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제이는 헤이안 시대 말기의 관료이자 학자이다. 그는 학자 가문 출신으로, 도바 상황, 고시라카와 천황을 섬기며 호겐의 난에서 승리하고 막대한 권력을 휘둘렀다. 그러나 권력 남용과 강압적인 정치로 반발을 사 헤이지의 난 때 암살당했다. 그는 '본조세기', '법조류림'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뛰어난 학문적 재능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카시나씨 - 다카시나노 에이시
고시라카와 법황의 측근이자 고토바 천황 옹립에 관여한 다카시나노 에이시는 법황의 총애를 받아 정치에 깊숙이 관여했으나, 고토바 상황의 인세이 시작 후 정치적 영향력을 잃고 정토사에서 여생을 보낸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여성이다. - 다카시나씨 - 다카시나노 기시
다카시나노 기시는 헤이안 시대의 시인이자 후지와라노 미치타카의 배우자로, 후지와라노 다카이에, 후지와라노 테이시, 후지와라노 고레치카를 낳았으며, 특히 고레치카로 인해 '명예 대재상의 어머니' 또는 '고노 나이시'로도 불리며 뛰어난 재능으로 여러 칙선 와카집과 《오구라 백인일수》에 작품이 수록되었다. - 고시라카와 천황 - 헤이지의 난
헤이지의 난은 1160년 일본에서 발생한 내란으로, 후지와라 노 미치노리의 독단적인 정치와 미나모토 씨의 불만, 니조 친정파와 고시라카와 상황의 대립을 배경으로 후지와라 노 노부요리와 미나모토 노 요시토모의 반란으로 시작되었으나 다이라 노 키요모리의 반격으로 헤이케가 권력을 장악하며 겐페이 전쟁과 가마쿠라 시대의 도래에 영향을 미쳤다. - 고시라카와 천황 - 다이라노 기요모리 (2012년 드라마)
《다이라노 기요모리》는 2012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로, 마츠야마 켄이치가 주인공 기요모리 역을 맡아 헤이안 시대 말기 무장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드라마이다. - 1106년 출생 - 정중부
정중부는 고려 시대 무신으로, 이의방 등과 무신정변을 일으켜 무신정권 시대를 열었으나 부패와 사치로 민심을 잃고 경대승의 쿠데타로 처형된 인물이다. - 1106년 출생 - 교황 첼레스티노 3세
오르시니 가문 출신으로 산타 마리아 인 코스메딘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이었던 첼레스티노 3세는 교황 특사로도 활동했으며, 1191년 교황으로 선출되어 하인리히 6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고 시칠리아 왕국, 덴마크, 이베리아 반도의 기독교 제국 문제에 관여하고 독일 기사단을 인가했다.
신제이 | |
---|---|
기본 정보 | |
씨족 | 후지와라 씨(藤原氏) (후지와라 남가(藤原南家) 사다쓰구류(貞嗣流)) → 다카시나 씨(高階氏) → 후지와라 씨 |
시대 |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
출생 | 가쇼(嘉承) 원년(元年) (1106년) |
사망 | 헤이지(平治) 원년(元年) 12월 13일 (1160년 양력 1월 23일) |
개명 | 후지와라노 미치노리(藤原通憲) → 다카시나노 미치노리(高階通憲) → 후지와라노 미치노리(藤原通憲) → 신제이(信西) |
다른 이름 | 신제이(信西) |
계명 | 불명 |
묘소 | 불명 |
관위 | 정오위하(正五位下), 소납언(少納言) |
주인 | 도바 천황(鳥羽天皇) → 스토쿠 천황(崇徳天皇) → 고노에 천황(近衛天皇) → 고시라카와 천황(後白河天皇) → 니조 천황(二条天皇) |
아버지 | 후지와라노 사네카네(藤原実兼) |
어머니 | 미나모토노 아리카(源有家)의 딸 또는 미나모토노 아리후사(源有房)의 딸 |
양아버지 | 다카시나노 쓰네토시(高階経敏) |
배우자 | 다카시나노 시게나카(高階重仲)의 딸, 후지와라노 아사코(藤原朝子) |
자녀 | 후지와라노 도시노리(藤原俊憲), 후지와라노 사다노리(藤原貞憲), 후지와라노 고레노리(藤原是憲), 세이켄(静賢), 조켄(澄憲), 노리요(憲曜), 후지와라노 시게노리(藤原成範), 쇼켄(勝賢), 묘헨(明遍), 후지와라노 슈노리(藤原脩範), 미쓰노리(光憲), 간빈(寛敏), 가쿠켄(覚憲), 교켄(行憲), 노리토시(憲俊), 간카네(寛兼), 노리요시(憲慶), 후지와라노 다카스에(藤原隆季)의 부인, 후지와라노 나가카타(藤原長方)의 부인, 후지와라노 지카노부(藤原親信)의 부인, 쇼쇼 아리후사(少将有房) (성은 불명)의 부인, 후지와라노 이에후사(藤原家房)의 부인, 미나모토노 다메쿠니(源為国)의 부인 |
2. 경력
신제이는 후지와라노 사네노리를 증조부로, 대학두였던 후지와라노 스에쓰나를 할아버지로 둔 학자 집안 출신이었다. 1112년 아버지 사네카네가 쿠로도도코로에서 급사하자, 7세의 신제이는 친척 다카시나노 쓰네토시의 양자가 되었다. 다카시나 씨는 인노킨신・셋칸가의 가신으로 활동하며 경제적으로 유복했고, 신제이는 그 비호 아래 학업에 정진했다. 1121년경 다카시나 시게나카의 딸과 결혼했다.
도바 상황의 총신 후지와라노 이에나리와 친밀한 관계를 통해 타이라노 타다모리・키요모리 부자와도 교류했다.[2] 1124년 츄궁 쇼신(츄궁・후지와라노 쇼시)을 시작으로 관직에 진출, 쿠로도, 로쿠이노쿠로도를 거쳤다. 1127년 두 번째 아내 후지와라노 아사코가 고시라카와 천황의 유모가 되었다.
1133년경부터 도바 상황의 호쿠멘으로 활동하며 박식함을 인정받아 인덴조닌, 인판간다이로 승진했다. 휴가수로 임명되었고, 『호소루이린』 편찬에도 참여했다.
신제이는 증조부와 조부처럼 대학료 직책(대학두・몬죠하카세・시키부 다이후)에 취임하여 학문 가계의 명성을 되찾고자 했다. 그러나 세습화된 귀족 사회에서 다카시나 씨 호적에 들어간 신제이는 그 자격을 잃었고, 간슈지류 후지와라 씨가 상황의 정무 보좌를 독점하여 실무 관료로서의 재능도 펼치기 어려웠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후지와라노 사네노리를 증조부로 둔 신제이는 대대로 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 후지와라노 스에쓰나는 대학두였다. 그러나 1112년 아버지 사네카네가 쿠로도도코로에서 갑자기 사망하면서, 7세의 신제이는 친척이었던 다카시나노 쓰네토시의 양자가 되었다.다카시나 씨는 인노킨신・셋칸가의 가신으로서 활동하며 여러 주령을 역임하는 등 경제적으로도 유복했다. 신제이는 다카시나 씨의 비호 아래 학업에 정진하여 재능을 갈고 닦았다. 1121년경에는 다카시나 시게나카(양아버지 쓰네토시와는 고종사촌 관계)의 딸을 아내로 맞이했다.
신제이는 도바 상황의 첫 번째 총신인 후지와라노 이에나리와 동년배로 친밀한 관계였으며, 이에나리를 통해 타이라노 타다모리・키요모리 부자와도 교류가 있었다고 전해진다.[2]
신제이가 처음 관직에 오른 것은 1124년 츄궁 쇼신(츄궁・후지와라노 쇼시) 때였다(『에이쇼키』4월 23일 조). 같은 해 11월 쇼시의 인고 선하에 따라 대현문원 쿠로도에 임명되었다. 쇼시의 아들인 스토쿠 천황의 로쿠이노쿠로도도 맡았지만, 1127년 서작하여 쿠로도의 임무를 해제했다. 이 해, 두 번째 아내인 후지와라노 아사코가 도바 상황의 4번째 황자인 마사히토 친왕(후의 고시라카와 천황)의 유모로 선택되었다.
산위가 된 신제이는 1133년경부터 도바 상황의 호쿠멘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당대 최고의 박식함을 무기로 인덴조닌, 인판간다이로 지위를 높여갔다. 그 후 휴가수로 임명됨과 함께, 『호소루이린』 편찬도 진행했다.
신제이의 소원은 증조부・조부의 뒤를 이어 대학료의 직책(대학두・몬죠하카세・시키부 다이후)에 취임하여 학문 가계로서의 명성을 부흥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세습화가 진행된 당시의 귀족 사회 구조에서는 다카시나 씨의 호적에 들어간 신제이는 그 시점에서 사네노리・스에쓰나의 뒤를 이을 자격을 박탈당해 대학료 관직에 취임할 수 없었다. 또한 실무 관료로서 재능을 살리려고 해도, 상황의 정무 보좌는 간슈지류 후지와라 씨가 독점하고 있었다.
2. 2. 도바 상황과의 관계
신제이는 도바 상황의 첫 번째 총신인 후지와라노 이에나리와 동년배로 친밀한 관계였으며, 이에나리를 통해 타이라노 타다모리・키요모리 부자와도 교류가 있었다고 전해진다[2]. 덴지 원년(1124년) 츄궁 쇼신(츄궁・후지와라노 쇼시)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11월 쇼시의 인고 선하에 따라 대현문원 쿠로도에 보임되었다. 쇼시의 아들인 스토쿠 천황의 로쿠이노쿠로도도 맡았지만, 다이지 2년(1127년)에 서작하여, 쿠로도의 임무를 해제했다. 이 해, 두 번째 아내인 후지와라노 아사코가 도바 상황의 4번째 황자인 마사히토 친왕(후의 고시라카와 천황)의 유모로 선택되었다.산위가 된 신제이는 초쇼 2년(1133년)경부터 도바 상황의 호쿠멘으로 시후하며, 당세 무쌍의 굉재 박람으로 칭해진 박식을 무기로 인덴조닌, 인판간다이로 그 지위를 상승시켜 갔다. 그 후 휴가수로 임명됨과 함께, 『호소루이린』의 편찬도 행하고 있다.
2. 3. 출가
신제이는 출가에 대한 뜻을 굳건히 하여 1143년 7월 22일(8월 22일)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신제이라는 법명은 이때부터 사용되었다. 출가 후에도 신제이는 속세를 완전히 떠날 마음이 없었으며, "옷을 갈아입는 옷의 색은 이름뿐이어서 마음을 물들이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을 생각하네"(衣がへの色は名のみぞ思ひそむる事ならなくに|고로모가에노 이로와 나노미조 오모이소무루 고토나라나쿠니일본어)라고 그 심경을 노래했다.(月詣和歌集|게쓰모데와카슈일본어)2. 4. 호겐의 난
1155년(구주 2년) 고노에 천황이 붕어하고, 후계 천황을 결정하는 왕자 의정이 열렸다. 후보로는 시게히토 친왕이 가장 유력했지만, 비후쿠몬인의 또 다른 양자인 모리히토 친왕(후의 니조 천황)이 즉위할 때까지의 과도기로서, 그 아버지인 마사히토 친왕이 태자가 되지 않은 채 29세에 즉위하게 되었다(고시라카와 천황).[3]1156년(호겐 원년) 7월, 도바 법황이 붕어하자 신제이는 그 장례를 주관했고, 곧 이어진 호겐의 난에서는 대립 세력인 스토쿠 상황·후지와라노 요리나가를 거병으로 몰아넣고,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야습 헌책을 적극 채택하여 고시라카와 천황 측에 승리를 가져다주었다.
난 후, 신제이는 약자의 변을 마지막으로 공적으로는 행해지지 않았던 사형을 부활시켜 미나모토노 타메요시 등의 무사를 처단했다. 또한 셋칸가의 약체화와 천황친정을 진행하고, 호겐 신제를 정하고, 기록장원권계소를 부활시켜 장원의 정리를 하는 등, 막대한 권력을 휘둘렀다.
2. 5. 권력 장악과 정책
후지와라노 노부요리를 비롯한 인세이파와 오이노미카도 쓰네무네, 하무로 고레카타 등의 친정파는 정치 노선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신제 타도라는 목표 아래 힘을 합쳤다.[5] 노부요리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를 휘하에 두고 니조 천황과 가까웠던 미나모토노 미쓰야스까지 끌어들여 군사력을 강화했다. 한편, 최대 군사 귀족이었던 타이라노 키요모리는 신제와 노부요리 양측 모두와 혼인 관계를 맺고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며 친정파와 인세이파 양쪽 모두와 거리를 두었다.
헤이지 원년(1159년) 12월,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구마노 참배를 떠나 도읍이 비워진 틈을 타 반(反) 신제파는 인(院)의 산조전을 습격했다.
신제는 위기를 미리 감지하고 야마시로국 다와라로 피신했다. 그는 낭당에게 명하여 대나무 통으로 숨구멍을 낸 상자를 흙 속에 묻고 그 안에 숨었으나, 낭당을 심문하여 알아낸 추격대에 의해 발각되었다. 상자가 파헤쳐질 때 신제는 스스로 목을 찔러 자결했으며, 향년 55세였다. 당시 그의 눈은 움직이고 있었고 숨도 쉬고 있었다고 한다.[6] 추격대는 신제의 목을 베어 교토로 돌아와 효수했다. 신제의 아들들 역시 노부요리의 명에 따라 유배되었다.
2. 6. 헤이지의 난과 최후
헤이지 원년(1159년) 12월, 타이라노 키요모리가 구마노 참배에 나서 교토에 군사적 공백이 생긴 틈을 타 반(反) 신제 파가 인(仁) 어소의 산조전을 습격했다.[5] 신제는 사전에 위기를 감지하고 야마시로 국 다와라로 피난하여 낭당에게 명령하여 대나무 통으로 공기 구멍을 내고 흙 속에 묻은 상자 안에 숨어 있었다. 하지만 낭당을 심문한 추격대에 발견되었고, 상자를 파냈을 때 스스로 목을 찔러 자해했다. 향년 55세. 파냈을 때는 눈이 움직이고 숨도 쉬고 있었다고 한다.[6] 추격대는 신제의 목을 베어 교토로 돌아와 효수했다. 신제의 아들들 또한 노부요리의 명령에 의해 유배되었다.
신제는 학문에 뛰어나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와 함께 당대 최고의 석학으로 알려졌다. 『이마카가미』에서도 그의 재능을 극찬했지만, 음양도 집안 출신도 아닌데 천문학에 통달한 탓에 재앙을 받았다고 평했다.
3. 저작
- 본조세기
- 법조류림
- 일본기주
4. 평가 및 영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5.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平安の春
講談社学術文庫
[3]
논문
保元の乱の関白忠通
思文閣出版
[4]
논문
平治の乱における藤原信頼の謀叛
吉川弘文館
[5]
서적
保元の乱・平治の乱
吉川弘文館
[6]
문서
平治物語
[7]
웹사이트
阿波内侍 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12-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