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안정목표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물가안정목표제는 인플레이션율을 목표로 하는 통화 정책 시스템으로, 1차 세계 대전 이후 금본위제 붕괴 이후 논의가 시작되었다. 1990년 뉴질랜드가 세계 최초로 도입한 이후 캐나다, 영국 등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2012년에는 20개국 이상에서 시행되었다. 대한민국은 1998년에 도입하여 소비자물가 상승률 또는 근원인플레이션율을 기준으로 운영해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012년에 2%의 물가 상승률 목표를 공식적으로 설정했다. 물가안정목표제는 통화 정책의 투명성을 높이고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경제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저해하고 자산 가격 버블을 간과할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정책 - 세계 경쟁력 보고서
세계 경쟁력 보고서는 세계 경제 포럼이 발표하며, 다양한 요소와 지표로 국가별 경쟁력을 평가하고 순위를 매기는 보고서로, 세계경쟁력지수를 통해 12가지 핵심 요소를 평가하고 경제 발전 단계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여 경쟁력 지수를 산출한다. - 경제 정책 - 국제개발연구센터
국제개발연구센터는 개발도상국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및 지식 연구를 지원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연구 지원 기관이다.
| 물가안정목표제 | |
|---|---|
| 개요 | |
![]() | |
| 유형 | 통화 정책 |
| 목표 | 물가 안정 |
| 도구 | 금리 조정 |
| 옹호자 | 스탠리 피셔, 프레데릭 미시킨, 마크 카니 |
| 특징 | |
| 주요 목표 | 물가 안정 |
| 정책 도구 | 기준 금리 조정 |
| 투명성 | 목표 인플레이션율 공개 및 경제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 |
| 책임성 | 목표 달성 실패 시 설명 의무 |
| 역사 | |
| 최초 도입 국가 | 뉴질랜드 (1990년) |
| 주요 도입 국가 | 영국, 캐나다,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
| 배경 | 1980년대 높은 인플레이션 경험, 통화 정책의 신뢰성 확보 필요성 |
| 장단점 | |
| 장점 | 투명성 및 예측 가능성 향상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안정 중앙은행의 독립성 강화 경제 안정에 기여 |
| 단점 | 경제 성장 저해 가능성 다른 경제 변수 무시 가능성 목표 설정의 어려움 정책 효과의 시차 |
| 비판 | |
| 주요 비판 | 경직적인 정책 운영 가능성 자산 가격 거품 발생 가능성 디플레이션 위험 간과 가능성 |
| 대한민국의 물가안정목표제 | |
| 목표 | 소비자물가 상승률 2% (±0.5%p) |
| 운영 주체 | 한국은행 |
| 시행 시기 | 1998년 |
| 관련 법률 | 한국은행법 |
| 참고 | |
| 관련 항목 | 중앙은행 통화 정책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금리 |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금본위제가 붕괴되면서 물가 수준이나 인플레이션율을 목표로 하는 통화 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어빙 피셔는 지폐의 금 함유량을 조정하여 물가를 안정시키는 "보상 달러" 시스템을 제안했다.[85]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저서 《통화 개혁론》(1923)에서 환율 유연성을 통해 국내 물가를 안정시키는 정책을 권고했다.[86] 브레턴 우즈 체제 (1944–1971) 시대에는 고정 환율 체제와 맞지 않아 인플레이션 목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
1990년 뉴질랜드가 세계 최초로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했다.[87][88] 이후 캐나다(1991년), 영국(1992년), 스웨덴, 호주 등 여러 선진국으로 확산되었다. 2012년 현재 20개국 이상에서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했다.
대한민국은 1998년에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하였다. 1999년까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준으로 하다가,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근원인플레이션율을 기준으로 운용하였다. 2007년부터는 다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준으로 운용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012년 1월 25일 벤 버냉키 의장 주도하에 2%의 물가 상승률 목표를 공식적으로 설정했다.[91][92]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대체로 비슷한 물가 상승률 목표를 공유하게 되었다. 경제학자 오카다 야스시는 "2% 정도의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경제를 운영해야 한다는 것은,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정책의 틀이다"라고 말했다.[147]
2. 1.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
뉴질랜드는 1990년에 세계 최초로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한 국가이다.[4] 캐나다는 1991년 2월에 물가안정목표제를 공식적으로 채택하였다.[5][61]영국은 블랙 수요일 이후 1992년 10월 물가안정목표제를 채택했다.[5][6] 1998년부터 영국 중앙은행(Bank of England)의 통화 정책 위원회(Monetary Policy Committee (United Kingdom))가 금리 설정 권한을 갖게 되었다.[7] 당시 정부의 소매 물가 지수(Retail Prices Index (United Kingdom), RPI) 인플레이션 목표는 2.5%였다.[7] 2003년 12월 소비자 물가 지수(Consumer Price Index (United Kingdom), CPI)가 영국 재무부(UK Treasury)의 인플레이션 지수로 소매 물가 지수를 대체하면서 목표는 2%로 변경되었다.[8]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를 1% 이상 초과하거나 밑돌 경우, 영국 중앙은행 총재는 그 이유와 상황을 개선할 방법을 설명하는 서한을 재무부 장관(Chancellor of the Exchequer)에게 보내야 한다.[9][10][11] 영국에서의 물가안정목표제의 성공은 은행의 투명성 강조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6] 영국 중앙은행은 특히 인플레이션 보고서를 통해 대중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이는 다른 많은 중앙은행들이 모방했다.[5]
2. 2. 미국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012년 1월 25일 벤 버냉키 의장 주도하에 2%의 물가 상승률 목표를 공식적으로 설정했다.[28] 이는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FOMC)가 명시적인 물가 상승률 목표 없이 개인 소비 지출 가격 지수로 측정된 물가 상승률 목표 범위(1.7%~2%)를 발표해 오던 관행에서 벗어난 역사적인 변화였다.[28]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이전에는 외부 경제적 충격 발생 시 연준의 성장 및 고용 안정화 유연성을 제약할 수 있다는 우려와, 명시적 목표가 중앙은행을 "인플레이션 광신자"로 만들 수 있다는 비판이 있었다.[29] 그러나 머빈 킹 경과 벤 버냉키는 이러한 우려는 현실화되지 않았으며, 실제로는 유연한 형태의 물가안정목표제가 시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30][31]
2020년 8월, FOMC는 장기 목표 및 통화 정책 전략에 대한 수정된 성명을 발표했다.[33] 연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평균 2%의 인플레이션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인플레이션이 일정 기간 2%를 밑돌 경우 일정 기간 2%를 약간 넘는 인플레이션을 허용하는 유연한 정책을 채택했다.[34] 이는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시키고 가격 안정을 촉진하며, 경제적 혼란에 대응하여 최대 고용을 촉진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였다.[34]

2. 3. 일본
일본은 2013년 1월에 일본 은행이 "중장기적인 물가 안정을 위한 목표"를 2%로 설정하면서 사실상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했다.[75] 일본의 경우, 오랜 기간 디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물가안정목표제 도입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147][148]1990년대 후반, 폴 크루그먼은 거품 붕괴 이후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일본이 실행할 수 있는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타겟을 제시했다.[178] 그는 일본 은행이 장기적으로 통화량을 증가시켜 명목 금리에서 예상 물가 상승률(15년 동안 연 4%씩)을 뺀 실질 금리를 마이너스로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다.[150][179][180][181]
폴 크루그먼[149][150], 벤 버냉키, 이와타 키쿠오[118][151][152][153][154], 다케나카 헤이조[155][156], 나카하라 노부유키[155] 등은 일본 은행과 정부의 자세를 비판하며, 리플레 정책을 통한 디플레이션 극복을 주장했다.
인플레이션 타겟팅론이 주장하는 주요 금융 정책 중 하나는 국채, 시중 채권, 주식 등의 인수(공개 시장 조작의 확장)이다.[224][225][226] 특히, 1년 미만의 단기적인 국고 단기 증권 인수는 재정법에 의해 허용되며, 1945년부터 1998년까지 지속적으로 실시되었다.[227][228]
이와타 키쿠오는 "인플레이션 타겟팅은 재정 파이낸스를 피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이며, "세계 표준의 물가 목표 하에서는 달성을 위한 금융 정책 수단에 관해서 독립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정부에 국채 매입을 강요당하는 재정 파이낸스의 우려는 일어날 수 없다"고 주장한다.[84][231]
반면, 이토 타카토시는 "이미 일본은행은 상당 규모의 국채를 매입하고 있다"며 재정 파이낸스의 우려를 표명하고, "다른 구매 가능한 리스크 자산이 있다면, 국채만 극단적으로 매입액을 늘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145]
2012년 12월, 자유민주당, 모두의 당 등은 물가안정목표제에 찬성한 반면, 일본공산당, 사회민주당, 민주당 등은 반대했다.[235]
3. 대한민국의 물가안정목표제
한국은행은 「한국은행법」 제6조 제1항에 의거, 정부와 협의하여 중기 물가안정목표를 설정한다. 2016년 이후 물가안정목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 기준 2%이며, 한국은행은 물가상승률이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도록 정책을 운영한다.
물가안정목표제는 1998년부터 도입되었다. 1999년까지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준으로 설정되었으나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근원인플레이션율로 변경되어 운용되었다. 2007년부터는 다시 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준으로 적용기준이 바뀌어서 운용되고 있다.
2012년 초 잉글랜드 은행 산하 중앙은행 연구 센터는 27개국을 완전한 인플레이션 목표제 도입국으로 간주했다.[61] 이후 미국과 일본도 인플레이션 목표제를 채택했지만,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는 유럽 중앙 은행[12]과 마찬가지로 자체를 인플레이션 목표제 중앙은행으로 여기지 않는다.
건전한 인플레이션율은 인류의 경험칙상 2~3%로 여겨진다.[98] 세계 중앙은행의 대다수가 2% 플러스 마이너스 1, 또는 1~3% 범위 내에서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중심값은 2%이다.[100]
4. 정책의 유용성 및 효과
물가안정목표제는 통화 정책의 투명성을 높이고, 인플레이션 기대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39][40][42] 특히, 명시적인 수치 인플레이션 목표는 중앙은행의 책무성을 높여 동적 비일관성의 함정에 빠질 가능성을 줄인다.[21] 이는 영국 중앙은행이 1993년 "인플레이션 보고서"를 처음 발간하는 등,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대중과의 정기적인 소통 채널을 유지하는 경향과도 관련이 있다.[43]
물가안정목표제는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재정 규율을 유지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115][117] 이와타 키쿠오는 "재정 파이낸스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인플레이션 타겟"이라고 지적했다.[117]
일부 연구에서는 물가안정목표제가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45] 벤 버냉키는 "인플레이션 타겟은 물가, 고용 안정에 모두 기여한다"라고 지적했다.[112] 이와타 키쿠오는 "명목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타겟 정책이 효과적"이라고 말했다.[119] 물가안정목표제를 채택한 국가들은 채택 후 물가상승률이 하락하고, 실질 GDP 성장률이 상승하는 등 양호한 성과를 거두었다.[123]
이토 모토시게는 인플레이션 타겟 도입으로 디플레이션 마인드를 불식시킬 수 있다면 정책 본연의 기능을 다하게 된다고 지적했다.[121]
하지만, 물가안정목표제가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2021년 ''미국 정치학 리뷰''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엄격한 물가안정 목표 정책을 가진 독립적인 중앙은행이 은행 위기에서 더 나쁜 결과를 낳는 것으로 나타났다.[41] 또한, 조지프 스티글리츠는 각국 중앙은행의 "경직된" 인플레이션 타겟이 2007년- 세계 금융 위기의 한 원인이 되었다고 비판했다.[122]
일본의 경우, 2000년대 초반 일본은행은 물가안정목표제 도입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2000년 일본은행은 물가 안정을 수치로 나타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하였고,[127] 2002년 하야미 마사루 총재는 물가 목표 도입을 부정했다.[128][129][130] 2006년 후쿠이 토시히코 총재는 "정책 목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127] 2009년 시라카와 마사아키 총재는 인플레이션 유도 정책 채택 시 여러 문제가 발생한다고 언급했다.[134] 그러나 2013년 1월, 일본은행은 물가 안정 목표를 2%로 정한 인플레이션 타겟 도입을 결정했다.[146]
5. 비판 및 논쟁
물가안정목표제는 경제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응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산출량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고 물가 안정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48][49] 마켓 모니터리즘 지지자들은 스콧 섬너를 중심으로, 명목 소득 목표제가 산출량과 물가 수준을 모두 안정시키는 데 더 적합하다고 주장한다.[46] 호주 경제학자 존 퀴긴은 명목 소득 목표제가 "물가 안정을 목표로 하는 통화 정책에서 누락된 균형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47]
또한, 자산 가격 상승 등 다른 중요한 경제 지표를 간과하게 만들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50] 퀴긴은 전 연준 의장 앨런 그린스펀과 전 유럽 중앙 은행 총재 장클로드 트리셰가 부동산 경제 버블을 "무시하거나 심지어 환영하고, 증거가 나타나면서 너무 늦게 반응했다"라고 비판했다.[47] 노팅엄 대학교 경제학자 모하메드 파르한 이크발은 2007-2008년 금융 위기를 언급하며, 인플레이션 목표제가 자산 가격 경제 버블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50] 시라쓰카 시게노리는 물가를 목표로 하는 금융 정책이 오히려 자산 가격의 인플레이션(버블 경제)을 동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191] 경제학자 이토 오사무는 중앙은행은 물가뿐만 아니라 자산 가격 폭등 등도 주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192]
일부 경제학자들은 물가안정목표제가 2007-2008년 금융 위기의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50] 조지프 E. 스티글리츠는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은 불가능하며, 인플레이션에만 초점을 맞추는 정책은 잘못되었다고 비판했다.[193] 그는 금융 정책은 고용, 경제 성장, 물가 안정 등 모든 거시 경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93]
캐나다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제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지속적으로 낮은 금리가 차입을 장려하여 주택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부의 불평등에 기여했다는 것이다.[54]
일본에서는 물가안정목표제가 디플레이션 극복에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 하야미 마사루는 "인플레이션 타겟은 인플레이션 국가가 채택하는 것이며, 디플레이션 국가가 채택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183] 반면, 다나카 히데토미는 인플레이션 타겟이 디플레이션 탈피에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디플레이션 예방을 위해 상한뿐만 아니라 하한 수치 목표도 설정하고 있다고 반박했다.[184]
나카노 다케시는 중앙은행의 금융 완화만으로는 인플레이션 예상을 갖게 하기 어렵고,[196] 금융 정책만으로는 수요 부족을 해소할 수 없다고[197] 지적하며, 디플레이션 탈피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야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99]
인플레이션 타겟이 하이퍼인플레이션을 낳는다는 우려에 대해, 폴 크루그먼은 완만한 인플레이션과 짐바브웨의 하이퍼인플레이션은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150] 하라다 야스는 인플레이션 타겟 정책은 금융 완화를 중간에 멈추기 위한 정책이라고 설명했다.[202] 다카하시 요이치,[203][204] 이와타 키쿠오,[205] 카타오카 타케시[206]는 선진국에서 인플레이션 타겟을 채택했지만 하이퍼인플레이션이 된 나라는 없다고 주장했다.
5. 1. 수치 목표에 대한 논쟁
대부분의 물가안정 목표제 국가는 목표 범위를 2%p로 설정하지만, 국가별로 밴드 폭은 다양하며, 인플레이션 목표 설정 국가들은 목표 범위를 자주 업데이트한다.[37] 2%라는 일반적인 수치 목표는 코로나19 범유행 기간 동안의 통화 확장에 따른 급격한 인플레이션 기간 이후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양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선택하는 것에는 몇 가지 단점이 존재한다.
#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년의 작은 가격 상승의 복합적인 효과는 통화의 구매력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 판매자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을 재조정하기 위해 더 자주 자원을 소비해야 한다.
그러나 정책 입안자들은 양의 인플레이션 목표가 경제가 디플레이션 기간에 빠질 가능성을 줄인다는 사실이 이러한 단점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디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은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인플레이션이 디플레이션보다 경제 위축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인용한다.[55][56] 밀턴 프리드먼은 마이너스(적당한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목표를 주장하기도 했다.[57]
모하메드 엘-에리안은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가 인플레이션 목표를 (안정적인) 3%로 인상할 것을 제안하며, "2%에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58] 물가안정목표제를 채택하면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다는 지적이 있지만, 그 위험성은 인플레이션 목표에 상한을 설정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110]。
모리나가 다쿠로는 "범위의 상한을 넘으면 반대로 금리 인상, 자금 공급 긴축으로 물가 상승률을 낮추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한 목표권 설정이다"라고 지적했다[207]。또한 "높게 나오는 소비자물가 지수를 인플레이션 목표로 하는 경우, 제로를 목표로 할 수는 없다"라고 지적했다.[208] 이와타 키쿠오는 하한 1%, 상한 3% 정도의 인플레이션 목표 설정을 제안했다[188]。
경제학자 야마자키 하지메는 "오랜 기간 일본의 물가 상승률이 낮고, 버블 시기에도 1% 정도였으므로 2% 이상의 물가 목표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디플레이션 버릇이 고쳐지고 완만한 인플레이션이 상시화될 때까지 금융 완화를 계속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210] 하라다 야스시는 "2% 인플레이션 목표는 2%를 넘으면 금융을 긴축하기로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결코 하이퍼인플레이션 등이 될 수 없다[211]","실업률이 충분히 낮아지면 물가 목표에 반드시 얽매일 필요는 없다[212]"라고 지적했다.
다케나카 헤이조는 3%나 되는 물가 목표를 내걸면 장기 금리가 상승할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해 "효과가 없다, 장기 금리나 물가가 급등할 수 있다는 두 가지 모순된 비판이 있지만, 비판자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214] 하마다 고이치는 "(2%의 물가 목표는) 경제가 회복되면 1%에 지나지 않는다[215]","인플레이션 목표 달성보다 고용이나 생산 등 실체 경제의 회복이 중요하다[216]"라고 지적했다.
조지프 E. 스티글리츠는 인플레이션 목표 정책에 대해 목표 인플레이션율이 낮은 경우 실업을 해결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218]。 2010년 2월, 국제 통화 기금(IMF)의 보고서는 "4%의 목표가 적절하다"고 했다[221]。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는 2%의 물가 상승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더 과감한 양적 완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222] 경제학자 이케오 카즈토는 "물가 목표 2%는 비용 상승적인 형태로 올라도 생활은 좋아지지 않는다"라고 지적했다.[223]
6. 다른 국가들의 사례
6. 1. 유럽 중앙은행 (ECB)
유럽 중앙 은행(ECB)은 명시적으로 물가안정목표제를 표방하지는 않지만, 유로존 내 물가 안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12][13] 1998년 10월, ECB의 통치 이사회는 물가 안정을 "유로 지역의 조화 소비자 물가지수(HICP)의 연간 상승률이 2% 미만"인 인플레이션으로 정의했다.[14][15] 2003년 5월에는 이 정의를 "2%에 가깝지만 2% 미만"으로 명확히 했다.[14]2021년 7월 8일, ECB는 인플레이션 목표를 중기적으로 대칭적인 2%로 변경했다.[17] 이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에서 벗어나는 부정적 및 긍정적 편차를 동등하게 바람직하지 않게 여긴다는 것을 의미한다.[17]
6. 2. 신흥 시장
2000년에 프레데릭 미쉬킨은 물가안정목표제가 많은 신흥 시장 국가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지만, 상당수의 국가에서 매우 유용한 통화 정책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21]아르메니아 중앙은행은 2006년에 물가안정목표제를 시행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물가안정 목표제로의 완전한 전환 과정은 2008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18] 지난 3년 동안 국가 경제에 대한 외부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으면서도, 아르메니아는 경제 관리 노력 덕분에 여전히 회복의 길을 걷고 있으며, 세금 준수 개선, 예산 과정 개선, 금융 부문의 안정성 강화, 그리고 물가안정 목표제 프레임워크 육성등의 구조적 및 제도적 개혁이 시행되었다.[20]
칠레에서는 1990년 말, 20%의 인플레이션율로 인해 칠레 중앙은행이 1991년 12월에 종료되는 연간 인플레이션율에 대한 인플레이션 목표를 발표했다.[21] 파블로 가르시아 실바 칠레 중앙은행 이사에 따르면, 이는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2002년 브라질 총선과 2008-2009년의 대침체 기간 동안 칠레에서 관찰된 제한적인 인플레이션을 예시로 들었다.[22]
체코 국립 은행(CNB)은 경제 전환의 과정을 겪은 소규모 개방 경제에서 인플레이션 타겟팅 중앙 은행의 한 예시이다. 2010년 이후 CNB는 2%를 인플레이션 목표로 사용하며, ±1%의 범위를 허용한다.[23]
| 국가 | 중앙은행 | 인플레이션 목표제 도입 연도 | 비고 |
|---|---|---|---|
| 이스라엘 | 이스라엘 은행 | 1997년 6월[61] | 1992년부터 비공식적으로 시행. 1997년 6월부터 본격적인 인플레이션 목표제 시행.[61][65] |
| 체코 | 체코 국립은행 | 1997년 12월[61][66] | 중부 및 동유럽 최초. |
| 폴란드 | 폴란드 국립은행 | 1998년[61] | |
| 브라질 | 브라질 중앙은행 | 1999년 6월[61] | |
| 칠레 | 칠레 중앙은행 | 1999년 9월[61] | 1990년 말, 20%의 인플레이션율로 인해 칠레 중앙은행은 1991년 12월에 종료되는 연간 인플레이션율에 대한 인플레이션 목표를 발표했다.[21] |
| 콜롬비아 | 방코 데 라 레푸블리카 | 1999년 10월[61]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 준비은행 | 2000년 2월[61] | |
| 태국 | 태국 은행 | 2000년 5월[61] | |
| 헝가리 | 헝가리 국립은행 | 2001년 6월[67] | |
| 멕시코 | 멕시코 은행 | 2001년[61] | 일부 자료에서는 1999년이라고 한다.[68] |
| 페루 | 페루 중앙준비은행 | 2002년 1월[61] | |
| 필리핀 | 방코 센트랄 필리피나스 | 2002년 1월[61][72] | |
| 과테말라 | 과테말라 은행 | 2005년 1월[61] | |
| 인도네시아 | 뱅크 인도네시아 | 2005년 7월[61] | |
| 루마니아 | 루마니아 국립은행 | 2005년 8월[61] | |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공화국 중앙은행 | 2006년 1월[61] | |
| 튀르키예 | 튀르키예 공화국 중앙은행 | 2006년 1월[61] | |
| 가나 | 가나 은행 | 2007년 5월[61] | 2002년 비공식 도입, 2007년 5월부터 공식 도입.[61] |
| 조지아 | 조지아 국립은행 | 2009년 1월[73] | |
| 세르비아 | 세르비아 공화국 국립은행 | 2009년 1월[61] | |
| 러시아 | 러시아 중앙은행 | 2014년 1월[76] | |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공화국 국립은행 | 2015년 8월[77] | |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국립은행 | 2015년 8월[78] | 우크라이나 인플레이션 목표제 시행에 관한 공식 문서[79] |
| 인도 | 인도 준비은행 | 2016년 8월[80] | 인도가 약 5년 동안 10%의 인플레이션을 겪은 후 결정. |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 2016년 9월[81] |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고정 페그로 변경한 2018년 9월까지. |
이 외에도 대한민국(한국은행)과 아이슬란드(아이슬란드 중앙은행) 등도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61]
7. 이론적 배경
신고전학파 거시경제학과 합리적 기대 가설은 물가안정목표제가 작동하는 방식과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기업의 기대는 동일한 정보 집합에 대해 이론 자체의 예측을 중심으로 형성될 것이다.[35] 따라서 합리적인 주체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관련 모델을 구체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주어진 거시경제 시스템에 대한 완전하고 완벽한 지식은 기껏해야 편안한 가정으로 간주될 수 있다. 관련 모델에 대한 지식은 고도의 계량 경제학적 기법을 이용하거나 관련 설명 변수의 적절한 식별이 수행되더라도 실현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추정 편향은 모델 제작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정보의 양과 질에 달려 있다. 즉, 추정치는 활용된 정보와 관련하여 점근적으로 무편향적이다.
한편, 일관성은 유사하게 해석될 수 있다. 점근적 무편향성을 바탕으로, 관련 모델에 대한 이론적 매개변수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지 않은 합리적 기대 가설의 완화된 버전이 제안될 수 있다. 충분히 방대하고 질 좋은 정보와 고도의 방법론적 기술을 갖춘 주체는 특정 거시경제 시스템을 설명하는 자체적인 준 관련 모델을 구체화할 수 있다. 처리되는 정보의 양을 늘림으로써 이 주체는 편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 주체가 중앙은행과 같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면, 다른 주체들은 제안된 모델을 수용하고 그에 따라 기대를 조정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 기대는 상당한 수동성의 배경 속에서 최대한 무편향적으로 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이것이 인플레이션 목표제도의 기능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이다.[36]
참조
[1]
뉴스
What's The Fuss Over Inflation Targeting?
http://www.businessw[...]
2005-11-07
[2]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ing: Holding the Line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s, Finance & Development
2014-12-28
[3]
서적
Dollar Stabilization
[4]
서적
Targeting Inflation: A Conference of Central Banks on the Use of Inflation Targets Organised by the Bank of England, 9-10 March 1995
Bank of England
1995
[5]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ing Has Been A Successful Monetary Policy Strategy
https://www.nber.org[...]
NBER
2016-10-31
[6]
웹사이트
Targeting Inflation: The United Kingdom in Retrospect
https://www.imf.org/[...]
IMF
2016-10-31
[7]
웹사이트
Key Monetary Policy Dates Since 1990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2007-09-20
[8]
웹사이트
Remit of the Monetary Policy Committee of the Bank of England and the New Inflation Target
http://www.bankofeng[...]
HM Treasury
2003-12-10
[9]
웹사이트
Monetary Policy Framework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2016-10-31
[10]
웹사이트
CCBS Lecture Series - Inflation Targeting: The British Experience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1999-01-01
[11]
뉴스
Inflation targeting is 25 years old, but has it worked?
https://www.bbc.co.u[...]
2015-03-11
[11]
뉴스
Why do we target 2pc inflation? (And does it matter if we keep missing it?)
https://www.telegrap[...]
2016-10-31
[12]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s and Inflation Targeting
https://www.federalr[...]
The Federal Reserve Board
2016-12-01
[13]
문서
wikisource consolidation
[14]
서적
THE EUROPEAN CENTRAL BANK HISTORY, ROLE AND FUNCTIONS BY HANSPETER K. SCHELLER SECOND REVISED EDITION 2006
[15]
웹사이트
Power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European Central Bank
http://www.ecb.int/e[...]
European Central Bank
2009-03-10
[16]
간행물
Thoughts on the zero lower bound in relation with monetary and financial stability
https://www.bis.org/[...]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16-01-18
[17]
웹사이트
An overview of the ECB’s monetary policy strategy
https://www.ecb.euro[...]
2024-01-19
[18]
문서
Inflation Targeting in Armenia: Monetary Policy in Transition.
[19]
웹사이트
Inflation report
https://www.cba.am/S[...]
Central Bank of Armenia
2022-12-11
[20]
문서
Republic of Armenia: Sixth Review under the Stand-by Arrangement-Press Release
[21]
간행물
Inflation Targeting in Emerging-Market Countries
http://www.nber.org/[...]
[22]
간행물
A Quince Años de las Metas de Inflación en Chile
https://www.bcentral[...]
Central Bank of Chile
2014-05-01
[23]
웹사이트
Czech National Bank's website
https://www.cnb.cz/e[...]
[24]
문서
Central Bank Transparency and Independence: Updates and New Measures
[25]
문서
Frontiers of Monetary Policymaking: Adding the Exchange Rate as a Tool to Combat Deflationary Risks in the Czech Republic
[26]
문서
The Exchange Rate as an Instrument at Zero Interest Rates: The Case of the Czech Republic
[27]
문서
Evolution of the Czech National Bank’s holdings of foreign exchange reserves
[28]
웹사이트
Why does the Federal Reserve aim for 2 percent inflation over time?
http://www.federalre[...]
2015-03-08
[29]
문서
Inflation targeting
[30]
뉴스
King May Be More Irritant Than Ally for Brown at BOE
https://www.bloomber[...]
2008-08-05
[31]
간행물
A Perspective on Inflation Targeting
http://www.federalre[...]
2003-03-25
[32]
문서
Inflation targeting: a new framework for monetary policy?
[33]
웹사이트
Review of Monetary Policy Strategy, Tools, and Communications
https://www.federalr[...]
Federal Reserve
2022-04-17
[34]
웹사이트
2020 Statement on Longer-Run Goals and Monetary Policy Strategy
https://www.federalr[...]
Federal Reserve
2022-04-17
[35]
간행물
Rational Expectations and the Theory of Price Movements
[36]
서적
The Theory of New Classical Macroeconomics. A Positive Critique
Springer
[37]
웹사이트
Do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Assessing the Effects of Inflation Targeting Track Records on Macroeconomic Performance
https://www.imf.org/[...]
2023-01-08
[38]
웹사이트
Stock Returns and Inflation Redux: An Explanation from Monetary Policy in Advanced and Emerging Markets
https://www.imf.org/[...]
2023-01-08
[39]
서적
Inflation targeting: lessons from the international experie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 Press
2001
[40]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ing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uccesses and Challenges
http://www.frbsf.org[...]
Federal Reserve Board of San Francisco
2014-10-31
[41]
간행물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Banking Crises: The Role of Central Banks and Optimal Independence
2021
[42]
간행물
Never Say Never: Commentary on a Policymaker's Reflections
http://eml.berkeley.[...]
2014
[43]
웹사이트
Inflation Report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2016-01-20
[44]
서적
Monetary Policy Report
http://www.federalr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2015-02-24
[45]
간행물
Growth effects of inflation targeting revisited: empirical evidence from emerging markets
[46]
간행물
Central bank losses and monetary policy rules: a DSGE investigation
[47]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 tyranny
http://johnquiggin.c[...]
2012-01-26
[48]
뉴스
Flexible inflation targeting – lessons from the financial crisis
http://www.bis.org/r[...]
2009-09-21
[49]
뉴스
BoJ to pursue inflation target 'flexibly'
http://www.ft.com/cm[...]
2013-04-11
[50]
뉴스
The Death of Inflation Targeting
http://www.project-s[...]
2012-05-16
[51]
문서
"Is Inflation Targeting Dead? Central Banking After the Crisis"
http://www.voxeu.org[...]
Centre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CEPR)
2013
[52]
간행물
Monetary Policies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Role of Institutional Quality
2006-09
[53]
문서
"Inflation Targeting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uccesses and Challenges"
http://www.frbsf.org[...]
Essay presentation to the South African Reserve Bank Conference on Fourteen Years of Inflation Targeting in South Africa and the Challenge of a Changing Mandate, Pretoria, South Africa
2014
[54]
웹사이트
GESSAROLI: Artificially low interest rates -- we're paying the price
https://torontosun.c[...]
2022-04-14
[55]
웹사이트
Written Testimony before the Subcommittee on Domestic Monetary Policy and Technology
http://financialserv[...]
2016-10-22
[56]
웹사이트
Should We Fear Deflation?
https://www.libertyc[...]
2016-10-22
[57]
간행물
Deflation and Depression: Is There an Empirical Link?
http://minneapolisfe[...]
[58]
웹사이트
El-Erian advises Federal Reserve to rethink its 2% inflation target
https://www.marketpl[...]
2023-08-08
[59]
웹사이트
"Policy Rules for Open Economies"
http://www.rba.gov.a[...]
[60]
웹사이트
Inflation-Targeting, Flexible Exchange Rates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since the Great Recession
http://aei.pitt.edu/[...]
The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
2014-12-28
[61]
간행물
State of the art of inflation targeting.
http://www.bankofeng[...]
Bank of England – Centre for Central Banking Studies
2012
[62]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ing: Holding the Line
http://www.imf.org/e[...]
IMF
2016-01-18
[63]
간행물
Inflation Targeting Turns 20
http://www.imf.org/e[...]
2016-01-18
[64]
뉴스
Speech: Talk by Governor
http://www.rba.gov.a[...]
1993-08-04
[65]
뉴스
Monetary Policy Rules and Transmission Mechanisms Under Inflation Targeting in Israel
http://www.bcentral.[...]
2009-10-18
[66]
문서
"From a Peg to Inflation Targeting: CNB Experience"
https://www.cnb.cz/m[...]
presentation at the High-level Seminar on the Benefits of Adopting a Structured Approach to Policy Analysis, Rabat, Morocco, 21 May 2015
2015
[67]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ing
https://www.mnb.hu/e[...]
[68]
뉴스
Alternatives to inflation targeting in Mexico
http://www.networkid[...]
2009-10-18
[69]
뉴스
Norges Bank holder fast ved inflasjonsmålet
http://www.dn.no/nyh[...]
2013-09-26
[70]
뉴스
Forsiden
http://www.dn.no/for[...]
2019-02-02
[71]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
https://www.cb.is/mo[...]
[72]
뉴스
BSP adopts inflation targeting starting this year
http://www.philstar.[...]
2002-01-02
[73]
웹사이트
National Bank of Georgia
https://www.nbg.gov.[...]
2018-01-03
[74]
뉴스
In historic shift, Fed sets inflation target
https://www.reuters.[...]
2016-01-18
[75]
뉴스
Doubt Greets Bank of Japan's Easing Shift
https://www.wsj.com/[...]
2016-01-18
[76]
웹사이트
404 | Банк России
https://cbr.ru/eng/p[...]
[77]
웹사이트
Қазақстан Ұлттық Банкі
https://nationalbank[...]
[78]
웹사이트
Про монетарну політику
https://bank.gov.ua/[...]
[79]
웹사이트
Про Основні засади грошово-кредитної політики на 2016 - 2020 роки
https://zakon.rada.g[...]
[80]
뉴스
India adopts inflation target of 4% for next five years under monetary policy framework
http://economictimes[...]
[81]
뉴스
Inflation Targeting Regime in Argentina. Press conference.
http://www.bcra.gob.[...]
[82]
문서
インタゲと略称されることもある。
[83]
뉴스
きょうのキーワード 物価水準目標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0-10-31
[84]
뉴스
岩田規久男教授:日銀の国債購入不可欠 物価目標達成で
https://web.archive.[...]
毎日jp(毎日新聞)
2013-02-15
[85]
서적
マネーの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
2004
[86]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87]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88]
문서
[89]
웹사이트
アジアにおけるインフレーション・ターゲティングへの取り組み
http://www.jri.co.jp[...]
日本総研
2003-01-01
[90]
웹사이트
ポリシーディスカッション 第7回:インフレ目標政策への批判に答える
https://www.rieti.go[...]
RIETI
2003-07-07
[91]
뉴스
米FRBが2%のインフレ目標導入、毎年1月に見直し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2-01-25
[92]
뉴스
インフレ目標設定に関するFOMC声明全文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2-01-26
[93]
뉴스
デフレ論者たちのばかげた批判をすべて論破する!これまで20年間、完璧にはできなかったデフレ脱却を安倍政権が成し遂げたなら大成功だ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2-12-24
[94]
뉴스
日銀が「2%物価目標」と「無期限緩和」導入、物価上昇見通しは改善小さく
http://jp.reuters.co[...]
Reters
2013-01-22
[95]
뉴스
日銀:物価目標2%、できるだけ早期に-期限定めず資産買い入れ (3)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3-01-22
[96]
뉴스
日銀、2%物価目標導入へ 9年半ぶり連続緩和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1-22
[97]
뉴스
日銀、物価安定の目標を採用 資産買い入れは14年初から無期限に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1-22
[98]
서적
「経済のしくみ」がすんなりわかる講座
ナツメ社
2003
[99]
뉴스
物価目標2%達成でも賃金・生活改善なければ失敗=岩田日銀副総裁
https://jp.reuters.c[...]
Reuters
2013-08-28
[100]
뉴스
日銀政策は「小出しで後手」、インフレ目標明示を-伊藤隆敏東大教授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2-12-07
[101]
웹사이트
コアCPI|証券用語解説集|野村證券
https://www.nomura.c[...]
[102]
웹사이트
コアコアCPI|証券用語解説集|野村證券
https://www.nomura.c[...]
[103]
뉴스
〔焦点〕政府のデフレ脱却判断、「コアコアCPI」採用へ
https://jp.reuters.c[...]
Reuters
2013-07-09
[104]
웹사이트
Federal Reserve Board - 2020 Statement on Longer-Run Goals and Monetary Policy Strategy
https://www.federalr[...]
[105]
서적
景気ってなんだろう
筑摩書房
2008
[106]
뉴스
高橋洋一の俗論を撃つ! 失望売りと報道された日銀政策決定会合の見方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6-13
[107]
논문
"Implementing Inflation Targeting: Institutial Arrangements, Target Design, and Communications"
IMF Working Paper AP/06/278
2006
[108]
뉴스
安達誠司「講座:ビジネスに役立つ世界経済」 【第17回】 英連邦の資源国の株価が堅調な理由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3-09-12
[109]
서적
日本建替論 〔100兆円の余剰資金を動員せよ!〕
藤原書店
2012
[110]
서적
昭和恐慌の研究
東洋経済新報社
2004
[111]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112]
서적
ベン・バーナンキ 世界経済の新皇帝
講談社〈講談社BIZ〉
2006
[113]
뉴스
経済学の知見を謙虚に学べ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0-08-16
[114]
뉴스
『日経新聞』の奇妙な黙殺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08-04-08
[115]
뉴스
アベノミクスでバブルが起きるは本当か? 村上尚己(マネックス証券チーフエコノミスト)
http://synodos.jp/ec[...]
SYNODOS -シノドス-
2013-01-31
[116]
뉴스
岩田規久男氏、予想インフレ率上昇「設備・住宅投資や消費の増加に」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13-03-04
[117]
뉴스
【特別インタビュー】岩田規久男・学習院大学教授 「日銀は2%インフレターゲットにコミットすべし。わが金融政策のすべてを語ろう」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3-01
[118]
웹사이트
4%のインフレターゲットでデフレ脱却の姿勢示せ--岩田規久男・学習院大学経済学部教授
http://www.toyokeiza[...]
東洋経済
2011-02-10
[119]
뉴스
岩田規久男 : 増税する前に名目成長率を上げよ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3-03-29
[120]
뉴스
物価2%目標、景気過熱で超え続ければ政策調節=岩田日銀副総裁
https://jp.reuters.c[...]
Reuters
2014-05-26
[121]
뉴스
インフレ・ターゲティングはデフレ脱却の特効薬となるのか
http://www.nikkeibp.[...]
nikkei BPnet(日経BPネット)
2012-12-27
[122]
뉴스
スティグリッツ教授:金融危機の一因はインフレ目標-南アのBデー紙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09-07-09
[123]
서적
マクロ経済学を学ぶ
筑摩書房〈ちくま新書〉
1996
[124]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125]
서적
「不安」を「希望」に変える経済学
PHP研究所
2010
[126]
뉴스
【日本の解き方】日銀史観からの脱却をいつまでも日銀レクチャーを頼りに記事を書くのか
https://web.archive.[...]
ZAKZAK
2013-03-10
[127]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128]
뉴스
物価目標「無謀な賭け」=02年12月に速水総裁-日銀議事録
https://archive.is/6[...]
時事ドットコム
2013-01-29
[129]
뉴스
10年前に物価目標を議論…「危険な賭け」と却下 日銀が議事録公表
http://www.iza.ne.jp[...]
産経新聞
2013-01-29
[130]
뉴스
日銀:物価目標「無謀な賭け」…総裁、02年決定会合
http://mainichi.jp/s[...]
毎日jp(毎日新聞)
2013-01-29
[131]
간행물
「中長期的な物価安定の理解」の明確化
http://www.boj.or.jp[...]
日本銀行
[132]
뉴스
ニュースクリップ 物価安定の理解とは
http://plus.yomiuri.[...]
読売新聞
2009-12-19
[133]
뉴스
「ターゲット」と「めど」と「理解」
http://business.nikk[...]
日経ビジネスDigital
2012-02-16
[134]
서적
日本経済復活 一番かんたんな方法
光文社〈光文社新書〉
2010
[135]
뉴스
インフレ目標めぐり応酬、菅財務相「1-2%実質目標に」
http://jp.reuters.co[...]
Reuters
2010-04-20
[136]
뉴스
菅副総理、インフレ目標「魅力的な政策」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0-04-20
[137]
간행물
物価安定のもとでの持続的成長へ向けた最近の政策運営
http://www.boj.or.jp[...]
日本銀行 Bank of Japan
[138]
간행물
「中長期的な物価安定の目途」の「目途」は、「目標」ではないのですか? インフレ・ターゲティングとは異なるのですか?
http://www.boj.or.jp[...]
日本銀行 Bank of Japan
[139]
뉴스
日銀、物価上昇1%めど 安定目標の表現変更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2-02-14
[140]
뉴스
アベノミクスで円安が起きていることがわかるたった一つのグラフ 村上尚己
http://synodos.jp/ec[...]
SYNODOS -シノドス-
2013-03-26
[141]
뉴스
エコ・ピックアップ:日銀と円安 似て非なる「インフレ目標政策」
https://web.archive.[...]
毎日jp(毎日新聞)
2012-04-16
[142]
뉴스
日銀総裁、インフレ目標に否定的 「現実的でない」
http://www.47news.jp[...]
47NEWS 共同ニュース
2012-11-12
[143]
뉴스
日銀総裁に求める資質とは? 元日銀審議委員・中原伸之氏に聞く (1/2ページ)
https://web.archive.[...]
SankeiBiz(サンケイビズ)
2013-02-21
[144]
뉴스
物価2%達成、岩田氏「日銀の義務」・中曽氏「重い約束」
https://jp.reuters.c[...]
Reuters
2013-03-05
[145]
뉴스
インタビュー:日銀は極端な国債購入拡大回避を=伊藤・東大大学院教授
http://jp.reuters.co[...]
Reuters
2012-12-14
[146]
웹사이트
日銀・2%の物価安定の目標
http://www.boj.or.jp[...]
[147]
뉴스
COLUMN-〔インサイト〕4─5%の名目成長率目標、マクロ政策に大きな柔軟性=エコノミスト・岡田靖
http://jp.reuters.co[...]
Reuters
2007-11-02
[148]
문서
日銀法第3条2 日本銀行は、通貨及び金融の調節に関する意思決定の内容及び過程を国民に明らかにするよう努めなければならない。
[149]
뉴스
ノーベル経済学賞、クルーグマン氏 国際貿易で新理論
http://www.asahi.com[...]
asahi.com(朝日新聞社)
2008-10-14
[150]
뉴스
経済の死角 独占インタビューノーベル賞経済学者 P・クルーグマン 「間違いだらけの日本経済 考え方がダメ」
http://gendai.ismedi[...]
現代ビジネス
2010-08-20
[151]
뉴스
「高橋財政」に学び大胆なリフレ政策を――昭和恐慌以上の危機に陥らないために
http://www.toyokeiza[...]
東洋経済
2009-06-16
[152]
뉴스
財政破綻阻止へ2%インフレ、日銀法改正で義務付けを-岩田教授(1)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2-07-24
[153]
뉴스
日銀、金融政策前進の時 新政権がてこ入れ、デフレ退治正念場
https://archive.is/i[...]
SankeiBiz(サンケイビズ)
2012-12-18
[154]
뉴스
一挙公開!「インフレ目標」批判へのFAQ 【その1】インフレ目標「無効論」を検証する
http://diamond.jp/ar[...]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2-12-27
[155]
뉴스
金融危機と中央銀行02白川流。常識を疑う常識人
http://globe.asahi.c[...]
朝日新聞グローブ
[156]
뉴스
日銀 10年前は物価目標導入に否定的
http://www3.nhk.or.j[...]
NHKニュース
2013-01-29
[157]
뉴스
野口旭の「ケイザイを斬る!」 第1回 人々はなぜデフレを好むのか
https://web.archive.[...]
HotWired Japan ALT BIZ
2005-12-02
[158]
뉴스
どうなる これからの景気と経済
http://www.topics.or[...]
徳島新聞
2007-07-19
[159]
뉴스
第23回 量的金融緩和の解除は日本経済を再び冷え込ませる ~日銀は重度のインフレ恐怖症にとりつかれている~
http://www.nikkeibp.[...]
SAFETY JAPAN
2006-03-20
[160]
뉴스
「素人大臣」は「ケガの功名」。「デフレ脱却」には日銀の「追加金融緩和策」は力不足。政府は「インフレターゲットの採用」にばく進せよ!
http://www.nikkeibp.[...]
SAFETY JAPAN
2010-03-30
[161]
뉴스
ゼロ%インフレ目標
http://www.dir.co.jp[...]
大和総研グループ コラム
2007-02-01
[162]
뉴스
日銀総裁人事は重要か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08-02-08
[163]
뉴스
日銀新総裁はゼロ金利に復帰を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08-05-08
[164]
뉴스
勝間和代「リフレ論」が大反響 ネットで賛否両論が渦巻く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09-11-11
[165]
뉴스
勝間和代氏が緊急警告“平成デフレ恐慌” インフレ目標で防げ
https://web.archive.[...]
ZAKZAK
2010-05-25
[166]
뉴스
ケインズの助言
http://synodos.jp/ec[...]
SYNODOS -シノドス-
2010-08-11
[167]
뉴스
【片岡剛士氏インタビュー】円高・デフレは自然現象ではない! 無謬性の罠にはまらないための経済知識 『円のゆくえを問いなおす』著者 片岡剛士氏インタビュー
http://www.sbbit.jp/[...]
ソフトバンク ビジネス+IT
2012-07-04
[168]
뉴스
「非常時」に即応した対処策への転換を!――「人災」を避ける努力をせよ
http://synodos.jp/ec[...]
SYNODOS -シノドス-
2011-03-18
[169]
뉴스
【田中秀臣氏インタビュー】日本をデフレから救うのは、凡庸だが最良の処方箋の「リフレ政策」
http://www.sbbit.jp/[...]
ソフトバンク ビジネス+IT
2010-09-10
[170]
뉴스
研究 「震災復興本」を読む:原発問題と復興資金の財源問題を中心に
https://web.archive.[...]
Chuo Online YOMIURI ONLINE(読売新聞)
2011-09-08
[171]
뉴스
オピニオン デフレ脱却こそが国債累積問題の解決策である
https://web.archive.[...]
Chuo Online : YOMIURI ONLINE(読売新聞)
2012-05-01
[172]
뉴스
円高が好きな人たちの「正体」とは? ―― 安達誠司(『円高の正体』)× 飯田泰之
http://synodos.jp/ne[...]
SYNODOS -シノドス-
2012-02-27
[173]
뉴스
高橋洋一の民主党ウォッチ 「落第生」日銀は言い訳やめよ 「インフレ目標」FRB見習うべきだ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012-02-09
[174]
뉴스
この経済失策がヤバかった!2012 日欧経済失政レビュー
http://synodos.jp/ne[...]
SYNODOS -シノドス-
2012-12-14
[175]
뉴스
インタビュー:日銀は無制限緩和を、物価目標2─3%が適切=浜田宏一教授
https://jp.reuters.c[...]
Reuters
2012-12-28
[176]
간행물
早わかり「インフレターゲット論」
https://www.rieti.go[...]
RIETI
2003-02-02
[177]
뉴스
インフレターゲットで日本経済は救えない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0-05-11
[178]
뉴스
小泉元首相の「脱原発」論の不毛〔1〕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3-11-19
[179]
웹사이트
It’s Baaack! Japan’s Slump and the Return of the Liquidity Trap
http://web.mit.edu/k[...]
1998
[180]
웹사이트
復活だぁっ!
https://cruel.org/kr[...]
2001
[181]
뉴스
【クルマの顔】 飯田香織 経済キャスター
http://www.nhk.or.jp[...]
NHK Bizプラス キャスターブログ
2012-08-20
[182]
서적
経済政策に歴史を学ぶ
ソフトバンク クリエイティブ〈ソフトバンク新書〉
2006
[183]
서적
平成大停滞と昭和恐慌〜プラクティカル経済学入門
NHK出版〈NHKブックス〉
2003
[184]
서적
ベン・バーナンキ 世界経済の新皇帝
講談社〈講談社BIZ〉
2006
[185]
서적
マネーの経済学
日本経済新聞社〈日経文庫〉
2004
[186]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187]
뉴스
日本の購買力平価は高くない
http://synodos.jp/ec[...]
SYNODOS -シノドス-
2013-03-12
[188]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189]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190]
간행물
第7回:インフレ目標政策への批判に答える:ディスカッションルーム
https://www.rieti.go[...]
RIETI
2003-03-10
[191]
웹사이트
http://www.imes.boj.[...]
[192]
서적
日本の経済-歴史・現状・論点
中央公論新社〈中公新書〉
2007
[193]
웹사이트
関税・外国為替等審議会 外国為替等分科会 最近の国際金融の動向に関する専門部会 (第4回)議事録 平成15年4月16日
https://warp.ndl.go.[...]
[194]
서적
スティグリッツ教授の経済教室-グローバル経済のトピックスを読み解く
ダイヤモンド社
2007
[195]
뉴스
安達誠司「講座:ビジネスに役立つ世界経済」 【第40回】 「経常収支赤字」は悪なのか?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4-04-03
[196]
서적
レジーム・チェンジ-恐慌を突破する逆転の発想
NHK出版〈NHK出版新書〉
2012
[197]
서적
レジーム・チェンジ-恐慌を突破する逆転の発想
NHK出版〈NHK出版新書〉
2012
[198]
서적
レジーム・チェンジ-恐慌を突破する逆転の発想
NHK出版〈NHK出版新書〉
2012
[199]
서적
レジーム・チェンジ-恐慌を突破する逆転の発想
NHK出版〈NHK出版新書〉
2012
[200]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201]
뉴스
日銀がいかに仕事をしていないかが分かる、たったひとつのグラフ
http://synodos.jp/ec[...]
SYNODOS -シノドス-
2013-02-04
[202]
뉴스
金融緩和すれば“レの字”から“V字”回復に向かう
http://shuchi.php.co[...]
PHPビジネスオンライン 衆知
2010-07-28
[203]
뉴스
【日本の解き方】インフレ目標で役人もマスコミも“変節” 極論唱える御用学者も…
https://web.archive.[...]
zakzak
2012-12-28
[204]
뉴스
一挙公開!「インフレ目標」批判へのFAQ 【その2】インフレ目標「弊害論」を検証する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3-01-04
[205]
서적
スッキリ!日本経済入門-現代社会を読み解く15の法則
日本経済新聞社
2003
[206]
뉴스
おカネの視点から復興への経済政策を考える 片岡剛士
http://synodos.jp/ec[...]
SYNODOS -シノドス-
2011-04-21
[207]
서적
日本経済50の大疑問
講談社〈講談社現代新書〉
2002
[208]
서적
日本経済50の大疑問
講談社〈講談社現代新書〉
2002
[209]
서적
エコノミスト・ミシュラン
太田出版
2003
[210]
뉴스
安倍晋三氏の金融緩和政策は正しいか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2-12-10
[211]
뉴스
日本経済はなぜ再生できないのか!(後)〜日銀は通貨や物価の番人ではない!?
http://www.data-max.[...]
NetIB-NEWS ネットアイビーニュース
2012-12-12
[212]
웹사이트
白い日銀から黒い日銀への大転換
https://wedge.ismedi[...]
2013-04-05
[213]
뉴스
さらに金融緩和を、国債まだ買える 原田泰・早大教授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5-01-21
[214]
뉴스
インタビュー:物価目標1-3%掲げ国債買い入れを=竹中・慶大教授
https://jp.reuters.c[...]
Reuters
2012-12-05
[215]
뉴스
インタビュー:消費増税先送りも選択肢、ドル100円程度は「妥当」=浜田参与
https://jp.reuters.c[...]
Reuters
2013-04-09
[216]
뉴스
5%の消費増税、日本経済へのショック大きい=浜田内閣官房参与
https://jp.reuters.c[...]
Reuters
2013-07-14
[217]
뉴스
浜田教授:日銀の長期国債買い入れ倍増は「可能」-追加緩和5月にも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4-03-14
[218]
서적
日本経済は復活するか
藤原書店
2013
[219]
서적
デフレ不況 日本銀行の大罪
朝日新聞出版
2010
[220]
뉴스
日銀 黒田新体制始動 “物価目標 2%実現を”
https://archive.is/8[...]
NHK Bizプラス
2013-03-21
[221]
서적
高橋教授の経済超入門
アスペクト
2011
[222]
뉴스
OECD、アベノミクスを評価 成長率上方修正
http://www.47news.jp[...]
47NEWS(よんななニュース) 共同ニュース
2013-03-28
[223]
뉴스
池尾慶応大教授:消費増税先送りは「世も末」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4-11-14
[224]
문서
財政法 第5条 すべて、公債の発行については、日本銀行にこれを引き受けさせ、又、借入金の借入については、日本銀行からこれを借り入れてはならない。但し、特別の事由がある場合において、国会の議決を経た金額の範囲内では、この限りでない。
[225]
웹사이트
http://www.boj.or.jp[...]
[226]
문서
日本銀行は、我が国の中央銀行として、前条第1項に規定する業務のほか、国との間で次に掲げる業務を行うことができる。(中略)第4号 財務省証券その他の融通証券の応募又は引受け
[227]
문서
国庫短期証券は、1998年度までは、予め利率を定めて市中公募を行い、応募額が発行額に満たない場合には日本銀行が残額を引き受ける「定率公募残額日銀引受方式」により発行されていた。この方式の下で、発行金利は市場実勢に比べて低いことが多かったため、日本銀行が発行額の殆どを引き受ける結果となっていた。大蔵省(当時)は、1998年12月22日に公表した「円の国際化の推進策について」において、国庫短期証券の発行方式を原則として「公募入札方式」に改めることを公表し、1999年4月以降、1年程度を目途に、同方式に移行していくこととされた。
[228]
웹사이트
http://www.mof.go.jp[...]
[229]
간행물
通貨と短期金融市場.量的緩和期の外為介入
http://www.mof.go.jp[...]
2010
[230]
서적
デフレから復活へ
東洋経済新報社
2005
[231]
뉴스
岩田・日銀副総裁候補:物価目標のマジック、予想インフレ上昇で円安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3-03-04
[232]
뉴스
日本は財政難から3-5年で円安、長期金利3%へ-伊藤隆敏東大教授
http://www.bloomberg[...]
Bloomberg
2012-03-07
[233]
문서
国庫短期証券の入札について、日銀は1998年12月に従来の入札方法(定率公募残額日銀引受方式:市場実勢金利から乖離した条件を提示してほとんどが残額となる結果、日銀引受となる実情)をあらため、1年の猶予期間を経て2000年4月から市中で3ヶ月の期限前の段階の入札時点で完全入札により円を調達することとした
http://www.boj.or.jp[...]
[234]
간행물
21世紀の国際通貨制度
http://www.imes.boj.[...]
日本銀行金融研究所
2002-12
[235]
뉴스
「金融緩和をどう考えるのか」森永卓郎
http://www.magazine9[...]
マガジン9
2012-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