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정부의 저작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정부의 저작물은 미국 법전 제17편 제105조에 따라 저작권 보호를 받지 않으며, 이는 연방 정부 공무원이 직무상 작성한 저작물에 한정된다. 주 또는 지방 정부의 저작물, 직무 외 저작물, 외부 위탁 저작물은 저작권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특히 미국 우편 서비스와 같은 특정 기관의 저작물은 예외적으로 저작권이 인정된다. 미국 정부 저작물의 국외 이용은 해당 국가의 저작권법에 따라 판단되며, 다른 법률에 의해 이용이 제한될 수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저작권법 - 공정 이용
    공정 이용은 저작권법의 예외 조항으로, 저작권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1976년 미국 저작권법에서 명문화되었고, 대한민국 저작권법은 2011년 개정을 통해 관련 조항을 신설하였다.
  • 저작권법 - 저작물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고 창작성이 있는 결과물로서,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으며, 어문, 음악, 미술 등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미국 정부의 저작물
저작권 상태
미국 내미국 내에서는 공공 영역에 속함
미국 외대부분의 국가에서 미국 정부 저작물은 저작권 보호를 받음. 미국 정부는 해외에서 저작물을 사용할 권리를 가질 수 있음.
상세 정보
관련 법률17 U.S.C. §101
17 U.S.C. §105
추가 정보미국 정부의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상태

2. 법적 근거

미국 법전 제17편 "저작권"의 제105조(17 U.S. Code § 105)에 관련 내용이 있다.[6]

{{인용문|'''§ 105 · 저작권의 보호대상: 미 연방정부의 작품'''

미국 정부의 모든 저작물은 이 편에서 정하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지 아니한다. 단 양도, 유증 또는 그 밖의 방법으로 이전된 저작권을 양수하고 보유하는 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이는 연방 정부에 고용된 공무원이 직무상 작성한 저작물에 한정된다. 나 지방 공공 단체 소속 공무원이 직무상 작성한 저작물은 주법 등에 따라 처리되며, 연방 정부 공무원이 직무 외에서 작성한 저작물은 해당 공무원의 저작물로 간주되어 퍼블릭 도메인이 되지 않는다. 또한, 연방 정부가 외부로부터 양도받은 저작권은 소멸되지 않으며, 연방 정부는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 정부가 정부 명의로 발표하는 저작물이라고 해서 즉시 퍼블릭 도메인으로 간주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외부 위탁으로 제작된 저작물은 저작권이 발생하며, 저작권자는 미국 정부와 수탁 업체 간의 계약에 따라 결정된다.)

미국 중앙 정보국(CIA)의 로고를 허가 없이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50 U.S.C. §403m), 퍼블릭 도메인 저작물이라도 저작권법 이외의 법률에 의해 이용이 제한될 수 있다.[6]

2. 1. 관련 법률의 역사

1895년에 제정된 인쇄법은 정부 간행물에 대한 저작권 금지 조항을 최초로 명문화한 연방 법률이다.[6] 이 법의 제52조는 "정부 간행물"의 복제본에 저작권을 부여할 수 없다고 규정했다. 이는 제임스 D. 리처드슨(1843–1914) 하원 의원이 정부 발행 대통령 선언문을 사적으로 저작권 등록하려 한 "리처드슨 사건"의 영향으로 보인다.[7][6]

1895년 이전에는 미국 정부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규정하는 법률이 없었지만, 법원 판결을 통해 연방 정부 직원이 정부를 위해 작성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할 권리가 없다는 것이 확립되었다.[6] 또한 법원 판결, 법령 등은 공공 정책에 따라 저작권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판결했다.[6] 그러나 법원 속기사가 작성한 헤드노트, 시놉시스, 주석 등은 주 정부를 대신하여 저작권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6]

1909년 저작권법은 미국 정부 간행물에 대한 저작권 부존재를 명시하고, 정부가 저작권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예외 조항을 포함했다.[6]

1976년 저작권법은 현행 미국 정부 저작물 관련 규정을 확립했다.[8] 1976년 법의 403조는 주로 정부 저작물로 구성된 문서에 대한 저작권 고지 요건을 규정했는데, 이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부분을 명시해야 한다는 내용이다.[9]

1988년 베른 협약 이행법은 저작권 표시 요건을 완화하고, 미국 정부 저작물이 주를 이루는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고지 요건을 개정했다.[9][10]

3. 적용 대상 및 예외

미국 정부의 저작물로 퍼블릭 도메인에 있는 것은 어디까지나 '''연방정부'''에 고용되어 있는 '''공무원'''이 '''그 직무상''' 작성한 것이다.[2]

즉, 나 지방 자치체에 고용되어 있는 공무원이 직무상 작성한 저작물은 퍼블릭 도메인에 해당하지 않으며, 주법 등에 따라 저작권 보호 여부가 결정된다. 연방정부 공무원이 작성한 것이라도 직무 외에서 작성한 것은 직원의 저작권이 있으며, 퍼블릭 도메인이 아니다.[2]

또한, 연방정부 공무원이 아닌 사람의 저작물을 연방정부가 이용하는 경우, 그 저작물저작권은 소멸하지 않고 연방정부가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 따라서 미국 정부에서 출판한 모든 저작물이 퍼블릭 도메인에 있다고 할 수는 없다. (예: 민간 언론사 사진, 민간 연구원의 연구저작물 등 외부 위탁으로 작성된 것은 저작권 존재)[2]

연방 정부는 자신에게 양도된 저작권을 보유할 수 있다.[2] 저작권법상 미국 정부의 저작물에 대한 정의는 정부가 소유하지만 창작하지 않은 저작물을 포함하지 않는다.[1] 예를 들어, 1837년 연방 정부는 전 미국 대통령 제임스 매디슨의 미망인 돌리 매디슨으로부터 그의 원고를 3만 달러에 구매했다.[13] 이것이 물리적 문서뿐만 아니라 저작권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면, 그러한 양도의 한 예가 될 것이다.[14]

== 예외적 저작권 인정 ==

특정 독립 기관, 법인 및 연방 자회사의 저작물은 "정부 저작물"로 간주되지 않아 저작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우편 서비스(USPS)에서 제작한 자료는 일반적으로 저작권의 적용을 받는다.[15] 1978년 1월 1일 이후의 모든 우표를 포함한 대부분의 USPS 자료, 예술 작품 및 디자인은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는다. 이전 미국 우체국의 저작물은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다.[15]

미국 상무부 장관에게 표준 참조 데이터법에 따라 미국 상무부에서 제작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할 권한을 부여한다.[16][17] 2020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는 12개의 연방 정부 기관의 민간 교수진에게 학술 출판사 또는 저널에 게재하기 위해 고용 과정에서 제작된 저작물의 저작권을 보유하고 소유할 권한이 부여되었다.

== 외부 위탁 저작물 ==

연방 정부 계약에 따라 외부 계약자가 제작한 저작물은 미국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11] 저작권 소유권은 계약 조건 및 수행된 작업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기관마다 계약 조건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및 군대와의 계약은 민간 기관 계약과 크게 다를 수 있다.[11]

민간 기관 및 NASA는 연방 조달 규정(FAR)의 지침을 받는다. FAR 하위 파트 27.4는 데이터 및 저작권에 대한 권리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민간 기관 및 NASA에 대한 저작권 지침을 제공한다.[11] FAR 일반 데이터 권리 조항(FAR 52.227-14)에 따르면, 계약자가 저작권을 주장하거나 계약에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정부는 계약 이행 또는 계약에 따라 처음 생산된 모든 데이터에 대해 무제한의 권리를 가진다.[11] 계약자는 계약 담당관의 명시적인 서면 허가 없이 학술, 기술 또는 전문 저널, 심포지엄 절차 등에 게재된 과학 및 기술 기사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11] 그러나 계약자가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아닌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을 주장하는 경우, 정부 및 그 대리인은 저작물을 복제, 파생 저작물을 준비하고, 배포, 수행 및 표시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부여받는다.[11] FAR 계약에 따라 제작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경우, 정부의 라이선스 범위는 대중에게 배포할 권리를 포함하지 않지만,[12] "상업용 기성품" 소프트웨어의 경우, 정부는 일반적으로 다른 고객보다 더 나은 라이선스를 얻지 못한다.[12]

3. 1. 예외적 저작권 인정

특정 독립 기관, 법인 및 연방 자회사의 저작물은 "정부 저작물"로 간주되지 않아 저작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우편 서비스(USPS)에서 제작한 자료는 일반적으로 저작권의 적용을 받는다.[15] 1978년 1월 1일 이후의 모든 우표를 포함한 대부분의 USPS 자료, 예술 작품 및 디자인은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는다. 이전 미국 우체국의 저작물은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다.[15]

는 미국 상무부 장관에게 표준 참조 데이터법에 따라 미국 상무부에서 제작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을 확보할 권한을 부여한다.[16][17] 2020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는 12개의 연방 정부 기관의 민간 교수진에게 학술 출판사 또는 저널에 게재하기 위해 고용 과정에서 제작된 저작물의 저작권을 보유하고 소유할 권한이 부여되었다.

미국 정부의 저작물로서 퍼블릭 도메인 상태에 있다고 여겨지는 것은 연방 정부에 고용된 공무원이 그 직무상 작성한 것이다.

나 지방 공공 단체에 고용된 공무원이 직무상 작성한 저작물은 주법 등에 위임된다. 또한, 연방 정부의 공무원이 작성한 것이라도, 직무 외에서 작성한 것은 직원의 저작물이므로 퍼블릭 도메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연방 정부의 공무원이 아닌 자가 작성한 저작물의 저작권을 연방 정부가 취득한 경우, 해당 저작물의 저작권은 소멸하는 것이 아니라, 연방 정부는 저작권을 주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미국 정부가 정부 명의로 발표하고 있는 저작물임을 가지고, 즉시 퍼블릭 도메인 상태에 있다고 할 수는 없다

퍼블릭 도메인이라고 해도, 저작권에 의한 보호를 받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용에 제한이 없을 뿐이다. 미국 중앙 정보국(CIA)의 로고를 허가 없이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50 U.S.C. §403m)는 예와 같이, 저작권법 이외의 영역의 법에 의해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3. 2. 외부 위탁 저작물

연방 정부 계약에 따라 외부 계약자가 제작한 저작물은 미국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11] 저작권 소유권은 계약 조건 및 수행된 작업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기관마다 계약 조건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및 군대와의 계약은 민간 기관 계약과 크게 다를 수 있다.[11]

민간 기관 및 NASA는 연방 조달 규정(FAR)의 지침을 받는다. FAR 하위 파트 27.4는 데이터 및 저작권에 대한 권리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민간 기관 및 NASA에 대한 저작권 지침을 제공한다.[11] FAR 일반 데이터 권리 조항(FAR 52.227-14)에 따르면, 계약자가 저작권을 주장하거나 계약에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정부는 계약 이행 또는 계약에 따라 처음 생산된 모든 데이터에 대해 무제한의 권리를 가진다.[11] 계약자는 계약 담당관의 명시적인 서면 허가 없이 학술, 기술 또는 전문 저널, 심포지엄 절차 등에 게재된 과학 및 기술 기사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다.[11] 그러나 계약자가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아닌 저작물에 대해 저작권을 주장하는 경우, 정부 및 그 대리인은 저작물을 복제, 파생 저작물을 준비하고, 배포, 수행 및 표시할 수 있는 라이선스를 부여받는다.[11] FAR 계약에 따라 제작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경우, 정부의 라이선스 범위는 대중에게 배포할 권리를 포함하지 않지만,[12] "상업용 기성품" 소프트웨어의 경우, 정부는 일반적으로 다른 고객보다 더 나은 라이선스를 얻지 못한다.[12]

4. 타국에서의 적용

미국 정부의 저작물을 국외에서 이용할 때, 해당 저작물이 해당 국가에서도 퍼블릭 도메인으로 취급될지는 불확실하다. 베른 협약 가입국에서는 속지주의 원칙에 따라 해당 국가의 저작권법이 적용되므로, 미국 저작권법에 따른 퍼블릭 도메인 주장은 일반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22]

저작권의 지역적인 효력은 일반적으로 '''속지주의'''가 타당하다고 해석되며, 국제 사법상의 문제로서도, 저작물이 저작권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또는 저작권의 내용에 대해서는, 저작자의 본국법이나 저작물의 최초 발행지의 법이 아닌 이용 행위가 있었던 곳의 법이 준거법이 된다는 '''보호국법설'''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22] 즉, 미국 정부의 저작물이 다른 국가(X국)에서 이용되는 경우, 그 이용 행위가 저작권 침해가 되는지 여부는 미국 저작권법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X국의 저작권법에 의해 판단되므로, 미국 저작권법의 효력에 근거하여 퍼블릭 도메인이라고 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일본의 저작권법에 비추어 저작권 발생 여부가 판단되는데, 저작권법 제6조 제3호에 언급된 "조약에 의해 우리나라가 보호 의무를 지는 저작물"에 해당되어, 미국과 일본 모두 가맹하고 있는 베른 협약에서는, 보호해야 할 저작물에 대해 가맹국에게 '''내국민 대우'''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저작권법 제13조에 규정된 것 (헌법, 기타 법령, 통달, 판결 등)에 해당하지 않는 한, 미국 정부의 저작물은, 일본 국내에서는 저작권이 발생한 것으로 취급될 것이다.

한국은 베른 협약 가입국이므로, 미국 정부 저작물은 한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될 수 있다.[22] 저작권법 제6조 제3호에 따라 조약에 의해 보호 의무를 지는 저작물로 취급되며, 저작권법 제13조에 해당하지 않는 한 저작권이 발생할 수 있다.[22]

이는 저작권의 지역적인 효력은 일반적으로 '''속지주의'''가 타당하다고 해석되며, 국제 사법상의 문제로서도, 저작물이 저작권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또는 저작권의 내용에 대해서는, 저작자의 본국법이나 저작물의 최초 발행지의 법이 아닌 이용 행위가 있었던 곳의 법이 준거법이 된다는 '''보호국법설'''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22] 즉, 미국 정부의 저작물이 한국에서 이용되는 경우, 그 이용 행위가 저작권 침해가 되는지 여부는 미국 저작권법이 아닌 한국 저작권법에 의해 판단된다.[22]

더불어민주당은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를 주장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미국 정부 저작물의 한국 내 이용 시 저작권 침해 여부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4. 1. 한국에서의 적용

한국은 베른 협약 가입국이므로, 미국 정부 저작물은 한국 저작권법에 따라 보호될 수 있다.[22] 저작권법 제6조 제3호에 따라 조약에 의해 보호 의무를 지는 저작물로 취급되며, 저작권법 제13조에 해당하지 않는 한 저작권이 발생할 수 있다.[22]

이는 저작권의 지역적인 효력은 일반적으로 '''속지주의'''가 타당하다고 해석되며, 국제 사법상의 문제로서도, 저작물이 저작권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 또는 저작권의 내용에 대해서는, 저작자의 본국법이나 저작물의 최초 발행지의 법이 아닌 이용 행위가 있었던 곳의 법이 준거법이 된다는 '''보호국법설'''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22] 즉, 미국 정부의 저작물이 한국에서 이용되는 경우, 그 이용 행위가 저작권 침해가 되는지 여부는 미국 저작권법이 아닌 한국 저작권법에 의해 판단된다.[22]

더불어민주당은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를 주장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미국 정부 저작물의 한국 내 이용 시 저작권 침해 여부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5. 기타 제한

일부 저작물, 특히 정부 기관의 로고상징은 저작권의 대상이 아니지만, 상표법과 유사한 다른 법률에 의해 보호된다.[21] 이러한 법률은 출처 또는 품질의 지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중앙정보국(CIA) 로고, 이름 및 두문자어의 일부 사용은 1949년 중앙정보국법에 따라 규제된다.[21]

미국 저작권청은 사법 의견, 행정 판결, 입법 제정, 공공 조례 및 이와 유사한 공식 법률 문서와 같은 "정부의 칙령"을 공공 정책상의 이유로 저작권 보호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저작물뿐만 아니라 외국 정부의 저작물에도 적용된다.[21]

6. 같이 보기


  • 왕실 저작권
  • 인도 정부의 국가 데이터 공유 및 접근성 정책

참조

[1] 법률 "A 'work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is a work prepared by an officer or employee of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s part of that person's official duties." USC
[2] 법률 USC
[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Copyright https://www.cendi.go[...] CENDI 2022-01-01
[4] 웹사이트 Copyright Law Revision (House Report No. 94-1476) https://en.wikisourc[...]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5]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Copyright: Issues Affecting the US Government https://web.archive.[...] CENDI Secretariat 2015-07-31
[6] 간행물 Copyright in Government Publications Senate Comm. on the Judiciary 1961
[7] 학술지 Copyright in government publications: Historical background, judicial interpretation, and legislative clarification https://apps.dtic.mi[...] 1976-Fall
[8] 웹사이트 17 U.S. Code § 105 - Subject matter of copyright: United States Government works - House Report No. 94–1476 https://www.law.corn[...]
[9] 웹사이트 17 U.S. Code § 403 - Notice of copyright: Publications incorporating United States Government works - Historical and Revision Notes https://www.law.corn[...]
[10] 법률 § 403 Pub. L. 94-553 (Oct. 19, 1976) USPL 1976-10-19
[11]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Copyright https://web.archive.[...] Oak Ridge, TN: CENDI Secretariat, Information International Associates, Inc. 2004-08
[12] 웹사이트 definitions of data and unlimited rights and 27.404-1 https://acquisition.[...]
[13] 법률 An Act making appropriations for the civil and diplomatic expenses of Government for the year eighteen hundred and thirty-seven 1837-03-03
[14] 법률 An Act authorizing the printing of the Madison papers 1838-07-09
[15] 문서 Compendium II: Copyright Office Practices http://ipmall.info/h[...]
[16] 법률 USC
[17] 문서 Compendium II: Copyright Office Practices http://ipmall.info/h[...]
[18] 법률 Florida Constitution Article I, §24(a) http://www.leg.state[...]
[19] 문서 Compendium II: Copyright Office Practices http://ipmall.info/h[...]
[20] 문서 Compendium II: Copyright Office Practices http://ipmall.info/h[...]
[21] 문서 Compendium II: Copyright Office Practices http://ipmall.info/h[...]
[22] 웹사이트 Does the Government have copyright protection in U.S. Government works in other countries? http://www.cendi.gov[...] CENDI(米国連邦政府機関の科学技術情報担当シニア・マネージャーによる省庁間グルー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