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간 의사소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 간 의사소통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이 분야는 이론적 배경, 주요 개념, 실제 적용, 그리고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맥락을 포함한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효율, 적응, 정체성, 의사소통 네트워크, 문화 적응 등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이론들이 제시된다. 주요 개념으로는 적절성, 효과성, 유능한 의사소통, 자민족 중심주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등이 있으며, 문화 간 역량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논의된다. 실제 적용 측면에서는 국제 관계, 비즈니스, 교육,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세계화 시대에 문화 간 의사소통은 국제 관계 및 비즈니스 성공의 핵심 요소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호문화주의 - 세계화
    세계화는 상품, 서비스, 정보, 자본, 사람들의 국경을 초월한 흐름과 상호연결 증대를 의미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적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야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상호문화주의 - 세계시민주의
    세계시민주의는 '세계의 시민'을 뜻하는 코스모폴리테스에서 비롯되어 정치적 세계화, 문화적 다원주의와 관련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며 모든 인류의 정치적 참여를 강조하는 세계 정치 사상이자, 키니코스 학파와 스토아 학파 철학자들을 통해 발전되었고 칸트가 코스모폴리탄법을 제시하며 중요성을 강조했으나 민족주의자들에게 비판받는 정치적 이념이다.
  • 이론 - 철학
    철학은 지혜를 사랑한다는 의미의 그리스어 '필로소피아'에서 유래한 학문으로, 지식과 지혜를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의미하며,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19세기 일본에서 '철학'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 이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문화연구 - 세속화
    세속화는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비종교적 가치 증가를 의미하며, 사회, 문화, 종교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합리성과 과학 발달, 사회 분화 등이 영향을 미치며,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다양한 비판도 존재한다.
  • 문화연구 - 문화 자본
    문화자본은 피에르 부르디외가 제시한 사회학 개념으로 개인의 지식, 기술, 태도 등 문화적 자원을 의미하며, 객관화, 제도화, 신체화된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고 사회적 불평등과 재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모호성, 결정론적 시각, 성별 고려 부족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문화간 의사소통
개요
학문 분야의사소통학
하위 분야문화 연구
사회언어학
비교 문화 연구
정의
정의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 연구
관련 용어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문화적 적응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차이
이론 및 모델
일반적 이론불확실성 감소 이론
사회 침투 이론
정체성 관리 이론
특정 문화 관련 이론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
가치 차원 (홉스테데)
연구 분야
비즈니스국제 비즈니스, 다문화 팀, 협상
교육다문화 교육, 언어 교육
보건문화적으로 민감한 의료 서비스
정치국제 관계, 외교
기술글로벌 협업, 현지화
과제 및 고려 사항
언어 장벽번역, 통역
비언어적 의사소통몸짓, 표정, 문화적 관습
문화적 가치 및 신념존중, 공감, 문화적 인식
편견 및 고정관념인식 개선, 다양성 교육
응용
국제 비즈니스효과적인 글로벌 팀 구축, 국제 마케팅 전략 개발
외교 및 국제 관계문화 간 이해 증진, 갈등 해결
교육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국제 학생 지원
보건문화적으로 적절한 의료 서비스 제공, 환자 만족도 향상
참고 문헌
주요 학자에드워드 T. 홀
거트 홉스테데
밀턴 베넷
추가 정보
관련 주제문화 상대주의
자문화 중심주의
다문화주의

2. 이론적 배경

다음과 같은 유형의 이론들을 서로 다른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다. 효율적인 결과에 초점을 맞춘 이론, 적응이나 순응에 초점을 맞춘 이론, 정체성 협상 및 관리, 의사소통 네트워크에 초점을 맞춘 이론, 문화 적응과 적응에 초점을 맞춘 이론 등이 있다.[9]

문화 및 문화 간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는 원주민적 접근, 문화적 접근, 그리고 상호 문화적 접근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제시했다.[23]


  • 원주민적 접근: 다양한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시도.[23] 보존된 원주민 지식을 전달하는 과정과 그 해석 방식.[24]
  • 문화적 접근: 원주민적 접근과 유사하지만, 개인의 사회문화적 맥락에도 초점을 맞춘다.[23]
  • 상호 문화적 접근: 상호 문화적 타당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문화에 초점을 맞춘다.[23]
  • 의미의 의미 이론 – "사람들은 단어가 대상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가정할 때 오해가 발생한다. 공통의 과거는 오해를 줄여준다. 정의, 은유, 피드포워드 및 기본 영어는 공유된 경험 부족에 대한 부분적인 언어적 해결책이다."
  • 얼굴 협상 이론 – "집단주의적, 고맥락 문화의 구성원은 상호 간의 체면과 포용에 대한 관심이 있어, 회피, 강요 또는 타협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갈등을 관리한다. 개인주의적, 저맥락 문화의 사람들은 자기 체면과 자율성에 대한 관심 때문에 지배하거나 문제 해결을 통해 갈등을 관리한다."
  • 관점 이론 – 개인의 경험, 지식 및 의사 소통 행동은 그들이 속한 사회 집단에 의해 상당 부분 형성된다. 개인은 때때로 사물을 비슷하게 보지만, 다른 경우에는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매우 다르다.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은 그들이 가진 경험과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사회 집단을 통해 형성된다.[25]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은 우리가 속한 사회 집단이 우리가 아는 것과 의사 소통하는 방식을 형성한다고 주장한다.(Wood, 2005) 이 이론은 경제적으로 억압받는 계급이 사회적으로 특권을 가진 사람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지식에 접근할 수 있고, 특히 사회 관계에 대한 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는 마르크스주의 입장에서 파생되었다."[26][27]
  • 이방인 이론 – 문화 간 만남에서 적어도 한 명은 이방인이다. 이방인은 문화적 차이에 대해 '과잉 인식'하고, 개별적인 차이점을 흐리게 하면서 외국의 사회에서 사람들의 행동에 대한 문화적 정체성의 영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 페미니스트 장르 이론 – 페미니스트 화자를 식별하고 그들의 말하기 자질을 여성 해방의 모델로 재구성하여 의사 소통을 평가한다.
  • 성별어 이론 – "남녀 간의 대화는 문화 간 의사 소통이다. 남성적, 여성적 담론 스타일은 열등하거나 우월한 말하기 방식이 아닌 두 개의 뚜렷한 문화적 방언으로 보는 것이 가장 좋다. 남성의 보고 담론은 지위와 독립에 초점을 맞춘다. 여성의 지원 담론은 인간 관계를 추구한다."
  • 문화 비평 연구 이론 – 이 이론은 대중 매체가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사회 전체에 부과하며, 단어와 이미지의 함축은 지배 엘리트를 위해 무심코 봉사하는 이데올로기의 단편이라고 주장한다.
  • 마르크스주의 – 경제를 통해 계급 투쟁과 사회 관계의 기초를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 간 의사소통은 문화인류학과 기존의 의사소통 분야와 같이 상대적으로 관련이 없는 분야들을 통합하려는 노력을 한다. 핵심은 서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어떻게 소통하는지를 확립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더 잘 소통할 수 있는 몇 가지 지침을 제시하는 것도 이 분야의 역할이다.

문화 간 의사소통은 많은 학문 분야와 마찬가지로 다른 여러 분야의 조합이다. 이러한 분야에는 인류학, 문화 연구, 심리학 및 의사소통이 포함된다. 이 분야는 민족 간 관계의 처리를 향해, 그리고 소수 문화 집단, 즉 다수 또는 주류 집단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연구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자신의 언어 외에 다른 언어를 연구하는 것은 인간으로서 우리에게 무엇이 공통적인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지식을 구성하고 조직하는 언어의 방식에 내재된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는 사회적 관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발전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심오한 의미를 지닌다. 사회적 관계와 다른 문화가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성공적인 세계화 사업의 기초이다.

언어 사회화는 "언어가 문화적 맥락에서 사회적 관계를 어떻게 전제하고 새롭게 창조하는지에 대한 연구"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 화자가 의사 소통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언어의 문법뿐만 아니라 언어의 요소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위치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간의 경험은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언어의 요소도 문화적으로 관련이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의 규범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기호학 및 기호 체계의 평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언어 사회화에는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가 따른다. 때때로 사람들은 문화를 지나치게 일반화하거나, 고정관념적이고 주관적인 특징으로 라벨을 붙일 수 있다.[40] 다른 문화 규범을 문서화하는 것과 관련된 또 다른 주요 관심사는 어떤 사회적 행위자도 규범적 특징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방식으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개인이 어떻게 언어 및 기타 기호적 활동을 사용하여 새로운 행동 모델을 만들고 사용하며, 이것이 문화적 규범과 어떻게 다른지를 연구하는 방법론이 언어 사회화 연구에 통합되어야 한다.

=== 효과적인 결과 ===

문화 간 의사소통의 효과는 여러 이론으로 설명된다.

  • 문화 수렴: 두 문화가 만나 서로 소통하면서 아이디어와 측면의 유사성이 확산되는 현상이다. 폐쇄적인 사회 시스템에서 의사소통이 자유로울수록 문화적 획일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10]

  • 의사소통 적응 이론: 의사소통 거리를 조절하는 언어 전략에 초점을 맞춘다. 대화 참여자가 상대방을 수용하기 위해 말하는 방식을 수정하는 것으로, 코드 전환과 유사하다.[11]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의사소통 행동 조정의 이유, 시기, 방법 및 사회적 결과를 설명한다.[11]

  • 문화 간 적응: 한 문화에 오래 살면서 해당 문화의 아이디어, 규칙, 가치관 등을 습득하는 것이다.[12] 이민자들은 적응을 위해 자신의 신념을 사회 다수와 일치시켜야 한다.[12]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려면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문화 간 역량을 통해 문화 적응에 필요한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13] 문화 간 적응은 학습된 의사소통 역량을 포함하며, 이는 주류 문화에 의해 적절하다고 정의된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14] 문화 적응은 개인이 익숙하지 않은 문화 환경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고 재정립하는 과정이며,[15] 호스트 문화와 외부/자국 문화 간의 양방향 프로세스이다.[16]

  • 공동 문화 이론: 특정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공유하는 특징을 통해 서로 소통하는 방식을 설명한다.[17] 소수 집단 구성원과 지배 집단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하며,[17] 유색 인종, 여성, 장애인, 게이 남성 및 레즈비언, 낮은 사회 계층 등이 공동 문화에 포함된다.


종교 간 추수 감사절 저녁

  • 문화 융합 이론: 이민자들이 지배 문화에 동화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지배 문화의 측면을 채택하면서도 자신의 문화의 중요한 측면을 유지하여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한다.[18] 이는 한 문화에서 지배적인 문화로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문화의 조합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문화 적응과 구별된다.[19]


=== 정체성 협상 및 관리 ===

정체성 관리 이론과 정체성 협상은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문화 정체성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문화적 배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표현하는지를 다룬다. 이중 스윙 모델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 의사소통 네트워크 ===

문화 내 네트워크는 같은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 사이의 의사소통 연결망을 의미하며, 문화 간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 간의 연결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동화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문화 적응 및 적응 장애 ===

문화 적응은 개인 또는 여러 개인이 해당 지역의 지배 문화가 소유한 특정 문화적 가치와 관행을 교환하거나 채택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20] 문화 적응은 새로운 문화 습관을 채택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자신들의 원래 문화 습관의 일부를 처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화와 다르다. 김영윤은 누군가의 문화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 가지 성격 특성으로 개방성, 강점, 긍정성을 확인했다. 이러한 성격 특성을 가진 개인은 그렇지 않은 개인보다 문화 적응에 더 성공할 것이다. 김영윤은 문화 적응의 대안으로 완전 동화를 제안한다.[18]

  • 의사 소통 문화 적응: 이 이론은 "이방인과 수용 환경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는 협력적 노력으로서의 상호 문화 적응"을 묘사하려고 시도한다.
  • 불안/불확실성 관리: 이방인이 호스트와 소통할 때 불확실성과 불안을 경험한다. 이방인은 호스트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호스트의 행동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설명을 개발하기 위해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불안도 관리해야 한다.
  • 동화, 일탈, 그리고 소외 상태: 동화와 적응은 적응 과정의 영구적인 결과가 아니라 호스트와 이민자 간의 의사 소통 과정의 일시적인 결과이다. "따라서 집단이나 개인의 소외 또는 동화는 일탈 행동과 부주의한 소통 간의 관계의 결과이다."
  • 동화: 동화는 동화된 집단이 호스트 문화와 구별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지배 문화의 특성을 흡수하는 과정이다. 동화는 상황과 조건에 따라 강제적이거나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황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소수 집단이 이전의 문화적 관행을 대체하거나 잊어버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21]
  • 소외: 소외는 일반적으로 평소에 교류해야 할 다른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거나 철수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사회적 소외의 대표적인 이론가이자 연구자인 하이다는 "소외는 사회적, 문화적 참여로부터의 배제 또는 자기 배제를 반영하는 개인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이라고 말한다.[22]


강제 동화는 18, 19, 20세기 유럽 식민 제국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났다. 종교 개종, 아동 격리, 공동체 재산 분할, 성 역할 변화 등과 관련된 식민 정책은 주로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아시아에 영향을 미쳤다.

자발적 동화 또한 역사의 한 부분으로,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스페인 종교 재판 당시 많은 무슬림과 유대인이 종교적 박해에 대응하여 자발적으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비밀리에 원래의 관습을 유지한 사례가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유럽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한 경우를 들 수 있다.[21]

2. 1. 효과적인 결과

문화 간 의사소통의 효과는 여러 이론으로 설명된다.

  • 문화 수렴: 두 문화가 만나 서로 소통하면서 아이디어와 측면의 유사성이 확산되는 현상이다. 폐쇄적인 사회 시스템에서 의사소통이 자유로울수록 문화적 획일성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10]

  • 의사소통 적응 이론: 의사소통 거리를 조절하는 언어 전략에 초점을 맞춘다. 대화 참여자가 상대방을 수용하기 위해 말하는 방식을 수정하는 것으로, 코드 전환과 유사하다.[11]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의사소통 행동 조정의 이유, 시기, 방법 및 사회적 결과를 설명한다.[11]

  • 문화 간 적응: 한 문화에 오래 살면서 해당 문화의 아이디어, 규칙, 가치관 등을 습득하는 것이다.[12] 이민자들은 적응을 위해 자신의 신념을 사회 다수와 일치시켜야 한다.[12]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려면 변화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문화 간 역량을 통해 문화 적응에 필요한 요소를 이해할 수 있다.[13] 문화 간 적응은 학습된 의사소통 역량을 포함하며, 이는 주류 문화에 의해 적절하다고 정의된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14] 문화 적응은 개인이 익숙하지 않은 문화 환경에서 안정성을 유지하고 재정립하는 과정이며,[15] 호스트 문화와 외부/자국 문화 간의 양방향 프로세스이다.[16]

  • 공동 문화 이론: 특정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공유하는 특징을 통해 서로 소통하는 방식을 설명한다.[17] 소수 집단 구성원과 지배 집단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하며,[17] 유색 인종, 여성, 장애인, 게이 남성 및 레즈비언, 낮은 사회 계층 등이 공동 문화에 포함된다.

  • 문화 융합 이론: 이민자들이 지배 문화에 동화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지배 문화의 측면을 채택하면서도 자신의 문화의 중요한 측면을 유지하여 고유한 정체성을 형성한다.[18] 이는 한 문화에서 지배적인 문화로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문화의 조합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문화 적응과 구별된다.[19]

2. 2. 정체성 협상 및 관리

정체성 관리 이론과 정체성 협상은 문화간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문화 정체성 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문화적 배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표현하는지를 다룬다. 이중 스윙 모델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2. 3. 의사소통 네트워크

문화 내 네트워크는 같은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 사이의 의사소통 연결망을 의미하며, 문화 간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 간의 연결망을 의미한다. 네트워크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동화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4. 문화 적응 및 적응 장애

문화 적응은 개인 또는 여러 개인이 해당 지역의 지배 문화가 소유한 특정 문화적 가치와 관행을 교환하거나 채택하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20] 문화 적응은 새로운 문화 습관을 채택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자신들의 원래 문화 습관의 일부를 처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화와 다르다. 김영윤은 누군가의 문화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 가지 성격 특성으로 개방성, 강점, 긍정성을 확인했다. 이러한 성격 특성을 가진 개인은 그렇지 않은 개인보다 문화 적응에 더 성공할 것이다. 김영윤은 문화 적응의 대안으로 완전 동화를 제안한다.[18]

  • 의사 소통 문화 적응: 이 이론은 "이방인과 수용 환경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는 협력적 노력으로서의 상호 문화 적응"을 묘사하려고 시도한다.
  • 불안/불확실성 관리: 이방인이 호스트와 소통할 때 불확실성과 불안을 경험한다. 이방인은 호스트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호스트의 행동에 대한 정확한 예측과 설명을 개발하기 위해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불안도 관리해야 한다.
  • 동화, 일탈, 그리고 소외 상태: 동화와 적응은 적응 과정의 영구적인 결과가 아니라 호스트와 이민자 간의 의사 소통 과정의 일시적인 결과이다. "따라서 집단이나 개인의 소외 또는 동화는 일탈 행동과 부주의한 소통 간의 관계의 결과이다."
  • 동화: 동화는 동화된 집단이 호스트 문화와 구별할 수 없게 될 때까지 지배 문화의 특성을 흡수하는 과정이다. 동화는 상황과 조건에 따라 강제적이거나 자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황이나 조건에 관계없이 소수 집단이 이전의 문화적 관행을 대체하거나 잊어버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21]
  • 소외: 소외는 일반적으로 평소에 교류해야 할 다른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거나 철수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사회적 소외의 대표적인 이론가이자 연구자인 하이다는 "소외는 사회적, 문화적 참여로부터의 배제 또는 자기 배제를 반영하는 개인의 불안감 또는 불편함"이라고 말한다.[22]


강제 동화는 18, 19, 20세기 유럽 식민 제국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났다. 종교 개종, 아동 격리, 공동체 재산 분할, 성 역할 변화 등과 관련된 식민 정책은 주로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아시아에 영향을 미쳤다.

자발적 동화 또한 역사의 한 부분으로,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스페인 종교 재판 당시 많은 무슬림과 유대인이 종교적 박해에 대응하여 자발적으로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면서 비밀리에 원래의 관습을 유지한 사례가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유럽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한 경우를 들 수 있다.[21]

3. 주요 개념

문화 간 의사소통은 맥락과 관계에 적절한 방식으로 목표를 달성할 때 유능하다고 평가받으며, 적절성과 효과성 사이의 이분법을 연결해야 한다.[30] 적절한 문화 간 의사소통은 오해를 15% 감소시킨다.[30]


  • '''적절성:''' 관계의 가치 있는 규칙, 규범 및 기대가 크게 위반되지 않아야 한다.
  • '''효과성:''' 가치 있는 목표 또는 보상(비용 및 대안과 관련하여)이 달성되어야 한다.


'''유능한 의사소통'''은 특정 보상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상황이 발생하는 맥락과도 관련된 상호 작용이다. 즉, 달성 가능한 목표를 가지고 적절한 시간/장소에서 사용되는 대화이다. 문화간 의사소통은 정체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유능한 의사소통가가 타인의 공인된 정체성을 긍정할 수 있는 사람임을 의미한다. 또한 목표 달성 또한 문화 간 역량의 초점이며,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의사소통의 적절성과 효과성에 대한 감각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민족 중심주의는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 역할을 한다. 자민족 중심주의를 피하는 능력은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의 기초이다. 자민족 중심주의는 자신의 집단을 자연스럽고 올바르게 여기고, 다른 모든 집단을 비정상적으로 보는 경향이다. 문화 간 역량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맥락: 어떤 사람이 유능하다는 판단은 관계적 및 상황적 맥락 모두에서 이루어진다. 역량은 다른 문화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맞춤은 서양 문화에서 역량을 나타내는 반면, 아시아 문화에서는 지나친 눈 맞춤을 무례하다고 여긴다.
  • 적절성: 이는 자신의 행동이 주어진 문화의 기대에 대해 수용 가능하고 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효과성: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도록 이끄는 행동.
  • 동기: 이는 문화 간 소통 시의 감정적 연관성과 관련이 있다. 생각과 경험에 대한 반응인 감정은 동기와 관련이 있다.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관심 표현: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
  • 지식 지향성: 사람들이 자신과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
  • 공감: 타인의 관점을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
  • 과업 역할 행동: 문제 해결 활동을 장려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
  • 관계 역할 행동: 대인 관계의 조화 및 중재.
  • 미지수와 모호성에 대한 관용: 새로운 상황에 불편함 없이 대처하는 능력.
  • 상호 작용 자세: 다른 사람에게 묘사적이고 비판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응답하는 것.
  • 인내심
  • 경청
  • 명확성
  • 대상 문화 언어 숙달: 문법과 어휘 이해.
  • 언어 실용성 이해: 요청 시 공손한 표현 전략을 사용하는 방법,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방법 등.
  • 다른 문화권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패턴에 대한 민감성과 인식.
  • 자신의 문화와는 다르게 상대 문화에서 불쾌감을 주거나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제스처에 대한 인식.
  •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문화의 물리적 공간에서의 근접성 및 부가 언어적 소리 이해.
  • 미래의 존중, 견고함 및 다양성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호 이해.[33]
  • 융통성
  •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을 용인.
  • 자기 성찰.
  • 열린 마음.
  • 민감성.
  • 적응력.
  •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사고" 와 연상적 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관련된 당사자들 간에 형성된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비공식적 이해에 달려있다. 신뢰가 존재하면 의사소통 내에 암묵적인 이해가 있으며, 문화적 차이는 간과될 수 있으며, 문제에 더 쉽게 대처할 수 있다. 신뢰의 의미와 신뢰가 어떻게 발전하고 전달되는지는 사회마다 다르다. 마찬가지로, 어떤 문화권은 다른 문화권보다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의 문제는 일반적으로 메시지 전송 및 수신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같은 문화권의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에서 메시지를 받는 사람은 메시지를 보낸 사람과 유사한 가치관, 신념 및 행동 기대를 바탕으로 메시지를 해석한다. 그러나 메시지 수신자가 다른 문화권의 사람인 경우, 수신자는 자신의 문화에서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해석한다. 수신자가 해석하는 메시지는 화자가 의도한 것과 매우 다를 수 있다.

3. 1. 문화 간 역량

문화 간 의사소통은 맥락과 관계에 적절한 방식으로 목표를 달성할 때 유능하다고 평가받으며, 적절성과 효과성 사이의 이분법을 연결해야 한다.[30] 적절한 문화 간 의사소통은 오해를 15% 감소시킨다.[30]

  • '''적절성:''' 관계의 가치 있는 규칙, 규범 및 기대가 크게 위반되지 않아야 한다.
  • '''효과성:''' 가치 있는 목표 또는 보상(비용 및 대안과 관련하여)이 달성되어야 한다.


'''유능한 의사소통'''은 특정 보상 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상황이 발생하는 맥락과도 관련된 상호 작용이다. 즉, 달성 가능한 목표를 가지고 적절한 시간/장소에서 사용되는 대화이다. 문화간 의사소통은 정체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유능한 의사소통가가 타인의 공인된 정체성을 긍정할 수 있는 사람임을 의미한다. 또한 목표 달성 또한 문화 간 역량의 초점이며,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의사소통의 적절성과 효과성에 대한 감각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민족 중심주의는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 역할을 한다. 자민족 중심주의를 피하는 능력은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의 기초이다. 자민족 중심주의는 자신의 집단을 자연스럽고 올바르게 여기고, 다른 모든 집단을 비정상적으로 보는 경향이다. 문화 간 역량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맥락: 어떤 사람이 유능하다는 판단은 관계적 및 상황적 맥락 모두에서 이루어진다. 역량은 다른 문화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맞춤은 서양 문화에서 역량을 나타내는 반면, 아시아 문화에서는 지나친 눈 맞춤을 무례하다고 여긴다.
  • 적절성: 이는 자신의 행동이 주어진 문화의 기대에 대해 수용 가능하고 적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 효과성: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도록 이끄는 행동.
  • 동기: 이는 문화 간 소통 시의 감정적 연관성과 관련이 있다. 생각과 경험에 대한 반응인 감정은 동기와 관련이 있다.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관심 표현: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
  • 지식 지향성: 사람들이 자신과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
  • 공감: 타인의 관점을 이해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
  • 과업 역할 행동: 문제 해결 활동을 장려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
  • 관계 역할 행동: 대인 관계의 조화 및 중재.
  • 미지수와 모호성에 대한 관용: 새로운 상황에 불편함 없이 대처하는 능력.
  • 상호 작용 자세: 다른 사람에게 묘사적이고 비판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응답하는 것.
  • 인내심
  • 경청
  • 명확성
  • 대상 문화 언어 숙달: 문법과 어휘 이해.
  • 언어 실용성 이해: 요청 시 공손한 표현 전략을 사용하는 방법, 너무 많은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방법 등.
  • 다른 문화권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패턴에 대한 민감성과 인식.
  • 자신의 문화와는 다르게 상대 문화에서 불쾌감을 주거나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제스처에 대한 인식.
  • 의도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문화의 물리적 공간에서의 근접성 및 부가 언어적 소리 이해.
  • 미래의 존중, 견고함 및 다양성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상호 이해.[33]
  • 융통성
  •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을 용인.
  • 자기 성찰.
  • 열린 마음.
  • 민감성.
  • 적응력.
  • "고정관념에서 벗어난 사고" 와 연상적 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관련된 당사자들 간에 형성된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비공식적 이해에 달려있다. 신뢰가 존재하면 의사소통 내에 암묵적인 이해가 있으며, 문화적 차이는 간과될 수 있으며, 문제에 더 쉽게 대처할 수 있다. 신뢰의 의미와 신뢰가 어떻게 발전하고 전달되는지는 사회마다 다르다. 마찬가지로, 어떤 문화권은 다른 문화권보다 더 신뢰하는 경향이 있다.

문화 간 의사소통의 문제는 일반적으로 메시지 전송 및 수신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같은 문화권의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에서 메시지를 받는 사람은 메시지를 보낸 사람과 유사한 가치관, 신념 및 행동 기대를 바탕으로 메시지를 해석한다. 그러나 메시지 수신자가 다른 문화권의 사람인 경우, 수신자는 자신의 문화에서 얻은 정보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해석한다. 수신자가 해석하는 메시지는 화자가 의도한 것과 매우 다를 수 있다.

3. 2. 자민족 중심주의

3. 3. 비언어적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대인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말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감정, 태도 및 정보를 전달한다. 버군, 게레로, 플로이드(2016)에 따르면,[44] 얼굴 표정, 제스처, 자세, 눈맞춤과 같은 비언어적 단서는 모든 의사소통 맥락에서 전체 메시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러한 단서는 종종 무의식 수준에서 작동하여 참여자들의 명시적인 인식 없이 상호 작용의 역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눈맞춤은 관심과 참여를 나타낼 수 있는 반면, 팔짱을 끼는 것은 방어적이거나 불편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인류학자 에드워드 T. 홀에 따르면, 모든 의사소통의 최소 90%가 문화의 비언어적 메시지로 전달된다고 한다.[45]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문화에 따라 크게 다르며,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문화 간 교류에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문화에서 긍정적으로 여겨지는 제스처가 다른 문화에서는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문화적 차이를 인식하면 오해를 방지하고 더 나은 상호 문화 관계를 조성할 수 있다.

언어적 메시지와 비언어적 메시지의 일치는 중요하다. 불일치는 불성실함이나 혼란의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얼굴을 찡그린 채 행복하다고 말하면 혼합된 신호로 인해 청취자는 언어적 메시지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될 수 있다. 반면에 언어적 단서와 비언어적 단서가 일치하면 메시지가 강화되고 의사소통이 더욱 효과적이 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전략을 통합함으로써 개인은 대인 관계의 효율성을 높여 상호 작용을 더욱 의미 있고 일관되게 만들 수 있다. 효과적인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신뢰를 구축하고 공감을 표현하며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어 개인적 및 직업적 관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대인 관계의 질과 성공을 형성하는 데 있어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메시지의 명확성과 영향력을 크게 높여 상호 작용을 더욱 진실하고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4. 실제 적용

4. 1. 국제 관계

세계화는 대중 커뮤니케이션, 미디어, 문화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이론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37]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세계화가 전 세계 문화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나타났고 문화적 장벽이 제거되면서 번성한다고 강조한다.[7] 국적, 즉 국가 공간의 구축이라는 개념은 커뮤니케이션과 세계화를 통해 변증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Kathryn Sorrells 박사의 문화 간 실천 모델은 권력의 차이와 함께 문화적 차이의 복잡성을 헤쳐나가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모델은 개인이 자신을 어떻게 이해하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 더 잘 소통할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세계화된 사회에서 계속 살아가기 위해서는 이 실천 모델을 사용하여 권력의 제도적, 역사적 시스템 내에서 문화적 차이(인종, 민족, 성별, 계층, 성적 취향, 종교, 국적 등에 기반)를 이해할 수 있다.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실천 모델은 우리와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에게 최대한 열린 방식으로 대응할 것을 요구한다. 미디어는 다른 문화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우리 자신에 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친다.[38]

Sorrells의 프로세스는 문화 간 공간을 탐색하는 데 있어 질문, 프레이밍, 포지셔닝, 대화, 성찰 및 행동을 포함한 여섯 가지 진입점으로 구성된다. 문화 간 실천 모델의 첫 번째 단계인 질문은 자신의 인식을 문제 삼으면서 다른 문화적 배경과 세계관을 가진 개인에 대해 배우고 이해하려는 전반적인 관심이다. 프레이밍은 "문화 간 상호 작용을 형성하는 지역 및 세계적 맥락"에 대한 인식이며,[39] 미시, 중간, 매크로 프레임 간에 전환하는 능력이다. 포지셔닝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세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고려하고 이 위치가 세계관과 특정 특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고려하는 것이다. 대화는 자신의 문화를 벗어난 문화와의 경험과 참여를 통해 차이점과 가능한 긴장에 대한 더 깊은 이해가 발전하는 과정의 전환점이다. 성찰은 내성적 사고를 통해 이러한 차이의 가치를 배우게 하며, "의미 있고 효과적이며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세상에서 행동할 수 있게 해준다.[39] 이는 행동으로 이어지며, 다른 문화 간의 사회 정의와 평화를 위해 노력함으로써 더 의식적인 세상을 만들 것을 목표로 한다. Sorrells는 "세계화의 맥락에서 [문화 간 실천]은… 우리가 개인적으로, 공동체적으로,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거주하는… 문화 간 공간을 탐색할 수 있게 해주는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사고와 행동의 과정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39]

4. 2. 비즈니스

문화 간 비즈니스 의사소통은 문화 간 협상, 다문화 갈등 해결, 고객 서비스, 비즈니스 및 조직 의사소통에 대한 코칭 및 훈련을 통해 문화 지능을 구축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34] 문화 간 이해는 해외 주재원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담당자부터 서비스나 콘텐츠 제공자까지 모두에게 필요하다. 국제 비즈니스에서 다른 문화권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협상하며, 함께 일하는 능력은 필수적이다.[34]

문화적 민감성을 개발하고, 수신자가 얻을 의미를 예상하며, 신중하게 메시지를 인코딩해야 한다. 단어, 그림, 몸짓을 활용하고 속어, 관용구, 지역적 표현은 피해야 한다. 선택적 전송을 하고, 가능한 경우 관계를 구축하고 대면해야 한다. 피드백은 신중하게 디코딩하고, 여러 당사자로부터 피드백을 얻어 듣기 및 관찰 기술을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후속 조치도 중요하다.

주재국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은 개인의 성격 특성과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이 있다. 개방성과 회복탄력성은 핵심적인 성격 특성이다. 개방성은 모호성에 대한 관용, 외향성 및 내향성, 열린 마음을 포함하며, 회복탄력성은 내부 통제력, 끈기, 모호성에 대한 관용, 재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개인의 문화적, 인종적 정체성 및 자유주의 수준과 결합하여 적응 잠재력을 구성한다.

세계화는 문화 간 의사소통의 중요한 요소이며 비즈니스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34]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더 어려울 수 있으며, 의사소통 오류로 인해 부정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직원들이 많다.[34]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 내에서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과 모국어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에서, 양측 모두 비슷한 경험을 했지만,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의사소통 오류를 해결하려 할 때 사용한 용어에 대해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꼈다고 한다.[35]

4. 3. 교육

4. 4. 관광

5. 한국 사회와 문화 간 의사소통

5. 1. 다문화 사회의 과제

5. 2. 한국의 노력

6.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ttps://www.idrinsti[...] 2021-11-01
[2] 논문 Intercultural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 Social Organizing of Interaction in International Encounters
[3] 서적 BUILD YOUR CULTURAL AGILITY : the nine competencies you need to be a successful global professional. https://www.worldcat[...] KOGAN PAGE 2021
[4] 웹사이트 3 Tips For Effective Global Communication http://communication[...] 2010-04-09
[5] 웹사이트 Intercultural Communication Law & Legal Definition http://definitions.u[...] Definitions.uslegal.com 2016-05-19
[6] 문서 Byram, Gribkova & Starkey, 2002
[7] 문서 Saint-Jacques, Bernard. 2011.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a Globalized World.”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 Reader, edited by Larry A. Samovar, Richard E. Porter, and Edwin R. McDaniel, 13th edition, 45-53. Boston, Mass: Cengage Learning.
[8] 논문 Looking Back, Moving Forwar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must be part of all learning http://0-search.ebsc[...] Winter 2021
[9] 문서 Cf.
[10] 문서 Kincaid, D. L. (1988). The convergence theory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Y. Y. Kim & W. B. Gudykunst (eds.), Theorie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p. 280–298). Newbury Park, CA: Sage. p. 289
[11]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12] 논문 Retheorizing Adaptation: Differential Adaptation and Critic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2015-10-02
[13] 문서 Monash University https://www.monash.e[...] Monash University 2021
[14] 문서 Gudykunst, W. & Kim, Y. Y. (2003). Communicating with strangers: An approach to intercultural communication, 4th ed., 378. New York: McGraw Hill.
[15] 서적 Becoming Intercultural: An Integrative Theory of Communication and Cross-Cultural Adaptation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00-11-29
[16] 서적 Researching Chinese Learners: Skills, Perceptions and Intercultural Adaptations Palgrave Macmillan UK 2011
[17] 웹사이트 What You Need to Know About : Co-Cultural Theory https://communicatio[...] 2021-09-28
[18] 논문 Cultural fusion theory: An alternative to acculturation 2016
[19]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migration, communication, and politics Routledge 2019
[20] 웹사이트 Do You Know What Acculturation Is and What Causes It to Happen? https://www.thoughtc[...] 2021-11-01
[21] 웹사이트 Assimilation https://www.britanni[...]
[22] 논문 Social alienation by communication denial
[23] 논문 Intercultural and Cross-Cultural Communication Research: Some Reflections about Culture and Qualitative Methods 2009-01-28
[24] 논문 Indigenous Communication https://www.research[...] 2021-09-22
[25] 문서 Collins, P. H. (1990). Black feminist thought: Knowledge, consciousness, and the politics of empowerment. Boston: Unwin Hyman.
[26]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Globalization and Social Justice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Inc
[27] 서적 Gendered Lives: Communication, Gender & and Culture Wadsworth/Thompson Learning 2005
[28] 논문 The authenticity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ttp://www.sciencedi[...] 1997-02-01
[29]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Ideology SAGE Publications Ltd
[30]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www.culturalc[...] Cultural Candor Inc.
[31] 웹사이트 Excellent Communication Requires Patience https://www.eaglesfl[...] 2018-04-25
[32] 웹사이트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kills at Work Place https://www.linguaso[...] 2018-04-22
[33] 웹사이트 Philosophy - Sayed Sayedy https://sayedy.com/p[...] 2021-07-26
[34] 논문 The Significa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or Businesses and the Obstacles that Managers should Overcome in Achieving Effecti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https://pdfs.semanti[...] 2015
[35] 논문 Workplace diversi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 phenomenological study 2017
[36] 서적 The SAGE Handbook of Conflict Communication: Integrat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SAGE Publications 2013
[37] 간행물 Rethinking Nationality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2004
[38] 웹사이트 Navigating Difficult Dialogues: An Intercultural Praxis Approach https://www.csun.edu[...]
[39]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globalization and social justice SAGE 2015-09-29
[40] 논문 Which "culture"? A critical analysi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41] 서적 Non-verbal communication; edited by R. A. Hinde University Press 1972
[42] 서적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urs [electronic resource] : COST Action 2102 International Workshop, Vietri sul Mare, Italy, March 29–31, 2007 : revised selected and invited papers Springer 2007
[43] 서적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a discourse approach Blackwell Publishers 2001
[44] 서적 Nonverbal Communication Routledge 2016
[44] 서적 Nonverbal Communication in Human Interaction Cengage Learning 2013
[45] 서적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Keys to Success in West-Germany,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cultural Press
[4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communication[...] 2010-04-15
[47] 웹사이트 http://definitions.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