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타파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타파 제국은 "정복한 대지"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 15세기 전반에 쇼나족에 의해 건국되었다. 므비르 왕조의 후손인 니아심바가 기틀을 다졌으며, 금을 이용한 교역으로 번성했다. 포르투갈의 침략과 챙가미레 왕국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18세기에는 영토를 상실했고, 1917년 마지막 왕이 사망하면서 멸망했다. 무타파 제국은 강력한 왕권을 가졌지만, 여러 추장국으로 구성된 연합 왕국이었으며, 독자적인 문화와 경제 체제를 발전시켰다. 특히, 오필 전설과 연관되어 유럽인들의 관심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짐바브웨의 역사 - 부투아 왕국
부투아 왕국은 짐바브웨에 존재했던 중세 시대의 왕국이며, 수도였던 카미 유적은 부투아 왕국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 짐바브웨의 역사 - 짐바브웨 왕국
짐바브웨 왕국은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현재의 짐바브웨와 주변 지역에 존재했던 쇼나족 국가로, 그레이트 짐바브웨를 중심으로 상아와 금 무역을 통해 번성하며 독자적인 석조 건축 기술을 발전시켰으나, 15세기 무타파 왕국의 등장과 함께 쇠퇴하여 부투아 왕국으로 분열 후 로즈위 제국에 흡수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제국 - 송가이 제국
송가이 제국은 서아프리카 니제르 강 유역에서 번성했던 제국으로, 손니 왕조를 거쳐 아스키아 왕조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모로코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멸망 후에도 여러 소왕국으로 이어졌다. - 아프리카의 옛 제국 - 아샨티 제국
아샨티 제국은 17세기 오세이 투투 1세의 지휘 아래 가나 남부 내륙에서 건국되었으며, 군사적 연합에서 시작하여 '황금 의자'를 중심으로 종교적 연합의 성격을 띠었고, 영국과의 전쟁 끝에 1901년 병합되었으며, 가나 독립 후 입헌 군주제 왕국으로 인정받아 현재 아샨티 국왕이 존재한다.
무타파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나라 이름 | 짐바브웨 |
현지 이름 | Mwene we Mutapa(므웨네 웨 무타파) |
존속 기간 | 1430년 ~ 1760년 |
수도 | 즈봉곰 |
공용어 | 쇼나어, 칼랑가어 |
종교 | 마와리 신앙 |
정부 형태 | 제국 |
정치 | |
지도자 칭호 | 므웨네무타파 |
므웨네무타파 (초대) | 냐트심바 무투타 (1430년경 ~ 1450년경) |
므웨네무타파 (말대) | 데흐웨 무푼자구투 (1740년 ~ 1759년) |
입법부 | 그바라 |
역사 | |
건국 이전 | 짐바브웨 왕국 |
멸망 이후 | 친디마 왕국 |
기타 | |
면적 | 700,000 km² |
2. 어원
무타파(Mutapa)라는 단어는 '정복한 대지'라는 뜻이며 토착어로 왕은 ''mwene''로 불렸다. 이는 '정복왕' 혹은 '신이 내린 자'라는 뜻이다. 때문에 무타파 제국의 또다른 이름은 ''Mwene Mutapa''이다.[1]
3. 역사
무타파 제국은 로즈비(Rozvi)가 건국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현대 쇼나족의 선조이다. 13세기 므비르 왕조가 영향력을 떨쳤고, 그 후손인 니아심바(Nyatsimba)가 무타파 제국의 기틀을 닦아 쇼나족의 영웅으로 꼽힌다. 당시 도자기나 천이 해안을 따라 금과 교역되었다. 1400년까지 세력을 유지했으나, 국가 기반이 흔들리면서 350km 북쪽으로 천도하게 되었다.[54]
포르투갈은 쇼나족 왕국을 정복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동안 무타파 제국은 포르투갈의 교란 작전으로 영토를 잃고 주변국에 복속되거나 금 약탈에 이용되었다. 당시 주변 강대국은 잔지바르와 키와 제국이었다.[55]
이후 줄루족이 남하하면서 남아프리카와 잠베지 강 이북 지역으로 유입되어 국력에 타격을 입었다. 심각한 가뭄으로 많은 주민들이 이주했고, 결국 1629년 포르투갈에 의해 멸망했다.
3. 1. 왕조의 기원
무타파 왕국은 15세기 전반에 시작되었다.[6] 짐바브웨 왕국에 종속되었던 쇼나족 카란가 귀족들이 새로운 목초지나 금광을 찾아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이들이 무타파 왕국의 지배자가 되었다고 여겨진다.[5] 구전에 따르면 무토타라는 이름의 왕자가 왕조의 시조라고 전해진다. 무토타의 후계자인 마토페는 건국된 지 얼마 안 된 왕국을 인도양 연안에 이르는 지역 대부분을 지배하는 국가로 확장했다. 마토페의 군대는 마니카 왕국, 연안의 키테베 왕국과 마단다 왕국을 제압했다고 한다.
포르투갈인들이 수집한 무토타와 마토페의 무타파 왕국 창시에 대한 구전은 그 정확성이 의문시되고 있다.[7] 그러나 왕조의 창시자가 아프리카 대륙 남쪽에서 북쪽으로 세력을 확대했다는 전설은 고고학적 사료와 모순되지 않으며, 이전에 존재했던 짐바브웨 왕국의 "돌집" 건축 문화도 남쪽에서 북쪽으로 확대되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8]
3. 2. 포르투갈과의 접촉
1515년 포르투갈인들은 킬와 섬과 소팔라를 파괴하고 아프리카 남동부 연안 지대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었다.[11] 주된 목적은 인도 교역의 지배권을 장악하는 데 있었지만, 무의식중에 모노모타파의 종속국과 인도 사이에서 고급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남동 아프리카 탐험의 선구자인 안토니오 페르난데스는 1514년부터 두 차례 내륙 탐험을 실시했고, 이때 모노모타파 왕국의 영토를 방문한 것으로 여겨진다.[12]
1540년 모노모타파 왕국과 포르투갈인 사이에 통상 관계가 성립되었는데[13], 포르투갈인들이 남동 아프리카의 연안부에 도달한 후 모노모타파 왕국은 사절을 파견하여 우호의 뜻을 표시했기 때문이다. 모노모타파의 국왕은 포르투갈인에게 영내에서의 상업 활동을 허용하는 한편, 그들의 활동을 감시하고 징세를 담당하는 "제문의 캡틴"을 임명했다. 1525년 모노모타파 왕국은 소팔라를 점령하고, 모잠비크 섬에 취락을 건설했다.[5] 그와 동시에 포르투갈인들은 모노모타파 왕국의 세력이 약한 지역으로 진출하여, 많은 시장을 개척했다.[5]
3. 3. 포르투갈의 침략과 십자군 원정
1560년 말, 포르투갈의 예수회 선교사 곤살루 다 실베이라는 모노모타파 왕국의 궁정을 방문하여 포교 활동을 펼쳤다. 1561년 1월, 국왕 네고모 므푼자구토와 그의 가족, 궁정 요인은 기독교로 개종했지만, 영매사 등 보수 세력은 집단 개종에 강하게 반발하여 같은 해 3월에 실베이라는 처형된다[14].
1569년, 포르투갈 국왕 세바스티앙은 프란시스코 바헤토(바레토)가 이끄는 1,000명의 원정대를 파견했지만, 작전은 지지부진하게 진행되고 병력도 줄어 1572년에 원정대는 잠베지 강을 출발하여 진군한다[15][16]. 말라리아나 수면병은 원정대의 전력을 크게 깎아내렸고, 이슬람 상인이나 적대적인 부족 세력에 의해 소모된 원정대는 테테로 퇴각했다[17].
테테로 귀환한 바헤토가 병사한 후, 후임 지휘관이 된 바스코 페르난데스 오멩은 소파라에서 내륙으로 서진하여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인 키테베 왕국, 마니카 왕국을 공격했다. 마니카에서는 금광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상업적 경영은 어렵다고 판단되어, 포르투갈인에 의한 "십자군"은 모노모타파 왕국의 군대와 교전하지 않고 종료되었다[18].
무타파 제국의 풍부한 금광 보유는 포르투갈인의 입소문을 통해 유럽 전역으로 퍼졌고, 성경에 명시돼 있는 솔로몬 왕의 금광에 대한 유혹을 불러일으켰다. 엘도라도를 꿈꾸던 초기 식민 개척자들에게 이러한 소문은 남아프리카 일대를 탐험하게 만들었다.
이후, 1597년과 1599년 두 차례에 걸쳐 모노모타파 왕 가티 루세레는 북쪽의 말라위 제 부족의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포르투갈인 세력으로부터 원조를 받았다. 1600년부터 9년에 걸친 내분에서도 포르투갈인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20]. 1607년, 원조의 대가로 가티 루세레는 포르투갈의 무장 세력의 영내 진입을 인정하고, 모든 광산을 할양하는 조약을 체결했지만, 이러한 조건은 이행되지 않았다[20].
3. 4. 포르투갈의 지배
17세기 초, 포르투갈은 내분을 틈타 무타파 왕국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1629년 포르투갈 군에 패배하여 잠베지강 북안으로 도망친 카파라리제를 대신하여, 그의 숙부인 마브라가 왕위에 올랐다.[22] 마브라는 포르투갈 왕국에 신종을 맹세하고, 금을 헌납하며 광산을 제공하는 권한을 포기해야 했다.[24] 1629년 마브라는 즉위 후 여왕과 함께 세례를 받고 필리페라고 칭했으며, 이후 여러 대에 걸쳐 기독교도인 모노모타파 왕이 나타났다.[23] 왕국 내 선교사와 상인의 이동 제약은 해제되었고, 짐바브웨 고원 북동부는 포르투갈 군벌에 의한 광산 채굴과 징발로 황폐해졌다.[25] 무타파 동쪽의 발루에 왕국은 포르투갈의 직접 지배를 받았고, 포르투갈 본국의 신종국이 된 키테베, 마니카에서도 괴뢰 왕이 옹립되었다.[26]
3. 5. 챙가미레 왕국의 침입
17세기 후반, 모노모타파 왕국의 왕 무콘브웨를 섬기던 챙가미레 돈보가 모노모타파 왕국의 남쪽 부투아에서 독립하여 챙가미레 왕국을 형성했다.[27] 1684년 마웅웨 전투에서 돈보는 모잠비크 총독이 이끄는 포르투갈군에게 승리했고, 기세를 몰아 챙가미레의 본거지를 공격하려던 무콘브웨를 격파했다.
1692년 무콘브웨가 사망한 후, 포르투갈이 옹립한 왕 도므 페드루에 대항하여 냐크네므빌레가 왕위에 올랐다. 냐크네므빌레는 외국인의 활동을 제한하려 시도했고, 1693년 챙가미레 왕국의 힘을 빌려 포르투갈 세력을 짐바브웨 고원 일대에서 몰아냈다.[28] 로즈위족을 이끄는 돈보에 의해 포르투갈인의 교역 거점 (페이라)인 단바라레가 파괴되었고, 포르투갈 상인을 포함한 50명 정도의 주민이 살해되었다고 전해진다.[29] 1692년부터 1694년까지 냐크네므빌레가 독립적인 군주로서 왕국을 통치했지만, 냐크네므빌레는 포르투갈인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1695년 돈보는 마니카 왕국의 금 생산지를 제압한 후 군대를 동쪽으로 진격시켜 포르투갈의 페이라 Masikwesi를 파괴했다. 이 군사 작전으로 부토와에서 마니카에 이르는 모든 금 생산지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했고, 챙가미레 왕국은 모노모타파 왕국을 대신하는 최대 쇼나족 국가로 성장했다.[30]
3. 6. 왕국의 붕괴
1720년경, 무타파는 독립을 회복했지만, 짐바브웨 고원에 있던 영토 대부분을 샹가미레 왕국에 빼앗겼다.[33] 무역 중심지가 잠베지 강 유역으로 이동하면서, 1723년 무타파 왕 냐만두는 수도를 마조웨 강 유역 고원 지대에서 잠베지 강 하류로 이전했다.[33] 무타파 왕국의 세력권은 동쪽으로는 테테 인근 포르투갈 영지, 서쪽으로는 잠베지 강 유역 줌보로 한정되었고, 한때 궁정이 있던 지역에는 동쪽의 쇼나계 그룹이 유입되었다.[33]
1735년 냐만두 치세 이후, 냐만두 가문과 볼로마 가문이 왕위를 두고 대립하여 1767년까지 9명의 왕이 나타났다.[31] 1767년부터 1804년까지 3명의 왕이 즉위했지만, 두 가문의 대립은 해소되지 않았다.[31] 포르투갈인과의 전투, 내부 항쟁에서 '냐이'라는 전사 집단이 활약했지만, 이들 중 일부는 주군에 대한 봉사를 포기하고 도적이 되어 줌보와 테테 사이를 왕래하는 상인들을 습격하여 세금을 징수했다.[34]
1804년부터 1884년까지 최소 6, 7명이 무타파 왕위에 올랐다.[31] 무타파 왕국의 위신과 정치적 영향력은 계속 저하되었고, 왕국은 영지를 소유한 유력 가문의 연합체로 변화했다.[31] 1851년 무타파 왕을 만난 탐험가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포르투갈이 선전하는 강력한 국왕의 모습과 몰락한 실제 왕의 모습에 놀라, 한때의 영광은 100명 정도의 첩실뿐이라고 일기에 적었다.[35] 이들은 "맘보" 칭호를 사용했고, 1917년 맘보 치오코가 포르투갈과의 전투에서 살해될 때까지 독립을 유지했다.
4. 사회
무타파 왕국은 중앙 집권 국가라기보다는 여러 추장국으로 구성된 연합 왕국의 성격이 강했다.[1] 유력 제후들의 저항과 왕위를 둘러싼 왕족 간의 다툼과 같은 내홍이 빈번하게 일어났지만, 권력 투쟁은 왕가와 그 측근들 사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외부 세력의 개입이 없는 한 국내에는 일정한 질서가 유지되었다.[36]
복잡한 궁정 제도와 왕을 정점으로 하는 계급 조직이 발달했으며, 포르투갈인에 의해 다양한 관직명이 기록되었다.[37] 귀족들은 자제들을 궁정에 보내야 했으며, 그들은 시동이나 위병으로서 궁정에서 교육을 받았다.[37] 또한, 모후와 9명의 정비는 왕궁 부지 내에 개인의 소궁정을 가지고 있었으며, 국왕은 정비 외에 3,000명에 달하는 측실과 시녀를 소유하고 있었다.
무타파 왕국의 국왕이 신성성을 가지고 있음을 전하는 문헌이 몇 개 존재하며[38], 국왕은 사제로서의 역할도 가지고 있었다고 생각된다.[37] 일반 신민은 국왕의 목소리를 듣는 것은 허용되었지만, 모습을 볼 수는 없었으며, 국왕의 일거수일투족을 모방한 것이 전해진다.[37] 국왕은 완전무결한 존재이기 때문에, 신체가 훼손되거나 질병으로 건강을 해친 국왕은 독을 마시고 자살한다는 '왕 살해'의 습관을 전하는 문헌도 있지만, 이는 유명무실해진 실제로는 행해지지 않는 습관이라고 생각된다.[39]
국왕이 살아있는 한 계속 불태워지는 왕화가 왕제의 중심이었으며, 유력 제후들은 왕화에서 나누어진 불을 가지고 있었고, 왕이 죽었을 때는 국내의 모든 불이 꺼졌다고 한다.[37] 사자는 죽은 왕의 영혼이 깃드는 신성한 동물로 여겨졌으며, 왕이 참여하는 사냥을 제외하고는 사자를 죽이는 것은 허용되지 않았다.[37] 왕국의 수도에는 사원이 놓여졌으며, mhondoros라고 불리는 정령의 중개자에 의해 관리되었고, mhondoros는 구전으로 역대 국왕의 이름과 사적을 기록하는 역할도 담당했다.[40]
5. 문화
모노모타파 왕국은 그레이트 짐바브웨 유적을 건설한 짐바브웨 왕국의 석조 건축 기술을 계승하여 짐바브웨 왕국의 후계 국가 중 하나로 꼽힌다.[4] 짐바브웨 왕국이 쇠퇴한 후에도 "돌집" 건축은 북동부의 모노모타파 왕국에서 계승되었다.[41] 초기 모노모타파 왕국의 본거지인 마조웨 강·루야 강의 금 생산지대에는 짐바브웨 왕국과 같은 양식의 석조 건축물 유적이 존재한다.[41] 모노모타파 왕국의 궁정에서는 짐바브웨의 전통 문화가 쇠퇴해 갔고, 1620년경 왕국을 방문한 선교사의 기록에는 가옥을 둘러싼 나무 울타리에 대한 기술이 나타난다.[42]
17세기 모노모타파 왕국의 궁정 내에서는 유럽 문화, 기독교의 영향이 강해져 많은 왕자들이 모잠비크, 인도에 유학했다.[43] 도미니코회 수사들에 의해 각지에 교회가 건립되었고, 일부 아프리카인들은 기독교를 수용했다.[44] 하지만 유럽의 문화와 제도가 정착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고, 간신히 존재했던 포르투갈풍 문화도 화기 사용, 수입 사치품의 애호와 같은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18세기 챙가미레 전쟁 후에 사라졌다.[45]
6. 경제
무타파 왕국의 궁정은 교역과 징세로 이윤을 얻었다.[5] 왕국의 경제 구조와 집락 구성은 짐바브웨 왕국과 유사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경과 목축을 조합한 생활을 영위하며 계절에 따라 가축을 고원에서 저지대로 이동시켰다.[5] 왕이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밭과 소를 일정 기간 돌보아야 했으며, 후대의 쇼나족은 이 부역을 즌데라고 불렀다.[1] 부역으로 얻어진 농산물은 수장의 일족, 종자, 손님에게 제공되는 외에 국왕을 통해 구휼품으로 배포되었다.[46] 왕은 채굴 및 채취 활동으로 얻는 산물에 세금을 부과하고 사자나 표범 가죽, 타조 깃털, 상아, 금, 구리 등의 사치품을 축적했다.[47] 그러나 무타파 왕국의 징세 능력은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즌데 등의 제도도 국왕의 감시가 미치는 범위 내에서만 기능했으며, 무타파 왕국 아래에 위치한 종속국에는 독자적인 조세 제도가 존재했다고 생각된다.[48]
1500년까지 잠베지 강 하구부의 상업 도시와 중류역의 구리 산출 지대, 금 산지인 짐바브웨 고원은 통상로로 연결되었으며, 짐바브웨 상인과 이슬람 상인 간의 거래 장소인 정기 시장이 각지에서 열렸다.[49] 상인의 안전은 국왕에 의해 보장되었으며, 상거래에는 5%에서 15%의 관세가 부과되었다.[49] 1535년 잠베지 강 상류의 세나, 세나에서 더 내륙으로 들어간 테테에 포르투갈 상관이 세워졌다. 1570년대까지 무타파 왕국에는 3곳의 포르투갈 교역 거점(페이라)이 설치되었으며, 국왕은 연 1회 헌상품, 마사파에 주재하는 포르투갈인 "제문의 캡틴"이 징수한 세금을 받았다.[49] 포르투갈과의 거래에서는 상아가 가장 중요한 상품이었으며, 그 외에 금, 진주, 고무, 밀랍이 취급되었다.[50]
시바 고칸은 나가사키에 갔을 때의 일을 기록한 "서유일기(1788년)"에서 "이 흑방은... 야하(자바) 섬의 자, 혹은 아프리카 대주의 중 무타파라고 하는 곳의 열국에서 태어난 자이다"라고 데지마에 네덜란드인의 하인으로 살고 있던 동남아시아인이나 아프리카인 등의 기록을 남기고 있다. 왕국의 주민 일부는 남만인의 종자로 일본에도 건너온 듯하다.[51]
7. 오필(Ophir) 전설
르네상스 시대, 유럽인들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솔로몬 왕의 금광이 있는 오필이 무타파 왕국에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은 포르투갈인들이 남아프리카를 탐험하고 무타파 왕국을 침략하는 동기 중 하나가 되었다.[52] 무타파 제국의 풍부한 금광 보유는 포르투갈인의 입소문을 통해 유럽 전역으로 퍼졌고, 성경에 명시된 솔로몬 왕의 금광에 대한 유혹을 불러일으켰다. 성경 구절에 적혀 있는 전설적인 금광은 솔로몬 왕이 오필이라는 지방에서 찾았다고 전해지는데, 유럽인들은 무타파 제국의 영토 일대를 그곳으로 믿게 되었다.
16세기 포르투갈인들은 시바 왕국의 수도 오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프리카 내륙에 솔로몬 왕의 광산이 존재한다는 정보를 가져왔다.[52] 모노모타파라고 불리는 왕이 오필을 지배하며, 부와 권력을 가진 왕의 전설은 프레스터 존 전설이나 황금향 엘도라도 전설과 동등하게 여겨졌다.[53] 1560년 선교사 곤살루 다 실베이라가 방문했을 당시 모노모타파 왕국의 수도는 파로라고 불리는 산 위에 위치해 있었으며, 오필과 유사한 파로라는 지명이 전설의 신빙성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고도 한다.[50]
오필이 남아프리카의 모노모타파 왕국에 있다는 미신은 16세기의 포르투갈인들이 소팔라 배후지를 탐험하게 된 동기 중 하나가 되었다. 1514년부터 시작된 안토니오 페르난데스의 탐험을 시작으로, 그가 가져온 모노모타파의 나라와 솔로몬 왕의 보물에 대한 정보를 단서로, 많은 탐험가들이 잠베지 강을 거슬러 올라갔다.[12]
참조
[1]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
서적
African States and Rulers
McFarland & Company, Inc
[3]
간행물
Monomotapa
[4]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5]
서적
南部アフリカ
[6]
서적
[7]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8]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9]
서적
[10]
서적
世界史史料
岩波書店
[11]
서적
[12]
서적
大航海時代
[13]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14]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15]
서적
大航海時代
[16]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17]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18]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19]
서적
[20]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1]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2]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3]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4]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5]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6]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7]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8]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29]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0]
서적
[31]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2]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3]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4]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5]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6]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7]
논문
ジンバブウェの謎
[38]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39]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0]
문서
[41]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2]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3]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4]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5]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6]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7]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8]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49]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50]
서적
大航海時代
[51]
웹사이트
アフリカの日本、日本のアフリカ 第2章 日本に渡ったアフリカ人
https://www.ndl.go.j[...]
국립국회도서관
2019-10-21
[52]
서적
グレートジンバブウェ
[53]
서적
大航海時代
[54]
서적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5
CUP, Cambridge
1981
[55]
서적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197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