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원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원황후는 서진 무제의 황후로,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서법에 능했으며, 아름다운 용모와 재주를 겸비했다. 사마소의 아들 사마염과 결혼하여 서진을 건국한 후 황후가 되었으며, 질투심이 강해 후궁 선발에 영향을 미쳤다. 태자 사마충의 교체를 반대하고, 가남풍을 태자비로 추천하기도 했다. 274년에 3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후 '원'의 시호를 받아 무원황후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진의 황후 - 가남풍
    가남풍은 서진 혜제의 황후로서 권력을 장악하여 정치를 농단하고 팔왕의 난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이다.
  • 서진의 황후 - 양헌용
    양헌용은 서진 혜제의 황후로, 팔왕의 난으로 폐위와 복위를 반복하다 전조의 유요에게 시집가 헌문황후가 되었다.
  • 274년 사망 - 마니 (예언자)
    마니는 3세기 페르시아에서 마니교를 창시하고 기독교, 조로아스터교, 불교 등을 융합한 교리를 설파했으며, 스스로를 마지막 예언자라고 칭했으나 박해를 받아 처형되었다.
  • 274년 사망 - 조방
    조방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제3대 황제로, 조예의 양자로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곽태후의 수렴청정과 조상, 사마의의 보좌를 받았으나, 고평릉의 변으로 실권을 잃고 폐위되어 제왕, 소릉공으로 강등되었다.
무원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楊艷
양경지
출생238년
사망274년 8월 25일
사인병사
시호무원황후 (武元皇后)
능묘준양릉
배우자무제
자녀사마궤
혜제
사마간
평양공주
신풍공주
양평공주
아버지양병
어머니조씨 (조준의 자매)
가문홍농 양씨
서진 황후
재위 기간266년 3월 20일 ~ 274년 8월 25일
이전문명황후
이후양지

2. 생애

그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서법에 밝았으며 자질이 아름답고 여자의 일에 숙련하였다. 관상을 잘보는 사람이 일찍이 그의 상을 보고 마땅히 지극히 존귀하게 될 것이라고 하였는데, 진왕 사마소가 이 말을 듣고 아들 사마염과 결혼시켰다.[10] 그는 사마염에게 아주 총애를 받아서 사마충, 사마간(司馬柬), 평양공주(平陽公主), 신풍공주(新豐公主), 양평공주(陽平公主)를 낳았다.[10]

265년, 시아버지 사마소가 죽고 남편 사마염이 진왕(晉王)의 자리를 계승하자 진왕비(晉王妃)가 되었다.[10] 266년, 사마염이 서진을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황후(皇后)로 책봉되었다.[10] 관리들이 한나라의 고사를 따라 황후와 태자에게 각각 탕목읍 40현을 식읍으로 주어야 한다고 상주했지만, 무제는 고대의 제도가 아니라고 여겨 허락하지 않았다.[10]

무원황후는 외삼촌 조준(趙俊)의 은혜를 기려 그를 고관에 임명하고, 조준의 형 조우(趙虞)의 딸 조찬(趙粲)을 후궁으로 들여 부인(夫人)으로 삼게 하였다.[10]

무원황후는 질투심이 강한 성격으로, 황제가 후궁을 선발할 때 자신의 미색에 미치지 못하는 여인들만 선택하도록 압력을 가했다.[10] 태시 연간에 황제가 양가의 규수들을 널리 선발하여 후궁을 채우려 조서를 내려 백성들의 혼사를 금지하고 환관을 보내 각 주군을 돌아보게 하였다.[10] 그는 질투하여 얼굴이 하얗고 키가 큰 여자만을 뽑고 단아하고 수려한 아가씨는 전부 뽑히지 않도록 하였다.[10] 변번(卞藩)의 딸이 아름다웠는데, 무제가 부채로 얼굴을 가리면서 “변씨 집안의 딸이 아름답습니다”라고 하였으나, 그는 “변번은 3대가 모두 그의 친족이었는데 그의 딸을 이런 비천한 자리까지 굽힐 수 없습니다.”라고 하여 황제가 곧 그만두었다.[10] 결국 여러 세족들의 딸들이 3부인, 9빈의 자리를 채웠고, 유명한 가문의 딸들 중에는 옷을 훼손하고 얼굴에 상처를 입혀서 선발을 피하고자 한 사람도 많았다.[10]

무제는 황태자 사마충이 제위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여겨 비밀리에 그에게 말하였으나, 그는 “적자를 세우는 것은 나이로 하는 것이지 현명한 정도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찌 바꿀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10] 무원황후는 태자 사마충이 어리석어 황제 자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자(嫡子) 계승 원칙을 내세워 태자 교체를 반대하였다.

당초에 가충의 아내 곽씨(郭氏)가 그에게 뇌물을 주고 자기 딸 가남풍을 태자비로 삼아 줄 것을 청하였다.[10] 태자의 혼사를 상의하던 때에 이르러 무제는 위관(衛瓘)의 딸을 태자와 결혼시키고 싶어했으나, 무원황후가 가남풍의 미덕을 심히 칭찬하고 몰래 태자태부(太子太傅) 순의(荀顗)로 하여금 나아가 말하게 하니 무제가 이에 동의하였다.[10] 이처럼 무원황후는 태자비 간택 과정에서 가충(賈充)의 딸 가남풍(賈南風)을 적극적으로 추천하여 성사시켰다.

274년, 양황후는 병이 들었다.[9] 그는 무제가 총애하는 후궁 호분(胡芬)이 다음 황후가 되어 태자의 위치를 불안하게 할까 두려워하였다.[10] 임종 시에 무제의 무릎에 누워 “숙부 양준(楊駿)의 딸 남윤(男胤)은 재모를 겸비하고 있으니 원컨대 폐하께서 그를 선발하여 육궁(六宮:황후의 침전)을 채우십시오” 하면서 비통하게 눈물 흘리니 무제도 역시 울면서 응답하였다.[10] 274년, 명광전(明光殿)에서 황제의 무릎에 누워서 죽었는데 나이가 36세였다.[10] 무제는 그를 준양릉(峻陽陵)에 장사 지냈다.[10]

2. 1. 초기 생애와 결혼

양염은 조위 시대의 제후였던 양문종(楊文宗)의 딸로,[5] 어릴 적 부모를 잃고 외삼촌 조준(趙俊)의 집에서 자랐다. 총명하고 서법(書法)에 능했으며, 아름다운 용모와 재주를 겸비하여 여자의 일에도 숙련되었다. 한 점쟁이는 그녀가 특별한 영예를 얻을 것이라고 예언했고, 사마소가 이 말을 듣고 그녀를 자신의 맏아들 사마염과 결혼시켰다. 그녀는 남편과의 사이에서 세 아들[6]과 세 딸[7]을 두었다.

태시 2년(266년) 정월, 사마염이 즉위하자 황후로 책봉되었다. 질투심이 강한 성격이었으며, 사마염이 자신의 후궁으로 들일 여자를 고를 때 질투하여, 피부가 하얗고 키가 크지만 미인은 아닌 여성만 골랐다. 어느 날 사마염은 용모가 아름다운 변번의 딸을 마음에 들어 했지만, 양염은 "변씨는 위나라 3대의 외척이었다"는 이유로 이를 반대했고, 입궁은 취소되었다. 사마염은 태자 사마충(혜제)이 어리석어 폐위시키려 했지만, 양염은 친자식을 몹시 아껴, 힘을 다해 간언하여 이를 막았다. 또한, 양염의 노력으로 가남풍이 태자비(후의 황후)가 되었다.

외사촌 언니인 조찬(조준의 형의 딸)은 사마염의 측실이 되었다. 양염과 사마염 사이에서는 사마궤(비릉왕), 사마충(혜제), 사마간 (진왕), 평양공주, 신풍공주, 양평공주가 태어났다.

태시 10년(274년) 7월, 무제의 곁에서 세상을 떠났다. 임종 시, 귀빈 호방(호분의 딸, 사마염의 총애를 받던 후궁)을 꺼려, 사촌 여동생 양지를 다음 황후로 세워줄 것을 간청했다. '''원'''으로 시호되었으며, 그 후, 남편의 시호를 더하여 무원황후로 칭해졌다.

2. 2. 황후 시절

무원황후는 어릴 때부터 총명하고 서법에 밝았으며, 아름다운 자질과 여자의 일에 숙련되었다.[10] 관상을 잘 보는 사람이 일찍이 그의 상을 보고 지극히 존귀하게 될 것이라 하였는데, 진왕 사마소가 이 말을 듣고 아들 사마염과 결혼시켰다.[10] 그는 사마염에게 총애를 받아 사마충 등을 낳았다.[10]

265년, 시아버지 사마소가 죽고 남편 사마염이 진왕(晉王)의 자리를 계승하자 진왕비(晉王妃)가 되었다.[10] 266년, 사마염이 서진을 건국하고 황제로 즉위하면서 황후(皇后)로 책봉되었다.[10] 관리들이 한나라의 고사를 따라 황후와 태자에게 각각 탕목읍 40현을 식읍으로 주어야 한다고 상주했지만, 무제는 고대의 제도가 아니라고 여겨 허락하지 않았다.[10]

무원황후는 외삼촌 조준(趙俊)의 은혜를 기려 그를 고관에 임명하고, 조준의 형 조우(趙虞)의 딸 조찬(趙粲)을 후궁으로 들여 부인(夫人)으로 삼게 하였다.[10]

무원황후는 질투심이 강한 성격으로, 황제가 후궁을 선발할 때 자신의 미색에 미치지 못하는 여인들만 선택하도록 압력을 가했다.[10] 태시 연간에 황제가 양가의 규수들을 널리 선발하여 후궁을 채우려 조서를 내려 백성들의 혼사를 금지하고 환관을 보내 각 주군을 돌아보게 하였다.[10] 그는 질투하여 얼굴이 하얗고 키가 큰 여자만을 뽑고 단아하고 수려한 아가씨는 전부 뽑히지 않도록 하였다.[10] 변번(卞藩)의 딸이 아름다웠는데, 무제가 부채로 얼굴을 가리면서 “변씨 집안의 딸이 아름답습니다”라고 하였으나, 그는 “변번은 3대가 모두 그의 친족이었는데 그의 딸을 이런 비천한 자리까지 굽힐 수 없습니다.”라고 하여 황제가 곧 그만두었다.[10] 결국 여러 세족들의 딸들이 3부인, 9빈의 자리를 채웠고, 유명한 가문의 딸들 중에는 옷을 훼손하고 얼굴에 상처를 입혀서 선발을 피하고자 한 사람도 많았다.[10]

무제는 황태자 사마충이 제위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여겨 비밀리에 그에게 말하였으나, 그는 “적자를 세우는 것은 나이로 하는 것이지 현명한 정도로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찌 바꿀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10] 무원황후는 태자 사마충이 어리석어 황제 자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자(嫡子) 계승 원칙을 내세워 태자 교체를 반대하였다.

당초에 가충의 아내 곽씨(郭氏)가 그에게 뇌물을 주고 자기 딸 가남풍을 태자비로 삼아 줄 것을 청하였다.[10] 태자의 혼사를 상의하던 때에 이르러 무제는 위관(衛瓘)의 딸을 태자와 결혼시키고 싶어했으나, 무원황후가 가남풍의 미덕을 심히 칭찬하고 몰래 태자태부(太子太傅) 순의(荀顗)로 하여금 나아가 말하게 하니 무제가 이에 동의하였다.[10] 이처럼 무원황후는 태자비 간택 과정에서 가충(賈充)의 딸 가남풍(賈南風)을 적극적으로 추천하여 성사시켰다.

274년, 양황후는 병이 들었다.[9] 그는 무제가 총애하는 후궁 호분(胡芬)이 다음 황후가 되어 태자의 위치를 불안하게 할까 두려워하였다.[10] 임종 시에 무제의 무릎에 누워 “숙부 양준(楊駿)의 딸 남윤(男胤)은 재모를 겸비하고 있으니 원컨대 폐하께서 그를 선발하여 육궁(六宮:황후의 침전)을 채우십시오” 하면서 비통하게 눈물 흘리니 무제도 역시 울면서 응답하였다.[10] 274년, 명광전(明光殿)에서 황제의 무릎에 누워서 죽었는데 나이가 36세였다.[10] 무제는 그를 준양릉(峻陽陵)에 장사 지냈다.[10]

2. 3. 죽음과 영향

무원황후는 274년 병에 걸려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0] 임종 직전, 사마염의 총애를 받던 후궁 호방(胡芳)을 견제하고 자신의 가문을 보호하기 위해, 사촌 여동생 양지를 다음 황후로 추천했다.[9] 사마염은 양염의 유언을 받아들여 양지를 황후로 책봉했다.[9]

양황후는 죽기 직전 황제에게 자신의 사촌 여동생과 결혼 할 것을 요청하였고, 황제는 이를 승낙하였다.[9]

사후 준양릉(峻陽陵)에 안장되었으며,[10] '원(元)'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 이후 남편 사마염의 시호를 더하여 무원황후(武元皇后)로 추존되었다.

3. 가계 및 가족 관계

홍농 양씨 가계도


무원황후는 홍농 양씨(弘農 楊氏) 가문 출신으로, 부친은 양병(楊炳), 숙부는 양준(楊駿)이다. 친정 가문은 서진의 유력한 외척 가문으로 성장하였으나, 팔왕의 난(八王之亂) 과정에서 몰락하였다.

3. 1. 가계



무원황후는 홍농 양씨(弘農 楊氏) 가문 출신으로, 부친은 양병(楊炳), 숙부는 양준(楊駿)이다. 친정 가문은 서진의 유력한 외척 가문으로 성장하였으나, 팔왕의 난(八王之亂) 과정에서 몰락하였다.

3. 2. 가족 관계

4. 평가

참조

[1] 서적 Jin Shu
[2] 서적 Jin Shu
[3] 서적 Book of Jin
[4] 서적 Book of Jin
[5] 간행물 Taiping Yulan
[6] 서적 Jin Shu
[7] 서적 Jin Shu
[8] 서적 Book of Jin
[9] 서적 Women writers of traditional China: an anthology of poetry and criticism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10] 서적 진서 권31 중 무원양황후 열전 진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