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아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아이(Hiodon)는 골설어상목 히오돈목에 속하는 어류의 속으로, 현존하는 2종과 멸종된 5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현존하는 종으로는 골드아이(Hiodon alosoides)와 문아이(Hiodon tergisus)가 있으며, 두 종 모두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문아이는 조기어류에 속하며, 계통 분류상 전골어류, 진골어류, 당멸치상목, 골설어상목, 히오돈목, 골설어목 등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물고기 - 잉어과
    잉어과는 이빨과 위가 없는 무위 어류로 인두치를 이용해 먹이를 씹으며, 다양한 크기, 형태, 식성을 가지고, 독특한 번식 전략을 가진 종도 있으며, 식량, 스포츠, 관상어 등으로 이용되지만 일부는 침입종으로 문제가 되는, 계통 발생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어류 분류군이다.
  • 북아메리카의 물고기 - 잉어목
    잉어목은 베버씨 기관을 가진 잉어상목 어류의 한 목으로, 등지느러미만 있고 턱에는 이빨이 없으며 인두치를 이용하여 먹이를 갈아 먹고, 잉어과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하며 대부분 민물에 서식하지만 일부는 기수나 해양에 서식하기도 하고, 산간 계류에 서식하는 종들도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수질 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문아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Hiodon tergisus
학명Hiodon Lesueur, 1818
히오돈과 (Hiodontidae)
명명자Cuvier & Valenciennes, 1846
속 명명자Lesueur, 1818
화석 범위이프레시아절 - 현재
분포 지도
이명Amphiodon Rafinesque, 1819
Clodalus Rafinesque, 1820
Elattonistius Gill & Jordan, 1877
†Eohiodon Cavender, 1966
Glossodon Rafinesque, 1818
하위 분류
Hiodon alosoides
†Hiodon consteniorum
†Hiodon falcatus
†Hiodon rosei
Hiodon tergisus
†Hiodon woodruffi
?†Hiodon shuyangensis

2. 하위 종

문아이속에는 현존하는 2종과 멸종된 3종이 있다.[2]


  • 골드아이
  • 남문아이
  • † ''Hiodon consteniorum''
  • † ''Hiodon rosei''[2]
  • † ''Hiodon woodruffi''[2]

2. 1. 현존하는 종


  • 골드아이 (''Hiodon alosoides'')
  • 남문아이 (''Hiodon tergisus'')


골드아이(''히오돈 알로소이데스'')는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눈의 뚜렷한 금색 홍채로 유명하다. 호수와 강과 같이 흐름이 느리고 탁한 물을 선호하며, 곤충, 갑각류, 작은 물고기, 연체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체를 먹고 산다. 이 물고기는 최대 52cm 길이로 보고되었다.

남문아이(''히오돈 테르기수스'') 역시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호수, 연못, 강의 맑은 물에 산다. 수생 무척추동물, 곤충, 물고기를 먹는다. 남문아이는 47cm까지 자랄 수 있다.

2. 2. 멸종된 종


  • † 히오돈 콘스테니오룸[2]
  • † 히오돈 팔카투스
  • † 히오돈 로세이[2]
  • † 히오돈 우드루피[2]
  • ?† 히오돈 슈양엔시스

3. 계통 분류

2023년 현재, 조기어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4][5]

3. 1. 상세 계통 분류

2023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3][4][5]

4. 생태 및 분포

문아이는 히오돈속에 속하는 민물고기이다. 현재까지 기록된 종은 골드아이와 문아이 두 종이며, 멸종된 종까지 포함하면 총 6종이다.

이름학명 및 명명자분포 지역 및 생태비고
골드아이히오돈 알로소이데스(Hiodon alosoides) (Rafinesque, 1819)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눈의 뚜렷한 금색 홍채로 유명하다. 흐름이 느리고 탁한 물을 선호하며, 곤충, 갑각류, 작은 물고기, 연체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체를 먹고 산다.최대 52cm
히오돈 콘스테니오룸(Hiodon consteniorum)Li & Wilson, 1994멸종
히오돈 팔카투스(Hiodon falcatus)(Grande, 1979)멸종
히오돈 로세이(Hiodon rosei)(Hussakof, 1916)멸종
문아이히오돈 테르기수스(Hiodon tergisus) Lesueur, 1818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호수, 연못, 강의 맑은 물에 산다. 수생 무척추동물, 곤충, 물고기를 먹는다.최대 47cm
히오돈 우드루피(Hiodon woodruffi)Wilson, 1978초기 에오세 이프레시안부터 후기 에오세 루테티안 종이다. 워싱턴 주 클론다이크 마운틴 지층과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호스플라이 셰일에서 발견된 화석을 통해 기술되었다. 몬태나 북서부 키시네헨 지층까지 고생물지리학적 범위가 확장되었다.멸종
?†히오돈 슈양엔시스(Hiodon shuyangensis)Shen, 1989멸종


4. 1. 골드아이

''히오돈 알로소이데스''(Hiodon alosoides) (Rafinesque, 1819)는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눈의 뚜렷한 금색 홍채로 유명하다. 호수와 강과 같이 흐름이 느리고 탁한 물을 선호하며, 곤충, 갑각류, 작은 물고기, 연체동물을 포함한 다양한 유기체를 먹고 산다. 이 물고기는 최대 52cm 길이까지 자랄 수 있다.

4. 2. 문아이

히오돈 테르기수스는 Lesueur가 1818년에 명명한 물고기 종이다. 무니아이는 북아메리카 동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호수, 연못, 강의 맑은 물에 산다. 수생 무척추동물, 곤충, 물고기를 먹고 살며, 47cm까지 자랄 수 있다.

참조

[1] 학술지 Fossil Mooneyes (Teleostei: Hiodontiformes, Hiodontidae) from the Eocene of western North America, with a reassessment of their taxonomy
[2] 기타 Fossil Mooneyes (Teleostei: Hiodontiformes, Hiodontidae) from the Eocene of western North America, with a reassessment of their taxonomy
[3] 웹사이트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4] 웹사이트 Study Resolves 50-Year Dispute of Teleost Fishes Ancestral Lineage https://www.fau.edu/[...]
[5] 웹사이트 Genome structures resolve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teleost fishes https://hal.sci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