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개혁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개혁교회(Reformed Church in America, RCA)는 때때로 미국 네덜란드 개혁 교회 또는 네덜란드 개혁 교회로 불리며, 186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517년 종교 개혁 이후 칼뱅주의의 영향을 받아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으며, 17세기부터 네덜란드 이민자들에 의해 미국에 설립되었다. RCA는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벨기에 신앙 고백 등 다양한 교리를 따르며, 안락사, 사형, 낙태, 동성애, 여성 안수 등 사회적 이슈에 대해 다양한 입장을 표명해왔다. 장로교 정치 체제를 따르며, 총회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센트럴 칼리지, 호프 칼리지, 노스웨스턴 칼리지 등의 교육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장로교회, 그리스도 연합 교회,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와 에큐메니컬 관계를 맺고 있으며, 1859년 일본 선교를 시작으로 한국과도 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 교회 - 재건 개혁교회
    재건 개혁교회는 2004년 네덜란드 개혁교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칼뱅주의 신학에 기반한 개혁교회의 신앙 고백들을 따르며 네덜란드 성서 벨트를 중심으로 교단을 운영하고, 해외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 개혁교회 - 남아공 개혁교회
    남아프리카 개혁교회는 1859년 네덜란드 개혁교회에서 분열되어 설립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개혁교회 교단으로, 장로교-노회 제도를 따르며 개혁주의 신학과 '세 가지 일치 양식'을 신앙의 표준으로 삼고, 포체프스트룸에 신학대학을 두고 선교 및 봉사 활동을 펼치며 다른 교단과 협력하고 있다.
  • 개혁교회 -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는 격언은 요도쿠스 판 로덴슈타인이 처음 사용한 말로, 교회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개혁 신학의 중요한 기조가 되었고, 교파를 넘어 교회의 쇄신과 변화를 강조하는 데 사용되며 대중문화에도 인용된다.
미국 개혁교회
일반 정보
미국 개혁 교회의 문장
주요 분류주류 개신교
방향대륙 네덜란드 개혁주의
신학개혁주의
정치 체제장로교
설립자해당 없음
설립일1628년 (뉴암스테르담에 최초의 네덜란드 개혁 교단 조직); 1754년 (미국 클래식 독립)
설립 장소해당 없음
분리해당 없음
분기네덜란드 개혁 교회
합병해당 없음
분리북미 기독교 개혁 교회 (1857년 분리; 추가 교단이 1882년 CRC에 합류)
제휴개혁 교회 연합 (2021년)
관련 단체미국 교회 협의회; 세계 교회 협의회; 캐나다 교회 협의회; 미국 내 기독교 교회; 세계 개혁 교회 공동체; 캐나다 복음주의 친교; 국가 복음주의 협회
지역캐나다, 미국
본부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 미국
교구877개 (2016년)
교인수84,957명 (2023년 기준)
웹사이트미국 개혁 교회 공식 웹사이트
추가 웹사이트Faithward

2. 명칭

미국 개혁교회는 미국 상황이 이미 제시된 경우에 한하여 구어체로 '''미국 네덜란드 개혁 교회''' 또는 단순히 '''네덜란드 개혁 교회'''[3]라고 불리기도 한다. 1819년에는 '''개혁 프로테스탄트 네덜란드 교회'''로 법인화되었으며, 1867년에 현재 이름이 선택되었다.

3. 역사



1792년, 클래시스는 공식적인 헌법을 채택했고, 1794년에는 교단에서 첫 번째 일반 총회를 개최했다. 교회는 19세기 초 광범위한 해외 선교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들을 파견하며 분열을 치유했다. 미국 남북 전쟁 이후 1867년에 정식으로 "미국 개혁 교회"라는 이름을 채택했다. 19세기에 뉴욕 주와 뉴저지에서 네덜란드계 후손들은 기독교 부흥 운동과 미국 정체성에 대한 열망을 키우면서 유럽의 기준과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후 네덜란드어 사용은 19세기 중반의 새로운 네덜란드 이민 물결까지 쇠퇴했다가 다시 부활하기도 했다.

1517년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이후, 독일 북부와 네덜란드에는 루터파가 퍼졌지만, 점차 네덜란드 북부를 중심으로 칼뱅파의 영향이 강해졌다. 네덜란드의 칼뱅파는 고이센으로 불리며 세력을 확장했고, 독일 황제의 박해에도 굴하지 않았다. 독일 황제가 군대로 탄압을 시작하자, 오렌지 공 윌리엄 1세를 지도자로 맞서 싸웠고, 북부 독립이나 내분이 일어났다. 1581년 네덜란드의 정세가 안정되자,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벨기에 신앙 고백을 채택하여 네덜란드 개혁 교회가 성립되었다.

1620년경부터 네덜란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네덜란드 이민에 의해 미국 네덜란드 개혁 교회가 형성되었다.

쇄국 정책을 펼치던 일본이 개항하자, 1859년 11월 미국 네덜란드 개혁파는 일본에 선교사를 파견했다. 개혁파 교회 목사인 S・R・브라운, 선교사 G・H・풀베크, 의료 선교사D・B・시몬즈가 선발되었다. 그 후, 제임스 해밀턴 바라, 헨리 스토트, 찰스 울프, J・L・아멜만, 유진 부스, 마틴 와이코프, 하워드 해리스, 앨버트 올트만스 등의 선교사를 파견하여 메이지 시대의 일본 학교 교육에 크게 기여했다.

일본에 파견된 선교사들은 다음과 같다.

파견 연도이름
1859S.R. 브라운
1859D. 시몬스
1859G.H.F. 풀베키
1861J.H. 바라
1869H. 스타우트
1869메리 키더
1871C.H.H. 울프
1872M.N. 와이코프
1872E.C. 위트벡
1876J.R. 아멜만
1882H.L. 윈
1879E.S. 부스
1881C.E. 바라
?M.L. 윈
1878H.L. 패링턴
1878E.F. 패링턴
1884H. 해리스
1886A. 올트만스
1889H.V.S. 피크


3. 1. 17세기

올버니 제일 개혁 교회(First Reformed Church in Albany)는 뉴욕주 올버니에 있는 렌셀러스위크의 영주권을 위해 1642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의 교회는 1798년에 지어졌다.


네덜란드령 뉴네덜란드의 초기 정착민들은 처음에는 비공식적인 예배 모임을 가졌다.

1628년, 요나스 미카엘리우스는 현재 뉴욕 시인 뉴 암스테르담에 최초의 네덜란드 개혁파 교회를 조직했으며, 이는 현재 뉴욕의 컬리지에이트 교회인 개혁 프로테스탄트 네덜란드 교회로 불렸다. 네덜란드 통치 기간 동안, 미국 개혁 교회(RCA)는 식민지의 국교였으며, 암스테르담 노회의 관할 하에 있었다. 브룩빌 개혁 교회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 중 하나로 남아 있다.

3. 2. 18세기

1664년 영국이 식민지를 점령한 후에도 모든 네덜란드 개혁교회 목사들은 여전히 네덜란드에서 훈련을 받았다. 미국 개혁교회(RCA)의 예배는 1764년까지 네덜란드어로 진행되었다.[4]

1747년, 네덜란드 교회는 북미에 회의를 구성하는 것을 허가했고, 1754년, 이 회의는 암스테르담의 클래시스에서 독립을 선언했다. 이 미국 클래시스는 1766년 뉴저지의 퀸스 칼리지(현재 럿거스 대학교)에 대한 헌장을 확보했다. 1784년 존 헨리 리빙스턴이 신학 교수로 임명되면서 뉴브런즈윅 신학대학이 시작되었다.

농부와 상인을 포함한 네덜란드어 사용 공동체는 이전의 뉴네덜란드에서 번성하여 뉴욕시, 허드슨 계곡, 뉴저지 일부 지역을 지배했으며, 펜실베이니아 남동부, 코네티컷 남서부, 롱아일랜드에서도 상당한 존재감을 유지했다.

18세기 초, 약 3,000명의 팔라틴 독일인 난민이 뉴욕으로 왔다. 그들 대부분은 앤 여왕 정부가 지불한 통행료를 갚기 위해 처음에는 허드슨 강을 따라 영국 캠프에서 일했고, 이후 스코하리 계곡과 모호크 계곡에 토지를 허가받았다. 그들은 포트 허키머와 저먼 플랫츠와 같은 수많은 독일어 사용 루터교 및 개혁교회를 설립했다. 18세기에 수천 명이 더 펜실베이니아로 이민했다. 그들은 거의 100년 동안 교회와 학교에서 독일어를 사용했으며, 독일에서 목사들을 모집했다. 20세기 초까지 그들의 교회 대부분이 RCA에 합류했다.[4]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네덜란드 개혁 교회 내에서 격렬한 내부 갈등이 발생했고, 분열선은 "코에투스"와 "컨퍼런스" 파벌 간에 20년 동안 지속된 교회 전투를 따랐다. 한 출처는 1737년 이전에 탈퇴가 발생했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5]

> "황폐함이 많은 교회에 만연했지만, 1737년 이전에는 교회에서 좋은 질서가 유지되었고, 평화와 상당한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1754년, 전년도의 코에투스는 코에투스를 완전한 권한을 가진 클래시스로 변경할 것을 권고했고, 반대가 격렬해졌으며, 반대자들은 컨퍼런스로 알려졌다."[5]

전쟁 후 교회의 생존을 가능하게 한 것은 사면의 정신이었다.

3. 3. 19세기

일부 교인들은 노예를 소유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노예는 소저너 트루스였다. 그러나 교회는 노예제 폐지 운동을 지지하지 않았다. 시골 지역에서는 목사들이 1830년에서 1850년경까지 네덜란드어로 설교를 하다가 이후 영어로 전환했으며, 동시에 많은 전통적인 네덜란드 의복과 관습도 사라졌다.[7] 일부 목사들은 부흥 운동을 선호했지만, 일반적으로 교회는 제1차제2차 대각성 운동 모두를 지지하지 않았는데, 이는 많은 복음주의적 열정을 불러일으켰다.

19세기 중반, 네덜란드에서 이민이 증가하면서 미국 개혁교회(RCA)는 미국 중서부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1837년, 뉴저지 출신의 아브람 D. 윌슨 목사와 그의 아내 줄리아 에버슨 윌슨은 앨러게니 산맥 서쪽에 있는 최초의 네덜란드 개혁 교회를 일리노이주 페어뷰에 설립했다.[8] 호프 칼리지와 웨스턴 신학대학은 미시간주 홀랜드에, 센트럴 칼리지는 아이오와주 펠라에, 노스웨스턴 칼리지는 아이오와주 오렌지 시티에 설립되었다.

1857년, 기스베르트 한이 이끄는 미시간주의 더 보수적인 교인들이 RCA에서 분리되어 북미 기독개혁교회(CRC)를 조직했고, 다른 교회들도 이를 따랐다. 1882년에는 또 다른 교회들이 CRC로 이탈했는데, 이는 네덜란드 교회에서 일어난 일들과 유사했다.

3. 4. 20세기 이후

1945년 이후, 미국 개혁교회(RCA)는 네덜란드 이민자들이 많이 정착한 캐나다로 확장되었다. 1949년부터 1958년까지 RCA는 네덜란드계가 아닌 교외 지역 사회에 120개의 교회를 세우며, 주류 개신교 신자들에게 다가갔다. RCA는 장로교 연맹, 연방 교회 협의회, 세계 교회 협의회의 창립 회원으로 참여했다.

다른 주류 교단들과 마찬가지로, RCA도 지난 30년 동안 교인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8년 총 교인 수는 196,308명 미만으로, 2016년의 220,000명, 2000년의 300,000명, 1980년의 360,000명에서 감소했다.

벨하 고백 채택, 여성 안수에 관한 양심 조항 삭제, 그리고 교회 내 LGBTQ(성 소수자)의 위치와 관련된 의견 차이로 인해, 많은 교회들이 RCA를 떠나 더 보수적인 미국 장로교에 합류했다.[9] 거의 같은 이유로, 약 100개의 교회가 교단을 떠나 개혁 교회 연합을 결성했다(현재 이 교단에는 약 200개의 교회가 있다).[10] 12개의 교회가 개혁 캐나다 네트워크를, 5개의 교회가 킹덤 네트워크(현재 24개의 교회가 있음)를 형성했다.[11][12]

4. 신념

RCA는 사도신경, 니케아 신경, 아타나시우스 신경과 같은 역사적인 신앙 고백과 벨기에 신앙고백,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도르트 신조, 벨하르 신앙고백과 같은 전통적인 개혁파 신앙 고백을 따른다.[13]

4. 1. 사회적 이슈

미국 개혁교회(RCA)는 여러 사회적 이슈에 대해 다음과 같은 입장을 가지고 있다.

  • '''안락사 반대''': 1994년 RCA는 안락사에 반대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13]
  • 인간의 생명은 하나님의 선물이며, 인간은 자신의 생명에 대한 청지기이다.
  • 개인의 자율성을 주장하며 자살을 돕는 것은 하나님께 속한 자신의 생명을 부정하는 것이다.
  • 하나님은 고통의 시기에 사람들을 버리지 않으시며,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해야 한다.
  • 죽어가는 사람들을 돌보는 것은 기독교 공동체의 책임이다.

  • '''사형 반대''': 2000년 RCA는 사형에 반대하는 7가지 이유를 제시했다.[14]
  • 그리스도의 사랑의 윤리에 어긋난다.
  • 범죄 억제 효과가 불확실하다.
  • 불공평하게 적용될 수 있다.
  • 돌이킬 수 없는 실수를 초래할 수 있다.
  • 사회적 책임을 간과한다.
  • 복수심을 영속화한다.
  • 재활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 '''낙태 반대''': RCA는 일반적으로 낙태에 반대하며, "원칙적으로" 시행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다만, 예외적인 경우를 인정하지만, "개인의 편의"를 위한 낙태는 허용하지 않는다. 교회는 낙태에 대한 대안을 장려하고, 태아의 생명 보호를 위한 노력을 지지한다.[15]

  • '''동성애 문제''':
  • 1978년부터 RCA는 동성애에 대한 여러 성명을 발표했다. 동성애 행위는 죄악으로 간주되지만, 동성애자들의 시민권은 옹호되어야 한다고 보았다.[16]
  • 2012년에는 동성애 행동을 옹호하거나 동성 결혼을 주례하는 것을 징계 사유로 결정했지만,[16] 이듬해 이 결정을 철회했다.[16]
  • 2015년에는 결혼을 이성 간의 관계로 정의하는 절차를 시작하려 했으나,[17] 동시에 인간의 성 문제에 대한 연구를 승인했다.[18]
  • 일부 RCA 교회와 교구는 LGBT 구성원을 공개적으로 옹호하고 동성 결혼을 집례하기도 한다.[20][21][22]
  • 2017년, 결혼을 "남/녀"로 정의하자는 제안은 부결되었지만,[27] RCA는 결혼이 한 남자와 한 여자 사이의 관계임을 긍정하는 입장을 유지했다.[28]
  • 2021년, RCA는 교회가 교단을 떠나거나 남아서 동성애 목사 및 동성 결혼에 대한 정책을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에 찬성했다.[30][31][32][33]

  • '''여성 안수''':
  • RCA는 1972년부터 여성의 집사 및 장로 임직을 허용했고, 1979년부터 여성 목사 안수를 허용했다.[34]
  • 1980년, 여성 안수에 대한 양심 조항을 추가하여, 개인의 신념에 따라 여성 안수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도록 했다.[34]
  • 2012년, 양심 조항 삭제를 결정하고 2013년에 비준했다.[35]

5. 조직

RCA는 장로교 정치를 대표 기구로 삼고 있으며, 교회 평의회, 클라시스, 지역 노회, 총회로 권위가 나뉜다. 총회는 매년 열리며, 전체 교단을 대표하는 기구로서 정책, 프로그램, 의제를 결정한다. 총회에서 통과된 안건은 총회 평의회에서 집행 및 감독한다. 평의회 구성원은 총회에서 임명하며, 사무총장이 일상적인 운영을 감독한다.[36] 2018년 총회에서 에디 알레만 목사(Rev. Eddy Alemán, D. Min.)가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었다.

RCA의 헌법은 예배 모범, 정부, 교리 표준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예식서 및 총회의 규정과 함께 매년 ''교회 질서서''라는 책으로 출판된다.[37]

6. 교육 기관

미국 개혁교회는 대학교와 신학교를 운영하며, 목회자를 양성하고 교회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데 힘쓰고 있다.

호프 칼리지 채플

6. 1. 대학교



미국 개혁교회(RCA)는 다음 세 곳의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대학교명위치
센트럴 칼리지아이오와주 펠라
호프 칼리지미시간주 홀랜드
노스웨스턴 칼리지아이오와주 오렌지 시티


6. 2. 신학교

7. 에큐메니컬 관계

합의 공식으로 알려진 문서를 통해, 미국 개혁교회(RCA)는 미국 장로교회, 그리스도 연합 교회,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와 완전한 교류를 맺고 있다. 그리스도 연합 교회와 RCA의 관계는 RCA 내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는데, 특히 2005년 UCC 총회에서 동성애와 관련된 결의안이 문제시되었다.[39] 2009년 ELCA가 동성애자를 성직자로 임명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밝히자, 일부 RCA 보수파는 "합의 공식"에서 탈퇴할 것을 요구했다.[39] 2012년 RCA는 동성애에 대한 자체 입장을 논의했다.[39] 두 교단은 대화를 진행했고, 1999년에는 차이점을 논의하는 문서를 발표했다.

"합의 공식" 파트너들과 더불어, RCA는 북미 기독 개혁 교회(CRC)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2005년 RCA와 CRC는 목회자 교류를 허용하기로 투표했다. CRC의 출판 부서인 Faith Alive Christian Resources는 RCA에서도 사용되며, 2013년에는 두 교단에서 함께 사용할 공동 찬송가를 출판했다. 두 교단은 또한 다양한 다른 사역 벤처에 협력했으며, 건강 보험 개혁법에 따라 2013년에 연금 계획을 합병하기로 투표했고, 2014년에는 아이오와주 펠라에 있는 센트럴 칼리지에서 연달아 총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8. 한국과의 관계

1859년 11월, 오랫동안 쇄국 정책을 펼치던 일본이 개항하자, 미국 네덜란드 개혁파 미션은 일본에 선교사로 개혁파 교회 목사인 S・R・브라운, G・H・풀베크, 의료 선교사D・B・시몬즈를 파견했다.[1]

이후, 제임스 해밀턴 바라, 헨리 스토트, 찰스 울프, J・L・아멜만, 유진 부스, 마틴 와이코프, 하워드 해리스, 앨버트 올트만스 등의 선교사를 파견하여 메이지 시대의 일본 학교 교육에 크게 기여했다.[1]

파견 연도선교사 이름
1859S.R. 브라운
1859D. 시몬스
1859G.H.F. 풀베키
1861J.H. 바라
1869H. 스타우트
1869메리 키더
1871C.H.H. 울프
1872M.N. 와이코프
1872E.C. 위트벡
1876J.R. 아멜만
1882H.L. 윈
1879E.S. 부스
1881C.E. 바라
M.L. 윈
1878H.L. 패링턴
1878E.F. 패링턴
1884H. 해리스
1886A. 올트만스
1889H.V.S. 피크


9. 유명한 회원


  • 에드워드 윌모트 블리든, 교육자, 작가, 외교관, 정치인
  • 번 덴 허더, NFL 프로 축구 선수 (1972년 무패 마이애미 돌핀스)
  • 에버렛 디르크센, 상원의원
  • B.D. 다익스트라, 작가 겸 교육자
  • 제로니모
  • 잭 한나, 미국 동물학자
  • 피터 후크스트라, 하원의원
  • 이블 크니블, 오토바이 스턴트맨 겸 곡예사
  • 카일 코버, NBA 프로 농구 선수
  • 프란시스 D. "해프" 모란, 프로 미식축구 선수 (뉴욕 자이언츠), 미국 개혁교회의 집사 겸 장로
  • A. J. 머스티, 작가, 교수, 평화주의자
  • 짐 낸츠, TV 스포츠 캐스터
  • 루이스 P. 포지만, 철학자
  • 노먼 빈센트 필, 설교자이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전 목사
  • 클라크 V. 폴링, 4인의 채플린 중 한 명
  • 시어도어 루스벨트, 전 미국 대통령
  • 마지 로우케마, 하원의원,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개종
  • 앨버트 얀세 릭먼, 뉴욕주 올버니 시장(1702–1703), 올버니 민병대 대위, 저명한 올버니 양조업자, 네덜란드 개혁교회 집사
  • 슐러 가문 – 로버트 슐러, 로버트 A. 슐러, 바비 슐러, 모두 미국 개혁교회 목사
  • 존 스커더 시니어, 아콧 선교 선교사
  • 필립 스카일러, 미국 독립 전쟁의 애국자 지도자
  • 마틴 반 뷰런, 전 미국 대통령
  • 페즈 와틀리, 라디오 방송인
  • 앤드류 양, 기업가이자 2020년 대통령 후보
  • 에드워드 베센티,[40] 나바호 통역사이자 베센티 추장 판사(나바호)의 아들로, 뉴멕시코주 기독 개혁교회를 위해 나바호어로 성경 구절과 찬송가를 번역했다.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부모 프레드 트럼프메리 앤 매클라우드 트럼프

존 스커더 시니어는 네덜란드 개혁 목사로, 1819년 인도에서 선교사 가문을 시작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hurch Statistical Data http://crf.rca.org/p[...]
[2] 웹사이트 Ecumenical Partners https://www.rca.org/[...]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16-06-15
[3] EB1911 Reformed Church in America
[4] 웹사이트 History of Montgomery Classis, R.C.A. http://www.threerive[...] 2023-05-18
[5] 서적 Annals of the Classis of Bergen of the Reformed Dutch Church and of the Churches Under its Care: Including, The Civil History of the Ancient Township of Bergen, in New Jersey Hosford & Co. 1857
[6] 서적 American Biography The American Historical Society 1919
[7] 논문 "The Synod of Dort and the Persistence of Dutchness in Nineteenth-century New York and New Jersey" 1996
[8] 웹사이트 History of Fairview Reformed Church http://churches.rca.[...]
[9] 웹사이트 Churches leaving the RCA https://glendafayema[...] 2019-03-07
[10] 웹사이트 Find a church https://arc21.org/ch[...] Alliance of reformed churches 2022-05-26
[11] 웹사이트 Dissident Churches of the Reform Church in America form the Kingdom Network https://www.thebanne[...] 2022-01-27
[12] 웹사이트 Churches separate from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and form the Kingdom Network https://reformedjour[...] 2022-01-27
[13] 웹사이트 General Synod Statements: Physician-Assisted Suicide -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11-08-23
[14] 웹사이트 General Synod Statements: Capital Punishment -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11-08-23
[15] 웹사이트 General Synod Statements: Contemporary Topics -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11-08-23
[16] 웹사이트 General Synod Statements: Homosexuality -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15-07-09
[17] 웹사이트 General Synod Asks for Definition of Marriage {{!}}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16-04-21
[18] 웹사이트 General Synod 2015: Recommendations https://www.rca.org/[...]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15-10-12
[19] 웹사이트 3 Christian schools shift their policies on homosexuality http://national.dese[...] 2016-04-21
[20] 웹사이트 Schenectady Classis Bylaws (Article 1, Section 4) https://schenectadyc[...] 2020-06-15
[21] 웹사이트 News from Room for All. http://www.roomforal[...] Room for All 2015-10-12
[22] 웹사이트 Roster of Affirming Congregations in the RCA – Room for All http://roomforall.co[...] 2016-04-21
[23] 웹사이트 RCA takes strides toward more inclusion of homosexuals http://www.mlive.com[...] 2016-07-22
[24] 뉴스 Reformed Churches' new UCC affiliation expands ministry in New York http://www.ucc.org/n[...] 2017-06-13
[25] 웹사이트 Special Council Report Now Available https://www.rca.org/[...]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16-04-26
[26] 웹사이트 Synod Affirms Man/Woman Marriage, Calls for Respect for LGBT People https://www.rca.org/[...]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16-06-14
[27] 웹사이트 Beyond the Amendments – Room for All https://roomforall.c[...] 2017-04-18
[28] 웹사이트 Synod Looks to Standards to Define Marriage {{!}}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17-06-13
[29] 뉴스 After nine-year journey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ordains the "first" openly gay man https://www.episcopa[...] 2018-05-23
[30] 웹사이트 Reformed Church in America at odds over LGBTQ, policy disagreements https://www.fox17onl[...] 2021-12-20
[31] 웹사이트 Reformed Church in America Reorganizes Due to LGBT Divides https://www.christia[...] 2021-12-20
[32] 웹사이트 Reformed Church in America faces rupture over LGBTQ+ gridlock https://www.episcopa[...] 2021-12-20
[33] 웹사이트 Some Reformed Churches explain why they don't want to leave the denomination https://www.fox17onl[...] 2021-12-20
[34] 웹사이트 Reformed Church Removes 'Conscience' Exemption for Women's Ordination https://www.christia[...] 2020-11-03
[35] 웹사이트 Removal of Conscience Clauses Ratified https://www.rca.org/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23-05-18
[36] 웹사이트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www.rca.org/P[...] 2009-11-19
[37] 웹사이트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38] 웹사이트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eb.archive.[...]
[39] 웹사이트 Reformed Church to Discuss Response to Homosexuality on Monday https://www.christia[...] 2012-06-25
[40] 웹사이트 BU http://open.bu.edu/b[...] 2014-08-27
[41] 문서 高橋2003年、15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