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점 이론은 특정 사회 집단의 경험과 관점을 강조하며, 지식 생산에 있어 객관성과 중립성에 도전하는 이론이다. 1970년대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사회적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관점을 통해 세상을 이해하려 한다. 1세대 관점 이론은 여성의 경험을 중심에 두고 지식 생산의 가부장적 구조를 비판했으며, 2세대에는 인종, 계급 등 사회적 범위를 확장하여 상호교차성을 강조했다. 3세대에서는 공동체와 활동가 정신을 강조하며, 흑인 여성, LGBT+ 개인 등 다양한 집단의 목소리를 담아내고 있다. 관점 이론은 사회복지, 직장 내 의사소통, 경영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본질주의, 상대주의, 권력 관계 역전 가능성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점 - 아리스토텔레스의 여성관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성의 행복과 사회적 역할을 중요하게 여기면서도, 생물학적, 정치적 관점에서 남녀의 차이를 언급하며 여성의 시민권을 제한적으로 인정하였다. - 관점 - 지식 재산권
지식재산권은 지적 활동 및 창작 활동에서 비롯되는 특허권, 저작권, 상표권, 디자인권, 영업비밀 등을 포괄하는 무형의 재산적 권리로서, 국제 기구와 조약을 통해 보호되지만 혁신 저해 및 불평등 심화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는 제도이다. - 사회 구성주의 - 토마스 루크만
토마스 루크만은 슬로베니아 출신 독일 사회학자로, 알프레드 슈츠의 영향을 받아 현상학적 사회학을 발전시켰으며, 피터 L. 버거와 함께 사회학 고전으로 평가받는 《사회적 실재의 구성》을 저술하고, 현대 사회 종교의 사사화 현상을 분석한 《보이지 않는 종교》를 발표하는 등 지식사회학, 종교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공헌했다. - 사회 구성주의 - 프레이밍
프레이밍은 정보 제시 방식이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여성주의 이론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여성주의 이론 - 흑인 여성주의
흑인 여성주의는 1960-70년대 민권 운동과 2세대 여성주의 운동에서 흑인 여성들이 겪은 배제와 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종, 젠더, 계급 등 다양한 억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흑인 여성의 특수한 경험을 분석하고 사회 불평등에 저항하며 권익을 옹호하는 사상 및 운동이다.
관점 이론 | |
---|---|
개요 | |
![]() | |
분야 | 인식론, 사회학, 정치학 |
하위 분야 | 페미니즘 인식론, 비판적 인종 이론 |
주요 아이디어 | |
핵심 개념 | 지식은 사회적 위치에 따라 형성됨 |
관련 개념 | 객관성, 주관성, 관점, 권력, 사회적 위치, 억압, 해방 |
주요 질문 | 사회적 위치가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역사적 맥락 | |
기원 |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영향 | 포스트모더니즘, 다문화주의, 정체성 정치 |
주요 학자 | |
주요 인물 | 낸시 하츠(Nancy Hartsock) 샌드라 하딩(Sandra Harding) 퍼트리샤 힐 콜린스(Patricia Hill Collins) 도나 하라웨이(Donna Haraway) 미란다 프리커(Miranda Fricker) |
비판 | |
주요 비판 | 본질주의 상대주의 대표성의 문제 경험적 증거 부족 |
관련 이론 | |
관련 이론 | 페미니즘 인식론 비판적 인종 이론 사회 구성주의 객관성 담론 분석 |
2. 역사
관점 이론은 헤겔과 마르크스 이론에 기반을 둔 용례가 있다.[8] 헤겔은 1807년 노예와 주인의 서로 다른 관점에 대한 연구에서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사람들의 소속 위치에 관한 것이며, 집단이 사람들이 지식과 권력을 얻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9][10]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산드라 하딩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철학자들이 1세대 관점 이론을 제시했다.[4] 하딩은 1986년 저서 《페미니즘에서의 과학 문제》에서 "관점"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여성과 같은 소외된 집단의 정치적 참여와 삶의 경험을 통해 과학적 탐구에서의 전통적인 객관성과 중립성에 대한 개념에 도전하고자 했다. 하딩은 소외된 집단이 사회에서 직면하는 진정한 기회와 장애물에 대한 가장 명확한 시각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5][6]
1990년대에서 2000년대에 걸쳐 2세대 관점 이론은 인종, 사회 계급, 문화 등 더 광범위한 사회적 지위를 포괄하도록 발전했다.[11] 도로시 스미스, 낸시 하트소크, 도나 해러웨이, 샌드라 하딩 등의 이론가들은 상호 교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론적 틀을 확장했다. 미국의 2차 관점 이론가들과 활동가들은 상호교차성[13]이라는 관련 개념을 개발하여 사회적 요인 간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억압을 연구했다.[14]
2010년대 이후 3세대 관점 이론은 변화하는 정치, 사회, 경제적 환경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20] 흑인 여성, LGBT+ 개인, 장애인 등 다양한 집단의 목소리와 경험을 중요하게 다루며, 공동체와 집단 행동의 중요성을 부각한다.
2. 1. 1세대 관점 이론 (1970-1980년대)
1세대 관점 이론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산드라 하딩과 같은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등장했다.[4] 하딩은 1986년 저서 《페미니즘에서의 과학 문제》에서 "관점"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정치적 참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는 특히 여성과 같은 소외된 집단의 정치적 참여와 삶의 경험을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과학적 탐구에서의 전통적인 객관성과 중립성에 대한 개념에 도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하딩은 페미니스트들의 정치적 참여와 여성의 삶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 그들에게 인식적으로 특권적인 "관점"을 갖게 한다고 주장한다.[5] 또한 하딩은 궁극적으로 사회에서 직면하는 진정한 기회와 장애물에 대한 가장 명확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은 소외된 집단이라고 주장했다.[6]페미니스트 관점 이론은 처음에는 전제된 일반적인 지식인으로부터 과학적 중립성과 객관성에 대한 개념에 도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 관점 이론의 물결은 성별 정체성이 개인의 인식적 자원과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지식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강조했다.[7] 1세대 관점 이론가들은 여성의 경험을 중심에 둠으로써 지식 생산의 가부장적 구조를 해체하고 소외된 관점에 내재된 인식적 특권을 강조하고자 했다.
관점 이론의 일부 용례는 헤겔과 마르크스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8] 예를 들어 헤겔의 1807년 노예와 주인의 서로 다른 관점에 대한 연구가 있다.[9] 독일 관념론자인 헤겔은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사람들의 소속 위치에 관한 것이며, 집단이 사람들이 지식과 권력을 얻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10] 헤겔의 영향은 이후의 일부 페미니스트 연구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낸시 하트속은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사용하여 관점 이론을 연구했다. 그녀는 1983년에 "페미니스트 관점: 구체적으로 페미니스트적인 역사적 유물론의 토대 개발"을 출판했다. 하트속은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과 마르크스의 계급과 자본주의 이론을 성과 젠더 문제를 연구하는 데 영감을 주는 것으로 활용했다.
2. 2. 2세대 관점 이론 (1990년대-2000년대)
2차 관점 이론은 인종, 사회 계급, 문화, 경제적 지위 등 더 광범위한 사회적 지위를 포괄하도록 발전했다.[11] 관점 이론은 여성과 소수자의 경험을 지식의 원천으로 삼는 특정 페미니스트 인식론을 개발하고자 한다.[12]도로시 스미스, 낸시 하트소크, 도나 해러웨이, 샌드라 하딩, 앨리슨 와일리, 리넷 헌터, 패트리샤 힐 콜린스와 같은 저명한 관점 이론가들은 상호 교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론적 틀을 확장했다. 미국의 2차 관점 이론가들과 활동가들은 상호교차성[13]이라는 관련 개념을 개발하여 성별, 인종, 성적 지향, 문화 등 사회적 요인 간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억압을 연구했다.[14] 상호교차성은 교차하는 억압이 복잡한 권력 역학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하는 핵심 개념이 되었다. 예를 들어, 상호교차성은 사회적 요인이 노동력의 분업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15] 상호교차성은 사회적, 철학적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고등 교육,[17] 정체성 정치[18], 지리학[19]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 적용되었다.[16]
2. 3. 3세대 관점 이론 (2010년대-현재)
현대 관점 이론은 변화하는 정치, 사회, 경제적 환경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20] 3차 페미니즘 시대에 관점 이론은 포용성과 활동가 정신을 강조하며, 공동체와 집단 행동의 중요성을 부각한다. 이 흐름은 흑인 여성, LGBT+ 개인, 장애인 등 다양한 집단의 목소리와 경험을 중요하게 다룬다. 미국 최초의 여성 및 유색인종 미국 부통령인 카멀라 해리스의 당선, 전 세계적 유행병[21], ''로 대 웨이드'' 판례 폐지[22] 등이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예시이다. 3차 페미니즘은 포용적인 공동체와 행동을 강조하며,[23][24] 이는 페미니스트 활동의 부활과 흑인 여성의 독특한 관점, 낙태 권리와 같은 교차 정체성의 통합으로 이어졌다.[22]관점 이론가 패트리샤 힐 콜린스는 관점 이론이 흑인 페미니스트 사상을 이해하는 틀로 사용될 수 있으며, 흑인 페미니스트 집단과 공명한다고 강조한다.[25] 관점 이론은 흑인 여성의 억압, 또는 페미니스트 이론가 캐서린 E. 아르누아가 "흑인 여성의 관점"이라고 명명한 것을 이해하는 틀이 될 수 있다.[26]
3. 주요 개념
관점 이론은 특정 집단적 관점의 구성원에게만 접근 가능한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마이클 라이언은 "집단적 관점이라는 개념은 본질적인 포괄적 특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 경험으로 묶인 집단에 속한다는 느낌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한다.[27]
관점 이론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사회적 위치: 개인의 관점과 시각은 인종, 성별 등 그 사람이 속한 집단에 의해 형성된다.[28]
- 인식론: 지식에 대한 이론을 의미한다.
- 상호교차성: 인종, 성별 등 개인의 삶의 특성이 결합하여 개인 정체성의 모든 측면을 만들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 지배 매트릭스: 지배 집단의 권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된 사회 시스템을 의미한다.
- 지역 지식: 개인의 신념, 경험, 시간 및 장소에 근거한 지식을 의미한다.
3. 1. 관점 (Standpoint)
관점은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는 지점이며, 사물을 바라보는 정신적 위치이다. 또한 대상이나 원칙을 바라보고, 그것들을 비교하고 판단하는 위치이기도 하다.[27] 관점은 그것을 채택하는 사람들이 세계를 사회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서로 다른 사회 집단의 불평등은 그들의 관점에 차이를 만들며, 모든 관점은 부분적이다.[28]1세대 관점 이론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산드라 하딩과 같은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등장했다.[4] 하딩은 1986년 저서 『페미니즘에서의 과학 문제』에서 "관점"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특히 여성과 같은 소외된 집단의 정치적 참여와 삶의 경험을 통해 과학적 탐구에서의 전통적인 객관성과 중립성에 대한 개념에 도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5] 하딩은 소외된 집단이 사회에서 직면하는 진정한 기회와 장애물에 대한 가장 명확한 시각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6]
관점 이론의 일부는 헤겔과 마르크스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8] 독일 관념론자인 헤겔은 1807년 노예와 주인의 서로 다른 관점에 대한 연구에서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사람들의 소속 위치에 관한 것이며, 집단이 사람들이 지식과 권력을 얻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9][10] 낸시 하트속은 주인-노예 변증법과 마르크스의 계급과 자본주의 이론을 성과 젠더 문제를 연구하는 데 활용했다.
일반적으로 관점 이론은 특정 집단적 관점의 구성원에게만 접근 가능한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3. 2. 사회적 위치 (Social Location)
관점과 시각은 결국 우리가 속한 집단(인종, 성별 등을 통한 연결)에 의해 생성된다.[28] 개인의 사회적 위치는 그 사람이 속한 사회 집단, 즉 인종, 성별, 계급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사회적 위치는 개인의 인식론적 자원과 지식 접근성에 영향을 미친다.[7]헤겔은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사람들의 소속 위치에 관한 것이며, 집단이 사람들이 지식과 권력을 얻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10]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은 낸시 하트소크와 같은 후대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그녀는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통해 관점 이론을 연구했다.
2차 관점 이론은 인종, 사회 계급, 문화, 경제적 지위 등 더 광범위한 사회적 지위를 포괄하도록 발전했다.[11] 도로시 스미스, 낸시 하트소크, 도나 해러웨이, 샌드라 하딩, 앨리슨 와일리, 패트리샤 힐 콜린스와 같은 관점 이론가들은 상호교차성을 강조하며 이론적 틀을 확장했다.[13] 상호교차성은 성별, 인종, 성적 지향, 문화 등 사회적 요인 간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억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14]
3. 3. 인식론 (Epistemology)
1세대 관점 이론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산드라 하딩과 같은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등장했다.[4] 하딩은 1986년 저서 『페미니즘에서의 과학 문제』에서 "관점"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특히 여성과 같은 소외된 집단의 정치적 참여와 삶의 경험을 통해 과학적 탐구에서의 전통적인 객관성과 중립성에 대한 개념에 도전하고자 했다. 하딩은 페미니스트들의 정치적 참여와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그들에게 인식적으로 특권적인 "관점"을 갖게 한다고 주장하며,[5] 소외된 집단이 사회에서 직면하는 진정한 기회와 장애물에 대한 가장 명확한 시각을 제공한다고 주장했다.[6]페미니스트 관점 이론은 처음에는 과학적 중립성과 객관성에 대한 개념에 도전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 관점 이론은 성별 정체성이 개인의 인식적 자원과 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강조했다.[7] 1세대 관점 이론가들은 여성의 경험을 중심에 둠으로써 지식 생산의 가부장적 구조를 해체하고 소외된 관점에 내재된 인식적 특권을 강조하고자 했다.
관점 이론의 일부는 헤겔과 마르크스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8] 헤겔은 1807년 노예와 주인의 서로 다른 관점에 대한 연구에서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사람들의 소속 위치에 관한 것이며, 집단이 사람들이 지식과 권력을 얻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10] 낸시 하트소크는 헤겔의 주인-노예 변증법과 마르크스의 계급과 자본주의 이론을 성과 젠더 문제를 연구하는 데 활용했다.
2차 관점 이론은 인종, 사회 계급, 문화, 경제적 지위 등 더 광범위한 사회적 지위를 포괄하도록 발전했다.[11] 관점 이론은 여성과 소수자의 경험을 지식의 원천으로 삼는 특정 페미니스트 인식론을 개발하고자 한다.[12]
도로시 스미스, 낸시 하트소크, 도나 해러웨이, 샌드라 하딩, 앨리슨 와일리, 리넷 헌터, 패트리샤 힐 콜린스와 같은 관점 이론가들은 상호교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론적 틀을 확장했다. 미국의 2차 관점 이론가들과 활동가들은 상호교차성[13]이라는 개념을 개발하여 성별, 인종, 성적 지향, 문화 등 사회적 요인 간의 상호 작용으로 발생하는 억압을 연구했다.[14]
일반적으로, 관점 이론은 특정 집단적 관점의 구성원에게만 접근 가능한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마이클 라이언에 따르면, "집단적 관점이라는 개념은 본질적인 포괄적 특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된 경험으로 묶인 집단에 속한다는 느낌을 의미한다."[27]
관점 이론에 따르면:
- 모든 관점은 부분적이므로 (예를 들어) 관점 페미니즘은 다른 관점과 공존한다.
- 인식론은 지식에 대한 이론이다.
- 교차성은 개인의 삶의 특성(인종, 성별 등)이 결합하여 개인의 정체성의 모든 측면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가들은 세 가지 주요 주장을 펼친다. (1) 지식은 사회적으로 위치해 있다. (2) 소외된 집단은 비소외 집단보다 더 많은 것을 인식하고 질문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위치해 있다. (3) 특히 권력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소외된 사람들의 삶에서 시작해야 한다.[39]
도로시 스미스, 패트리샤 힐 콜린스, 낸시 하트소크, 샌드라 하딩과 같은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가들은 여성(그리고 사회적, 경제적 특권이 없는 다른 집단)이 점유하는 특정 사회 정치적 위치가 인식적 특권의 장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샌드라 하딩은 "여성의 삶에서 연구를 시작하면 여성의 삶뿐만 아니라 남성의 삶과 전체 사회 질서에 대해서도 덜 편향되고 왜곡된 설명이 생성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10]
3. 4. 상호교차성 (Intersectionality)
인종, 사회 계급, 문화, 경제적 지위 등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억압을 연구하는 데 있어 상호교차성[13][14]은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상호교차성은 사회적 요인들이 노동 분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5]상호교차성은 원래 사회적, 철학적 문제를 다루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그 적용 범위는 정체성 정치[18], 지리학[19] 등 다양한 학문 분야로 확장되었다.[16]
3. 5. 지배 매트릭스 (Matrix of Domination)
패트리샤 힐 콜린스는 지배 집단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한 사회 시스템으로서 지배 매트릭스 개념을 제시했다.[11] 이는 다양한 형태의 억압이 어떻게 상호 교차하고 작용하는지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사회적 요인이 노동 분업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15]3. 6. 지역 지식 (Situated Knowledges)
지역 지식은 개인의 신념, 경험, 시간 및 장소에 기반한 지식이다. 이는 보편적인 지식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다양한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28]4. 적용 분야
관점 이론은 소외된 집단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이러한 집단에 초점을 맞추는 분야에서 자주 적용된다. 아프리카에서는 사회 운동을 촉발하여 여성들이 자신들의 경험과 고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치유와 종결을 찾도록 돕기 위해 라디오에 소개되기도 했다.[33] 노예 제도 또한 아프리카와 관련된 예시인데, 노예가 주인이었는지 여부에 따라 노예 제도에 대한 관점이 크게 달라졌다. 이처럼 권력 관계가 있다면 단일 관점은 결코 존재할 수 없으며, 어떤 관점도 완전할 수 없고, 누구의 관점에도 제한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4. 1. 사회복지
관점 이론은 특히 사회 복지 분야에서 내담자에게 접근하고 지원할 때 인식하고 이해해야 하는 개념으로 언급되어 왔다.[29] 사회복지사는 공감을 장려하기 위해 역동적인 시스템 내에서 위치성의 개념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30][31] 많은 소외된 집단이 생존을 위해 복지 시스템에 의존한다. 복지 시스템을 구조화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이전에 그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가 없었다. 관점 이론은 복지 시스템 내에서 제시된 제안을 인식함으로써 복지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제시되었다.[32]4. 2. 직장 내 의사소통
Asante와 Davis(1989)의 직장 내 인종 간 만남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서로 다른 문화적 관점으로 인해 다른 신념, 가정, 의미를 가진 사람들과 조직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은 종종 의사소통 오류로 이어진다. 브렌다 앨런은 자신의 연구에서 "직장 내 조직 구성원의 경험, 태도 및 행동은 종종 인종-민족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라고 말했다.[34]4. 3. 경영학 연구
폴 애들러와 존 저미어는 경영학 연구자들이 자신의 관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들은 경영학 연구자들이 "의식적으로 [그들의] 관점을 선택하고 [그들의] 학문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또는 영향력 부재)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라고 썼다.[35]저미어는 연구 문제 식별, 연구 질문 이론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결론 도출, 지식 생산 등 연구의 모든 부분이 연구자의 관점에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상 유지와 특정 관점의 한계에 빠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아래로부터의 관점은 더 완전하고 더 객관적인 지식 주장을 생성할 가능성이 더 크다"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우리의 소망이 세상을 치유하는 것이라면, 우리는 세상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이 어떻게 작동하고, 세상의 상처를 가장 깊이 겪는 사람들과 자연의 다른 부분들의 관점을 채택함으로써 어떻게 바뀔 수 있는지에 대해 더 많이 배우게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36]
페미니스트 이론가인 샌드라 하딩은 강한 객관성을 지지하는데, 이는 소외된 및/또는 억압받는 개인의 관점이 과학에서 더 객관적인 세상의 설명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외부자-내부자 현상을 통해 이러한 개인들은 지배 집단 문화에 몰입된 사람들이 인식할 수 없는 행동 패턴을 지적할 수 있는 독특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37] 관점 이론은 소외된 집단에게 지배적인 특권적 위치를 대표하는 현상 유지를 외부자로서 도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목소리를 낸다.[38]
4. 4. 페미니스트 이론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은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회 현상을 분석하고, 성 불평등 해소를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이론이다. 특히, 샌드라 하딩이 제시한 강한 객관성 개념을 통해 과학 연구에서 소외된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세대 관점 이론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샌드라 하딩을 비롯한 페미니스트 철학자들을 중심으로 등장했다.[4] 하딩은 1986년 저서 『페미니즘에서의 과학 문제』에서 "관점"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소외된 집단의 정치적 참여와 삶의 경험을 통해 과학적 탐구의 객관성과 중립성에 도전하고자 했다. 하딩은 페미니스트들의 정치적 참여와 여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그들에게 인식적 특권을 부여한다고 주장했다.[5]
이러한 관점 이론은 성별 정체성이 개인의 인식 능력과 지식 접근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7] 여성의 경험을 중심에 둠으로써 지식 생산의 가부장적 구조를 해체하고자 했다.
2차 관점 이론은 인종, 사회 계급, 문화 등 더 광범위한 사회적 지위를 포괄하도록 발전했다.[11] 도로시 스미스, 낸시 하트소크, 도나 해러웨이, 샌드라 하딩, 패트리샤 힐 콜린스 등은 상호교차성을 강조하며 이론적 틀을 확장했다.[13]
현대 관점 이론은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20] 3차 페미니즘 시대에는 공동체와 집단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가들은 다음 세 가지 주요 주장을 제시한다.[39]
주장 | 내용 |
---|---|
지식의 사회적 위치 | 지식은 사회적으로 위치한다. |
소외된 집단의 인식 | 소외된 집단은 비소외 집단보다 더 많은 것을 인식하고 질문할 수 있다. |
권력 관계 연구 | 권력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소외된 사람들의 삶에서 시작해야 한다. |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은 강한 객관성, 위치하는 지식, 인식적 이점, 권력 관계라는 네 가지 주요 명제를 따른다.[4] 샌드라 하딩은 여성의 삶에서 시작된 연구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과 전체 사회 질서에 대해서도 덜 편향된 설명을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했다.[10]
4. 5. 원주민 연구
원주민의 관점에서 지식 생산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주류 지식 체계에 도전하는 이론이다. 마틴 나카타는 원주민 관점 이론의 선구자로, 다음 세 가지 원칙을 통해 원주민 관점 이론의 방법론을 제시했다.[42]- 나카타의 첫 번째 원칙: "나의 사회적 지위가 나의 일상 사회 조직을 통해 표현되는 복잡한 사회적 관계 집합 내에서 담론적으로 구성되고 구성적이라는 전제에서 시작될 것이다."[42] 이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 내에서 사회적 관계를 확립하고 인정하는 것이 개인의 정체성과 일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나카타의 두 번째 원칙: "이 경험은 원주민과 비원주민의 위치 사이의 밀고 당기기이다. 즉, 백인이나 흑인의 관점 사이의 제약된 선택을 기반으로 모든 순간에 동의하고 동의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요청받는 익숙한 혼란이다."[42] 이는 원주민이 지속적인 입장을 결정하기 위해 문화적 인터페이스에서 유지하는 입장이 인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나카타의 세 번째 원칙: "이 줄다리기가 만드는 끊임없는 '긴장'이 육체적으로 경험되며, 매일 무엇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을 말하지 않아야 하는지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고 제한한다는 생각이다."[42] 이는 원주민과 비원주민이 일상적인 맥락에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물리적 세계를 묘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서구 식민주의 사회에서는 용납될 수 없지만 다른 원주민에게는 용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한할 수 있는지 설명하고 있다.
나카타는 이 세 가지 원칙을 통해 문화적 인터페이스에서 비판적인 관점을 형성하고, 인식론 및 다른 "지식인" 집단 내에서 자신의 위치와 관련하여 더 나은 주장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한다.
원주민 관점 이론은 "객관화된 지식의 집합이 살아있는 현실에 대한 이해를 형성하고 조직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탐구 방법, 과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42]
5. 비판
비판론자들은 관점 이론이 본질주의에 이의를 제기함에도 불구하고, 주관성과 객관성의 이원론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관점 이론 자체가 본질주의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45] 다른 한편으로, 실재론자들은 관점 이론이 모든 종류의 보편주의를 거부하는 것이 오류라고 주장하면서 존재론적 실재론과 인식론적 상대주의를 구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46]
5. 1. 본질주의 비판
비판론자들은 관점 이론이 본질주의에 이의를 제기함에도 불구하고, 주관성과 객관성의 이원론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관점 이론 자체가 본질주의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45] 특히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과 관련하여, 여성의 사회 집단과 사회 계급에 대한 초점은 여전히 본질주의적이라는 비판이 있다. 즉, 전체 여성성에 걸친 일반화는 여성의 다양한 사회 계급과 문화에 속하는 더 작고 구체적인 집단으로 나눌 수 있지만, 여전히 별개의 집단으로 일반화되어 소외가 발생한다는 것이다.[41]웨스트와 터너는 캐서린 오리어리(1997)의 연구를 인용하며, 관점 이론이 여성의 경험을 적절한 연구 주제로 되찾는 데 기여했지만, 여성 경험 간의 차이를 간과하고 보편성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지적한다.[41]
하딩과 우드의 관점 이론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은 강한 객관성과 주관성의 신뢰성에 관한 것이다. 관점 이론가들은 관점이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평가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억압받는 사람들이 특권층보다 덜 편향되거나 더 공정하다는 가정을 하고 있다.[10] 이는 억압받는 집단이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억압자가 될 수 있는 권력 불균형의 가능성을 내포한다.
5. 2. 상대주의 비판
관점 이론은 모든 관점이 상대적이라고 주장하면서, 억압받는 사람들의 관점이 특권층보다 덜 편향되었다는 가정을 한다.[10] 그러나 이는 억압받는 집단이 억압자가 될 수 있는 권력 불균형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의도적인 권력 불균형은 극단주의와 군국주의의 정당화로 나타날 수 있다.관점 이론은 본질주의에 이의를 제기하지만, 주관성과 객관성의 이원성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본질주의에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45] 또한, 모든 종류의 보편주의를 거부하는 것은 오류이며, 존재론적 실재론과 인식론적 상대주의를 구별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46]
페미니스트 관점 이론과 관련하여, 여성의 사회 집단과 사회 계급에 대한 초점은 본질적으로 본질주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여성의 다양한 사회 계급과 문화를 고려하지 않고 일반화하면 소외가 발생할 수 있다. 캐서린 오리어리는 관점 이론이 여성의 경험을 연구 주제로 되찾는 데는 도움이 되었지만, 여성 경험 간의 차이를 간과하고 보편성을 강조하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41]
초기 관점 이론가들은 지식인의 성별 정체성이 인식적 자원과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 했다.[44] 그러나 서로 다른 문화가 동일한 사회 집단 내에서 어떻게 존재할 수 있는지 설명하지 못했다. 소외된 집단은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에 의해 정의되는 차이점이 변경된 관점을 가질 수 있다. 조슈아 세인트피에르는 전도 명제를 "억압 시스템에 의해 소외된 사람들에게 인식적 권위를 부여하는 것인데, 이는 이 사람들이 억압의 혜택을 받는 사람들보다 더 나은 지식인이기 때문이다."라고 정의한다.
와일리는 관점이 "여성"과 같이 명확하게 정의된 영역이 아니라 인식적 참여의 자세라고 설명한다. 위치된 지식 명제가 본질주의를 재현한다는 주장에 대해, 와일리는 "그러한 구조가 주어진 맥락에서 존재하는지, 어떤 형태를 취하는지, 그리고 그것이 개인에 의해 어떻게 내면화되거나 구현되는지에 대한 열린 (경험적) 질문"이라고 주장한다.[44] 또한 관점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성취되는 것이므로 자동적인 특권에 대한 비판은 실패한다고 주장한다.[44] 이는 골대 옮기기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5. 3. 권력 관계 역전 가능성
관점 이론가들은 억압받는 사람들이 특권층보다 덜 편향되거나 더 공정하다는 가정을 한다.[10] 이는 억압받는 집단이 의도적이든 의도치 않든 억압자가 될 수 있는 권력 불균형의 가능성을 열어둔다. 권력의 의도적인 불균형 또는 복수는 극단주의와 군국주의에 대한 정당성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때때로 더 극단적인 형태의 페미니즘에서 나타날 수 있다.참조
[1]
논문
Knowing communities: An investigation of Harding's standpoint epistemology
https://www.tandfonl[...]
2002
[2]
논문
The Standpoint of Art/Criticism: Cindy Sherman as Feminist Artist?
https://www.research[...]
[3]
논문
Recent Work in Standpoint Epistemology
https://academic-oup[...]
2021-04
[4]
논문
Feminist Standpoint Theory: Conceptualization and Utility
https://www.nepjol.i[...]
2020-01-22
[5]
웹사이트
Standpoint theory
https://www.britanni[...]
2021-04-27
[6]
서적
Whose Science? Whose Knowledge? Thinking from Women's Lives
Cornell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Unit 6 Standpoint Theory and Knowledge Location
http://egyankosh.ac.[...]
2021-04-27
[8]
웹사이트
Feminist Standpoint Theory
https://iep.utm.edu/[...]
2021-04-27
[9]
문서
Critical feminist theories
Sage
[10]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Standpoint Theory
McGraw-Hill Higher Education
[11]
문서
Contemporary Sociological Theory: Continuing the classical tradition
Prentice Hall
[12]
문서
Feminist Theory Reader: Local and global perspectives
[13]
서적
The intersectional approach: transforming the academy through race, class, and gender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9
[14]
서적
Intersectionality
https://www.worldcat[...]
Polity Press
2016-06-27
[15]
논문
The Intersection of Gender and Race in the Labor Market
http://www.annualrev[...]
2003-08
[16]
논문
Intersectionality as buzzword: A sociology of science perspective on what makes a feminist theory successful
http://journals.sage[...]
2008-04-01
[17]
논문
The Role of Feminist Standpoint and Intersectionality Epistemologies in Providing Insights into the Causes of Gender Disparity in Higher Education
https://uottawa.scho[...]
2018-09-06
[18]
논문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https://www.jstor.or[...]
1991
[19]
논문
Theorizing and Researching Intersectionality: A Challenge for Feminist Geography
https://doi.org/10.1[...]
2007-02-01
[20]
논문
The Decentering of Second Wave Feminism and the Rise of the Third Wave
https://guilfordjour[...]
2005-01-01
[21]
논문
Intersectional Feminism, Racial Capitalism, and the COVID-19 Pandemic
https://heinonline.o[...]
2021
[22]
간행물
How Black Feminists Defined Abortion Rights
https://www.newyorke[...]
2022-02-22
[23]
논문
What Is Third‐Wave Feminism? A New Directions Essay
https://www.journals[...]
2008-09-01
[24]
논문
The Women's Movement Today: An Encyclopedia of Third-Wave Feminism
https://www.proquest[...]
2006
[25]
문서
Some Group Matters: Intersectionality, Situated Standpoints, and Black Feminist Thought
https://philpapers.o[...]
Blackwell
2003
[26]
논문
Race, Gender, and the Black Women's Standpoint
https://www.jstor.or[...]
2010
[27]
문서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28]
서적
A First Look at Communication Theory
McGraw Hill
[29]
논문
Feminist Standpoint Theory and the Questions of Social Work Research
[30]
논문
Just Practice
https://doi.org/10.1[...]
2003-01-01
[31]
논문
Social Empathy: A Model Built on Empathy,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Social Responsibility That Promotes Social Justice
https://doi.org/10.1[...]
2011-04-26
[32]
논문
Getting to the grassroots: Feminist standpoints within the welfare movement
https://scholarworks[...]
[33]
논문
Giving voice to invisible women: "FIRE" as model of a successful women's community radio in Africa
[34]
논문
"Diversity"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35]
논문
Developing a Field with More Soul: Standpoint theory and Public Policy Research for Management Scholars
https://www.research[...]
[36]
논문
Introduction: Critical Perspective on Organizational Control
[37]
논문
Feminist Standpoint Theory: a Black Woman's Review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38]
논문
A Feminist Standpoint Analysis of Maternity and Maternity Leave for Women with Disabilities
https://scholarcommo[...]
[39]
웹사이트
Feminist Standpoint Theory
http://www.iep.utm.e[...]
[40]
논문
Has feminism changed sc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Communication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
2004
[42]
서적
Disciplining the Savages: Savaging the Disciplines
Aboriginal Studies Press
2007
[43]
논문
Australian Sovereignty, Indigenous Standpoint Theory and Feminist Standpoint Theory
2013
[44]
논문
Feminist Philosophy of Science: Standpoint Matters
[45]
서적
Communication Theory. Analysis and Application
2004
[46]
논문
Feminism, Realism, and Universalism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