히며 몬테네그로어 공식화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몬테네그로 정부 공식 발표는 정부 웹 페이지에서 ''영어와 몬테네그로어''로 제공된다.[40]
새로운 문자는 2009년부터 공식 문서에 사용되었지만, 2017년 2월 몬테네그로 의회는 공식 웹 페이지에서 해당 문자를 삭제했다.
6. 1. 언어 정책
몬테네그로에서는 언어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23] 1992년부터 몬테네그로 공화국의 공식 언어는 '이에카비아 방언의 세르비아어'였다.[2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92년까지 몬테네그로의 공식 언어는 세르보크로아트어였다. 2007년 10월 19일 채택된 새 헌법은 몬테네그로어를 몬테네그로의 공식 언어로 간주했다.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36.97%가 모국어가 몬테네그로어라고 답했고, 42.88%가 모국어가 세르비아어라고 답했다.[25]
유럽 평의회의 자문 기구인 베니스 위원회는 헌법 초안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지만, 언어 및 교회 문제는 상징적인 문제라고 언급하며 다루지 않았다. 2007년 10월 19일 비준된 새 헌법은 몬테네그로어를 몬테네그로의 공식 언어로 선언했지만,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그리고 세르비아어에도 어느 정도 인정을 부여했다.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과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은 몬테네그로어를 국가의 공식 언어로 명시하는 것을 지지하지만, 몬테네그로 사회 인민당 등은 반대하고 있다.
2014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언어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았다.[26]
| 언어 | 비율 |
|---|---|
| 몬테네그로어 | 41.1% |
| 세르비아어 | 39.1% |
| 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및 세르보크로아트어 (하나의 동일한 언어) | 12.3% |
| 세르보크로아트어 | 3.9% |
| 보스니아어 | 1.9% |
| 크로아티아어 | 1.7% |
2017년 초 설문 조사에 따르면, 몬테네그로 시민의 42.6%가 모국어의 명칭으로 세르비아어를 선택했으며, 37.9%가 몬테네그로어를 선택했다.[27]
몬테네그로 펜 센터는 "몬테네그로어는 체계적으로 분리된 언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몬테네그로인이 슈토카비아 방언의 일부를 명명하는 네 가지 이름(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중 하나일 뿐"이라고 명시하고 있다.[32] 2017년,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출신의 여러 인사들이 공통 언어에 관한 선언에 서명했는데, 이 선언은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다중심 표준 언어가 사용되며, 이는 독일어, 영어와 같은 언어의 상황과 유사하다고 명시하고 있다.[33][34][35][36]
보이슬라프 니크체비치는 라틴 문자에 Ś, Ź, З 세 글자와 이에 해당하는 키릴 문자 С́, З́ 및 Ѕ를 추가하는 것을 옹호한다.[38]
2004년, 몬테네그로 정부는 학교 교육 과정을 변경하여 언어를 가르치는 필수 수업의 이름을 "세르비아어"에서 "모국어(세르비아어, 몬테네그로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로 변경했다.[41] 이 결정으로 인해 많은 교사들이 파업을 선언하고 학부모들이 자녀의 등교를 거부했다.[42]
몬테네그로어의 정서법은 로마자 정서법과 키릴 문자 정서법이 있다. 각각 "아베체다"(Abeceda|아베체다cnr)와 "아즈부카"(Азбука|아즈부카cnr)라고 불린다.
- 아베체다: A B C Č Ć D Dž Đ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Š Ś T U V Z Ž Ź|A B C Č Ć D Dž Đ E F G H I J K L Lj M N Nj O P R S Š Ś T U V Z Ž Źcnr
- 아즈부카: А Б В Г Д Ђ Е Ж З З́ И Ј К Л Љ М Н Њ О П Р С Ć Т Ћ У Ф Х Ц Ч Џ Ш|А Б В Г Д Ђ Е Ж З З́ И Ј К Л Љ М Н Њ О П Р С Ć Т Ћ У Ф Х Ц Ч Џ Шcnr
두 정서법 모두 몬테네그로 헌법에 의해 동등한 지위가 보장되어 있지만, 몬테네그로 정부는 로마자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7. 문학
몬테네그로 작가들의 많은 문학 작품은 현지 몬테네그로 방언의 예를 제공한다. 중세 문학은 대부분 고대 교회 슬라브어와 그 개정판으로 쓰였지만, 19세기 대부분의 작품은 몬테네그로의 여러 방언으로 쓰였다. 여기에는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와 다른 작가들이 수집한 민속 문학, 페타르 페트로비치 네고시의 ''산화관''(Gorski vijenac), 마르코 밀랴노프의 ''인류애와 용기의 예''(Primjeri čojstva i junaštva) 등이 포함된다. 19세기 후반과 이후에는 표준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기반이 된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이 몬테네그로의 대부분의 방언의 특징인 제타-남부 라슈카 방언 대신 자주 사용되었다. 가장 존경받는 몬테네그로 작가 중 한 명인 페타르 페트로비치 네고시는 그의 ''산화관'' 원고에서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가 세르비아어의 표준으로 제안한 것으로 제타-남부 라슈카 방언의 많은 특징을 변경했다.[1]
예를 들어, 제타-남부 라슈카 방언에서 사용된 장소의 대부분의 대격은 네고시에 의해 세르비아어 표준에서 사용된 처격으로 변경되었다. 따라서 원고의 구절 ''"U dobro je lako dobar biti, / na muku se poznaju junaci"''는 인쇄된 버전에서 ''"U dobru je lako dobar biti, / na muci se poznaju junaci"''로 변경되었다. 이후 몬테네그로 작가들의 다른 작품들도 세르비아어 문학 규범을 따르기 위해 종종 동부 헤르체고비나 형태로 수정되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몬테네그로 제타-남부 라슈카 방언의 몇 가지 특징이 때때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니콜라 1세 페트로비치 네고시의 시 ''오나모 나모''는 동부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어 표준으로 쓰여졌지만, 몇 가지 제타-남부 라슈카 형태를 포함한다: ''"Onamo namo, za brda ona"'' (대격, 도구격 대신 ''za brdima onim''), 그리고 ''"Onamo namo, da viđu (대신 ''vidim'') ''Prizren"'', 등.[1]
8. 다른 언어와의 관계
세르비아어에서 분리되었다. 세르비아-슈토피안 표준어를 기준으로 하여 이 언어를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어라고 부르게 되었다. 세르비아어와 같이 키릴 문자와 로마자가 대등한 지위를 갖는다. 다만, 세르비아에서 키릴 문자가 많이 쓰이는 것과 달리 몬테네그로어에서는 주로 로마자를 쓴다.
참조
[1]
웹사이트
Serbian Montenegrins Demand Official Language Rights
https://balkaninsigh[...]
2017-08-07
[2]
웹사이트
ISO 639-2 Language Code List –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languages (Library of Congress)
https://www.loc.gov/[...]
[3]
웹사이트
cnr – ISO 639-3
http://www-01.sil.or[...]
[4]
웹사이트
World Atlas of Languages: Montenegrin
https://en.wal.unesc[...]
2023-11-30
[5]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HarperCollins
[6]
서적
Lexical layers of identity: words, meaning, and culture in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학술지
Pluricentricity in the classroom: the Serbo-Croatian language issue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orldwide
De Gruyter
[8]
Dissertation
Die kroatische Standardsprache auf dem Weg zur Ausbausprache
https://www.zora.uzh[...]
University of Zurich, Faculty of Arts, Institute of Slavonic Studies
2022-06-08
[9]
서적
Languages and Nationalism Instead of Empires
Routledge
2024-01-23
[10]
뉴스
Serbian, Croatian, Bosnian, Or Montenegrin? Or Just 'Our Language'?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
2009-02-21
[11]
학술지
Reprint: A speech in the Assembly gathering on the 16th of February, 1898. made during the respective discussion by the representative of Ante Trumbić
[12]
서적
O Crnogorcima: Pisma sa Cetinja 1878. godine
Чигоја штампа
[13]
백과사전
[14]
서적
La questione Montenegrina
Casa editrice Franklin
[15]
뉴스
Crna Gora dobila novi Ustav
http://www.cafemonte[...]
Antena M
2007-10-20
[16]
웹사이트
O jeziku
http://www.fcjk.me/o[...]
Faculty for Montenegrin Language and Literature
2023-05-21
[17]
웹사이트
Ukidanje crnogorskog jezika radi književnog jedinstva (1857.)
https://www.cpc.org.[...]
Montenegrin Orthodox Church
2023-01-01
[18]
웹사이트
Zapisnik iz 1969. o jeziku Crnogoraca
https://www.antenam.[...]
Antena M
2023-11-19
[19]
학술지
Indicating ideology: Variation in Montenegrin orthography
https://www.scienced[...]
2023-01-01
[20]
웹사이트
Dva nova slova u crnogorskom pravopisu
http://www.worldwide[...]
Worldwide.rs
2015-05-19
[21]
웹사이트
Osporen crnogorski pravopis | Mondo
http://www.mondo.rs/[...]
2022-02-02
[22]
웹사이트
Montenegrin language ISO code [cnr] assigned • SENAT.me – MeP
http://senat.me/en/m[...]
2017-12-11
[23]
뉴스
Montenegro embroiled in language row
http://news.bbc.co.u[...]
BBC News Online
2010-03-01
[24]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Montenegro
https://www.venice.c[...]
[25]
간행물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11
http://www.monstat.o[...]
Monstat
2011-07-12
[26]
웹사이트
Matica Crnogorska: Crnogorskim jezikom govori 41,1 odsto građana, a srpskim 39,1
http://www.pobjeda.m[...]
2015-01-29
[27]
웹사이트
U Crnoj Gori za SFRJ žali 63 odsto građana
http://www.vijesti.m[...]
[28]
웹사이트
MUSLIMANI CRNE GORE – MATICA MUSLIMANSKA CRNE GORE
http://www.maticamus[...]
2015-11-02
[29]
서적
The Slav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9-21
[30]
서적
Srpski dijalekti
https://books.google[...]
Prosvjeta
2008
[31]
서적
Zetsko-raški dijalekat srpskog jezika
http://www.isj.sanu.[...]
[32]
웹사이트
Declaration of Montenegrin P.E.N. Centre
http://www.montenet.[...]
Montenet.org
2015-05-19
[33]
웹사이트
Time to Make Four Into One
https://archive.org/[...]
The New European
2018-03-02
[34]
잡지
What Language Do People Speak in the Balkans, Anyway?
https://www.atlasobs[...]
2019-04-09
[35]
웹사이트
Post-Yugoslav 'Common Language' Declaration Challenges Nationalism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7-06-03
[36]
뉴스
Is Serbo-Croatian a Language?
http://www.economist[...]
2017-04-10
[37]
서적
Pravopis crnogorskog jezika
Crnogorski PEN Centar
1997
[38]
웹사이트
Language: Montenegrin Alphabet
http://www.montenet.[...]
Montenet.org
2015-05-19
[39]
뉴스
Црногорци дописали Вука
http://www.politika.[...]
Politika
[40]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9-02-15
[41]
뉴스
Slobodan Backović potpisao odluku o preimenovanju srpskog u maternji jezik
http://www.voanews.c[...]
Voice of America
2004-03-26
[42]
뉴스
Počelo otpuštanje profesora srpskog
http://arhiva.glas-j[...]
Glas Javnosti
2004-09-17
[43]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ohchr.or[...]
[4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45]
사전
Webster's Ninth New Collegiat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1983
[46]
사전
The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7]
문서
[48]
웹사이트
Montenegrin authorities introduce new alphabet
https://www.b92.net/[...]
B92
2011-08-16
[49]
웹사이트
Montenegrin created
https://iso639-3.sil[...]
ISO 639-3
2018-01-05
[50]
문서
외부링크의몬테네그로어정서법의전문및pp.34-37
[51]
문서
외부링크의몬테네그로어정서법pp.38-39
[52]
웹사이트
Montenegrin (Crnogorski jezik / Црногорски језик)
https://www.omniglot[...]
Omniglot
[53]
뉴스
Crnogorska skupština odustala od upotrebe slova ś i ź
https://rs-lat.sputn[...]
Sputnik Srbija
2017-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