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산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 서남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동쪽으로 옌볜 조선족 자치주, 서쪽으로 퉁화 시, 북쪽으로 지린 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압록강을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마주한다. 백두산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1902년 청나라가 린장 현을 설치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고, 1994년 현재의 바이산 시로 개칭되었다. 2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2개의 현, 1개의 자치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족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조선족, 만주족 등의 소수민족이 거주한다. 냉대 동계 소우 기후에 속하며, 훈바이선, 야다선 등의 철도 노선과 허다 고속도로, 창창 고속도로 등의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창바이산 공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산시 - 창바이산 공항
    창바이산 공항은 중국 지린성 창바이산 지역에 위치한 공항으로, 창바이산 일대의 관광 자원 개발과 동계 올림픽 유치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건설되어 소형 여객기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터미널과 탑승교를 갖추고 국내외 여러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지린성의 지급시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지린성의 지급시 - 지린시
    지린시는 중국 지린성 중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만주족 발상지인 '기린우라'에서 유래했으며, 쑹화강 연안의 조선업 중심지이자 현재 4개의 구, 4개의 현급시, 1개의 현을 관할하며 경제 개발구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있지만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바이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훈 강
훈 강
푸송 스키 리조트
푸송 스키 리조트
15구
15구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
바이산 파노라마
바이산 파노라마
[[창바이 산]]
창바이 산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십사도구진]] 부근의 경치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십사도구진 부근의 경치
위치지린 성 내 바이산 시 (노란색) 위치, 중국
중심 위치지린 성 내 시 중심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바이산 시
로마자 표기Báishān
별칭없음
과거 명칭린장 현, 훈장 시
행정 유형지급시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지린 성
현급 행정 구역6
시 정부 소재지훈장 구
CPC 위원회 서기샹 후이 ()
시장왕 쉐펑 ()
설립1902년
시로 승격1986년 9월 8일
명칭 변경1994년 1월 31일
면적 (전체)17,485 제곱킬로미터
도시 면적388.11 제곱킬로미터 (2017년)
해발 고도471 미터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134300
지역 번호0439
ISO 3166-2CN-JL-06
웹사이트bs.jl.gov.cn
인구 통계
총 인구 (2010년)1,296,575 명
도시 인구 (2017년)402,600 명
GDPdemographics2_title1: 지급시
demographics2_info1: CN¥ 669억
US$ 107억
demographics2_title2: 1인당
demographics2_info2: CN¥ 53,137
US$ 8,531

2. 지리

바이산시는 지린성 남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옌볜 조선족 자치주, 서쪽은 퉁화시, 북쪽은 지린시, 남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접한다.

3. 역사

도시 이름은 시내에 있는 백두산(창바이산)에서 유래하였다. 이곳 린장시에는 발해서경 압록부가 있었다.[6]

1902년 청나라는 퉁화현 동쪽에 린장현을 새로 설치했다. 1949년 린장 현은 폐지되고 현급시인 훈장시가 설치되어 퉁화 지구 관할이 되었다. 1985년 2월 4일, 훈장 시는 지급시로 승격되었고, 1994년 1월 31일 바이산시로 개칭되었다.

3. 1. 연표


  • 1985년 2월 4일 - 퉁화 지구 훈장 시가 지급시인 '''훈장 시'''로 승격되었다. (1시 2현 1자치현)[6][7] 퉁화 지구의 푸쑹 현, 징위 현,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을 편입하였다.
  • 1986년 9월 8일 - 바다오장 구, 린장 구, 산차쯔 구를 설치하였다. (3구 2현 1자치현)
  • 1992년 9월 1일 - 린장 구가 현으로 개편되어 린장 현이 되었다. (2구 3현 1자치현)
  • 1993년 11월 28일 - 린장 현이 시로 승격되어 린장 시가 되었다. (2구 1시 2현 1자치현)
  • 1994년 1월 31일 - 훈장 시가 '''바이산 시'''로 개칭되었다.

3. 1. 1. 훈장 시

도시 이름은 시내에 있는 백두산(장백산)에서 유래하였다.[6][7]

1902년(광서제 34년), 청나라는 퉁화현 동쪽에 린장현을 새로 설치했다. 1949년에 린장 현은 폐지되고, 현급시인 훈장시가 설치되어 퉁화 지구 관할이 되었다. 1985년 2월 4일, 훈장 시는 지급시로 승격되었고, 퉁화 지구의 푸쑹현, 징위현,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이 훈장 시 관할이 되었다. 1994년 1월 31일, 훈장 시는 '''바이산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3. 1. 2. 바이산 시

도시 이름은 시내에 있는 백두산(창바이산)에서 유래하였다. 이곳 린장시에는 발해서경 압록부가 있었다.[6][7]

1902년 청나라는 퉁화 현 동쪽에 린장 현(臨江県)을 설치했다. 1949년 린장 현은 폐지되고 현급시인 훈장 시(渾江市)가 설치되었다. 1985년 2월 4일, 훈장 시는 지급시로 승격하여 퉁화 지구의 푸쑹 현, 징위 현, 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을 관할하였다. 1994년 1월 31일 바이산 시로 개칭되었다.

  • 1995년 12월 30일 - 싼차쯔 구(三岔子区)가 현으로 개편되어 장위안 현(江源県)이 됨. (1구 1시 3현 1자치현)
  • 2006년 6월 5일 - 장위안 현이 구로 개편되어 장위안 구(江源区)가 됨. (2구 1시 2현 1자치현)
  • 2010년 2월 23일 - 바다오장 구(八道江区)가 훈장 구(渾江区)로 개칭. (2구 1시 2현 1자치현)

4. 행정 구역

2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2개의 , 1개의 자치현(창바이 조선족 자치현)을 관할하고 있다.

#이름한자한어 병음인구 (2003년 추정)면적(km2)인구밀도(명/km2)
1훈장 구浑江区Húnjiāng Qū330,0001388km2238
2장위안 구江源区Jiāngyuán Qū260,0001348km2193
3린장 시临江市Línjiāng Shì180,0003009km260
4푸쑹 현抚松县Fǔsōng Xiàn300,0006150km249
5징위 현靖宇县Jìngyǔ Xiàn140,0003094km245
6창바이 조선족 자치현长白朝鲜族自治县Chángbái Cháoxiǎnzú Zìzhìxiàn80,0002496km232


5. 인구

바이산시 인구 추이
연도인구비고
2000년1,312,362명
2010년1,296,127명
2020년968,373명행정 구역 변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한족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 외에도 조선족, 만주족, 후이족, 몽골족 등의 소수민족들이 있다.

5. 1. 민족

한족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 외에도 조선족, 만주족, 후이족, 몽골족 등의 소수민족들이 있다.[10]

바이산시 민족구성(2020년 11월)
민족이름한족조선족만주족후이족몽골족먀오족둥족부이족시버족투자족기타 민족
인구 수909,33218,52717,4183,4411,594350165144125122648
인구비율(%)95.531.951.830.360.170.040.020.020.010.010.07
소수민족 인구 중 비율(%)43.5640.958.093.750.820.390.340.290.291.52


6. 기후

바이산시 기후 (1991년–2020년 평균, 1981년–2010년 극값, 해발 521m)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7.1°C-2.7°C4.3°C13.9°C20.7°C24.9°C27.3°C26.5°C21.8°C14°C3.1°C-5.5°C
평균 기온 (℃)-14.7°C-10.2°C-2.1°C6.8°C13.5°C18.4°C21.8°C20.6°C14.2°C6.2°C-3.2°C-12.2°C
평균 최저 기온 (℃)-20.8°C-16.7°C-7.8°C0.3°C6.8°C12.9°C17.5°C16.4°C8.8°C0.3°C-8.3°C-17.8°C
최고 기온 기록 (℃)3.4°C11.8°C16.5°C29.2°C32.2°C35.5°C35.8°C35.7°C30.1°C27.2°C18.3°C8.3°C
최저 기온 기록 (℃)-35.5°C-32°C-24.6°C-11.4°C-3.9°C3.4°C7.9°C3.1°C-4.4°C-12.7°C-26.5°C-32.7°C
평균 강수량 (mm)11.2mm18.1mm27.8mm47.6mm86.1mm116.2mm200mm188.8mm65.1mm46.8mm40.2mm18.8mm
평균 상대 습도 (%)706661576474818378697272
평균 강수일수 (≥ 0.1mm)9.97.99.810.514.315.415.915.19.49.910.611.5
평균 강설일12.811.111.95.00.200003.111.215.1
평균 일조 시간163.5174.5201.3198.5220.0203.0181.7188.1199.0185.4143.5141.5
평균 일사율 (%)555854494945404454554950



자료 출처: 중국기상국[8][9]

7. 교통


  • 창바이산 공항: 무송현 소재
  • 중국 국가철로집단
  • * 선바이 여객 전용선(건설 중)
  • * 훈바이선
  • * 야다선
  • 고속도로
  • * 허다 고속도로
  • * 창창 고속도로长长高速公路중국어
  • * 후이린 고속도로
  • 국도
  • * G201 국도
  • * G222 국도222国道중국어
  • * G331 국도
  • * G504 국도504国道중국어

참조

[1] 서적 China Urban Construc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ttp://www.mohurd.go[...] China Statistics Press 2019
[2] 서적 《吉林统计年鉴-2016》 http://tjj.jl.gov.cn[...] 中国统计出版社 2016-09
[3] 웹사이트 Profile of Baishan http://www.cbs.gov.c[...] Official website of Baishan City Government 2011-04-04
[4]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5] 웹사이트 Experience Template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7-07
[6]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중화인민공화국민정부
[7] 웹사이트 吉林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8]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7-07
[9] 웹인용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7-07
[10] 웹인용 吉林省人口普查年鉴-2020 http://tjj.jl.gov.c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