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잔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잔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노선으로, 센다이역에서 우젠치토세역을 거쳐 야마가타역까지 운행한다. 1067mm 궤간의 단선 전철 노선으로, 특수자동폐색식(궤도회로검지식) 폐색 방식을 사용하며, 센다이 종합 지령실에서 관리된다. 1936년 눈사태로 인한 사고, 교류 전철화 시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운행 중단 등 다양한 역사를 거쳤으며, 쾌속 열차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센다이와 아이코 구간은 도시 근교 노선, 아이코 이후는 전원 지역 노선으로 성격이 다르며, 센다이역 7·8번선에서 출발한다. E721계 전동차가 주로 운행되며, 과거에는 455계, 701계, 719계 등의 차량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가타현의 철도 -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 신칸센은 야마가타현 지역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도호쿠 신칸센 직결 운행 노선으로, 후쿠시마역에서 야마가타역을 거쳐 신조역까지 이어지며 '쓰바사'라는 이름으로 E3계 및 E8계 열차가 운행되고 있고, 현재 후쿠시마역 연결 방식 개선 및 신형 차량 도입 등의 개선 계획이 진행 중이다. - 야마가타현의 철도 - 오우 본선
오우 본선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역에서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역을 잇는 JR 동일본/화물 노선으로, 표준궤/협궤 혼용, 전철화 구간, 신칸센 환승 등의 특징을 가진 총 연장 486.3km의 철도 노선이다. - 미야기현의 철도 - 오후나토선
오후나토선은 이와테현의 이치노세키시와 오후나토시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동일본 대지진 피해와 이용객 감소로 일부 구간이 폐선 및 BRT로 대체되어 현재는 이치노세키역에서 모리역 구간만 운행 중이다. - 미야기현의 철도 - 리쿠우토선
리쿠우토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미야기현 고고타역과 야마가타현 신조역을 잇는 94.1km의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1917년 개통 이후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의 교통을 담당하며 27개 역을 운영하고 다양한 온천 지역과 관광지를 연결한다. - 센잔선 - 센다이역 (미야기현)
센다이역은 1887년 도호쿠 본선 역으로 개업하여 도호쿠 신칸센 등 여러 노선이 운행되는 미야기현 센다이시의 중요한 교통 허브이며, 지상 4층, 지하 4층 규모로 JR 동일본, 센다이 공항 철도, 센다이 시영 지하철 노선이 운행되고 역 주변은 상업 지구를 형성한다. - 센잔선 - 우젠치토세역
우젠치토세역은 야마가타현 야마가타시에 위치한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오우 본선과 센잔 선이 지나가는 1면 2선의 고가 섬식 승강장 무인역이며, 센잔 선은 이 역이 종점이지만 모든 열차가 야마가타역까지 운행하고, 궤간이 다른 두 노선의 평면 교차가 존재하며 역 주변에는 야마가타 국제 교류 플라자 등의 시설이 있다.
센잔선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센잔 선 |
노선 색상 | #72bc4a |
노선 로고 | [[파일:JR logo (east).svg|25px]]JR East |
노선 종류 | 보통 철도 (재래선・간선) |
노선 상태 | 운행 중 |
소재지 | 미야기현, 야마가타현 |
기점 | 센다이역 |
종점 | 우젠치토세역 |
역 수 | 18역 |
전보 약호 | 세사세 |
개업일 | 1929년 9월 29일 |
전 구간 개통일 | 1937년 11월 10일 |
소유자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운영자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사용 차량 | E721계 |
노선 길이 | 58.0 km |
궤간 | 1,067 mm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교류 20,000 V・50 Hz 가공 전차선 방식 |
최대 구배 | 33.0 ‰ |
폐색 방식 | 특수 자동 폐색식 (궤도 회로 검지식) |
보안 장치 | ATS-Ps (센다이역 - 아이코역 간) ATS-SN (아이코역 - 우젠치토세역 간) |
최고 속도 | 95 km/h |
노선도 | [[파일:철도노선도 JR센잔선.svg|300px]] |
노선 이미지 | |
![]() | |
지도 정보 | |
![]() | |
일본어 표기 | |
일본어 이름 | 仙山線 |
센다이 (仙台) | 센다이 |
야마가타 (山形) | 야마가타 |
기타 정보 | |
영어 이름 | Senzan Line |
2. 노선 정보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의 현청 소재지인 센다이시와 야마가타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일본 최초로 교류 방식의 전철화를 도입한 노선이다.
기점인 센다이역에서는 도호쿠 신칸센 및 도호쿠 본선에, 종점인 우젠치토세역에서는 오우 본선에 접속하고 있다. 우젠치토세역 이후로 모든 열차가 오우 본선의 야마가타역까지 직통 운전하므로, 운행 계통으로서의 센잔선은 오우 본선 우젠치토세 - 야마가타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이 구간에는 궤간이 다른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선용의 복선 선로와는 달리 센잔선용으로 독립된 단선 협궤가 있다. 아테라자와선도 협궤이기 때문에 기타야마가타 - 야마가타 구간은 아테라자와선 열차도 운행한다.
센잔선 전 구간이 센다이 시내와 야마가타 시내에 있으며, 오쿠닛카와 - 센잔 터널 사이는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일부를 지나지만 역이나 신호장 등의 시설이 없어서, 역은 모두 센다이시 아오바구와 야마가타시에만 있다. 도중에 다른 시정촌을 통과하는 일 없이 현청 소재지끼리 연결해주는 노선 중에서도 양 도시 간만 연결하는 JR 노선은 센잔선이 유일하다.[7]
1972년부터 센다이 시내 구간은 특정도구시내 대상 노선이 되었다. 2003년부터 센다이 도심부와 아야시 부도심을 묶는 센다이 - 아야시 구간이 IC 카드 Suica의 센다이 구간에 포함되었고, 2004년부터는 센다이 - 야마데라 구간이 '센다이 마루고토 패스' 적용 구간이 되었다. 센잔선의 각종 안내 표지 등에 이용되는 노선 색은 황녹색이다.
- 관할: 동일본 여객철도
- 구간 (영업 거리 기준): 센다이 - 우젠치토세 58.0 km[4]
- 궤간: 1067mm[4]
- 역 수: 18 (기점·종점역 포함)[11]
- 복선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4]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교류 20000V·50 Hz)
- 최대 경사: 33.0‰
- 폐색 방식: 특수 자동 폐색식 (궤도 회로 검지식)
- 안전 장치
- ATS-Ps (센다이역 ~ 아이코역 간)[6]
- ATS-SN (아이코역 ~ 우젠치토세역 간)[6]
- 최고 속도: 95km/h
- 대도시 근교 구간: 전 구간 (센다이 근교 구간)
- 특정 도구 시내: 센다이역 ~ 오쿠니이카와역 간 (센다이 시내)
- IC 카드 이용 가능 구간: 센다이역 ~ 아이코역 간·사쿠나미역·야마데라역·우젠치토세역 (Suica 센다이 지역)
3. 역사
센잔선은 미야기현의 현청 소재지인 센다이와 야마가타현의 현청 소재지인 야마가타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일본 최초로 교류 방식의 전철화를 도입한 노선이다.[1]
센다이역에서는 도호쿠 신칸센 및 도호쿠 본선에, 종점인 우젠치토세역에서는 오우 본선에 접속한다. 우젠치토세역 이후 모든 열차가 오우 본선의 야마가타역까지 직통 운전하므로, 운행 계통으로서의 센잔선은 오우 본선 우젠치토세-야마가타 구간을 포함한다. 이 구간에는 궤간이 다른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선용의 복선 선로와는 달리 센잔선용으로 독립된 단선 협궤가 있다. 아테라자와선도 협궤이기 때문에 기타야마가타역-야마가타 간은 아테라자와선 열차도 운행한다.
센잔선 전 구간은 센다이 시내와 야마가타 시내에 있으며, 오쿠닛카와역-센잔 터널 사이는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일부를 지나지만 역이나 신호장 등의 시설이 없어, 역은 모두 센다이시 아오바구와 야마가타시에만 있다. 도중에 다른 시정촌을 통과하는 일 없이 현청 소재지끼리 연결해주는 노선 중에서도 양 도시 간만 연결하는 JR 노선은 센잔선이 유일하다.
현 경계 부분은 경사가 급한 산악 구간인데, 가을에는 차창으로부터 단풍을 볼 수 있는 반면에 낙엽에 의해서 바퀴가 헛돌아 열차가 지연되기 쉽다. 바퀴가 헛도는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낙엽 쓰는 열차'를 주행하는 일이 있다. 이전에는 센다이 차량 센터 소속의 ED78형 전기 기관차를 이용했으나, 후에는 ED75형 전기 기관차로 변경되었다. 근년엔 고리야마 종합 차량 센터 소속의 DE10형 디젤 기관차가 사용되고 있다.
센다이와 야마가타를 철도로 연결하려는 논의는 메이지 시대 후반부터 있었다.[12][13] 그러나 이 두 현청 소재지 사이에는 오우 산맥이 있어, 여러 고개가 철도 노선의 경로로 고려되었고,[13] 관계 시정촌이 각각의 이해관계에 따라 유치 활동을 벌였다.[14][15][16][17][18]
1922년 4월 11일에 공포, 시행된 철도 부설법의 별표에 센잔선이 규정되었고, 1923년 착공이 결정되었다.[19][20] 그러나 간토 대지진으로 인해 건설 전망은 희박해졌지만, 1925년부터 착공이 다시 결정되었다.[21]
센잔선 건설은 1926년 4월에 미야기현 측에서 시작되었다.
년 | 센잔선 | 비고 | |||
---|---|---|---|---|---|
(구)센잔서선 | (오우산맥) | (구)센잔동선 | |||
우젠치토세역 - 야마데라역 | 야마데라역 - 사쿠나미역 | 사쿠나미역 - 아이코역 | 아이코역 - 센다이역 | ||
1926년 | style="background-color:#ccc"| | style="background-color:#ccc"| | 착공 | ||
1929년 | style="background-color:#ccc"| | style="background-color:#ccc"| | 비전철화 | 센잔 동선 1기 개업 | |
1931년 | style="background-color:#ccc"| | style="background-color:#ccc"| | 비전철화 | 센잔 동선 2기 개업 | |
1932년 | 착공 | style="background-color:#ccc"| | |||
1933년 | 비전철화 | style="background-color:#ccc"| | 센잔 서선 개업 | ||
1935년 | 착공 | 전선 사업화 | |||
1937년 | 직류 전철화 | 센잔선 전선 개통 | |||
1957년 | 교류 전철화 | 교류 전철화 | 일본 최초의 교류전철화 영업 운전 개시 | ||
1960년 | 직류 전철화 | 일본 최초의 교직류 전차 영업 운전 개시 | |||
1968년 | 교류 전철화 | 교류 전철화 | 전선 교류 전철화 | ||
1984년 | ← 구간 열차 → | 구·동선(1기)에 구간 열차 운행 개시 |
1937년 전선 개통 당시, 오우 산맥을 횡단하는 야마데라-사쿠나미 구간은 직류 전철화되었고, 전기 기관차가 운행했다.[14]
국철은 1953년 교류전철화에 의한 철도 운행 실현을 목표로 했고, 1954년 센잔선 기타센다이-사쿠나미 구간이 교류전철화 시험선으로 지정되었다. 1957년에는 교류전철화 구간이 센다이까지 확대되었고, 같은 해 7월부터 교류전철화를 이용한 화물 열차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 9월에는 일부 여객 열차 영업 운행에도 사용되기 시작했고, 10월에는 모든 열차 운행이 전기 기관차에 의한 것이 되었다.[34]
야마데라-우젠치토세 간은 1960년 일단 직류 전철화되었지만, 1968년 센잔선 전선이 교류 전철화로 통일되었다.[28][38]
3. 1. 주요 사건
1929년 9월 29일: 센잔 동선 센다이-아이코 간(15.2km) 운행 개시. 기타센다이, 리쿠젠오치아이, 아이코 역 신설.[13]1931년 8월 30일: 센잔 동선 아이코-사쿠나미 간(13.5km) 연장 개통. 리쿠젠시라사와, 쿠마가네, 사쿠나미 역 신설.[13]
1933년 10월 17일: 센잔 서선 우젠치토세-야마데라 간(9.3km) 운행 개시. 타테야마, 야마데라 역 신설.[13][27]
1937년 11월 10일: 사쿠나미-야마데라 간(20.0km) 개통으로 센잔선 전 구간 연결. 사쿠나미-야마데라 간 직류 전철화(1,500V). 오쿠니카와 역, 오모시로야마 신호장, 야츠모리, 오모시로야마 임시역 개업.[1]
1950년 7월 1일: 타카세 역 개업.
1955년 8월 10일: 리쿠젠오치아이-쿠마가네 간 교류 전철화(20kV 50Hz).
1957년 9월 5일: 센다이-리쿠젠오치아이, 쿠마가네-사쿠나미 간 교류 전철화(20kV 50Hz). ED45(ED91) 전기 기관차 운행 개시.
1960년 11월 1일: 야마데라-우젠치토세(-야마가타) 간 직류 전철화(1,500V). 준특급 '아사히', '갓산' 운행 개시.
1963년 10월 1일: 준특급 '센잔' 운행 개시.
1966년 3월 5일: '아사히', '갓산' 특급 승격.
1968년 9월 8일: 사쿠나미-우젠치토세(-야마가타) 간 교류 전철화(20kV 50Hz) 전환. ED78 전기 기관차 운행 개시.
1968년 10월 1일: 준특급 '센잔' 특급 승격.
1971년: 쿠마가네 역 무인화.
1978년 10월 2일: 특급 '센잔' 아이아시 역 정차.
1982년 5월 1일: 특급 '아사히' '베니바나'로 개칭.
1982년 11월 15일: 특급 '센잔' 쾌속 변경. 특급 '갓산' 센잔선 운행 종료.
1984년 2월 1일: 기타야마, 쿠니미 역 개업. 아이아시 역 3번 승강장 신설.[2]
1985년 3월 14일: CTC 도입.[3] 리쿠젠오치아이, 리쿠젠시라사와, 사쿠나미, 오쿠니카와, 타테야마 역 무인화.
1987년 3월 21일: 니시센다이 하이랜드 역 임시 개업.
1987년 4월 1일: 센잔선 JR 동일본, JR 화물 관할.
1988년 3월 13일: 오모시로야마 임시역 정식 역 승격, 오모시로야마 고원역으로 개칭.
1988년 11월 18일: 도쇼구 역 개업.
1990년 3월 10일: 719계 전동차 투입.
1991년 3월 16일: 쿠즈오카 역 개업.
1991년 8월 27일: 야마가타 신칸센 건설로 특급 '츠바사' 센잔선 경유 운행.
1992년 7월 1일: 야마가타 신칸센 완공, 센잔선 경유 특급 '츠바사' 운행 종료.
1993년 12월 1일: 특급 '쓰가루' 운행 종료.
1998년 10월: 화물 운송 일시 중단.
1999년 12월: 야마가타 신칸센 확장, 우젠치토세까지 센잔선 복선화.
2001년 4월 1일: 쾌속 '센잔' 주말 열차 '홀리데이 센잔'으로 개칭. 455계 전동차 대체, 719계 전동차 투입.[49]
2001년 12월 1일: 센다이-아이아시 간 ATS-Ps 도입.
2002년 4월 1일: 센잔선 화물 운송 종료.
2004년 10월 16일: 쾌속 열차 명칭 '센잔', '홀리데이 센잔' 폐지. 쿠니미, 리쿠젠오치아이, 우젠치토세역 정차 횟수 증가.
2007년 3월 18일: 도호쿠 후쿠시대마에 역 개업.
2014년 3월 15일: 니시센다이 하이랜드, 야츠모리 역 폐지.[51]
2024년 3월 16일: 우젠치토세역에서 Suica 서비스 개시.[59]
4. 운행 형태
센잔선은 센다이-야마가타 구간을 운행하며, 우젠치토세역-야마가타역 구간은 오우 본선으로 직결 운행한다. 1999년 야마가타 신칸센이 신조역까지 연장되면서 오우 본선 복선 중 한 선로가 표준궤로 개궤되었고, 나머지 한 선로는 센잔선과 아테라자와선 운행을 위해 협궤로 남았다. 이로 인해 센다이-야마가타 전 구간은 사실상 독립된 단선 노선이 되었다. 센다이 근처는 이용객이 많아 하루 종일 4량 또는 6량(아침의 701계 운용만 2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1937년 전선 개통 당시 첫 열차는 상·하행 모두 2시간 30분대로 운행되어 양 도시 간 이동에서 당시 최고 속도였다. 이후 일본 최초의 교류 전철화 등 기술 혁신으로 소요 시간은 단축되었다. 1990년에는 최고 속도를 95km/h까지 올려 센다이-야마가타 간 무정차 특별 쾌속 '센잔'의 소요 시간을 51분까지 단축했으나, 1998년 야마가타 자동차도 개통 이후 무정차 운행은 중단되어 최단 소요 시간은 점차 길어졌다.
사쿠나미 온천과 마쓰오 바쇼의 오쿠노호소미치로 유명한 야마데라(야마데라역) 등으로의 여행 수요와 스키 시즌 오모시로야마 등으로 가는 유일한 교통 수단이 열차이기 때문에 관광 시즌에는 승객 수가 많다.
과거에는 도호쿠 본선 선로를 이용하는 열차가 더 많았지만, 최근 감소하여 현재 센잔선과 도호쿠 본선 선로를 공유하는 열차는 두 대뿐이다. 하나는 사쿠나미역에서 센다이역까지 운행하는 센잔선 2832M 열차가 센다이역에서 1428M으로 열차 번호를 바꿔 도호쿠 본선 이와누마역까지 운행한다. 다른 하나는 시로이시역에서 출발하는 도호쿠 본선 425M 열차가 센다이역에서 1831M으로 열차 번호를 바꿔 센잔선 아야시역까지 운행한다. 사쿠나미역-이와누마역 구간 열차는 토요일과 일요일에만 운행한다.
1960년 센잔선에 준급열차가 등장했다. 센다이역과 니가타역을 잇는 준급 「아사히」, 센다이역과 사카타역을 잇는 준급 「가쓰야마」가 1왕복 운행했다. 1963년에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잇는 준급 「센잔」 3왕복이 운행을 시작했다. 이들 준급열차는 모두 나중에 급행열차가 되었다.[19]
1985년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무정차로 잇는 특급 「센잔」 1왕복이 등장했다. 1990년 설비 개량으로 최고 속도가 95 km/h로 올라가 무정차 열차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51분 만에 연결했다.[19] 1998년 12월 무정차 「센잔」은 없어졌고, 이후 급행 열차의 정차역은 확대되었다.[19] 2001년 토요일·휴일에 중간 정차역을 야마데라역과 기타센다이역으로 한정한 특급 「홀리데이 센잔」이 탄생했지만,[19] 2003년 폐지되었다.
버블 경제 이후 전 노선 이용객 감소 추세 속에서 2004년부터 도호쿠 자동차도·야마가타 자동차도 경유 고속버스 「센다이-야마가타선」의 증편 및 운임 경쟁으로 여객 쟁탈전이 벌어졌다.[41] 센잔선은 W티켓 왕복 이용 시 고속버스보다 저렴하며, 연선에 입석사(야마데라역)와 사쿠나미 온천 등 명승지, 센다이 시내 여러 교육기관이 있어 최근 경쟁하는 고속버스와 거의 대등한 이용객 수를 보인다. 폭설로 인한 운휴가 적은 센잔선은 동계 운휴가 많은 야마가타 신칸센의 우회 노선으로도 기능하여 전체 이용객 수는 감소세가 멈추고 있다.
4. 1. 쾌속 열차
센다이-야마가타 구간을 운행하는 쾌속 열차는 하행 3편, 상행 4편이 운행된다.과거에는 다양한 정차역 패턴이 있었고, 헤이세이 시대에는 시간표 개정 때마다 정차역 패턴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았다. 과거에는 6종류의 정차역 패턴으로 운행했던 시기도 있었다. 이후 일부 쾌속열차가 정차했던 역이었던 리쿠젠시라사와, 구마가네, 오쿠니카와, 오모로야마 고원역이 모두 통과역이 되었다.[60]
2023년 3월 18일 시간표 개정에 따라 패턴이 통일되었고, 이용객이 많은 센다이-아이코 구간에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61] 또한, 일부가 보통열차로 전환됨에 따라 쾌속열차 운행 편수가 14편에서 7편으로 절반으로 감소했으며, 다카세역과 다테야마역 2개 역에 정차하는 노선은 없어졌다.
1960년(쇼와 35년)에는 센잔선에 준급열차가 등장했다. 센다이역과 니가타역을 잇는 준급 「아사히」와 센다이역과 사카타역을 잇는 준급 「가쓰야마」였다. 이 두 준급 열차는 센잔선에서 겹쳐 운행했으며, 1왕복이 설정되어 있었다. 1963년(쇼와 38년)에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잇는 준급 「센잔」 3왕복이 운행을 시작했다. 이들 준급 열차는 모두 나중에 급행열차가 되었다.[19]
1982년(쇼와 57년) 11월 15일에는 급행 「센잔」이 쾌속으로 전환되었다. 1985년(쇼와 60년)에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논스톱으로 잇는 특급 「센잔」 1왕복이 등장했다. 1990년(헤이세이 2년)에는 설비 개량으로 최고 속도가 95 km/h로 올라가 논스톱 열차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51분 만에 연결했다.[19] 그러나 1998년(헤이세이 10년) 12월에 논스톱 「센잔」은 없어졌고, 이후 급행 열차의 정차역은 확대되었다.[19] 2001년(헤이세이 13년)에는 토요일·휴일에 중간 정차역을 야마데라역과 기타센다이역으로 한정한 특급 「홀리데이 센잔」이 탄생했지만,[19] 2003년(헤이세이 15년)에 폐지되었다.
2004년 10월 16일에는 쾌속 「센잔」「홀리데이 센잔」의 애칭이 폐지되었다. 이 개정으로 쾌속 열차의 정차역에 새롭게 구니미, 리쿠젠오치아이, 우젠치토세가 추가되었다.
4. 2. 보통 열차
운행 계통은 센다이 - 야마가타 간이며, 우젠치토세역 - 야마가타역 간에서는 오우 본선으로 연장 운행한다. 이 구간은 1999년에 야마가타 신칸센이 신조역까지 연장됨에 따라 오우 본선의 복선 중 한 선로가 표준궤로 개궤되고, 나머지 한 선로는 센잔선 및 아테라자와선 열차 운행을 위해 협궤로 남았다. 그 결과, 센다이-야마가타 전 구간은 사실상 독립된 단선 노선이 되었다. 센다이 근처는 이용객이 많아 열차는 하루 종일 4량 또는 6량(아침의 701계 운용만 2량) 편성으로 운전된다.1937년 전선 개통 당시 첫 열차는 상행이 야마가타에서 5시 25분에 출발하여 센다이에 7시 57분에 도착(2시간 32분 소요), 하행이 센다이에서 5시 58분에 출발하여 야마가타에 8시 34분에 도착(2시간 36분 소요)하는 등 양 도시 간 이동에서 당시 최고 속도였다. 이후 일본 최초의 교류 전철화 등 기술 혁신으로 소요 시간은 단축되었다. 1990년에는 최고 속도를 95km/h까지 올려 센다이-야마가타 간 무정차 특별 쾌속 '센잔'의 소요 시간을 51분까지 단축했다. 그러나 1998년 야마가타 자동차도의 사사야 터널 완공 이후 '센잔'은 더 이상 무정차 운행을 하지 않게 되어 최단 소요 시간은 점차 길어졌다.
사쿠나미 온천과 마쓰오 바쇼의 오쿠노호소미치로 유명한 야마데라(야마데라역) 등으로의 여행 수요가 많다. 또한 스키 시즌에는 오모시로야마 등으로 가는 유일한 교통 수단이 열차이기 때문에 관광 시즌에는 승객 수가 매우 많다.
과거 임시역이었던 니시센다이 하이랜드역은 2004년 10월부터, 야쓰모리역은 2003년 6월부터 정차하지 않고 있으며, 두 역 모두 2014년 3월 14일에 폐지되었다.[1]
센잔선과 도호쿠 본선 선로를 공유하는 열차는 두 대뿐이다. 하나는 사쿠나미역에서 센다이역까지 운행하는 센잔선 2832M 열차로, 센다이역에서 1428M으로 열차 번호를 바꿔 도호쿠 본선 선로를 이용하여 이와누마역까지 운행한다. 다른 하나는 시로이시역에서 출발하는 도호쿠 본선 425M 열차로, 센다이역에서 1831M으로 열차 번호를 바꿔 센잔선 선로를 이용하여 아야시역까지 운행한다. 사쿠나미역~이와누마역 구간 열차는 토요일과 일요일에만 운행한다. 과거에는 도호쿠 본선 선로를 이용하는 열차가 더 많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감소하여 현재는 두 대만 남았다.
1960년에는 센잔선에 준급열차가 등장했다. 센다이역과 니가타역을 잇는 준급 「아사히」와 센다이역과 사카타역을 잇는 준급 「가쓰야마」가 그것으로, 센잔선에서 겹쳐 운행했으며 1왕복이 설정되어 있었다. 1963년에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잇는 준급 「센잔」 3왕복이 운행을 시작했다. 이들 준급열차는 모두 나중에 급행열차가 되었다.[19]
1985년에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무정차로 잇는 특급 「센잔」 1왕복이 등장했다. 1990년에는 설비 개량으로 최고 속도가 95 km/h로 올라가 무정차 열차는 센다이역과 야마가타역을 51분 만에 연결했다.[19] 1998년 12월에 무정차 「센잔」은 없어졌고, 이후 급행 열차의 정차역은 확대되었다.[19] 2001년에는 토요일·휴일에 중간 정차역을 야마데라역과 기타센다이역으로 한정한 특급 「홀리데이 센잔」이 탄생했지만,[19] 2003년에 폐지되었다.
버블 경제 이후, 전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2004년부터 도호쿠 자동차도·야마가타 자동차도를 경유하여 센다이-야마가타 간을 잇는 고속버스 「센다이-야마가타선」의 증편 및 운임 경쟁으로 인한 여객 쟁탈전도 벌어졌다.[41] 센잔선은 W티켓으로 왕복 이용하면 고속버스보다 저렴하여 가격 경쟁력이 있다. 또한, 연선에 입석사(야마데라역)와 사쿠나미 온천 등의 명승지가 있고, 센다이 시내에 여러 교육기관이 있어 최근에는 경쟁하는 고속버스와 거의 대등한 이용객 수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폭설로 인한 운휴가 적은 센잔선은, 동계 운휴가 많은 야마가타 신칸센의 우회 노선으로도 기능하고 있어, 전체 이용객 수는 감소세가 멈추고 있다.
4. 2. 1. 센다이 - 아야시 구간
지역 열차는 센다이-야마가타, 센다이-사쿠나미, 센다이-아야시의 3개 노선이 있다.센다이-사쿠나미 구간의 지역 열차는 아침에만 운행하며, 센다이 방면 2편, 사쿠나미 방면 1편이 있다. 이 구간은 센다이 시의 중심 교외 지역에 위치해 있어 통근객이 많으며, 일반적으로 센다이-아야시 구간에는 시간당 2~4편의 열차가 운행된다. 과거 아야시에서 센다이 방면으로 운행하는 열차는 적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증편되었다. 이 구간은 복선 구조이며, 주요 환승역은 기타센다이역, 구니미역, 리쿠젠오치아이역이다. 현재 일부 구간의 고가화 공사가 진행 중이며, 신이시노마키 고속도로 건널목 부근에 새로운 역을 건설할 계획이 있다.
센다이역과 동조궁(東照宮) 사이에는 과거 도호쿠 본선 오다와라히가시초역(1944년 운행 중지) 부근(기린맥주 부지)에 신역을 설치하는 계획이 몇 차례 제기되었으며, 1986년 12월에는 센다이시의회(仙台市議会)에 오다와라역(小田原駅)(가칭)이 청원되었지만, 2020년 현재 오다와라히가시초역의 재개통 또는 오다와라역(가칭)의 신역 개업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다.
아오바구(青葉区) 나카에(中江) 부근부터 기타센다이역까지를 고가화하고, 신이시마키가도(新石巻街道) 건널목 부근에 신역(나카에역(中江駅))을 설치하는 구상도 있다. 고가화 계획에 대해서는 동조궁(東照宮) 부근의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지역 주민들의 반발도 있다. 센다이시의회(仙台市議会) 의사록에 있는 의원과 센다이시 당국의 발언을 종합하면, 나카에(中江) 부근의 입체 교차에 대해서는 JR도 동의하고 있으므로 시기는 미정이지만 건설될 전망이다. 한편, 복선화는 어렵다고 한다.
아이코역과 리쿠젠시라사와역 사이에 마쓰바라역(松原駅)(가칭)을 지역 청원역으로 설치하는 구상이 있지만, 이용객 수와 채산성 등의 문제로 JR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운행 계통은 센다이역 - 야마가타역 구간이며, 우젠치토세역 - 야마가타역 구간에서는 오우 본선에 직결 운행한다. 우젠치토세역 - 야마가타역 구간은 1999년 야마가타 신칸센의 야마가타역 - 신조역 구간 연장에 따라 복선인 오우 본선 중 한 선로가 협궤(軌間 1,067 mm)에서 표준궤(軌間 1,435 mm)로 개궤되었고, 동시에 나머지 한 선로는 센잔선·사와선의 직결 운행용으로 협궤 상태로 남게 되었다. 그 이후로 사실상 센다이역 - 야마가타역 구간 전체에서 독립적인 단선을 갖는 노선이 되었다. 센다이역에 가까워질수록 주간에도 이용객이 증가하기 때문에, 열차는 종일 4량 또는 6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따라서 무인 운전으로 운행되는 경우는 전혀 없다.
시간당 2~4편의 열차가 운행된다. 센다이 근교 구간이며 통근·통학 이용객이 많아 센다이권 JR 재래선에서는 도호쿠 본선(시로이시 - 센다이 간)에 이어 두 번째로 수요가 많은 구간이다.[62][63]
1984년 2월 1일 시행된 다이어 개정으로 센다이역 - 아이즈역 간에 기타야마역과 구니미역이 개업하면서 아이즈역에 3번선 승강장을 설치하고 해당 구간에 구간 열차를 설정하였다.[28] 이에 따라 해당 구간의 보통 열차 편수가 급증하여 다이어 개정 때마다 증편이 반복되었다.[28] 하지만 이 구간은 최대 경사 25퍼밀[28]의 단선인 데다, 열차 교행이 가능한 역이 기타센다이역, 구니미역, 리쿠젠오치아이역뿐이어서 증편이 어려워지고 있다. 센다이역 - 기타센다이역 간 고가화 계획이 있지만, 동조궁 부근의 경관 악화가 과제가 되어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64]
4. 2. 2. 아야시 - 야마가타 구간
우젠치토세역과 야마가타역 사이의 오우 본선을 경유하여 야마가타역으로 향하는 모든 열차는 야마가타역까지 직통 운행한다. 지역 열차는 센다이~야마가타, 센다이~사쿠나미, 센다이~아야시의 3개 노선이 있다.센다이~사쿠나미 구간의 지역 열차는 아침에만 운행하며, 센다이 방면 2편, 사쿠나미 방면 1편이 있다. 토요일/주말 운행 계획 폐지 전에는 사쿠나미에서 출발하여 니시센다이 하이랜드에 정차하는 토요일/주말 왕복 열차가 1편 운행되었으나, 2004년 이후로 니시센다이 하이랜드 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보통열차는 쾌속열차 운행 계획에 맞춰 운행된다. 그러나 사쿠나미 온천과 마쓰오 바쇼의 오쿠노호소미치로 유명한 야마데라 사찰로의 여행이 인기가 많다. 또한 스키 시즌에는 오모시로야마와 같은 곳으로 가는 유일한 방법이 열차이며, 관광 시즌에는 승객 수가 매우 많다.
임시역이 두 곳 있지만, 니시센다이 하이랜드 역은 2004년 10월부터, 야츠모리 역은 2003년 6월부터 정차하지 않고 있다. 이 두 역은 2014년 3월 14일에 폐지되었다.[1]
5. 역 목록
노선명 | 역 이름 | 구분 | 영업 거리 | 쾌속 | 접속 노선·비고 | 선로 | 소재지 | |
---|---|---|---|---|---|---|---|---|
역간 | 누계 | |||||||
센잔선 | 센다이 | 직 | - | 0.0 | ● | 동일본 여객철도: 센다이 시 교통국:난보쿠 선 (N10), 도서선 (T07) | ∨ |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
도쇼구역 | 위 | 3.2 | 3.2 | ● | | | |||
기타센다이역 | 위 | 1.6 | 4.8 | ● | 센다이 시 교통국:난보쿠 선 (N06) | ◇ | ||
기타야마 | 위 | 1.7 | 6.5 | ● | | | |||
도호쿠후쿠시다이마에역 | 위 | 1.0 | 7.5 | ● | | | |||
구니미 | 위 | 1.1 | 8.6 | ● | ◇ | |||
구즈오카역 | 1.5 | 10.1 | ● | | | ||||
리쿠젠오치아이역 | 위 | 2.6 | 12.7 | ● | ◇ | |||
아야시역 | 위 | 2.5 | 15.2 | ● | ◇ | |||
리쿠젠시라사와역 | 5.4 | 20.6 | │ | ◇ | ||||
구마가네역 | 3.1 | 23.7 | │ | | | ||||
사쿠나미역 | 간 | 5.0 | 28.7 | ● | ◇ | |||
오쿠닛카와역▽ | 5.1 | 33.8 | │ | ◇ | ||||
오모시로야마 신호장 | - | - | 41.5 | │ | ◇ | 야마가타현 야마가타시 | ||
오모시로야마코겐역▽ | 8.7 | 42.5 | │ | | | ||||
야마데라역 | 위 | 6.2 | 48.7 | ● | ◇ | |||
다카세 | 3.7 | 52.4 | │ | | | ||||
다테야마 | 2.5 | 54.9 | │ | ◇ | ||||
우젠치토세역 | 3.1 | 58.0 | ● | 동일본 여객철도:오우 본선 (야마가타선 신조 방면) | | | |||
기타야마가타역 | 위 | 2.9 | 60.9 | ● | 동일본 여객철도:아테라자와선[77] | ◇ | ||
야마가타역 | 직 | 1.9 | 62.8 | ● | 동일본 여객철도:--야마가타 신칸센, 오우 본선 (야마가타선 요네자와 방면) | ∧ |
- 센다이 하이랜드역(구마가네역~사쿠나미역 간) - 2014년 3월 15일 폐지.
- 야쓰모리역(사쿠나미역~오쿠닛카와역 간) - 2014년 3월 15일 폐지.
- 특정도구시내 제도에서 "센다이 시내"에 속하는 역
- 구분:직…직영역, 위…업무 위탁역, 간…간이 위탁역, 공란…종일 무인역
- * 종일 무인역을 제외하고 JR동일본에 의한 승차 인원 집계 대상역[75]
- 정차역
- * 보통 열차는 기본적으로 모든 여객역에 정차하지만, 일부 열차는 ▽ 표시 역을 통과한다.
- * 쾌속…●:정차역、│:통과역
- 선로 … ◇・∨・∧:열차 교환 가능, |:열차 교환 불가능
- * 센잔선 내는 전선 단선이며, 오우 본선 구간에서도 당 노선·아테라자와선 용 협궤는 단선이다.
6. 운행 차량
현재 센잔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센다이 차량 센터 소속이며, 키하 48형 기동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전철이다.
- '''E721계'''[70]
- 2007년 4월 23일부터 운용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0번대만 운용되었으나, 2016년 12월 9일부터 1000번대(4량 고정 편성)도 운용을 시작했다. 4량 ~ 6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2012년 3월 17일부터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는 E721계로 운행되고 있다.
- --
- --
과거에는 다음과 같은 차량들이 운행되었다.
- '''455계'''[71]
- (1968년10월 1일 - 2001년3월 31일) 국철 시대에는 급행 "센잔"을 중심으로 운용되었지만, 낮 시간대 보통 열차로도 운용되었다. 쾌속 등급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운용에 큰 변화는 없었으나, 2도어 차량이었기 때문에 1990년대에 들어서 러시아워 시간대 수송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센다이 지역의 다른 노선보다 먼저 퇴역하였다. 3~6량 편성으로 운행하였다.
- 1997년부터 운용 이탈까지 센잔선 전용 도색 차량이 등장했는데, 파란색을 바탕으로 3량에 걸쳐 자오련봉을 형상화한 흰색 도색과 전면 및 측면의 "SENZAN LINE 455" 로고가 특징이었다. 이후 로고는 삭제된 채로 한동안 운용되었다.
- --
- '''701계'''
- (2001년4월 1일 - 2017년10월 13일) 100번대, 1000번대, 1500번대의 2량 편성이 사용되었다. 센잔선에서의 운행은 센다이 - 아야시 구간(운행 사정으로 리쿠젠시라사와까지 회송)뿐이었고, 러시아워 시간대 상하행 3편, 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 --
- '''719계'''
- (1990년3월 10일 - 2013년3월 14일) 보통 4~6량 편성으로 운행되었고, 2량 편성도 존재했다. 455계가 있던 시절에는 주로 센다이역 - 사쿠나미역 간의 보통 열차를 중심으로 운용되었고, 455계 퇴역 후 오랫동안 센잔선의 주력 차량이었지만, 2012년3월 17일 이후로는 저녁 쾌속 1왕복만 운용되었다.[73]
- --
- '''583계'''
- 과거 급행 "쓰가루"로서 야마가타 신칸센 개업 준비를 위한 후쿠시마역 - 야마가타역 간 궤간 변경 공사에 따른 우회 운전으로 운행한 적이 있으며, 2003년부터는 센다이 차량센터 소속 차량이 임시 열차 "겔렌데 자오", "센잔 단풍"으로 드물게 운행되기도 했다. 2007년 11월 11일에 운행된 "센잔 전선 개통 70주년호"도 이 차량을 사용했다.
- '''485계'''
- (1991년8월 27일 - 1992년6월 30일) 야마가타 신칸센 개업 준비를 위한 궤간 변경 공사 대응으로, 센다이역 - 야마가타역 간에서 특급 "쓰바사"로서 운용되었다.
- '''417계'''
- (1984년2월 1일 - 1990년3월 9일) 「59·2」다이아 개정에 따른 센잔선 수송력 증강과 함께 센잔선에 투입되었다.
- '''키하55형'''
- (1960년11월 1일 - 1982년경) 준급 "아사히", "가쓰야마" 설정과 함께 등장했다. 준급 "센잔"에서도 사용되었다.
- '''키하58계'''
- (시기 불명 - 1985년3월 13일) "베니바나" 등의 급행용 차량이었지만, 센다이역 - 사쿠나미역 간 보통 열차에서의 운용도 존재했다.
- '''키하22형'''
- (시기 불명) 보통 열차로서 키하58계와 함께 사용되었다.
- '''ED78형'''
- 1993년까지 후쿠시마 운전소(←후쿠시마 기관구), 이후는 센다이 전차구에 소속되어, 1998년까지 화물 열차 견인에 사용되었다.
센잔선에서 운용된 증기 기관차로는 C58형(센다이역 - 사쿠나미역 간)이나 9600형(야마데라역 - 야마가타역 간)이 있다.[74]
7. 연선 개황
센잔선은 미야기현의 현청 소재지인 센다이시와 야마가타현의 현청 소재지인 야마가타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일본 최초로 교류 방식의 전철화를 도입한 노선이다.[7] 기점인 센다이역에서는 도호쿠 신칸센 및 도호쿠 본선에, 종점인 우젠치토세역에서는 오우 본선에 접속한다. 우젠치토세역 이후로는 모든 열차가 오우 본선의 야마가타역까지 직통 운전하므로, 운행 계통으로서의 센잔선은 오우 본선 우젠치토세 - 야마가타 구간을 포함한다. 이 구간에는 궤간이 다른 야마가타 신칸센, 야마가타선용의 복선 선로와는 달리 센잔선용으로 독립된 단선 협궤가 있다. 아테라자와선도 협궤이기 때문에 기타야마가타 - 야마가타 구간은 아테라자와선 열차도 운행한다.
센잔선 전 구간은 센다이 시내와 야마가타 시내에 있으며, 오쿠닛카와 - 센잔 터널 사이는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일부를 지나지만 역이나 신호장 등의 시설이 없어서, 역은 모두 센다이시 아오바구와 야마가타시에만 있다. 도중에 다른 시정촌을 통과하는 일 없이 현청 소재지끼리 연결해주는 노선 중에서도 양 도시 간만 연결하는 JR 노선은 센잔선이 유일하다.[7]
현의 경계 부분은 경사가 급한 산악 구간인데, 가을에는 차창으로부터 단풍을 볼 수 있는 반면, 낙엽에 의해 바퀴가 헛돌아 열차가 지연되기 쉽다. 바퀴가 헛도는 상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낙엽 쓰는 열차'를 주행하는 일이 있다. 이전에는 센다이 차량 센터 소속의 ED78형 전기 기관차를 이용했으나, 후에는 ED75형 전기 기관차로 변경되었다. 최근에는 고리야마 종합 차량 센터 소속의 DE10형 디젤 기관차가 사용되고 있다.
1972년부터 센다이시 구간은 특정 도구 시내의 대상 노선이 되었다. 당초 센잔선에서 대상이 되는 것은 기타센다이역뿐이었지만, 이후 신역 개업 및 구 미야기정의 센다이시 편입에 따라 미야기현-야마가타현 경계의 오쿠닛카와역까지 확대되었다.[9] 2003년부터는 센다이역 - 아이코역 구간이 IC 카드 승차권 'Suica'의 센다이 지역에 포함되었고, 2004년부터는 센다이역 - 야마데라역 구간이 '센다이 마루고토 패스' 적용 구간이 되었다. 센잔선의 각종 안내 사인 등에 사용되는 라인 컬러는 황록색으로 설정되어 있다. 2014년 4월 1일부터 전선이 대도시 근교 구간으로 신설된 '센다이 근교 구간'이 되었고, 같은 날부터 사쿠나미역, 야마데라역에서,[10] 2024년 3월 16일부터 우젠치토세역에서도 IC 카드 승차권 'Suica'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59]
센다이역 - 기타센다이역 구간은 센다이 시 지하철과의 대체 수송(전환 수송) 대상 노선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해당 구간이 운전 중지된 경우, 센다이 시 지하철 남북선(센다이역 - 기타센다이역 - 다이하라역)으로의 전환 승차가 인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구간은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의 경계를 지나는 산악 지대이며,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이 10~100명대인 역이 많은 한산한 구간이다. 야마가타 시내와 센다이 시내를 잇는 도시 간 연락을 중시한 다이어가 되어 있으며, 사쿠나미역 발착 열차(1.5왕복)를 제외한 모든 열차가 야마가타역 - 센다이역 간 직통 운행(보통·쾌속 포함 1시간에 1편)을 하고 있다.
과거에는 센다이역 - 사쿠나미역 간의 구간 열차가 많이 설정되어 있었지만, 그 대부분이 아이코역 회차로 변경되었고,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 시점에서는 하행 사쿠나미행 2편, 상행 센다이행 3편만 운행되었다.[60] 2015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저녁 1왕복이 아이코역 정차로 변경되어, 아침 하행 사쿠나미행 1편과 상행 센다이행 2편만 남게 되었다.[60]
하행 야마가타행 막차는 22시대 전반에 설정되어 있으며, 우젠치토세(야마가타선 하행 텐도행), 기타야마가타(사자와선 간가와행), 야마가타(야마가타선 상행 요네자와행) 각 역의 막차와 환승이 가능하다.
2022년 1월 8일부터 2월 28일까지, 폭설의 영향으로 열차의 지연이나 운휴로 이어지는 수송 장애 방지를 위해, 오쿠니이카와역, 오모로야마고젠역이 동절기 일부 열차 통과역이 되어, 센다이발 야마가타행 첫차가 이 두 역을 통과했다.[65] 같은 해 12월 10일부터 2023년 3월 17일까지도, 야간의 상하 4왕복에서 이 두 역 통과 열차에 추가하여 실시되었다.[66] 2023년 다이어 개정부터는, 연중 조조 1왕복·심야 1.5왕복이 2개 역을 통과하게 되었으며,[29] 동절기에는 더욱 일부 보통 열차(2024년도는 야간의 3왕복)가 2개 역을 통과하게 되었다.
센잔선은 아이코를 경계로 노선의 성격이 크게 달라진다. 센다이에서 아이코까지는 연선에 주택가가 많아 도시 근교 수송 노선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고, 아이코 이후는 전원 지대나 관광지가 펼쳐지는 지역 노선 색채가 짙다.
센산선 열차는 센다이역 7·8번선에서 출발한다. 선로는 당분간 도호쿠 본선과 나란히 달리지만, 던롭 스포츠 클럽 부근부터 급경사와 급커브로 도호쿠 본선을 가로질러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우메다가와를 우안에서 좌안으로 건넌다. 여기서 키타센다이 역까지 구간은 가요마쓰 "타마다요코노"를 지나는 구간이며, 토쇼구 역을 지나면 우메다가와와 다이하라 단구의 단구애와 나란히 달리는 구간에 들어서며, 절벽 사면이나 흙 언덕 위를 지나 키타센다이 부근에서 다시 우메다가와 우안이 된다. 키타센다이에는 고층 맨션이 늘어서 있으며, 도시 풍경이 펼쳐진다. 키타센다이 역을 지나면 바로 옛 오슈 가도와 교차하며, 이후 우메다가와와 나란히 달리며 키타야마 구릉 북사면을 달린다. 키타야마 역을 지나면 키타야마 구릉 남사면으로 옮겨, 쿠니미 구릉 남사면을 달려 우메다가와 유역에서 히로세가와 유역으로 바뀐다. 이들 구릉지대의 대부분은 가족 단위 분양 주택지로 개발되어 있다. 토호쿠후쿠시다이마에 역과 다음 쿠니미 역 부근에는 대학, 시립 고등학교가 있어 통근객과 통학객의 목적지는 반대가 된다. 또한, 통학·귀가 시간대에는 많은 학생들로 혼잡하다. 쿠니미의 앞 터널을 지나면 대규모 센다이시 쿠즈오카 묘원이 펼쳐지고 쿠즈오카 역에 도착한다. 쿠즈오카 역 앞은 역의 북쪽이 거의 전술한 묘원이며, 남쪽에는 역전 입지의 이점을 살린 몇 동의 대규모 맨션이 있지만, 면적적인 주택 개발은 별로 보이지 않는다. 쿠즈오카 역을 지나면 구릉지대에서 평지로 내려가 아이코 분지에 들어서며, 리쿠젠오치아이 역, 아이코 역이 이어진다. 아이코 분지는 개발 억제가 되어 있었지만, 도로 교통의 요충지이기 때문에 시가화 지역으로 용도 지역이 변경되어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지역이다.
아이코에서는 히로세가와와 국도 48호선과 나란히 달리며, 산과 전원의 풍경이 펼쳐진다. 리쿠젠시라사와 - 쿠마가네 사이에 있는 제2 히로세가와교(쿠마가네 철교)는 깊은 협곡에 걸쳐 있으며 절경이다. 곧 사쿠나미 역에 도착한다. 역 이름의 유래이기도 한 사쿠나미 온천의 관문이기도 하지만 역 앞은 한산하며, 온천가 중심과 2~3km 정도의 거리가 있다. 또한 역 승강장에는 일본 최초의 교류 전철화를 기념하는 "교류 전철화 발상지" 비석이 세워져 있다. 여기를 지나면 산을 넘어 히로세가와 지류의 신카와가와 유역에 들어서며, 오우 봉의 산악 풍경 일색이 된다. 사쿠나미 - 오쿠신카와 사이에 있던 야츠모리 역(임시역)은 1970년까지 존재했던 야츠모리 스키장으로 가는 접근 역이었다. 그 후 철도 팬들에게 비경의 역 중 하나로 인식되었지만, 2014년 3월에 폐지되었다. 오쿠신카와 역도 깊은 산 속에 존재하지만, 여기는 정기 열차가 정차한다. 오쿠신카와 역 부근에는 다이쇼 시대부터 전후에 걸쳐 아키우 광산이 있었고, 전전부터 전후에 걸쳐 신카와 삼림 철도가 있었기 때문에 인구 600명 정도의 마을이 존재했던 시기도 있었다. 현재는 너도밤나무 숲이나 계류를 즐기는 관광객이 이 역을 이용한다.
오쿠신카와를 지나면 오우 봉을 뚫는 센잔 터널에 들어간다. 이 터널을 빠져나오면 야마가타시에 들어서며 오모시로야마 고원에 도착한다. 오모시로야마 고원 역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철도로만 갈 수 있는 스키장으로 2008년도까지 영업했던 스노우 파크 오모시로야마의 슬로프 안에 있으며, 역 구내에서 스키 리프트를 탈 수 있었다. 따라서 겨울에는 이 역에서 내려 바로 스키나 스노보드를 할 수 있도록 센다이와 야마가타 시가지 역에서 마치 슬로프에 있는 것처럼 스키복을 입고 스키화를 신은 채 센산선에 타는 사람들이 자주 보였다. 겨울 이외에는 오모시로야마로의 등산객이 이 역을 이용한다. 또한, 이 부근을 시작으로 사쿠나미 - 야마데라 간에서는 가을에 차창이 단풍으로 화려하게 물든다.
야마데라 역 부근은 관광지이기 때문에 여관이나 기념품 가게가 눈에 띈다. 야마데라란 리쓰이시지의 통칭이다. 야마데라를 지나면 한가로운 전원 풍경이 펼쳐진다. 타카세 부근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영화 「추억은 방울방울」의 무대이다.
우젠치토세 이후는 정식으로는 오우 본선이지만, 야마가타 신칸센이나 야마가타 선과는 별도의 협궤 선로를 달린다. 우젠치토세 바로 앞에서 야마가타 신칸센·야마가타 선의 표준궤 선로와 평면 교차하여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키타야마가타를 지나면 사자와 선과 합류하여 곧 야마가타 역에 도착한다.
편의상, 우젠치토세역 측 모든 열차가 직통하는 오우 본선 야마가타역까지의 구간을 게재한다.
- : 특정도구시내 제도에서 "센다이 시내"에 속하는 역
- 구분: 직…직영역, 위…업무 위탁역, 간…간이 위탁역, 공란…종일 무인역
- * 종일 무인역을 제외하고 JR동일본에 의한 승차 인원 집계 대상역[75]
- 정차역
- * 보통 열차는 기본적으로 모든 여객역에 정차하지만, 일부 열차는 ▽ 표시 역을 통과한다.
- * 쾌속: ● - 정차역, │ - 통과역
- 선로: ◇・∨・∧ - 열차 교환 가능, | - 열차 교환 불가능
- * 센잔선 내는 전선 단선이며, 오우 본선 구간에서도 당 노선·사자와선 용 협궤는 단선이다.
rowspan="2" style="border-bottom:3px solid #72bc4a;"| | 역 이름 | rowspan="2" style="border-bottom:3px solid #72bc4a;"| | 영업 거리 | rowspan="2" style="border-bottom:3px solid #72bc4a;"| | 접속 노선·비고 | rowspan="2" style="width:1em; border-bottom:3px solid #72bc4a;"| | 소재지 | |
---|---|---|---|---|---|---|---|---|
역간 | 누계 | |||||||
rowspan="19"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 line-height:3;"| | 센다이역 | 직 | - | 0.0 | ● | 동일본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아키타 신칸센·홋카이도 신칸센·도호쿠 본선·센세키 도호쿠 라인·센다이 공항 액세스선·조반선[76]·센세키선 센다이 시영 지하철: 남북선 (N10)·동서선 (T07) | ∨ |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
토쇼구역 | 위 | 3.2 | 3.2 | ● | | | |||
키타센다이역 | 위 | 1.6 | 4.8 | ● | 센다이 시영 지하철: 남북선 (N06) | ◇ | ||
기타야마역 | 위 | 1.7 | 6.5 | ● | | | |||
도호쿠후쿠시다이마에역 | 위 | 1.0 | 7.5 | ● | | | |||
쿠니미역 | 위 | 1.1 | 8.6 | ● | ◇ | |||
쿠즈오카역 | 1.5 | 10.1 | ● | | | ||||
리쿠젠오치아이역 | 위 | 2.6 | 12.7 | ● | ◇ | |||
아이코역 | 위 | 2.5 | 15.2 | ● | ◇ | |||
리쿠젠시라사와역 | 5.4 | 20.6 | │ | ◇ | ||||
쿠마가네역 | 3.1 | 23.7 | │ | | | ||||
사쿠나미역 | 간 | 5.0 | 28.7 | ● | ◇ | |||
오쿠닛카와역▽ | 5.1 | 33.8 | │ | ◇ | ||||
오모시로야마 신호장 | - | - | 41.5 | │ | ◇ | 야마가타현 야마가타시 | ||
오모시로야마코겐역▽ | 8.7 | 42.5 | │ | | | ||||
야마데라역 | 위 | 6.2 | 48.7 | ● | ◇ | |||
타카세역 | 3.7 | 52.4 | │ | | | ||||
다테야마역 | 2.5 | 54.9 | │ | ◇ | ||||
우젠치토세역 | rowspan="2"| | 3.1 | 58.0 | ● | 동일본여객철도: 오우 본선(야마가타선 신조 방면) | | | ||
rowspan="3" style="width:1em; text-align:center; font-size:90%; line-height:1.1;"| | ||||||||
키타야마가타역 | 위 | 2.9 | 60.9 | ● | 동일본여객철도: 사자와선[77] | ◇ | ||
야마가타역 | 직 | 1.9 | 62.8 | ● | 동일본여객철도: --야마가타 신칸센·오우 본선 (야마가타선 요네자와 방면) | ∧ |
각 연도별 일평균 이용객 수(명/일)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官報 1937年11月05日
https://dl.ndl.go.jp[...]
大蔵省印刷局
2024-07-01
[2]
웹사이트
2011 Tohoku University Festival 大学祭あおば 鐵物語 ―テツモノガタリ― (研究テーマ:仙山線)
https://aoba-trfc.sa[...]
Tohoku University Railway Fan Club
2024-07-01
[3]
뉴스
仙山線 CTC・自動信号化
Koutsu Kyouryoku Kai
1985-03-13
[4]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16-04-01
[5]
서적
鉄道電報略号
1959-09-17
[6]
웹사이트
サステナビリティレポート2018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8-09-01
[7]
문서
경복전기철도의 경복경진선
[8]
웹사이트
全国「高速バスvs鉄道 競合区間」5選 鉄道が白旗だったり いい勝負だったり
https://trafficnews.[...]
2020-03-15
[9]
문서
1988년 오쿠니카와 역까지의 지정 확대에 따른 영향
[10]
웹사이트
Suicaの一部サービスをご利用いただける駅が増えます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3-11-29
[11]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1998-01-01
[12]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13]
서적
仙台市史 通史編7(近代2)
[14]
웹사이트
HANDS 019 仙山線
http://dobokore.jsce[...]
公益社団法人土木学会 土木の日実行委員会 土木コレクション小委員会
[15]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16]
서적
宮城町誌(本編)
[17]
뉴스
<仙山線 全線開通80年>機能強化望む声根強く
https://www.kahoku.c[...]
2017-11-10
[18]
문서
유치 활동
[19]
웹사이트
資料1.線区別沿革の概要 - 仙山線
https://www.pref.yam[...]
山形県
2021-03-01
[20]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21]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22]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23]
문서
현재 야마가타시의 일부
[24]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25]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26]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27]
서적
山形市史 近現代編
[28]
웹사이트
2011 Tohoku University Festival 大学祭あおば 鐵物語 ―テツモノガタリ― (研究テーマ:仙山線)
http://aoba-trfc.sak[...]
東北大学鉄道研究会
[29]
뉴스
<昭和国鉄の名残>さよならあの日の雄姿 電気機関車「ED14形」が解体へ
https://www.kahoku.c[...]
2017-12-23
[30]
문서
작병기관지구
[31]
서적
東北の鉄道
[32]
서적
宮城町誌(本編)
[33]
뉴스
仙山線、喜びの全通式
1937-11-11
[34]
서적
宮城町誌(本編)
[35]
뉴스
交流電化への初の実験 国鉄仙山線 一日から二か月間
1955-01-20
[36]
서적
戦後経済成長の礎を築いた鉄道10年の記録 秘蔵鉄道写真に見る戦後史 下 昭和30年代
JTBパブリッシング
[37]
서적
仙台市史 通史編8(現代1)
[38]
서적
仙台市史 通史編9(現代2)
[39]
문서
現在の仙台市青葉区の一部
[40]
서적
仙台市史 通史編9(現代2)
[41]
문서
1994年9月の災害による長期不通時の仙山線旅客輸送状況
[42]
웹사이트
せんだい都市交通プラン ~百万都市のにぎわいと暮らしやすさを目指して~
https://www.city.sen[...]
仙台市
2010-11-10
[43]
디지털자료
鉄道省年報. 昭和10年度
{{NDLDC|1114644/103}[...]
[44]
디지털자료
逓信省告示第3515号
{{NDLDC|2959740/3}}
1937-11-05
[45]
뉴스
仙山線 CTC・自動信号化
交通協力会
1985-03-13
[46]
뉴스
JR仙山線「面白山駅」の駅名変更 愛称名「面白山高原駅」に
1988-01-29
[47]
뉴스
仙山線復旧へ懸命
交通新聞社
1994-10-07
[48]
뉴스
台風の次は落ち葉でスリップ 運転再開の始発運休 JR仙山線
朝日新聞社
1994-11-28
[49]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5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51]
보도자료
仙山線 西仙台ハイランド駅及び八ツ森駅廃止について
https://jr-sendai.co[...]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4-02-14
[52]
뉴스
車内に300人閉じ込められる…停電で仙山線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4-12-03
[53]
뉴스
JR仙山線:冷え込む列車内に8時間「何とか耐えた」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4-12-03
[54]
뉴스
雪で停電、仙山線立ち往生 300人缶詰め 山中道なく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4-12-03
[55]
보도자료
「仙山線全線開通 80 周年」記念イベント開催のお知らせ
https://www.jreast.c[...]
JR東日本仙台支社・仙台市東北連携推進室・山形市観光物産課
2017-11-07
[56]
뉴스
仙山線開通80周年 記念列車が出発 仙台駅などでイベント
2017-11-12
[57]
보도자료
2018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JR東日本仙台支社
2017-12-15
[58]
보도자료
降雨等に対する防災対策工事および台風19号による被災箇所の復旧状況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20-04-24
[59]
보도자료
山形県の Suica 利用がますます便利になります!
https://www.jreast.c[...]
JR東日本東北本部
2023-12-15
[60]
보도자료
2015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jr-sendai.com[...]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14-12-19
[61]
웹사이트
2023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東北本部
2022-12-16
[62]
뉴스
<仙石線全線再開>地域再生が今後の課題
http://www.kahoku.co[...]
2015-05-31
[63]
웹사이트
線路別ご利用状況(2009~2013年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64]
뉴스
景観か渋滞緩和か 仙山線踏切高架化で「東照宮隠れる」 仙台
2005-02-12
[65]
웹사이트
仙山線 奥新川駅および面白山高原駅における一部列車の通過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仙台支社
2021-12-15
[66]
웹사이트
冬期期間における仙山線の一部列車通過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東北本部
2022-11-15
[67]
웹사이트
平成20年度山形県土木概要 第3章 交通政策
http://www.pref.yama[...]
山形県
[68]
웹사이트
仙台都市圏交流基盤に関する懇談会
http://www.tohokukk.[...]
社団法人東北建設協会
[69]
웹사이트
平成 25 年度JRへの要望事項 (回答書)
http://www.yamagata-[...]
[70]
문서
E721系1000番台と磐越西線719系の置き換え
[71]
논문
RAILWAY TOPICS - 仙台地区で4月1日に改正 全列車3扉化
鉄道ジャーナル社
2001-04
[72]
뉴스
JR仙山線にデザイン電車 14日からお目見え
交通新聞社
1995-10-02
[73]
문서
E721系1000番台投入前の東北本線・常磐線車両変更と719系定期運用開始時期
[74]
서적
宮城町誌(本編)
[75]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8-04
[76]
문서
常磐線終点と仙台駅乗り入れ
[77]
문서
左沢線起点と山形駅乗り入れ
[78]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1987~2022年度(5年毎))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2
[79]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1~2015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80]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4~2018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81]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8~202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82]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9~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