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 방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 방해는 대기업과 정부 등 기득권 세력의 선전 도구로 전락한 기존 매스 미디어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정보와 의견 표명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려는 사상적 배경을 갖는다. 1984년 미국의 네가티브랜드 앨범에서 유래된 용어로, 해적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재밍' 개념에서 착안되었다. 문화 방해는 기존 광고를 패러디하거나 변형하는 서브버타이징, 미디어 방해, 빌보드 해킹, 플래시몹 등 다양한 전술을 사용하며, 밈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한다. 한국에서는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 촛불집회, 미투 운동, NO JAPAN 운동 등이 문화 방해의 사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문화 방해가 시장에 의해 쉽게 이용되고 상품화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의 - SOPA와 PIPA 반대 시위
    SOPA와 PIPA 반대 시위는 온라인 저작권 침해 방지 법안에 대한 반대로, 표현의 자유 침해와 인터넷 검열 우려를 낳아 주요 인터넷 기업과 시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위키백과 블랙아웃 등 대규모 온라인 시위로 법안 발의를 저지시킨 사건이다.
  • 항의 -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 반대 시위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 미국 사회에서 벌어진 대규모 사회 운동으로, 베트남 전쟁의 장기화와 미국의 개입에 반대하며 전쟁의 비인도성을 고발하고 정책 변화를 요구하여, 다양한 사회 집단의 참여와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미국 정부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미국 사회의 가치관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 문화 방해 - 청년국제당
    청년국제당은 1960년대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의 일환으로 결성된 신좌파 정당으로, 풍자적인 정치 퍼포먼스와 반문화 운동을 통해 반권위주의를 표방하며 사회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문화 방해 - 구글 폭탄
    구글 폭탄은 특정 검색어에 대해 의도적으로 특정 웹사이트가 검색 결과 상위에 나타나도록 조작하는 행위로, 다수의 웹사이트가 동일한 텍스트로 특정 페이지를 링크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구글의 알고리즘 변경으로 효과가 줄었지만 정치적 의사 표현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언더그라운드 문화 - 암시장
    암시장은 제도적 규칙을 회피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불법 상품 및 서비스 거래, 탈세, 소비자 피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지만, 규제 완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언더그라운드 문화 - 그런지
    그런지는 1980년대 후반 시애틀에서 시작된 얼터너티브 록의 하위 장르로, 펑크 록과 헤비 메탈의 요소 융합, 허무주의적 가사, 반체제 패션을 특징으로 하며 1990년대 초 주류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쇠퇴 후에도 후속 장르에 영향을 주며 현대 음악에 중요한 현상으로 남아있다.
문화 방해
개요
유형문화적, 정치적 저항 운동
목표주류 문화의 전복 및 재정의
관련 개념미디어 리터러시
패러디
저항
사회 운동
상세 내용
정의광고, 상표, 기타 미디어 이미지를 변형하여 사회적 메시지 전달
기원1980년대 후반
주요 활동광고 패러디, 공공미술 변형, 해커 활동, 정보 공개
목표 대상소비주의, 기업 권력, 미디어 조작
효과비판적 사고 장려,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 제고, 대안적 시각 제시
역사 및 배경
초기 영향상황주의 인터내셔널
네오이즘
발전1984년 출판 이후 대중화
아드버스터즈 잡지 창간
주요 전략 및 기법
시각적 기법패러디 광고
로고 변형
공공 간판 수정
비시각적 기법해킹
게릴라식 정보 배포
문화적 공연
윤리적 고려 사항
논쟁점불법 행위 가능성
상업적 이익 침해
표현의 자유 침해 논란
옹호론사회 비판의 도구
권력에 대한 저항
공공의 이익 추구
관련 인물 및 단체
주요 인물네오이즘 운동가
아드버스터즈 설립자
주요 단체아드버스터즈
빌보드 해방 전선
참고 자료
관련 서적"Culture Jam: How to Reverse America's Suicidal Consumer Binge - And Why We Must" (Kalle Lasn 저)
"No Logo" (Naomi Klein 저)
관련 연구반소비주의 운동 연구
미디어 문화 비판 연구
추가 정보
관련 용어서브버타이징
미디어 해킹
크리티컬 디자인
영향팝 아트
반소비주의 운동
관련 링크
외부 링크아드버스터즈 공식 웹사이트
일본어판 정보 (참고)
일본어 명칭カルチャー・ジャミング (Karuchā Jamingu)
일본 내 활동광고 패러디
거리 예술
시민 운동

2. 사상적 배경

문화 방해는 기존 매스 미디어, 특히 광고가 대기업이나 정부와 같은 기득권 세력의 선전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선진국에서 대안적인 메시지를 기존 메시지와 동등한 수준의 영향력으로 유통시킬 수단이 부족하다는 점을 비판하며, 정보와 의견 표명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한다.[1]

3. 어원

"문화 방해"라는 용어는 1984년 미국의 사운드 콜라주 밴드 네가티브랜드(Negativland)의 앨범 《JamCon '84》에서 유래되었다.[12][18][13] 이는 해적 라디오 방송의 '라디오 재밍'(라디오 전파 방해) 개념에서 착안한 것이다.[18] 미국의 문화 비평가 마크 데리(Mark Dery)는 1993년 저서 《Culture Jamming: Hacking, Slashing and Sniping in the Empire of Signs》에서 이 용어를 대중화했다.[19] '문화 방해'는 '문화 파괴'로 직역될 수 있지만, 여기서 '문화'는 '기존의 주류 문화' 또는 '대량 소비 문화'를 의미한다. 단순한 파괴가 아닌, 정보 기술과 매체를 활용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창조적 파괴'를 지향한다.

4. 역사

"문화 방해"라는 용어는 1981년 미시간 주 플린트의 팸플릿에서 처음 사용되었고,[12][18][13] 1984년 미국의 사운드 콜라주 밴드 네가티브랜드의 돈 조이스가 앨범을 발표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2][18][13] 문화 방해는 라디오 재밍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으로, 공공 주파수를 해킹하여 독립적인 통신을 하거나 정부의 주파수를 방해하는 개념이다.[18]

빈스 카르두치에 따르면, 이 용어는 네가티브랜드가 만들었지만, 문화 방해의 실천은 195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4] 유럽에서는 기 드보르가 이끌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이 중요한 단체였다. 이들은 인간이 삶과 소비자 시장을 직접적으로 다루었으나, '현대' 삶의 방식 때문에 텔레비전 등 모든 것을 위협으로 여기며,[15] 자본주의 세력에 의해 산업화된 삶이 단조롭고 우울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인간이 스펙터클의 사회의 수동적인 수용자가 되었다고 주장하며,[10][16] ''데리브''(dérive)를 통해 ''상황''을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10]

문화 평론가 마크 데리는 문화 방해의 기원을 중세 시대의 카니발로 보았다. 현대의 선구자로는 반나치 포토몽타주 작가 존 하트필드, 1960년대 급진주의자 애비 호프만, 조이 스택스, 독일의 스파스게릴라 개념, 그리고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SI)의 사회 정치적 거리 극장 등이 있다. SI는 1968년에 자신들의 활동을 라디오 재밍에 비유하며, 대중 매체 내에서 게릴라 통신을 사용하여 혼란을 야기할 것을 제안했다. 1985년, 게릴라 걸스는 예술계의 차별과 부패를 폭로하기 위해 결성되었다.[17]

5. 전술

문화 방해는 시청자와 구경꾼들의 감정을 이용하는 방해 행위이다. 문화 방해자들은 소비자들이 흔히 접하는 광고를 볼 때 발생하는 무의식적인 사고 과정을 방해하고 전략적 전복을 일으키고자 한다. 이들은 을 활용해 사람들의 감정에 호소하여 행동 변화와 정치적 행동을 이끌어내려 한다. 주로 사용되는 감정은 충격, 수치심, 두려움, 분노이며, 이러한 감정들은 사회 변화의 촉매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20]

문화 방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본 단위는 이다. 밈은 시각적, 언어적, 음악적, 행동적 연상을 통해 쉽게 모방되고 전파되는 응축된 이미지이다. 문화 방해자들은 맥도날드의 황금 아치나 나이키의 스우시와 같이 널리 알려진 상징들을 변형하여 소비자들의 인식에 균열을 일으킨다.[25]

일례로, 문화 방해자 조나 페레티는 나이키 로고를 이용하여 아동 노동과 소비자 자유에 대한 논쟁을 촉발했다. 그는 나이키 로고 안에 "sweatshop(노동 착취 공장)"이라는 단어를 넣은 맞춤형 나이키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이 이야기가 공개되면서 나이키의 노동 착취 공장 사용에 대한 기존의 논의가 더욱 확산되었다.[26][25]

문화 방해자들은 대규모 캠페인을 조직하고 참여하기도 한다. 이러한 운동은 소비가 자연스럽고 좋다는 가정을 의심하게 하고 소비자 문화의 자연화를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효과적인 문화 방해는 널리 알려진 밈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람들은 익숙한 밈의 변형된 모습을 통해 잼머가 제시하는 새로운 의미를 생각하게 된다.

사회 소비자 운동은 메타밈을 활용하기도 한다. 메타밈은 특정 상업적 이미지를 훼손하는 동시에 기업 지배적인 정치 문화를 비판하는 2단계 메시지이다.[25] 예를 들어, ''Adbusters''의 "진실한 비용" 캠페인은 제품의 인적 노동 비용, 환경적 영향, 판매 비용을 비교하게 했다. "Truth(진실)" 캠페인은 담배 회사의 속임수를 폭로했다.

5. 1. 주요 전술

문화 방해는 대중에게 익숙한 광고나 미디어를 변형하여, 기존의 메시지를 전복하고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주요 전술은 다음과 같다:

  • 서브버타이징(Subvertising): 기존 광고를 패러디하거나 변형하여 원래의 의미를 전복시키는 광고이다. 예를 들어, 캘빈 클라인의 'Obsession' 광고를 패러디하여 거식증에 걸린 여성이 변기에 구토하는 모습을 묘사한 서브버타이즈먼트는 부정적인 신체 이미지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29]
  • 미디어 방해(Media Jamming): 방송, 신문, 인터넷 등 대중 매체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거나, 가짜 뉴스를 유포하여 혼란을 야기하는 행위이다.
  • 빌보드 해킹(Billboard Hacking): 옥외 광고판의 내용을 불법적으로 변경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행위이다.

영국 케임브리지의 광고판에 그려진 낙서

  • 플래시 몹(Flash Mob): 불특정 다수가 특정 시간과 장소에 모여 짧은 시간 동안 주어진 행동을 하고 흩어지는 행위이다.


이러한 전술들은 대부분 소비자들이 광고를 볼 때 발생하는 무의식적인 사고 과정을 방해하고 전략적 전복을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활동가들은 (Meme)을 활용하여 사람들의 감정에 호소하고, 행동 변화와 정치적 행동을 유도하고자 한다.[20]

과거의 대규모 문화 방해 행사로는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 인터넷을 통한 가상 점거 시위 및 항의, '서브버타이즈먼트' 제작 및 공공 장소 배치, 공공 장소를 되찾고 자연을 도시 공간에 재도입하는 '장소 잼밍(place jamming)' 프로젝트 등이 있다.[28]

문화 방해는 파울로 프레이리와 같은 비평적 학자들의 영향을 받아, 대학 강의실에서도 활용되고 있다.[10] 학생들은 지역 사회의 관심사를 알리기 위해 공공 장소를 방해하거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 서브버타이즈먼트를 활용하기도 한다.

6. 한국에서의 사례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은 1년에 하루 동안 소비를 억제하여 과잉 소비 사회의 문제를 다시 생각해보자는 국제적인 캠페인으로, 한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고 있다.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이어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촛불집회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정치적 의사를 표현한 대규모 시위로, 기존 권력에 대한 저항이라는 점에서 문화 방해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미투 운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성폭력 피해 경험을 공유하고 연대하는 운동으로, 기존의 성폭력에 대한 침묵을 강요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권력 구조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될 수 있다.

NO JAPAN 운동은 2019년 일본의 수출 규제에 반발하여 일어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으로, 소비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경제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했다는 점에서 문화 방해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7. 비판

일부 학자들과 활동가들은 문화 방해가 시장에 의해 쉽게 이용되고 상품화되어 소비자의 저항력을 "무력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무용하다고 주장해 왔다.[30][31] 아모리 스타(Amory Starr)와 조셉 D. 럼보(Joseph D. Rumbo)가 이러한 주장을 하였다. 이 용어에 대한 더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예술가, 학자, 활동가들이 함께 모여 지적, 정치적 개념, 새로운 전략 및 행동을 전달하는 혁신적이고 유연하며 실용적인 이동식 예술 작품을 만들도록 장려할 것이다.[9]

8. 같이 보기


  • 애드버스터스
  • 네가티브랜드
  •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 게릴라 걸스
  • 플래시몹
  • 아티비스트
  • 광고판 해킹
  • 방송 신호 침입
  • 해프닝
  • 존스타운
  • 실용적인 농담 주제 목록
  • 이 앨범을 훔쳐라!
  • 이 책을 훔쳐라
  • 광고판 해방 전선
  • 불건전한 광고 반대 낙서 활용자
  • 크라임씽크
  • 메리 프랭스터스
  • monochrom
  • 오퍼레이션 마인드퍽
  • 예스 맨
  • 바이 낫씽 데이

참조

[1] 서적 Images of the street: planning, identity, and control in public space https://books.google[...]
[2] 서적 Aesthetics and Radical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3] 논문 Investigating the Anti-consumerism Movement in North America: The Case of Adbusters University of Texas
[4] 논문 Culture Jamming: Ideological Struggle and the Possibilities for Social Change https://repositorie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5] 문서 Consumption and Emotion: The Romantic Ethic Revisited 2002
[6] 서적 Provocateur: Images of Women and Minorities in Advertising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2-12-03
[7] 웹사이트 Subvertising: Sharing a Different Set of Messages https://commonslibra[...] 2023-03-02
[8] 간행물 Design (&) Activism – Perspectives on Design as Activism and Activism as Design Mimesis, Milano
[9] 서적 Why They Don't Hate Us: Lifting the Veil on the Axis of Evil Oneworld Publications
[10] 학술지 Culture Jam Pedagogy and Practice: Relocating Culture by Staying on One's Toes https://unsworks.uns[...] 2015-09-01
[11] 웹사이트 Don Joyce (2/9/44 – 7/22/15) https://web.archive.[...] Negativland 2015-07-24
[12] 웹사이트 Culture Jamming: Semiotic Banditry in the Streets http://www.hums.cant[...] Cultural Studies Department, [[University of Canterbury]]
[13] 문서 "Culture Jamming: Hacking, Slashing, and Sniping in the Empire of the Signs" http://markdery.com/[...] 2010-10-08
[14] 학술지 Culture Jamming: A Sociological Perspective
[15] 서적 Culture Jam: How to Reverse America's Suicidal Consumer Binge – And Why We Must HarperCollins
[16] 서적 Society of the spectacle Black and Red
[17] 웹사이트 A Brief Introduction to the 2010 Reprint (Culture Jamming: Hacking, Slashing, and Sniping in the Empire of Signs) https://www.markdery[...] Mark Dery 2022-08-24
[18] 뉴스 The Merry Pranksters And the Art of the Hoax https://query.nytime[...] 1990-12-23
[19] 문서 "Culture Jamming: Hacking, Slashing, and Sniping in the Empire of the Signs" http://project.cyber[...] 1993
[20] 학술지 The Micro Potential for Social Change: Emotion, Consciousness, and Social Movement Formation
[21] 학술지 Semiotic Disobedience https://openscholars[...] 2006
[22] 학술지 Coercive Disobedience: Art and Simulated Transgression https://doi.org/10.1[...] 2021-07-03
[23] 서적 Media Virus! Ballantine
[24] 서적 The Selfish Gene Oxford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Culture Jamming http://depts.washing[...] Center for Communication and Civic Engagement, University of Washington 2009-11-20
[26] 웹사이트 How Nike Solved Its Sweatshop Problem http://www.businessi[...] 2022-08-24
[27] 서적 Confronting Consumption MIT Press
[28] 학술지 Pranking Rhetoric: 'Culture jamming' as Media Activism
[29] 서적 Confronting Consumption MIT Press
[30] 서적 Global Revolt: A Guide to the Movements against Globalization https://books.google[...] Zed Books Ltd. 2013-07-04
[31] 문서 Consumer Resistance in a World of Advertising Clutter: The Case of Adbusters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